KR101624938B1 -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938B1
KR101624938B1 KR1020150157037A KR20150157037A KR101624938B1 KR 101624938 B1 KR101624938 B1 KR 101624938B1 KR 1020150157037 A KR1020150157037 A KR 1020150157037A KR 20150157037 A KR20150157037 A KR 20150157037A KR 101624938 B1 KR101624938 B1 KR 101624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weight
parts
coat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은주
Original Assignee
진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은주 filed Critical 진은주
Priority to KR102015015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57Producing 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70/528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이 단축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특히 에너지 절감 및 생산량을 증가시키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는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하고, 반죽된 재료를 분말가루 형태로 제조하는 재료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단계에서 제조된 재료를 이송시키는 재료 이송단계;와, 상기 재료 이송단계에서 이송된 재료를 전달받아 매트를 성형하는 매트 성형단계와, 상기 매트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매트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단계와, 상기 수분 제거단계에서 수분이 제거된 매트에 코팅액을 분사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코팅단계에서 코팅된 매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이송되는 매트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는 시트를 성형하여 매트와 열융착 시키는 시트 성형단계 및 상기 시트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코일쿠션매트가 요구되는 형태로 재단 및 장식을 하는 가공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il injection car ma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이 단축되어 작업능률, 에너지절감 및 생산량을 증가시키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과 편익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와 편의 사양을 구비하게 되는데, 그 중 자동차 바닥에 사용되는 라이닝(lining)은 부직포와 같은 직물지를 이용한 것으로 자동차 실내 바닥 전체면에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개재되는 라이닝은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진동 및 소음을 경감시키고, 외부로 도출된 금속재의 자동차 프레임을 감싸 안락한 실내 환경을 유지한다. 그러나 라이닝은 부직포와 같은 직물재질로써, 미세한 먼지나 모래 등이 침착하여 오염될 경우, 물을 이용한 세척이 불가능하며 청결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자동차 실내 바닥의 라이닝 상측에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신발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매트(mat)를 개재하여 오염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매트는 일반적으로 직물재질로 제작되어 신속한 수분 등의 제거와 안락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그 저면에는 신발에서 흡수된 수분이나 탑승자의 부주의에 의한 각종 음료 등이 라이닝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재의 고정부를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물재질로 제작된 매트는, 신발이 닿는 착지부가 직물재질로 형성되어 운전자 및 동승자의 신발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이 흡수될 뿐만 아니라, 각종 이물질에 대해 장시간 경과 될 경우, 각종 이물질이 매트 내부로 침투하여 상당한 오염상태를 유발하게 되고, 자동차 실내에서 먼지의 비산으로 인해 운전자 및 동승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비닐 아세테이트(EVA) 소재의 매트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9063호에서는 '자동차용 매트의 제조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매트는 금형을 이용하여 20 내지 30mm 원판으로 프레스 발포가공 후 재단하여 사용하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겉면과 내부의 경도가 거의 동일하며 복원력, 완충력이 모두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발포가공을 위한 충진제를 비교적 많이 배합하여야 하고, 가교가 매우 많이 되어 있어 활용하기가 어렵고, 무거우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가 나고, 휘발성 유해성분이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포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매트를 수평으로 절단하여 저면이 평평한 상태로 사용함에 따라 충격 흡수력이 떨어짐과 아울러, 저면에 흙, 먼지 및 물기가 많이 부착되어 청소 및 건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9906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재료 교반단계에서 재료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매트 성형장치에 투입되는 재료를 미세한 분말가루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함으로서, 각 재료들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반죽할 수 있도록 하고, 제조공정이 단축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특히 에너지 절감 및 생산량을 증가시키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가 코일형상으로 제조되어, 코일 안으로 오염물이 모여 있어 매트 외부로 유출이 되지 않아 매트가 오염이 쉽게 되지 않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를 털거나 물세탁을 할 경우, 오염물질이 쉽게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친환경 가소제인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를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매트의 유연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인장하중 및 강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으로 제조되어 유아 및 어린이들이 만지거나 입으로 물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의 재료 중 활성탄소 및 광촉매를 이용하여 매트의 표면을 코팅하여 제조함으로서, 실외에서 유입되는 세균을 살균할 뿐만 아니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분해시켜 각종 악취를 방취함과 동시에 방음방진 효율을 향상시키고, 보다 우수한 물리적 강성을 갖도록 한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는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하고, 반죽된 재료를 분말가루 형태로 제조하는 재료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단계에서 제조된 재료를 이송시키는 재료 이송단계와, 상기 재료 이송단계에서 이송된 재료를 전달받아 매트를 성형하는 매트 성형단계와, 상기 매트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매트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단계와, 상기 수분 제거단계에서 수분이 제거된 매트에 코팅액을 분사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코팅단계에서 코팅된 매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이송되는 매트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는 시트를 성형하여 매트와 열융착 시키는 시트 성형단계 및 상기 시트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코일쿠션매트가 요구되는 형태로 재단 및 장식을 하는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재료 교반단계에서 교반기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는 폴리염화비닐(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55~75 중량부, 충전제 20~70 중량부, 활성탄소 0.5~2.5 중량부, 염료 0.1~2.5 중량부, 복합안정제 0.2~5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PE) 0.2~5 중량부로 이루어져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팅단계에서 사용되는 코팅액은 에멀젼폴리염화비닐(E-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80~120 중량부 및 광촉매 0.5~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쿠션성 및 부정방향의 코일형상을 지니고,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자동차의 바닥에 설치되는 매트와, 상기 매트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매트를 지지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자동차용 바닥으로부터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는 돌기(13)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는 폴리염화비닐(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55~75 중량부, 충전제 20~70 중량부, 활성탄소 0.5~2.5 중량부, 염료 0.1~2.5 중량부, 복합안정제 0.2~5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PE) 0.2~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팅층은 에멀젼폴리염화비닐(E-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80~120 중량부 및 광촉매 0.5~5 중량부로 이루어져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코일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은 재료 교반단계에서 재료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매트 성형단계에서 매트 성형장치에 투입되는 재료를 미세한 분말가루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함으로써, 각 재료들이 균일하게 혼합반죽될 수 있도록 하고, 제조공정이 단축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특히 에너지 절감 및 생산량을 증가시키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는 오염물질이 코일형태에 모여 있어, 매트 외부로 유출이 되지 않아 자동차 실내를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매트를 물세탁 후 건조하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어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갖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는 친환경 가소제인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를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매트의 유연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인장하중 및 강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으로 제조되어 유아 및 어린이들이 만지거나 입에 물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는 매트의 재료 중 활성탄소를 포함하며, 광촉매를 이용하여 매트의 표면을 코팅하여 제조함으로써, 실외에서 유입되는 세균을 살균할 뿐만 아니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분해시켜 각종 악취를 방취함과 동시에 방음방진 효율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매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에 대한 시험성적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유해물질 제한지침(ROHS)에 대한 시험성적서,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에 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공정도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매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에 대한 시험성적서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유해물질 제한 지침(ROHS)에 대한 시험성적서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에 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10)의 제조방법은 먼저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하고, 반죽된 재료를 분말가루 형태로 제조하는 재료 교반단계(S1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교반단계(S10)에서 사용되는 재료 교반장치(100)는 매트(11)의 재료들을 균일하게 섞어 반죽하고, 반죽된 재료를 다시 분말가루 형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재료교반장치(100)는 제1교반기(110) 및 제2교반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교반기(110)는 재료 교반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재료를 넣어 반죽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교반기(100)는 재료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용기와, 용기 내부에 위치한 재료가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회전하는 교반날개와, 용기 하부에 위치하고 교반날개와 축 결합되어 교반날개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교반기(110)에서 반죽된 재료를 제2교반기(130)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배출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는 폴리염화비닐(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55~75 중량부로, 충전제 20~70 중량부, 활성탄소 0.5~2.5 중량부, 염료 0.1~2.5 중량부, 복합안정제 0.2~5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PE) 0.2~5 중량부 비율로 배합되어 제1교반기(110) 내부에서 교반날개에 의해 혼합반죽된다. 여기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를 제외한 나머지 재료들은 분말가루(Powder)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재료들을 분말가루의 형태로 이용함으로써, 제1교반기(100)에서 각 재료들이 균일하게 혼합반죽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염화비닐(PVC)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방수 및 방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가소제인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를 첨가함으로써, 코일쿠션매트(10)의 우수한 인장하중 및 강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소제로 기존에 사용되는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를 대신에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폴리염화비닐(PVC)에 부드러운 물성을 부가시켜 가공을 용이하게 하며, 매트(11)의 유연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유럽화학물질청(ECHA; European chemical agency)은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허가대상 물질을 발표하는 등 친환경 가소제로 인정되었고, 우수한 발포내열성 및 재활용이 가능하여,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따라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10)에 적용되어 210°C에서 황색도(Y.I.)가 15이상일 때의 시간을 평가할 때 발포내열성이 3분이상이며, 한국공기청정협회가 제정한 친환경 건축자재 단체품질인증 규정에 의하여 테스트할 때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이 0.015 mg/m2h미만이고,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량이 0.10 mg/m2h미만이 된다. 이러한 발포내열성 및 환경친화성은 기존에 사용되는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등의 가소제를 사용하여서는 얻을 수 없는 것이었으며, 본 발명의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조성물에 적용되어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 중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는 바람직하게 55~7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60~7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가 5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폴리염화비닐(PVC) 플라스티졸(plastisol)의 점도가 낮아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7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 블리드현상(bleeding effect, 가소제가 성형품의 표면으로 나오는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충전제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의 생산성 및 건조상태의 감촉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클레이, 탈크(Talc) 또는 규조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탄산칼슘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 중 충전제는 바람직하게 20~7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5~5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충전제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치수안정성 및 경제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70 중량부를 초과한 경우에는 발포 표면이 좋지 않으며,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활성탄소는, 탈취, 공기정화효과, 제습효과, 음이온제공효과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제거시키는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비표면적(Surface area)이 900~1200m2/g, 입도는 12~20mesh, 세공용적이 0.45~0.7cc/g을 가지는 활성탄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 중 활성탄소는 바람직하게 0.5~2.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활성탄소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탈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제거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2.5 중량부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의 취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부스러지기 쉬울 뿐만 아니라, 강도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염료는,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를 원하는 색상을 내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원하는 색상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 중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0.1~2.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염료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겉보기 표면농도가 엷어 원하는 색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농색화 불량, 견뢰도(세탁,승화 등)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합안정제는 폴리염화비닐(PVC)에서 염화수소가 분리되어 발색단인 폴리엔구조를 형성하여 주쇄의 절단, 가교현상을 일으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물성변화를 예방하는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복합안정제는 Ca-Zn계 화합물; Ba-Zn계 화합물; 머캡디트(Mercaptide)계 화합물, 말레인산계 화합물 또는 카르복실산계 화합물과 같은 유기 Tin계 화합물; Mg-스테아레이트, Ca-스테아레이트, Pb-스테아레이트, Cd-스트아레이트 또는 Ba-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메탈릭 비누게 화합물; 폐놀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또는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일 수 있으며, 용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Ca-Zn계 화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 중 복합안정제는 바람직하게 0.2~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3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복합안정제가 0.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열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열안정성이 발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PE)는 전자선 조사 가교발포에 의해, 매트(11)의 표면 상태를 고르게 하고, 강도, 내수성, 접착성 및 미끄럼을 방지하며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에 기포를 발생시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때, 상기 전자선 조사 가교발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이는 전자선 조사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며, 상기 전자선 조사장치는 고전압하에서 전자를 가속하고, 가속한 전자(전자선; electron beam)를 솔리드 시트(solid sheet)에 조사하여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켜 가교와 발포가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 중 폴리에틸렌(PE)는 바람직하게 0.2~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3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PE)가 0.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기포발생이 적게 어 충격흡수력이 저하되며,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에는 기포가 많이 발생하여 충격흡수력은 우수해지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제2교반기(130)는 상기 제1교반기(110)에서 혼합반죽된 재료를 전달받아 재료의 수분을 제거하고, 재료를 미세한 형태의 분말가루로 제조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제2교반기(130)는 제1교반기(110)에 구비된 제1배출부(1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교반기(110)와 동일한 구성인 혼합반죽된 재료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용기와, 용기 내부에 위치하고 재료가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회전하는 교반날개와, 용기 하부에 위치하고 교반날개와 축결합되어 교반날개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교반기(130)는 제2배출부(140) 및 에어공급부(150)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부(140)는 제2교반기(130)에서 수분이 제거된 분말가루형태의 재료를 보관부(160)로 배출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제2배출부(140)의 구성은 상기 제1배출부(110)와 동일한 작동원리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부(150)는 제2교반기(130)의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여 혼합반죽된 재료에 잔류하는 수분을 증발시킨다.
위와 같이 각 재료들을 미세한 분말가루의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사용된 알갱이형태의 재료를 녹이는 별도의 용융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매트 성형단계(S30)에서 재료를 용융시켜 사용할 수 있어 공정단계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교반기(130)는 제2배출부(140)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가루형태의 재료를 임시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반단계(S10)에서 제조된 재료를 이송시키는 재료 이송단계(S2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재료 이송단계(S20)에서 사용되는 재료 이송장치(200)는 재료 교반장치(100)와 근접하게 설치되고, 재료 교반장치(100)에서 제조된 재료를 전달받아 후술되는 매트 성형장치(300)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재료 이송장치(200)는 제1이송부(210) 및 제2이송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부(210)는 보관부(160)의 내부에 임시 보관된 재료를 제2이송부(220)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며, 제1이송부(210)는 원통 형상의 파이프 관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이 보관부(160)의 내부에 위치하며, 타단은 재료 이송장치(200)의 프레임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이송부(210)의 일단을 기준으로 제2이송부(220)의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입구와, 타단에 형성되고 재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동모터 및 스크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이송부(220)는 제1이송부(210)에서 이송된 재료를 전달받아 매트 성형장치(300)로 이송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제2이송부(220)는 재료 이송장치(20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제1이송부(210)에서 배출된 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호퍼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재료 이송단계(S20)에서 이송된 재료를 전달받아 매트(11)를 성형하는 매트 성형단계(S3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성형단계(S30)에서 사용되는 매트성형장치(300)는 재료 이송장치(200)와 근접하게 설치되며, 재료 이송장치(200)에서 전달받은 재료를 이용하여 매트(11)를 성형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상기 매트성형장치(300)는 성형틀(310), 히터부(320), 냉각부(330) 및 컨베이어(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성형틀(310)은 제2이송부(220)의 타단에 형성된 출구 하부에 위치하고, 매트(11)를 이루는 원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상기 성형틀(310)은 제2이송부(220)에서 전달받음 재료를 일정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의 모양으로 인발 가공할 수 있도록 금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성형틀(310)에서 제조되는 매트(11)는 외력이 가해지면서 압축된 상태가 되고, 외력이 제거되면서 최초상태로 복원되도록 쿠션을 제공하는 매트(11)로 형성된다. 즉, 성형틀(310)에서 인발되는 원사가 냉각부(330)로 떨어지면서 코일형태로 서로 꼬여 일정 높이의 쿠션을 갖는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히터부(320)는 상기 성형틀(3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열이 발생되며, 성형틀(310)에서 인발되는 매트(11)의 원사에 열을 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성형틀(310)에서 인발되는 매트(11)의 원사가 외부 공기게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변형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틀(310)에서 인발된 원사에 지속적으로 열을 가한 상태에서 냉각부(330)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부(330)는 히터부(3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성형틀(310)에서 인발된 원사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며, 상기 성형틀(310)에서 인발된 원사는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액체상태의 원사를 냉각부(330)에서 고체 형태로 변형되면서 서로 꼬인 코일형태의 매트(11)로 형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340)은 냉각부(330)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부(330)에서 형성된 매트(11)를 수분 제거장치(400)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며, 컨베이어(340)는 양측에 구비된 롤러에 벨트가 감겨 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매트 성형단계(S30)에서 성형된 매트(11)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단계(S4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수분 제거단계(S40)에서 사용되는 수분 제거장치(400)는 매트 성형장치(300)와 근접하게 설치되며, 컨베이어(340)에 의해 냉각부(330)에서 이동되는 매트(11)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분 제거장치(400)는 에어분사부(410) 및 제1온풍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분사부(410)는 수분 제거장치(400)의 상측에 설치되며, 벨트에 의해 이송된 매트(11)에 고압 방식의 에어를 분사하여 매트(11)에 잔류하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에어분사부(410)는 외부에 설치된 에어 압축기와 연결되고, 에어 압축기에서 발생한 에어를 공급받아 분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분사부(410)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코일형태로 형성된 매트(11)의 원사가 서로 뭉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온풍기(420)은 수분제거장치(400)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분사부(410)에서 이송된 매트(11)를 건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매트(11)의 상부 표면은 에어분사부(410)에 의해 수분이 제거되지만, 하부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은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므로 이러한 매트(11)의 하부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제1온풍기(430)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수분 제거단계(S40)에서 수분이 제거된 매트(11)에 코팅액을 분사하는 코팅단계(S5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코팅단계(S50)에서 사용되는 코팅장치(500)는 수분제거장치(400)와 근접하게 설치되고, 수분이 제거된 매트(11)에 코팅을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장치(500)는 코팅액 배출부(510), 제1롤러(520) 및 제2롤러(530)로 구성될 수 있다.
코팅액 배출부(510)는 제1롤러(5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코팅액을 제1롤러(520)의 표면에 묻힌 다음 제1롤러(520)와 제2롤러(530)사이를 통과하는 매트(11)에 코팅액이 묻어 코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매트(11)에 직접 코팅액을 묻히게 되면, 코팅액이 골고루 퍼지지 못해 한쪽으로 코팅액이 몰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매트(11)가 제1롤러(520)와 제2롤러(530) 사이를 통과할 때 제1롤러(520)와 제2롤러(530)가 매트(11)를 가압함과 동시에 제1롤러(520)에 묻은 코팅액이 매트(11)에 골고루 묻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코팅액은, 에멀젼폴리염화비닐(E-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80~120 중량부 및 광촉매(Photocatalyst) 0.5~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에멀젼폴리염화비닐(E-PVC)는, 바탕층의 코팅시켜 매트(11)의 표면을 코팅시켜 매트(110)의 표면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 중 폴리염화비닐(PVC)은 현탁중합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고, 코팅액의 에멀젼폴리염화비닐(E-PVC)는 에멀젼 중합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 중 폴리염화비닐(PVC)는 그 입자크기가 110 내지 200 ㎛가 적합하고, 입자모양이 구형인 것이 유리하며, 코팅액의 에멀젼폴리염화비닐(E-PVC)의 입자는 제1교반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 중 폴리염화비닐(PVC)의 1/10 이하인 것이 유리하다.
또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는 상기 에멀젼폴리염화비닐(E-PVC)에 부드러운 물성을 부가시키고, 유연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발포내열성 및 황경친화성을 제공하는 역할로서, 상기 코팅액 중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는 바람직하게 80~1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70~1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가 8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에멀젼폴리염화비닐(E-PVC) 플라스티졸(plastisol)의 점도가 낮아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 블리드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촉매는 살균, 향균 및 휘발성유기화학물 분해 기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황화카드뮴(CdS), 산화바나듐(V2O3)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이산화티탄(TiO2)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광활성이 우수하며, 인체에 무해한 장점을 지니는 등 물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제조가 매우 수월하며, 다루기가 쉽고,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본 발명에서 광촉매는 이산화티탄(TiO2)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광촉매의 원리 및 메커니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광촉매는 빛과 촉매의 합성어로 빛을 이용한 촉매라 할 수 있으며, 빛을 에너지원으로 촉배반응을 진행시키는 물질을 말하는데, 이러한 광촉매로는 반도체성 금속 산화물이나 황 화합물이 이용된다. 또한, 자외선이나 적외선으로부터 광선을 조사하게 되면 전자들이 전도대(conduction band)에 전이되어 전자(electron)와 정공(electron hole)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자와 정공은 매우 강한 산화력과 환원력이 있기 때문에, 공기 중의 수증기(H2O)나 산소(O2) 등과 반응하여, 강한 OH라디칼, H라디칼 등을 발생시키는 반응 메커니즘을 거쳐 공기 중의 가스상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황산화물, 오존 등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인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크실렌, 벤젠, 라돈 등과 담배연기 및 그 냄새, 기타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산화 분해시켜 공기를 정화하고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세균 등 유해생물 세균을 사멸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코팅액 중 광촉매는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광촉매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에는 광촉매 효과, 즉 살균, 향균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분해 기능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저하되어 쉽게 탈리되기 때문에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코팅단계(S50)에서 코팅된 매트(11)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건조단계(600)에서 사용되는 건조장치(600)는 코팅장치(500)와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코팅장치(500)에서 코팅된 매트(11)를 건조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상기 건조장치(600)에는 제2온풍기(6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온풍기(610)는 상기 건조장치(600)의 상부에 위치하며, 벨트에 의해 이송된 매트(11)에 묻은 코팅액이 건조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건조단계(S60)에서 이송되는 매트(11)의 하부에 부착고정되는 시트(12)를 성형하여 매트(11)와 열융착시키는 성형단계(S7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성형단계(S70)에서 사용되는 성형장치(700)는 건조장치(600)와 근접하게 설치되고, 코팅장치(500)에서 코팅된 매트(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시트(12)를 제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성형장치(700)는 재료공급부(710), 사출기(720), 제3롤러(730) 및 제4롤러(740)로 구성될 수 있다.
재료공급부(710)는 사출기(720)와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시 사출기(720)와 연결되며, 재료 교반장치(100)에서 제조된 재료를 공급받아 사출기(720)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기(720)는 재료공급부(710)에서 공급되는 재료를 녹여 연이어진 고무 형태의 시트(12)를 사출성형하는 장치로 일정한 밀도와 공극을 갖는 시트(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출기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롤러(73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상되고, 사출기(720)에서 제조되어 인출된 시트(12)의 하부에 위치하며, 표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에 의해 시트(12)의 하부면에는 스파이크 형상의 돌기(13)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시트 성형장치(700)는 건조장치(600)에서 이송된 매트(11)와 사출기(720)에서 사출 성형된 시트(12)와 열융착 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출기(720)에서 사출 성형된 시트(12) 상에 건조장치(600)에서 이송되는 매트(11)를 안착시킨 다음, 다음 제3롤러(730)와 제4롤러(740) 사이로 통과시켜 압착시키는데, 이때, 사출기(720)에서 바로 인출된 시트(12)에 남아 있는 열에 의해 매트(11)와 열융착될 수 있다. 즉, 사출기(720)에서 일정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인출된 시트(12)에 매트(11)를 올려놓고, 제3롤러(730) 및 제4롤러(740)를 이용하여 압착시키게 되면, 시트(12)에 남아 있는 열에 의해 매트(11)가 자연스럽게 부착가능하여 도 3과 같이 코일형태의 매트(11)의 하부에 시트(12)가 부착되고, 상기 시트(12)의 하부측에는 스파이크 형상의 돌기(13)가 형성된 시트(12)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트 성형단계(S70)에서 제조된 매트가 요구되는 형태로 재단 및 장식을 하는 가공단계(S8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가공단계(S80)에서는 상기 시트 성형장치(700)에서 제조된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10)의 테두리 부분을 절단하여 일정폭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크기 및 용도에 맞게 재단하여 악세사리를 부착시켜 가공단계(S80)를 거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10)가 완성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10)는, 쿠션성을 가지며, 부정방향의 코일형상을 지니는 자동차용 매트에 있어서, 코일형태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자동차의 바닥에 설치되는 매트(11)와, 상기 매트(11)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매트(11)를 지지하는 시트(12)와, 상기 시트(12)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12)가 자동차용 바닥에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는 돌기(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매트(11)는 폴리염화비닐(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55~75 중량부, 충전제 20~70 중량부, 활성탄소 0.5~2.5 중량부, 염료 0.1~2.5 중량부, 복합안정제 0.2~5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PE) 0.2~5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에멀젼폴리염화비닐(E-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80~120 중량부 및 광촉매 0.5~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10)는 오염물질이 코일형태에 모여 있어, 매트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자동차 실내를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10)를 물세탁 후 건조하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10)는 매트의 조성물 중 활성탄소를 포함하며, 광촉매를 이용하여 매트의 표면을 코팅하여 제조함으로써, 이는 도 4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통해 입증된 바와 같이 국내 H사 자동차 실내 공기질 권고 규제 기준(단위: ㎍/㎥)인, 벤젠:30, 톨루엔:1000, 에틸벤젠:1600, 자일렌:870 .스티렌:300 의 값보다 모두 낮은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내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분해시켜 각종 악취를 방취하고, 실외에서 유입되는 세균의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10)는 친환경 가소제인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를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매트의 유연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인장하중 및 강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10)의 유해물질 제한지침(ROHS)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통해 입증된 바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으로 제조되어 유아 및 어린이들이 만지거나 입에 물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11; 매트
12; 시트 13: 돌기
100; 재료 교반장치 110; 제1교반기
120; 제1배출부 130; 제2 교반기
140; 제2 배출부 150; 에어공급부
160; 보관부 200; 재료 이송장치
210; 제1 이송부 220; 제2 이송부
300; 매트 성형장치 310; 성형틀
320; 히터부 330; 냉각부
340; 컨베이어 400; 수분 제거장치
410; 에어분사부 420; 제1 온풍기
500; 코팅장치 510; 코팅액 배출부
520; 제1 롤러 530; 제2 롤러
600; 건조장치 610; 제2 온풍기
700; 시트 성형장치 710; 재료 공급부
720; 사출기 730; 제3 롤러
740; 제4 롤러

Claims (4)

  1.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하고, 반죽된 재료를 분말가루 형태로 제조하는 재료 교반단계(S10);
    상기 교반단계(S10)에서 제조된 재료를 이송시키는 재료 이송단계(S20);
    상기 재료 이송단계(S20)에서 이송된 재료를 전달받아 매트(11)를 성형하는 매트 성형단계(S30);
    상기 매트 성형단계(S30)에서 성형된 매트(11)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단계(S40);
    상기 수분 제거단계(S40)에서 수분이 제거된 매트(11)에 코팅액을 분사하는 코팅단계(S50);
    상기 코팅단계(S50)에서 코팅된 매트(11)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
    상기 건조단계(S60)에서 이송되는 매트(11)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는 시트(12)를 성형하여 매트(11)와 열융착 시키는 시트 성형단계(S70); 및
    상기 시트 성형단계(S70)에서 제조된 코일쿠션매트(10)가 요구되는 형태로 재단 및 장식을 하는 가공단계(S80);가 포함하되,
    상기 재료 교반단계(S10)에서 교반기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는 폴리염화비닐(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55~75 중량부, 충전제 20~70 중량부, 활성탄소 0.5~2.5 중량부, 염료 0.1~2.5 중량부, 복합안정제 0.2~5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PE) 0.2~5 중량부로 이루어져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S50)에서 사용되는 코팅액은 에멀젼폴리염화비닐(E-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80~120 중량부 및 광촉매 0.5~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의 제조방법.
  4. 쿠션성을 가지고, 부정방향의 코일형상을 지니고,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자동차의 바닥에 설치되는 매트(11);
    상기 매트(11)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매트(11)를 지지하는 시트(12);
    상기 시트(12)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12)가 자동차용 바닥으로부터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는 돌기(13);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11)는 폴리염화비닐(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55~75 중량부, 충전제 20~70 중량부, 활성탄소 0.5~2.5 중량부, 염료 0.1~2.5 중량부, 복합안정제 0.2~5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PE) 0.2~5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코팅층은 에멀젼폴리염화비닐(E-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80~120 중량부 및 광촉매 0.5~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KR1020150157037A 2015-11-10 2015-11-10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4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037A KR101624938B1 (ko) 2015-11-10 2015-11-10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037A KR101624938B1 (ko) 2015-11-10 2015-11-10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938B1 true KR101624938B1 (ko) 2016-05-27

Family

ID=5610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037A KR101624938B1 (ko) 2015-11-10 2015-11-10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9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235B1 (ko) * 2016-07-05 2018-05-15 주식회사 위엔씨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제조방법
KR20240044237A (ko)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에코원 코일매트용 보조카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87B1 (ko) * 2011-06-03 2013-01-03 김형식 코일쿠션매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보조 매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87B1 (ko) * 2011-06-03 2013-01-03 김형식 코일쿠션매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보조 매트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235B1 (ko) * 2016-07-05 2018-05-15 주식회사 위엔씨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제조방법
KR20240044237A (ko)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에코원 코일매트용 보조카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938B1 (ko) 자동차용 코일쿠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6037842B2 (ja) クッション要素の製造方法
KR101468135B1 (ko) 소취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형성된 매트
KR100810593B1 (ko) 스프링구조를 갖는 수지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317873B1 (ko) 친환경 놀이방 매트의 제조방법 및 친환경 놀이방 매트
TW201437268A (zh) 含有再循環聚烯烴的熱塑性聚合物調配物及其製備方法
KR101214983B1 (ko)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397890B (zh) 一种汽车内外饰用环保抗菌橡胶及其制备方法
JP2016507361A (ja) 部品の消音および/または遮音のための方法
CN106147018A (zh) 一种低voc、抗菌玻纤增强聚丙烯复合材料及应用
CN106667132A (zh) 一种具有净化空气功能的保健座套、座垫
JP2009521613A (ja) 光触媒成分及び活性炭成分を有した生地及び製造方法
KR102082004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2530B1 (ko)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매트용 조성물
US6224804B1 (en) Low-emission elastomer floor covering
KR101039088B1 (ko) 이브이에이 발포 수지를 이용한 자동차용 바닥매트 제조방법
CA3026243C (en) Ultra low thermo fusion pvc plastisol coating and textile printing ink
CA3026176C (en) Ultra low thermo fusion pvc alternative plastisol coating and textile printing ink
CN1326924C (zh) 脂族聚酯树脂组合物
CN104804365B (zh) 低散发自清洁型abs及其制备方法
TW201627371A (zh) 除臭劑組成物以及除臭製品
KR101608455B1 (ko) 차량용 바닥 매트 제조장치
KR100681306B1 (ko) 은-제올라이트계 및 은나노계 항균제를 함유한 공조 시스템에어 플로우 라인의 제조방법
CN106117786A (zh) 一种低voc低密度玻纤增强聚丙烯复合材料及应用
JP2000246094A (ja) 吸着用プラスチック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