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685B1 - 심전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심전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685B1
KR101624685B1 KR1020140122938A KR20140122938A KR101624685B1 KR 101624685 B1 KR101624685 B1 KR 101624685B1 KR 1020140122938 A KR1020140122938 A KR 1020140122938A KR 20140122938 A KR20140122938 A KR 20140122938A KR 101624685 B1 KR101624685 B1 KR 101624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lectrocardiogram
electrocardiograph
steering handl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595A (ko
Inventor
조만호
이재열
이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진
Priority to KR102014012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6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3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 A61B2503/22Motor vehicles operators, e.g. drivers, pilots, capt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전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측정자의 심장이 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피측정자의 왼손과 접촉하는 제1 심전도 센서와, 상기 제1 심전도 센서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있으며 피측정자의 오른손과 접촉하는 제2 심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 또는 제2 심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며, 피측정자가 두 손으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와 제2 심전도 센서를 각각 파지함으로써 피측정자의 심전도 신호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금속 단자에 비하여 촉감이 우수하고 땀 흡수가 빠르며, 일반적인 스티어링 핸들의 외피 재질과 쉽게 조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심전도 측정 장치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본 발명은 심전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금속 단자에 비하여 촉감이 우수하고 땀 흡수가 빠르며, 일반적인 스티어링 핸들의 외피 재질과 쉽게 조화될 수 있는 심전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란, 심박동과 관련된 전위를 신체 표면에서 도형으로 기록한 것으로, 표준 12유도 심전도 외에 운동부하 심전도, 활동중 심전도(홀터 기록과 사건기록 심전도) 등이 있다.
순환기 질환의 진단을 위하여 많은 검사들이 이용되고 있으나 그중에서도 심전도는 많은 장점을 가지며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이다. 심전도는 정확하고 간단하며, 재현성 있고, 쉽게 반복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검사비용이 비싸지 않은 비관혈 검사이다.
심전도는 부정맥과 관상동맥질환(심장동맥질환)의 진단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심방확장 및 심실비대의 진단에는 심장초음파, CT, MRI 등으로 더욱 정확히 진단할 수 있으나, 심장 환자들의 경과를 관찰하는 데는 심전도가 더욱 유용하다.
최근에는, 심박수(1분당 심장이 수축하는 횟수) 변화량(HRV : Heart Rate Variability) 분석을 통해, 신체의 자율신경계(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작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심전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운전자의 상태를 감시하여, 졸음 운전이나 음주 운전을 예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심전도 측정 전극의 위치나 형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83021호(2001.08.31.)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금속 단자에 비하여 촉감이 우수하고 땀 흡수가 빠르며, 일반적인 스티어링 핸들의 외피 재질과 쉽게 조화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심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측정 장치는, 피측정자의 심장이 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피측정자의 왼손과 접촉하는 제1 심전도 센서와, 상기 제1 심전도 센서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있으며 피측정자의 오른손과 접촉하는 제2 심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 또는 제2 심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며, 피측정자가 두 손으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와 제2 심전도 센서를 각각 파지함으로써 피측정자의 심전도 신호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섬유는, 섬유, 직물, 부직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섬유재; 합성 수지와, 상기 합성 수지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전도성 분말을 포함하는 도료로서, 상기 섬유재에 침투하여 경화됨으로써 결합되는 코팅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분말에 의하여 미리 정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섬유의 하면에는, 전기 절연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기 절연재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과 미리 정한 값의 전기 절연성을 가진 재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기 절연재는, 상기 전도성 섬유의 하면에 미리 정한 깊이로 함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기 절연재의 하면에는, 천연 가죽, 인조 가죽 등과 같은 시트 형상의 베이스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와 제2 심전도 센서는,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 좌우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와 제2 심전도 센서가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 좌우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면이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을 둘러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 및 제2 심전도 센서가 스티어링 핸들용 커버에 마련되어 스티어링 핸들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왼손과 접촉하는 제1 심전도 센서와, 상기 제1 심전도 센서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있으며 피측정자의 오른손과 접촉하는 제2 심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 또는 제2 심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전도성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금속 단자에 비하여 촉감이 우수하고 땀 흡수가 빠르며, 일반적인 스티어링 핸들의 외피 재질과 쉽게 조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심전도 측정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심전도 센서의 주재료인 전도성 섬유의 사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도성 섬유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의 확대 사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도성 섬유가 절단된 상태의 확대 사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도성 섬유가 절단되지 않은 상태 및 절단된 상태 모두를 나타내는 확대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심전도 측정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용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전도성 섬유 단면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심전도 측정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심전도 센서의 주재료인 전도성 섬유의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피측정자의 심장이 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한 쌍의 심전도 센서(10a, 10b)와, 베이스 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100)가 원형 고리 모양의 핸들 본체(1)를 가진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9)에 고정된 상태로 구현됨을 전제로 한다.
상기 심전도 센서(10a, 10b)는, 피측정자의 양손과 접촉하는 센서로서, 피측정자의 왼손과 접촉하는 제1 심전도 센서(10a)와, 피측정자의 오른손과 접촉하는 제2 심전도 센서(10b)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심전도 센서(10b)는 상기 제1 심전도 센서(10a)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10a)와 제2 심전도 센서(10b)는,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9) 좌우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심전도 센서(10a, 10b)는 미리 정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전도성 섬유(11)와, 전기 절연재(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도성 섬유(1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재(111)와, 코팅재(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섬유재(111)는, 섬유, 직물, 부직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섬유재로서, 면이나 폴리에스터 재질의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섬유재(111)는,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가공 편의를 위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의 섬유재 롤(roll)로 준비된다.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가공시에, 상기 섬유재 롤(roll)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섬유재 롤(roll)이 회전하면서 상기 섬유재(111)가 서서히 풀리게 된다.
상기 코팅재(112)는, 상기 섬유재 롤(roll)로부터 풀리는 상기 섬유재(111)에 침투하여 경화됨으로써 결합되는 도료로서, 합성 수지와, 전도성 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합성 수지는, 오일 알키드, 염화고무비닐, 아크릴, 래커, 에폭시, 우레탄, 실리케이트,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콜타르 에폭시, 아미노 알키드, 가열 건조형 에폭시, 분체 도료, 열경화 아크릴,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합성 수지로서, 열경화성 합성 수지인 실리콘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합성 수지는, 그 종류에 따라 경화 방법이 상이한데, 상기 오일 아키드의 경우는 1액형 수지로서 산화 건조 방법을 사용하며, 상기 염화고무비닐, 아크릴, 래커의 경우는 1액형 수지로서 휘발 건조 방법을 사용하며, 상기 에폭시, 우레탄, 실리케이트,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콜타르 에폭시는 2액형 수지로서 상온 경화 방법을 사용하며, 상기 아미노 알키드, 가열 건조형 에폭시, 분체 도료, 열경화 아크릴, 실리콘은 1액형 수지로서 가열 경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전도성 분말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분말로서, 상기 합성 수지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상기 전도성 분말은, 알루미늄, 니켈, 마그네슘, 티타늄, 주석, 탄소, 지르코늄, 스테인리스 스틸, 철, 크롬, 구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분말은, 10 내지 5000 nm의 입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재(112)가 상기 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5중량부의 전도성 분말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분말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코팅재(112)의 전기 전도도가 미리 정한 값 미만으로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전도성 분말이 95중량부 초과이면, 상기 섬유재(111)와 상기 코팅재(112)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전기 절연재(12)는, 전기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재(insulator)로서,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기 절연재(12)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과 미리 정한 값의 전기 절연성을 가진 재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 절연재(12)가 실리콘 고무를 주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전기 절연재(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하면에 미리 정한 깊이로 함침되어 있다.
상기 전기 절연재(12)는, 180 내지 200℃의 온도 하에서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가열 압착됨으로써,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하면에 부착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20)는, 천연 가죽, 인조 가죽 등과 같은 재질의 시트 형상 부재로서, 상기 전기 절연재(12)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도성 섬유(11)가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상면에 재봉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성 섬유(11)가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9) 좌우에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재봉 결합의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20)는, 하면이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9)의 핸들 본체(1)의 외주면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며, 재봉에 의하여 상기 핸들 본체(1)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 본체(1)의 단면 형상은 중심축(C)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형이다.
이러한 구성의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피측정자가 두 손으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10a)와 제2 심전도 센서(10b)를 각각 파지함으로써 피측정자의 심전도 신호가 측정되는 구조이다.
상술한 구성의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피측정자의 왼손과 접촉하는 제1 심전도 센서(10a)와, 상기 제1 심전도 센서(10a)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있으며 피측정자의 오른손과 접촉하는 제2 심전도 센서(10b)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10a) 또는 제2 심전도 센서(10b)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전도성 섬유(11)를 포함하므로,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9)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섬유(11)가 금속 단자에 비하여 촉감이 우수하고 땀 흡수가 빠르며,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핸들(9)의 외피가 가죽이나 천이란 점을 감안할 때 스티어링 핸들(9)의 외피 재질과 쉽게 조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피측정자의 왼손과 접촉하는 제1 심전도 센서(10a)와, 상기 제1 심전도 센서(10a)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있으며 피측정자의 오른손과 접촉하는 제2 심전도 센서(10b)를 포함하므로, 12개의 금속 단자를 이용하는 종래의 심전도 측정 장치와 달리, 피측정자의 양손에 의한 접촉만으로도 피측정자의 심전도를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상기 전도성 섬유(11)가, 섬유, 직물, 부직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섬유재(111)와, 합성 수지와 상기 합성 수지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전도성 분말을 포함하는 도료로서, 상기 섬유재(111)에 침투하여 경화됨으로써 결합되는 코팅재(112)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분말에 의하여 미리 정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므로, 전기 전도성 분말을 섬유의 소재인 고분자에 혼입하여 섬유 형태로 만든 종래의 전도성 섬유와는 달리, 상기 섬유재(111)의 색상에 의하여만 전체 색상이 결정되지 않고 상기 코팅재(112)의 색상에 의하여 전체 색상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색상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하면에 전기 절연재(12)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상면은 피측정자의 손과 접촉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하면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상기 전기 절연재(12)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과 미리 정한 값의 전기 절연성을 가진 재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므로,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9)과 같이 다수의 곡면 부분을 가진 복잡한 형상의 장치에도 장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상기 전기 절연재(12)가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하면에 미리 정한 깊이로 함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섬유재(111) 사이의 공극을 상기 전기 절연재(12)가 채워줌으로써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구조적 강도가 증가하여, 사용시 또는 세탁시의 마찰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전도성 섬유(11)가 쉽게 마모되지 않아 사용 수명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상기 전기 절연재(12)가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하면에 미리 정한 깊이로 함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섬유재(111) 사이의 공극을 상기 전기 절연재(12)가 채워줌으로써, 상기 전도성 분말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전기 전도도가 증가하고, 상기 코팅재(112)가 상기 섬유재(111)로부터 분리이탈되지 않아, 상기 전도성 섬유(11)의 설계시 요구한 전기 전도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상기 전기 절연재(12)의 하면에, 천연 가죽, 인조 가죽 등과 같은 시트 형상의 베이스 부재(2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9)의 외피로 상기 베이스 부재(20)를 사용할 경우,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하면이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9)을 둘러 감싸도록 하여 스티어링 핸들(9)에 쉽게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상기 제1 심전도 센서(10a)와 제2 심전도 센서(10b)가,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9) 좌우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므로, 운전중에 차량 운전자의 상태를 감시하여 졸음 운전이나 음주 운전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100)가 원형 고리 모양의 핸들 본체(1)를 가진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9)에 고정된 상태로 구현되어 있으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9)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스티어링 핸들용 커버(200)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핸들용 커버(200)는, 유연한 재질의 커버 본체(2)와, 스티어링 핸들(9)의 핸들 본체(1)가 수용될 수 있는 핸들 수용 공간(3)을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 핸들용 커버(200)의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20)가 상기 핸들 본체(1)의 외주면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커버 본체(2)의 외주면에 부착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핸들(9)과 차이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심전도 측정 장치 10a, 10b : 심전도 센서
11 : 전도성 섬유 111 : 섬유재
112 : 코팅재 12 : 전기 절연재
20 : 베이스 부재 1 : 핸들 본체
2 : 커버 본체 3 : 핸들 수용 공간
9 : 스티어링 핸들 200 : 스티어링 핸들용 커버
C : 중심축

Claims (9)

  1. 피측정자의 심장이 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피측정자의 왼손과 접촉하는 제1 심전도 센서와, 상기 제1 심전도 센서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있으며 피측정자의 오른손과 접촉하는 제2 심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 또는 제2 심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며,
    피측정자가 두 손으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와 제2 심전도 센서를 각각 파지함으로써 피측정자의 심전도 신호가 측정되며,
    상기 전도성 섬유의 하면에는, 전기 절연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절연재는, 쉽게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과 미리 정한 값의 전기 절연성을 가지며,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절연재는, 상기 전도성 섬유의 하면에 미리 정한 깊이로 함침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절연재의 하면에는, 천연 가죽, 인조 가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트 형상의 베이스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섬유는,
    섬유, 직물, 부직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섬유재;
    합성 수지와, 상기 합성 수지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전도성 분말을 포함하는 도료로서, 상기 섬유재에 침투하여 경화됨으로써 결합되는 코팅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분말에 의하여 미리 정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와 제2 심전도 센서는,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 좌우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와 제2 심전도 센서가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 좌우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면이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을 둘러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전도 센서 및 제2 심전도 센서가 스티어링 핸들용 커버에 마련되어 스티어링 핸들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
KR1020140122938A 2014-09-16 2014-09-16 심전도 측정 장치 KR101624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938A KR101624685B1 (ko) 2014-09-16 2014-09-16 심전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938A KR101624685B1 (ko) 2014-09-16 2014-09-16 심전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595A KR20160032595A (ko) 2016-03-24
KR101624685B1 true KR101624685B1 (ko) 2016-05-26

Family

ID=5565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938A KR101624685B1 (ko) 2014-09-16 2014-09-16 심전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6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575A (ko) 2016-09-01 2018-03-09 (주) 멀티패스 Rf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방식의 전도도 및 비전도체 유전율 특성변화 측정장치
KR102289763B1 (ko) 2020-03-16 2021-08-20 (주) 멀티패스 이중 안테나를 이용한 비접촉 방식의 유전율 특성변화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809A (ja) * 2008-03-06 2009-09-17 Denso Corp 生体信号検出装置
US20100137702A1 (en) * 2008-12-03 2010-06-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of vehicle driver
WO2013109154A1 (en) 2012-01-19 2013-07-25 Instituto Superior Tecnico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biometric recognition based on electrocardiographic signa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809A (ja) * 2008-03-06 2009-09-17 Denso Corp 生体信号検出装置
US20100137702A1 (en) * 2008-12-03 2010-06-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of vehicle driver
WO2013109154A1 (en) 2012-01-19 2013-07-25 Instituto Superior Tecnico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biometric recognition based on electrocardiographic signa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575A (ko) 2016-09-01 2018-03-09 (주) 멀티패스 Rf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방식의 전도도 및 비전도체 유전율 특성변화 측정장치
US11061057B2 (en) 2016-09-01 2021-07-13 Multipath Co., Ltd. Non-contact type measuring apparatus for conductivity and permittivity of non-conductive fluid using RF signal
KR102289763B1 (ko) 2020-03-16 2021-08-20 (주) 멀티패스 이중 안테나를 이용한 비접촉 방식의 유전율 특성변화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595A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8958B (zh) 攜帶式心電圖裝置
Scilingo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ensing fabrics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and biomechanical variables
JP6500042B2 (ja) 医療電極
CN105615880B (zh) 抑制运动伪迹石墨烯柔性脑电容性电极
KR20140014084A (ko) 생체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JP2018102404A (ja) 生体電極
JP2005521457A (ja) 着用可能モニターシステム及び着用可能モニターシステムの製造方法
KR20140088390A (ko) 생체신호 측정용 패치형 전극
Yun et al. Stable bioelectric signal acquisition using an enlarged surface-area flexible skin electrode
Lee et al. PU nanoweb-based textile electrode treated with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ilver nanowire and its application to ECG monitoring
EP2701587B1 (en) Ecg mat
JP2015083045A (ja) ウェアラブル電極、生体電気信号取得システムおよび生体電気信号取得方法
KR101624685B1 (ko) 심전도 측정 장치
JP2017125269A (ja) スマートヘルメット
CN109640808B (zh) 具有可旋转柔性电极的医疗设备
JP6215721B2 (ja) ウェアラブル電極および生体電気信号測定システム
Vuorinen et al. Printed, skin-mounted hybrid system for ECG measurements
KR101592491B1 (ko) 심전도 및 악력 측정 장치
US110332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artifact reduction in ECG harness
Elango et al. Dry electrode geometry optimization for wearable ECG devices
JP6185638B1 (ja) 生体電極
US20160228021A1 (en) Electrode apparatus for monitoring ecg
CN110621222A (zh) 利用粘性微结构的传感器贴片
Ali et al. Wearable graphene-based fabric electrodes for enhanced and long-term biosignal detection
KR102254968B1 (ko) 생체 정보 제시 시스템 및 훈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