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542B1 -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 커플링에 바탕을 둔 면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 커플링에 바탕을 둔 면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542B1
KR101623542B1 KR1020100090664A KR20100090664A KR101623542B1 KR 101623542 B1 KR101623542 B1 KR 101623542B1 KR 1020100090664 A KR1020100090664 A KR 1020100090664A KR 20100090664 A KR20100090664 A KR 20100090664A KR 101623542 B1 KR101623542 B1 KR 10162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dot
dot region
metal layer
quantum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671A (ko
Inventor
이장원
박연상
서환수
김진은
김종민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54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 H01L33/0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within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quantum confinement structure or tunnel b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 커플링에 바탕을 둔 면발광소자가 개시된다. 개시된 면발광소자는, 제1양자점들이 내포된 제1양자점 영역과, 제1양자점보다 발광 파장이 짧도록 마련된 제2양자점들이 내포되어 있으며 제1양자점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제2양자점 영역을 구비한다. 금속층은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이 마련되며 제2양자점에서 여기된 광 에너지가 표면 플라즈몬 전파되어 제1양자점으로 전달되어 제1양자점에서 발광이 일어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 커플링에 바탕을 둔 면발광소자{Surface light emitter based on quantum dot and surface plasmon coupling}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플라즈몬 전파를 통해 양자점을 발광시키도록 된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 커플링에 바탕을 둔 면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금속 표면에 나타나는 광 전자 상호 작용인 표면 플라즈몬(surface plasmon) 현상을 디바이스에 응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 표면 플라즈몬은 유전체(dielectric) 물질과 금속성(metallic) 물질 사이의 계면에서 나타나는 표면 전자기파로서, 금속 박막에 특정 파장의 광이 입사할 때 금속 박막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전하 밀도 진동(charge density fluctuation)에 의해 발생하며, 계면을 따라 전파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양자점(quantum dot; QD)의 발광 특성을 이용한 발광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양자점은 보어(Bohr) 엑시톤 반경보다 더 작은 크기인 수 나노미터의 크기의 결정 구조를 가진 반도체 재료이다. 양자점 내에는 많은 수의 전자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 자유 전자의 수는 1 내지 100개 정도로 제한된다. 그 결과, 양자점 내의 전자들이 가지는 에너지 준위가 불연속적으로 된다. 이로 인해, 양자점은 연속적인 밴드를 형성하는 벌크(bulk) 상태의 반도체와는 다른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양자점은 그 크기에 따라 에너지 준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단순히 크기를 바꾸어 줌으로써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양자점은 크기의 조절만으로도 발광 파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양자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발광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양자점은 자체 발광 특성, 색조절의 용이함 및 높은 색순도와 더불어 액상 프로세스(solution process)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양자점 발광 소자는 대면적의 고화질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응용이 가능하다.
표면 플라즈몬 전파를 통해 양자점을 발광시키도록 마련되며, 어레이 형태로의 제작도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의 단위 소자로도 이용 가능한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 커플링에 바탕을 둔 면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발광소자는, 기판과; 제1양자점들이 내포된 제1양자점 영역과; 제1양자점보다 발광 파장이 짧도록 마련된 제2양자점들이 내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양자점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제2양자점 영역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이 마련되며, 상기 제2양자점에서 여기된 광 에너지가 표면 플라즈몬 전파되어 상기 제1양자점으로 전달되어 제1양자점에서 발광이 일어나도록 하는 금속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의 이격 거리는 표면 플라즈몬 전파 거리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제2양자점 영역은, 상기 제1양자점 영역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양자점 영역은, 상기 제1양자점 영역을 둘러싸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양자점 영역은 상기 제1양자점 영역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은 상기 금속층에 형성된 홈에 마련되어, 상기 제2양자점에서 여기된 광 에너지는 상기 금속층의 계면을 따라 표면 플라즈몬 전파되어 상기 제1양자점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양자점 영역은 실린더 형태를 가져, 실린더의 측면이 캐버티로서 작용하며, 주 발광이 실린더의 전면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상기 제1양자점 영역과 제2양자점 영역이 마련되는 바닥부와 그 양측의 돌출 측부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1금속층과; 상기 제1금속층의 바닥부상에 마련된 유전체 가이드층과; 상기 유전체 가이드층 상에 상기 제1금속층의 돌출 측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양자점 영역에서 발광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공을 가지는 제2금속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2양자점에서 여기된 광 에너지가 상기 유전체 가이드층을 따라 표면 플라즈몬 전파되어 상기 제1양자점으로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서로 이격된 영역에 존재하는 양자점간에 표면 플라즈몬을 매개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발광이 이루어지므로, 직접적인 여기가 불가능한 위치에 놓인 양자점도 발광시킬 수 있는 구조의 면발광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면발광소자는 어레이 형태로의 제작도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의 단위 소자로도 이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발광소자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면발광소자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발광소자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b의 면발광소자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6은 단층 구조의 금속층을 구비하는 면발광소자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제조하는데 적용 가능한 마스크의 예로서, 도 1 내지 도 3의 면발광소자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7은 도 6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면발광소자를 제작했을 때의 SEM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8은 단층 구조의 금속층을 가지며 그 표면(공기와의 계면)을 통해 표면 플라즈몬 전파가 이루어지도록 된 면발광소자의 제2양자점 영역에 여기광을 입력했을 때, 전파된 표면 플라즈몬이 제1양자점에 커플링되어, 제1양자점에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전산 모사하여 보여준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면발광소자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발광소자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2는 도 11의 면발광소자 구조에서, 제2양자점에서 발생하는 광이 표면 플라즈몬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전산 모사하여 보여준다.
도 13은 도 11의 면발광소자 구조에서, 유전체 가이드층을 따라 표면 플라즈몬 전파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전산 모사하여 보여준다.
도 14는 도 11의 면발광소자 구조에서, 표면 플라즈몬이 제1양자점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면발광소자 바깥으로 나오는 과정을 전산 모사하여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발광소자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면발광소자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발광소자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b의 면발광소자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면발광소자는 기판(10)과, 제1양자점(41)들이 내포된 제1양자점 영역(40)과, 제1양자점(41)보다 발광 파장이 짧도록 마련된 제2양자점(31)들이 내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양자점 영역으(40)로부터 이격된 제2양자점 영역(30)과, 기판(10)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40)(30)이 마련되는 금속층(2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0)은 예를 들어, 사파이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금속층(20)의 적층이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상에는 금속층(20)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층(20)에는 제1양자점 영역(40)과 제2양자점 영역(30)을 위한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40)(3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금속층(20)이 단층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40)(30)은 금속층(20)에 형성된 홈에 마련되고, 제2양자점(31)영역의 제2양자점(31)에서 여기된 광 에너지는 상기 금속층(20)의 표면(계면:20a)을 따라 표면 플라즈몬 전파되어 상기 제1양자점 영역(40)의 제1양자점(4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금속층(20)의 표면(계면:20a)은 표면 플라즈몬 도파로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발광소자에 따르면, 표면 플라즈몬과 양자점을 커플링하여, 표면 플라즈몬을 매개로 양자점 간의 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져 발광이 일어나게 된다.
표면 플라즈몬은 전파되면서 손실이 일어나, 그 전파 길이가 대략 수 μm 오더(order)이므로, 제1양자점 영역(40)과 제2양자점 영역(30)간의 이격 거리는 표면 플라즈몬 전파 거리 이내가 되도록 한다. 즉, 제1양자점 영역(40)과 제2양자점 영역(30)간의 이격 거리는 수 μm 이내 예컨대, 대략 5μm 정도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양자점 영역(40)의 제1양자점(41)은 제2양자점 영역(30)의 제2양자점(31)으로부터 에너지를 전달받아 발광이 이루어지므로, 가능한 많은 에너지를 제1양자점(41)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제2양자점 영역(30)은 제1양자점 영역(40)을 중심에 두고 제1양자점 영역(40)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제2양자점 영역(30)이 제1양자점 영역(40)을 둘러싸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다른 예로서, 도 4a 및 도 4b에 예시적으로 보인 바와 같이, 제2양자점 영역(30)은 제1양자점 영역(40)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제2양자점 영역(30)이 제1양자점 영역(40)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도 4b는 제2양자점 영역(30)이 제1양자점 영역(40)을 중심으로 네 방향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 구조를 이루도록 된 예를 보여준다. 제2양자점 영역(30)은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은 배치를 가지면서, 그 적어도 일부 영역이 불연속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제2양자점 영역(30)은 그 배치가 전체적으로는 삼각형 또는 그와 유사한 구조, 오각형 또는 그와 유사한 구조 등, 다각형 또는 그와 유사한 구조를 이루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양자점 영역(30)은 제1양자점 영역(40)을 중심에 두고 복수의 곡선형 띠를 배치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양자점 영역(30)은 제2양자점(31)에서 발생된 광 에너지를 표면 플라즈몬 전파를 통해 제1양자점(41)으로 모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양자점 영역(40)의 제1양자점(41)은 제2양자점 영역(30)의 제2양자점(31)으로부터 플라즈몬 전파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받아 발광을 하게 되므로, 제1양자점 영역(40)은 예를 들어,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양자점 영역(40)을 실린더 형태로 형성하면, 이 실린더의 측면이 미러면 역할을 하여 캐버티(cavity)로서 작용을 하며, 이에 따라 제1양자점 영역(40)의 측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을 가두게 되므로, 발광이 주로 실린더의 전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발광이 주로 발광소자의 전면(도 1 내지 도 5에서는 상면 즉, 금속층(20)의 표면(계면:20a)을 통해 일어나게 되므로, 면발광소자를 실현할 수 있으며, 특히 방향성이 우수한 양자점 면발광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제1양자점 영역(40)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려면, 여기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제2양자점 영역(30)의 제2양자점(31)이 여기되어야 하는데, 제2양자점(31)의 여기는 광 또는 전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제2양자점 영역(30)에 외부로부터 여기광이 입사되면, 제2양자점(31)은 여기광을 흡수하여 발광을 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제2양자점 영역(30)에 전기적인 필드가 가해지도록, 금속층(20)의 제2양자점 영역(30) 바깥쪽 부분과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40)(30) 사이의 부분에 전기적인 파워를 가해주면, 제2양자점(31)에서 발광이 일어나게 된다.
제2양자점(31)에서 발광된 광의 에너지는 표면 플라즈몬 전파를 통해 제1양자점 영역(40)으로 전달되고, 제1양자점(41)은 이 에너지를 전달받아 원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게 된다. 이때, 제1양자점(41)에서 발광된 광의 파장은 제2양자점(31)에서 발광된 광의 파장보다 길게 된다. 따라서, 양자점은 그 크기에 따라 발광 파장이 달라지므로, 제1양자점(41)과 제2양자점(31)은 실질적으로 그 크기가 서로 다르며, 제1양자점(41)에서 발광된 광이 제2양자점(31)에서 발광된 광의 파장보다 긴 파장을 가지면서 원하는 특정 파장이 되도록 제1양자점(41) 및 제2양자점(31)의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양자점 영역(40)에서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각각 구성한 면발광소자를 어레이로 배치한 구조로 형성하면, 칼라 디스플레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발광소자는 어레이 형태로 제작 가능하며, 디스플레이의 단위 소자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면발광소자는 금속층(20)이 단층 구조이면서, 이 금속층(20)의 표면(즉, 공기와의 계면:20a)이 표면 플라즈몬 전파를 위한 도파로로 작용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6은 단층 구조의 금속층을 구비하는 면발광소자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제조하는데 적용 가능한 마스크의 예로서, 도 1 내지 도 3의 면발광소자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마스크(70)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7은 도 6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면발광소자를 제작했을 때의 SEM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6의 마스크(70)에서 가운데의 원(71)은 제1양자점 영역(40)이 형성되는 부분, 바깥쪽의 고리(73)는 제2양자점 영역(30)이 형성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상하좌우의 사각형은 마스크(70)를 정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마크(mark:75)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제2양자점 영역(30)의 구조가 달라지는 경우, 이에 맞추어 마스크(70)의 패턴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단층 구조의 금속층을 가지며 그 표면(공기와의 계면)을 통해 표면 플라즈몬 전파가 이루어지도록 된 면발광소자의 제2양자점 영역(30)에 여기광을 입력했을 때, 전파된 표면 플라즈몬이 제1양자점(41)에 커플링되어, 제1양자점(41)에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전산 모사하여 보여준다.
한편, 이상에서는 금속층(20)이 단층 구조이면서, 이 금속층(20)의 표면(즉, 공기와의 계면)이 표면 플라즈몬 전파를 위한 도파로로 작용하는 경우를 설명 및 도시하였는데,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단층 구조의 금속층(20) 상에 유전체층(60)을 더 형성하거나, 기판(10)과 금속층(20) 사이의 계면(20b)을 따라 표면 플라즈몬 도파가 이루어지도록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40)(30) 및 금속층(2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서는 제1양자점 영역(40) 및 제2양자점 영역(30) 부분까지도 유전체층(60)이 형성된 경우를 보여주는데, 유전체층(60)은 금속층(20)의 최상측 표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양자점 영역(40)과 기판(10) 사이에 금속층(20)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제1양자점 영역(40) 및 금속층(20)을 형성하면, 제2양자점 영역(30)의 제2양자점(31)에서 발광된 광 에너지는 김속층(20)과 기판(10) 사이의 계면을 따라 표면 플라즈몬 전파되어 제1양자점 영역(40)의 제1양자점(41)에 전달되고, 제1양자점(41)에서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0에서 제1양자점 영역(40) 상측의 금속층(20) 영역은 제1양자점(41)에서 발광된 광이 상측 면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면발광소자에서, 제2양자점 영역(30)은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리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면발광소자는 도 5의 경우와 비교할 때, 금속층이 제1금속층(120)과 유전체 가이드층(170)과 제2금속층(150)으로 이루어져, 금속층이 복수층 구조로 이루어진 점에 차이가 있다.
제1금속층(120)은 제1양자점 영역(40)과 제2양자점 영역(30)이 마련되는 바닥부(121)와 그 양측의 돌출 측부(123)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가이드층(170)은 제1금속층(120)의 바닥부(121) 상의 제1양자점 영역(40)과 제2양자점 영역(30) 이외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금속층(150)은 유전체 가이드층(170) 상에 제1금속층(120)의 돌출 측부(123)와 이격되며 제1양자점 영역(40)에서 발광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공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층이 복수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양자점 영역(30)의 제2양자점(31)에서 발광된 광 에너지는 유전체 가이드층(170)을 따라 표면 플라즈몬 전파되어 제1양자점 영역(40)으로 전달되어 제1양자점(41)에서 발광이 일어나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의 면발광소자 구조에서, 제2양자점(31)에서 발생하는 광이 표면 플라즈몬으로 변환되는 과정, 유전체 가이드층(170)을 따라 표면 플라즈몬 전파가 이루어지는 과정, 표면 플라즈몬이 제1양자점(41)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면발광소자 바깥으로 나오는 과정을 전산 모사하여 보여준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는 여기광이 제2양자점 영역(30)으로 들어가도록 제1금속층(120)의 돌출 측부(123)와 제2금속층(150)이 이격되어 구멍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전기적인 파워를 가해 제2양자점(31)에서 발광이 일어나고 이 발광된 광 에너지를 표면 플라즈몬 전파를 통해 제1양자점(41)으로 전달하도록 된 경우에는, 제1금속층(120)의 돌출 측부(123)와 제2금속층(150)이 이격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기판과;
    제1양자점들이 내포된 제1양자점 영역과;
    제1양자점보다 발광 파장이 짧도록 마련된 제2양자점들이 내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양자점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제2양자점 영역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이 마련되며, 상기 제2양자점에서 여기된 광 에너지가 표면 플라즈몬 전파되어 상기 제1양자점으로 전달되어 제1양자점에서 발광이 일어나도록 하는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의 이격 거리는 표면 플라즈몬 전파 거리 이내인 면발광소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양자점 영역은, 상기 제1양자점 영역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면발광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양자점 영역은, 상기 제1양자점 영역을 둘러싸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면발광소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양자점 영역은 상기 제1양자점 영역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영역에 형성되는 면발광소자.
  6. 제1항, 제3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양자점 영역은 상기 금속층에 형성된 홈에 마련되어, 상기 제2양자점에서 여기된 광 에너지는 상기 금속층의 계면을 따라 표면 플라즈몬 전파되어 상기 제1양자점으로 전달되는 면발광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자점 영역은 실린더 형태를 가져, 실린더의 측면이 캐버티로서 작용하며, 주 발광이 실린더의 전면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된 면발광소자.
  8.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제1양자점 영역과 제2양자점 영역이 마련되는 바닥부와 그 양측의 돌출 측부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1금속층과;
    상기 제1금속층의 바닥부상에 마련된 유전체 가이드층과;
    상기 유전체 가이드층 상에 상기 제1금속층의 돌출 측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양자점 영역에서 발광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공을 가지는 제2금속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2양자점에서 여기된 광 에너지가 상기 유전체 가이드층을 따라 표면 플라즈몬 전파되어 상기 제1양자점으로 전달되는 면발광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자점 영역은 실린더 형태를 가져, 실린더의 측면이 캐버티로서 작용하며, 주 발광이 실린더의 전면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된 면발광소자.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자점 영역은 실린더 형태를 가져, 실린더의 측면이 캐버티로서 작용하며, 주 발광이 실린더의 전면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된 면발광소자.
KR1020100090664A 2010-09-15 2010-09-15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 커플링에 바탕을 둔 면발광소자 KR101623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64A KR101623542B1 (ko) 2010-09-15 2010-09-15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 커플링에 바탕을 둔 면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64A KR101623542B1 (ko) 2010-09-15 2010-09-15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 커플링에 바탕을 둔 면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71A KR20120028671A (ko) 2012-03-23
KR101623542B1 true KR101623542B1 (ko) 2016-05-24

Family

ID=4613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664A KR101623542B1 (ko) 2010-09-15 2010-09-15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 커플링에 바탕을 둔 면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641A (ko) 2013-01-03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2200629B1 (ko) * 2013-12-30 2021-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004508B (zh) * 2018-07-03 2020-01-17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量子点的单光子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5430A (ja) 2005-07-27 2007-02-08 Seiko Instruments Inc 有機発光素子
US20070278607A1 (en) * 2006-05-31 2007-12-06 Gruhlke Russell W Shallow semiconductor sensor with fluorescent molecule layer that eliminates optical and electronic crosstal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5430A (ja) 2005-07-27 2007-02-08 Seiko Instruments Inc 有機発光素子
US20070278607A1 (en) * 2006-05-31 2007-12-06 Gruhlke Russell W Shallow semiconductor sensor with fluorescent molecule layer that eliminates optical and electronic crosstal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71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929B1 (ko) 포토레지스트의 광발광 패드들을 포함하는 광전자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
CN105409015B (zh) 各向异性发射固态光照设备
JP6577961B2 (ja) プラズモン照明装置における光子エミッタの空間的位置決め
TW201924485A (zh) 用於準直發光二極體之光發射之奈米結構的超材料及超表面
US7078736B2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a photonic crystal
KR101901320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8067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132651B1 (ko)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US20070177644A1 (en) Highly directional light emitting diode using photonic bandgap waveguides
JP2019087746A (ja) 高解像度ディスプレイ装置
TW200428730A (en) Two-dimensional photonic crystal cavity and channel add/drop filter
KR20220010364A (ko) 메타 표면,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메타 표면의 제조 방법
KR101623542B1 (ko) 양자점과 표면 플라즈몬 커플링에 바탕을 둔 면발광소자
CN108884973B (zh) 半导体光源
JP2009239217A (ja) 発光ダイオード素子
KR20150086098A (ko) 광학 소자 및 광학 소자로부터의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는 방법
JP2015090810A (ja) El表示装置、および、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1222421A (ja) 発光デバイス
KR101281504B1 (ko) 피라미드형 광 결정 발광 소자
JP2011096981A (ja) 窒化物半導体光機能素子
US20100012970A1 (en) Light emitting diode chip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Lewins et al. Strong photonic crystal behavior in regular arrays of core-shell and quantum disc InGaN/GaN nanorod light-emitting diodes
TWI543386B (zh) 圓形光子晶體結構、發光二極體元件以及光電轉換元件
JP2014027011A (ja) 発光素子
KR102646790B1 (ko) 레이저 공진기 및 레이저 공진기 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