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322B1 -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자동 수집과 기업 내부 erp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자동 수집과 기업 내부 erp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322B1
KR101623322B1 KR1020150174850A KR20150174850A KR101623322B1 KR 101623322 B1 KR101623322 B1 KR 101623322B1 KR 1020150174850 A KR1020150174850 A KR 1020150174850A KR 20150174850 A KR20150174850 A KR 20150174850A KR 101623322 B1 KR101623322 B1 KR 10162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nic tax
enterprise
compan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출
Original Assignee
최승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출 filed Critical 최승출
Priority to KR102015017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8Check-book balancing, updating or prin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5Finance or payro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으로부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ERP시스템으로부터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자동입력 받고, 상기 개별 기업활동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마이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마이닝 데이터와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기 저장된 표준 기업활동정보 중 상기 마이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마이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 및 획득한 상기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국세청 서버에서 스크래핑할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한 상기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단계; 스크래핑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RP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자동 수집과 기업 내부 ERP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SYATEM FOR COLLECTING ELECTRONIC TAX INVOICE AND MAKING A ERP CONNEC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금계산서 수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최적화된 전자세계금산서 정보의 수집을 위하여 ERP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금계산서란 사업자간 재화와 용역 거래시에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액 등을 기재하여 주고받는 법정영수증을 칭한다. 현재 대부분의 세금계산서는 수기로 작성한 종이로 발행되고 있다. 이러한 종이 영수증은 보관하기가 불편하며, 보관 중 분실 내지 변경될 위험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이 영수증 형태의 세금계산서를 공급받는 사업자에게 교부하거나 국세청에 신고하려면 인편이나 우편을 이용해야 하므로 비용이 발생한다. 그리고, 종이 영수증은 변경이나 변조가 용이하다. 이러한 점들은 공급하는 사업자가 신고를 주저하거나 허위로 신고하게 되는 원인이 되어 국세청 측에서도 세금계산서의 누락을 방지하고,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데 많은 행정력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한편, 컴퓨팅 장치가 발달되고 네트워크가 널리 보급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문서가 온라인 상에서 전자문서의 형태로 교환되고 있다. 전자문서는 컴퓨팅 장치에서 생성하고, 전자적으로 보관 및 교환이 가능하므로 인편 및 우편을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편리하다.
세금계산서 역시 전자세금계산서로 발생되고 있고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여 조회가 가능한 실정이다. 그러나 개별 기업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조회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3097호(2011.07.26.등록)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ERP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고, ERP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으로부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ERP시스템으로부터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자동입력 받고, 상기 개별 기업활동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마이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마이닝 데이터와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기 저장된 표준 기업활동정보 중 상기 마이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마이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 및 획득한 상기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국세청 서버에서 스크래핑할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한 상기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단계; 스크래핑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RP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를 조절하는단계; 및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일반, 면세, 매출 및 매입 중 적어도 하나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국세청 서버로부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집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 및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ERP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으로부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ERP시스템으로부터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자동입력 받고, 상기 개별 기업활동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마이닝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마이닝 데이터와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기 저장된 표준 기업활동정보 중 상기 마이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마이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획득하고, 입력받은 상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 및 획득한 상기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국세청 서버에서 스크래핑할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하고, 스크래핑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하고, 분류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RP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 및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로 상기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 및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로부터 수집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전송받는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는, 상기 ERP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국세청 서버로부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ERP시스템과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ERP시스템으로부터 인증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보안모듈; 및 상기 보안모듈이 상기 ERP시스템으로부터 입력 받은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한 상기 국세청 서버로부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핑모듈은, 상기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으로부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표준 기업활동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RP시스템으로부터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자동입력 받고, 상기 개별 기업활동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마이닝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마이닝 데이터와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기 저장된 상기 표준 기업활동정보 중 상기 마이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마이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획득하고, 입력받은 상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 및 획득한 상기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정보생성모듈; 상기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URL 및 IP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정보생성모듈이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는 연결관리모듈; 상기 연결관리모듈이 접속한 상기 국세청 서버에서 스크래핑할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결정모듈; 상기 결정모듈이 결정한 상기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처리모듈; 상기 처리모듈이 스크래핑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하는 분류모듈; 및 상기 분류모듈이 분류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RP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모듈은,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를 조절하는 기간 임계치조절 모듈; 및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일반, 면세, 매출 및 매입 중 적어도 하나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의하면, 각 회사별로 최적화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의하면, 기업의 전자세금계산서의 정보 수집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의하면,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의 효율이 증대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핑 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의 인터페이스가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 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집된 전자세금 계산서 정보가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 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의 환경설정화면이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시스템은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100), 국세청 서버(200), ERP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이하 ERP시스템 이라 한다)(300) 및 단말(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서버'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국세청 서버(200), ERP시스템(300)과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network)라 함은 공지의 유/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100)는 도 3의 연결관리 모듈(132)이 정해 놓은 알고리즘에 따라 반복적으로 후술하는 국세청 서버(200)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100)는 수집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저장한 후 후술하는 EPR시스템(3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ERP시스템(300)으로 수집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전송한다.
국세청 서버(200)는 국세청에서 전자세금계산서와 관련된 자료를 기업에게 제공하기 위해 운영하는 서버이다.
ERP시스템(300)은 인사, 재무, 생산 등 기업의 전 부문에 걸쳐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각종 관리시스템의 경영자원을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재구축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하려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ERP시스템(300)에서 상기 인사, 재무, 생산 등의 어느 한 부문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기업의 전 부문에서 동시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공지의 수단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의 단말(400)은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이른바 "PC"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수단은 모두 본 발명의 단말(400)이 될 수 있다.
단말(400)은 상기 ERP시스템(300)과 연결되어 있는 기업의 내부 전산망에 연결된다. 따라서 단말(400)은 기업 외부에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보안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업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보안 모듈(120), 스크래핑 모듈(130) 및 데이터베이스(DB, 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통신 모듈(110)은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ERP시스템(300)과 각종 데이터(ex,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기업활동정보 등)를 주고 받도록 하며 상기 국세청 서버(200)로부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안 모듈(120)은 상기 ERP시스템(300)과 주고 받는 각종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여기서 암호화라 함은 대칭키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를 암호화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의미하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대칭키 암호화 방식이란 암호화할 때 쓰는 키(key)와 암호를 해석할 때, 즉 복호화할 때 쓰는 키가 같은 암호 알고리즘 또는 방식을 일컫는다.
상기 보안 모듈(120)은 후술하는 스크래핑 모듈(130)이 비정상적인 수행을 하거나 오류로 인한 문제 발생시 스크래핑 프로세스를 중지시키고, 상기 스크래핑 모듈(130)을 재실행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안 모듈(120)은 후술하는 스크래핑 모듈(130)이 수행하는 스크래핑 작업의 오류, 스크래핑 수행시간 및 스크래핑 작업 내용 등 상기 스크래핑 모듈(130)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스크래핑 모듈(130)의 동작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스크래핑 모듈(130)의 동작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안 모듈(120)은 상기 ERP시스템(300) 또는 상기 ERP시스템(300)과 연결된 상기 단말(400)로부터 인증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단말(400)은 인증정보의 등록과 변경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상기 ERP시스템(300) 또는 상기 ERP시스템(300)과 연결된 상기 단말(400)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이며, 국세청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국세청 서버 접속용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스크래핑 모듈(130)은 기업활동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기업활동정보에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마이닝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기업활동정보는 기업의 활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집하는 정보이며, 상기 기업활동정보는 기업체명, 주식시장 상장형태 및 기업규모의 변동여부를 포함하는 기업일반사항, 기업 내 산하 사업체수, 사업체별 종사자 수를 포함하는 기업 내 조직 및 종사자 수, 유, 무형 자산의 당기 취득 및 지적재산권 보유 및 활용을 포함하는 유, 무형자산, 기업의 자회사, 관련회사의 보유실태를 포함하는 관계회사 사항, 매출액, 구입액에 대한 직접수출액, 직접수입액, 관계회사 거래액, 사업의 외주비, 연구개발비를 포함하는 국내외 기업 간 거래, 외부위탁 업무분야, 국외진출여부, 신규사업 진출 검토를 포함하는 기업의 경영방향, 자산, 부채 자본을 포함하는 재무구조, 자본금을 포함하는 기업의 일반사항 및 경영실적, 비용내역 및 매출액 내역을 포함하는 사업내용을 포함한다.
스크래핑 모듈(130)은 상기 국세청 서버(200)에 접속하여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집한다.
스크래핑 모듈(130)은 상기 수집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상기 ERP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스크래핑 모듈(130)은 상기 수집하여 분류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 140)에 저장한다.
상기 스크래핑 모듈(130)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에서 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핑 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래핑 모듈(130)은 사용자정보생성모듈(131),연결관리모듈(132), 결정모듈(133), 처리모듈(134), 분류모듈(135) 및 전송모듈(136)을 포함한다.
사용자정보생성모듈(131)은 상기 ERP시스템(300)으로부터 국세청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국세청 서버 접속용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국세청 서버 접속용 정보는 ERP시스템을 구축한 기업의 로그인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국세청 접속을 위하여 ERP시스템을 구축한 기업이 생성한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사용자정보생성모듈(131)은 국내 일반 기업의 통상적인 기업활동정보인 표준 기업활동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표준 기업활동정보는 기업의 활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집하는 정보이며, 상기 기업활동정보는 기업체명, 주식시장 상장형태 및 기업규모의 변동여부를 포함하는 기업일반사항, 기업 내 산하 사업체수, 사업체별 종사자 수를 포함하는 기업 내 조직 및 종사자 수, 유, 무형 자산의 당기 취득 및 지적재산권 보유 및 활용을 포함하는 유, 무형자산, 기업의 자회사, 관련회사의 보유실태를 포함하는 관계회사 사항, 매출액, 구입액에 대한 직접수출액, 직접수입액, 관계회사 거래액, 사업의 외주비, 연구개발비를 포함하는 국내외 기업 간 거래, 외부위탁 업무분야, 국외진출여부, 신규사업 진출 검토를 포함하는 기업의 경영방향, 자산, 부채 자본을 포함하는 재무구조, 자본금을 포함하는 기업의 일반사항 및 경영실적, 비용내역 및 매출액 내역을 포함하는 사업내용을 포함하되, 상기 표준 기업활동정보는 통계청이 발간하는 기업활동조사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생성모듈(131)은 상기 ERP시스템(300)으로부터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입력 받고, 기업의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입력 받은 개별 기업활동정보에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한다. 상기 개별 기업활동정보는 ERP시스템(300)에 저장되어 있으며, 기업별로 ERP시스템(300)을 구축하고 있으므로 각 ERP시스템(300)에 저장되어 있는 개별 기업활동정보는 기업별로 상이하게 된다.
사용자정보생성모듈(131)은 상기 개별 기업활동정보에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마이닝 데이터를 획득한다.
사용자정보생성모듈(131)은 획득된 상기 마이닝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정보생성모듈(131)에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기 저장된 표준 기업활동정보 중 상기 마이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마이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닝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정보생성모듈(131)에 기 저장된 표준 기업활동정보 중 상기 마이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부분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각 기업의 ERP시스템(300)에서 입력된 개별 기업활동정보에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면 각 기업별로 상이한 마이닝 데이터가 획득된다. 이에 반하여 국내 일반 기업의 통상적인 기업활동정보를 저장한 표준 기업활동정보는 특정 기업의 정보가 아닌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마이닝 데이터를 상기 표준 기업활동정보 중 상기 마이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부분과 비교하면 개별 기업의 특징에 해당하는 상기 표준 기업활동정보와 차별화된 요소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업이 내부 사업을 외부 기업에 외주를 주지 않는 기업이라면 상기 표준 기업활동정보에 포함된 기업 간 거래 중 사업의 외주비가 발생할 여지가 없게 되므로 상이 마이닝 데이터가 상기 표준기업활동정보와 차별화된 요소가 된다.
또한, 국외 진출을 하지 않은 기업이라면 상기 표준 기업활동정보에 포함된 국외진출여부가 상기 마이닝 데이터가 기 표준기업활동정보와 차별화된 요소가 된다.
즉 상기 차별화된 요소는 개별 기업의 특징이고 이러한 개별 기업의 특징을 전자세금계산서의 수집에 반영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닝 데이터와 상기 표준 기업활동정보의 차이에 해당하는 정보인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전자세금계산서의 수집에 활용한다.
이러한 차별화된 요소를 반영하여 획득된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는 기업의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획득된다.
상기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기업의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것은 후술하는 연결관리모듈(132) 및 결정모듈(13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정보생성모듈(131)은 상기 입력된 국세청 접속용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면, 여러 개의 ERP시스템(300)이 동시에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200)에 접속하여도 각 ERP시스템(300)을 구분하여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200)를 활용하여 각기 다른 회사의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런 이유로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200)의 효율이 증대된다.
연결관리모듈(132)은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생성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국세청 서버(200)에 접속한다.
예컨대, 상기 연결관리모듈(132)은 1개월의 시간간격으로 상기 국세청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연결관리모듈(132)은 상기 국세청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URL 및 IP를 저장하고 있다.
연결관리모듈(132)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국세청 서버 접속용 정보를 이용하여 국세청 서버(200)에 접속한다.
연결관리모듈(132)은 상기 ERP시스템(300)에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국세청 서버(200)에 즉시 접속한다.
결정 모듈(133)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스크래핑할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를 결정한다.
결정 모듈(133)은 월, 분기 및 년 중 적어도 하나로 기간 임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면세, 매출 및 매입 중 적어도 하나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모듈(133)은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를 조절하는 기간 임계치조절 모듈(133a) 및 카테고리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 모듈(133b)를 포함한다.
기간 임계치 조절 모듈(133a)이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를 조절하는 것에 관하여 살펴보면, 만일 어떤 기업이 매월 27일을 매입, 매출의 마감일로 정하고, 이후 발생된 매입, 매출은 다음 달로 이월하는 경우, 통상 기업은 매월 말일을 매입, 매출의 마감일이므로 개별 기업활동정보는 27일 이후에는 발생될 수 없고, 반면에 표준 기업활동정보는 해당 월의 말일까지 발생하므로 매월 27일부터 해당월의 말일까지 매입, 매출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는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데이터 마이닝한 마이닝 데이터와 상기 표준 기업활동정보와의 차이에 해당하는 정보인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간 임계치 조절 모듈(133a)은 상기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이용하여 매월 27이 기준일이 되도록 기간 임계치를 조절한다.
가중치 부여 모듈(133b)은 일반, 면세, 매출 및 매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가중치 부여 모듈(133b)이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것에 관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만일 어떤 기업이 국내에서만 매출이 발생되는 경우 국내의 매입, 매출에 관하여만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상기 가중치 부여 모듈(133b)은 국내 매입, 매출에 관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만을 수집하도록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중치 부여 모듈(133b)은 국외의 매입, 매출에 관하여 “0”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국내의 매입, 매출에 관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만 남길 수 있다.
처리모듈(134)은 스크래핑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모듈(133)이 결정한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집한다.
처리 모듈(134)은 상기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스크래핑을 중단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분류모듈(135)은 상기 처리모듈(134)이 스크래핑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분류한다. 여기서 기간 임계치는 상기 결정부(133)가 결정한 기간 임계치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표준 기업활동정보를 활용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분류모듈(135)은 동일기간으로 분류된 매입, 매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가치세 납부를 위한 합계표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테고리도 상기 결정모듈(133)이 결정한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표준 기업활동정보를 활용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전송모듈(136)은 상기 분류모듈(135)에 의해 분류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상기 ERP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는 상기 ERP시스템(300)에 저장되고, 상기 단말(400)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수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 계산서 수집 시스템의 인터페이스가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 계산서 수집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집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가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 계산서 수집 시스템의 환경설정화면이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100)의 사용자 정보생성모듈(131)이 ERP시스템(300)으로부터 국세청 서버(200)접속용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S410).
사용자 정보생성모듈(131)이 ERP시스템(300)으로부터 개별 기업의 기업활동정보에 해당하는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자동입력 받고 입력 받은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개별 기업활동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마이닝 데이터를 획득한다(S420). 여기서 마이닝 데이터는 상기 개별 기업활동정보 중 어느 하나만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복수의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생성모듈(131)이 획득된 마이닝 데이터와 국내 일반 기업의 통상적인 기업활동정보에 해당하는 표준 기업활동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획득한다(S430). 여기서, 표준 기업활동정보는 국내 일반 기업의 통상적인 기업활동정보를 저장한 정보이고, 양자간 차이는 표준 기업활동정보와 차별화된 개별 기업의 특징임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사용자 정보생성모듈(131)이 입력된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 및 상기 획득된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한다(S440). 사용자 정보생성모듈(131)에서 생성된 사용자 정보는 도면부호 511에서 보는 것처럼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연결관리모듈(132)이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국세청 서버에 접속한다(S450).
결정모듈(133)의 기간 임계치 조절 모듈(133a)이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를 결정하고, 가중치 부여 모듈(133b)이 일반, 면세, 매출 및 매입 중 적어도 하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카테고리를 결정한다(S460).
처리모듈(134)이 결정한 상기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한다(S470). 상기 처리 모듈(134)이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 대상은 도면부호 511에서와 같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 모듈(134)이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정도는 도면부호 512에서 보는 것처럼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분류모듈(135)이 스크래핑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분류한다(S480).
전송모듈(136)이 분류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RP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S490). 상기 전송모듈(136)에서 상기 ERP시스템(300)으로 전송된 정보는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된 인터페이스들 즉, 도면부호 530 또는 도면부호 54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5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 계산서 수집 시스템의 인터페이스가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된 인터페이스가 매입 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집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511은 사용자 정보생성모듈(131)이 ERP시스템(300)으로부터 입력 받은 기업명과 처리 모듈(134)에서 수집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512는 처리 모듈(134)에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가 수집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도면부호 513은 처리 모듈(134)에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수집을 중단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5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 계산서 수집 시스템의 환경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면부호 710은 스크래핑 모듈(130)이 데이터베이스(14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720은 보안 모듈(12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730은 연결관리모듈(132)이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스케줄러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740은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ERP시스템(300)을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750은 보안 모듈(12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보안 모듈(12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는 회사명, 사업자번호, 일반 및 면세 매입 매출에 사용되기 위한 인증정보가 보안 모듈(12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표시되고 표시된 일반 및 면세 매입 매출인 카테고리에 사용될 수 있는 인증정보를 선택 또는 선택 해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면부호 530은 단말(400)에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조회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는 분류 모듈(135)에서 일반에 해당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라고 분류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조회를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면부호 530과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세금 계산서 수집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집된 전자세금 계산서 정보가 단말에 디스플레이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610은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사용자 정보생성모듈(131)에 저장된 회사명 및 거래대상업체, 연결관리모듈(132)을 이용하여 접속해야할 조회기간 및 결정 모듈(133)에 의해 결정되는 매입, 매출 카테고리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620은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스크래핑 모듈(130)을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조회된 결과를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630은 스크래핑 모듈(130)이 스크래핑을 수행한 결과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조회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조회결과에는 총 건수, 총 합계 금액, 총 공급가액 및 총 세액이 표시된다.
도면부호 640은 스크래핑 모듈(130)이 스크래핑을 수행한 결과 중 일부를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조회결과를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기업명, 승인번호, 작성일자, 발행일자, 전송일자, 매입/매출, 상호 및 대표자가 표시된다.
도면부호 650은 상기 도면부호 640에서 스크래핑 모듈(130)에서 조회되어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된 결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직접 발행되는 세금계산서 형태로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된 것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540은 단말(400)에서 계산서 조회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는 분류 모듈(135)에서 면세에 해당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라고 분류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조회를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면부호 550은 단말(400)에서 보안 모듈(120)에 인증정보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는 인증정보의 등록만을 위한 것은 아니고 보안 모듈(12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수정하기 위하여도 사용될 수 있다.
도면부호 560은 연결관리모듈(132)이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는 스케줄러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면부호 570은 단말(400)에서 ERP시스템(300)에서 정보를 입력 받거나 ERP시스템(300)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단말(400)에서 ERP시스템(300)과의 연동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
110: 통신 모듈
120: 보안 모듈
130: 스크래핑 모듈
140: 데이터 베이스(DB)
200: 국세청 서버
300: ERP시스템
400: 단말

Claims (6)

  1.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으로부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ERP시스템으로부터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자동입력 받고, 상기 개별 기업활동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마이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마이닝 데이터와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기 저장된 표준 기업활동정보 중 상기 마이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마이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 및 획득한 상기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국세청 서버에서 스크래핑할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한 상기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단계;
    스크래핑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RP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수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를 조절하는단계; 및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일반, 면세, 매출 및 매입 중 적어도 하나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수집 방법.
  3. 국세청 서버로부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집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 및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ERP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으로부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ERP시스템으로부터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자동입력 받고, 상기 개별 기업활동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마이닝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마이닝 데이터와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기 저장된 표준 기업활동정보 중 상기 마이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마이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획득하고, 입력받은 상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 및 획득한 상기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국세청 서버에서 스크래핑할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하고, 스크래핑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하고, 분류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RP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 및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로 상기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 및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로부터 수집된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전송받는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
    을 포함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수집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버는,
    상기 ERP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국세청 서버로부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ERP시스템과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ERP시스템으로부터 인증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보안모듈; 및
    상기 보안모듈이 상기 ERP시스템으로부터 입력 받은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한 상기 국세청 서버로부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핑모듈
    을 포함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수집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핑모듈은,
    상기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으로부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표준 기업활동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RP시스템으로부터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개별 기업활동정보를 자동입력 받고, 상기 개별 기업활동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마이닝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마이닝 데이터와 기업종류, 기업업무내역, 기업의 비용처리 내역, 기업의 매입내역, 기업의 매출내역, 기업의 수출내역 및 기업의 수입내역을 포함하는 기 저장된 상기 표준 기업활동정보 중 상기 마이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마이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획득하고, 입력받은 상기 국세청 서버 접속용 식별정보 및 획득한 상기 기업경제활동차이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정보생성모듈;
    상기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URL 및 IP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정보생성모듈이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는 연결관리모듈;
    상기 연결관리모듈이 접속한 상기 국세청 서버에서 스크래핑할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결정모듈;
    상기 결정모듈이 결정한 상기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에 따른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처리모듈;
    상기 처리모듈이 스크래핑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기간 임계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하는 분류모듈; 및
    상기 분류모듈이 분류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RP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모듈
    을 포함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수집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모듈은,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세금계산서 정보의 기간 임계치를 조절하는 기간 임계치조절 모듈; 및
    생성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일반, 면세, 매출 및 매입 중 적어도 하나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 모듈
    을 포함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수집 시스템.
KR1020150174850A 2015-12-09 2015-12-09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자동 수집과 기업 내부 erp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50A KR101623322B1 (ko) 2015-12-09 2015-12-09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자동 수집과 기업 내부 erp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50A KR101623322B1 (ko) 2015-12-09 2015-12-09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자동 수집과 기업 내부 erp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322B1 true KR101623322B1 (ko) 2016-05-20

Family

ID=5610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850A KR101623322B1 (ko) 2015-12-09 2015-12-09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자동 수집과 기업 내부 erp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8839A (zh) * 2020-11-05 2021-02-05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企业进销关系图谱的企业风险识别方法与系统
CN112651685A (zh) * 2020-12-23 2021-04-13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增值税电子发票的自动补仓方法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8839A (zh) * 2020-11-05 2021-02-05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企业进销关系图谱的企业风险识别方法与系统
CN112328839B (zh) * 2020-11-05 2024-02-27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企业进销关系图谱的企业风险识别方法与系统
CN112651685A (zh) * 2020-12-23 2021-04-13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增值税电子发票的自动补仓方法及系统
CN112651685B (zh) * 2020-12-23 2024-03-29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增值税电子发票的自动补仓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58745A1 (en) Automated accounting method
US20060206506A1 (en) Expenditure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2428442A (zh) 发布系统、获取系统以及支付网络/系统开发
US10476813B2 (en) Computerized system for identifying and redistributing complementary resources
US202200586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st altering payment services
Demoč et al. Proposal for optimization of information system
CN110288315A (zh) 一种财务管理计算机系统
US20150026021A1 (en) Computer Implemented Reporting System and Method
KR101623322B1 (ko)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자동 수집과 기업 내부 erp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179020A (zh) 一种军民两用技术线上交易系统及方法
US20140172526A1 (en) Transaction tax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JP7156615B2 (ja) スクレイピングを通じた資金振替・振込方法とその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9008343A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THAT ALLOWS THE DEPLOYMENT OF CONFIGURABLE AND CUSTOMIZABLE FINANCIAL SERVICES
KR20220015062A (ko) 전자세금계산서와 기업 내부 erp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46255A (ko) 금융 마케팅을 위한 고객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시스템
Panova Paradoxes of financial market institutions: traditions and ecosystems
US11741036B2 (en) Unified smart connector
KR102416998B1 (ko) 세무 문서 수집 및 분류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N110909376B (zh) 一种付费用户管理方法、装置、系统
KR100799628B1 (ko) 자사정보의 실시간 통합을 이용한 상권분석 서비스 제공방법
Baldacci et al. A reflection on the re (use) of new data sources for official statistics
KR100914659B1 (ko) 프로젝트금융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Pestana et al. Analytical procedure for the custom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in Colombia: A design science research approach
CN111047395A (zh) 一种产业集群信息交互平台
KR20030033708A (ko) 온라인을 이용한 자원관리방법 및 그 자원을 관리하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