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190B1 -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 Google Patents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190B1
KR101623190B1 KR1020150021799A KR20150021799A KR101623190B1 KR 101623190 B1 KR101623190 B1 KR 101623190B1 KR 1020150021799 A KR1020150021799 A KR 1020150021799A KR 20150021799 A KR20150021799 A KR 20150021799A KR 101623190 B1 KR101623190 B1 KR 101623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ar
preventing member
bar
hollow
releas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진
박장하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5002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는,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삽입되는 제1 중공바와 제2 중공바를 포함하고, 제1 중공바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2 중공바의 단부에는, 제1 중공바의 단부와 결합력을 형성하도록 관통공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드로포밍 공법이나 용접결합에 의해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삽입결합구조로 조립되더라도 높은 체결력과 강성을 형성하고, 특히 2종 재질로 형성되는 카울크로스바에 있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차량에 장착된 후 차체 진동 또는 차량 사고와 같은 가혹한 조건에서도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INSERT COMBINATION TYPE COWL CROSS BAR}
본 발명은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드로포밍 공법이나 용접결합에 의해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삽입결합구조로 조립되더라도 높은 체결력과 강성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카울크로스바(cowl cross bar)는 칵핏 모듈(cockpit module)의 후면에 장착되어 전장 및 공조 등을 위한 기능성 부품이 장착되는 안내면을 제공하고, 차체의 좌우방향 비틀림 및 휘어짐의 억제를 위한 강성을 제공하는 프레임 부품이다.
당초 카울크로스바는 파이프의 굽힘 공정으로 제조되는 단순한 형상의 제품이었으나 최근에 장착 부품의 다양화 및 소음 진동 특성의 개선, 차량 경량화에 대한 요구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의 파이프를 용접 및 굽힘 성형함으로써 좀 더 복잡한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용접을 이용한 파이프 접합 제품의 경우 제품 외관 품질의 저하뿐만이 아니라 용접 공정에 의한 생산 효율의 저하 및 불량 용접에 의한 기계적 특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좀 더 복잡한 형상의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바를 보다 효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8507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하이드로포밍(hydroforming) 공법의 적용을 통한 성형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완성차 업체에서 요구하고 있는 카울크로스바의 소음 진동(NVH) 특성상 운전석 측에 위치하는 대구경부 파이프의 두께가 조수석 측의 소구경부 두께보다 커야하기 때문에 확관 개념의 하이드로포밍 공법으로는 두께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하이드로포밍 공법은 단가 증가의 요인이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6262호에는 카울크로스 구조가 게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6262호의 카울크로스 구조에서 카울크로스바와 카울크로스 하프패널의 결합은 카울크로스바 일단에 형성된 결합플랜지와 카울크로스 하프패널 일단에 형성된 결합바가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결합플랜지에 결합바가 삽입되면서 결합플랜지에 형성된 결합리브가 결합바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카울크로스바와 카울크로스 하프패널이 결합되고, 조립 후 카울크로스바와 카울크로스 하프패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볼트를 체결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6262호는 스틸 재질의 카울크로스바 일부를 절단하고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 카울크로스 하프패널을 장착시켜 중량 및 원가를 절감시키는 동시에 강성을 증대시키고, 카울크로스바와 카울크로스 하프패널의 결합이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6262호는 결합플랜지와 결합바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4개의 볼트를 체결하고 있으나, 볼트 하나의 체결력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차량의 오랜 주행에 의한 주기적인 차량 진동에 의해 어느 하나의 볼트라도 느슨해지게 되면 카울크로스바의 강성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결합플랜지와 결합바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체결되는 4개의 볼트는 결합플랜지와 결합바의 결합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차량 사고시 카울크로스바에 길이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작은 전단력으로도 볼트가 쉽게 변형되거나 절단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는 카울스로스바와 카울크로스 하프패널의 분리를 야기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아울러, 카울크로스바와 카울크로스 하프패널을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플랜지를 따로 제작해야 하고, 결합플랜지와 결합바가 서로 닫히는 뚜껑형태로서 내부와 외부가 동시에 맞물리는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비가 상당한 수준으로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8507호 (공개일:2010.04.15)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6262호 (공개일:2013.03.13)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드로포밍 공법이나 용접결합에 의해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삽입결합구조로 조립되더라도 높은 체결력과 강성을 형성하고, 특히 2종 재질로 형성되는 카울크로스바에 있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차량에 장착된 후 차체 진동 또는 차량 사고와 같은 가혹한 조건에서도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삽입되는 제1 중공바와 제2 중공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공바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중공바의 단부와 결합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휨변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휨변형부에 각각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가 상기 제1 중공바의 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휨변형부 사이에 개재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수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휨변형부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와 제1 중공바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개재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중공바의 단부가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휨변형부를 감싸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암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휨변형부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와 제1 중공바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개재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중공바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2 중공바의 단부에는 관통공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하이드로포밍 공법이나 용접결합에 의해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삽입결합구조로 조립되더라도 높은 체결력과 강성을 형성하고, 특히 2종 재질로 형성되는 카울크로스바에 있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차량에 장착된 후 차체 진동 또는 차량 사고와 같은 가혹한 조건에서도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는, 하이드로포밍 공법이나 용접결합에 의해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삽입결합구조로 조립되더라도 높은 체결력과 강성을 형성하고, 특히 2종 재질로 형성되는 카울크로스바에 있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차량에 장착된 후 차체 진동 또는 차량 사고와 같은 가혹한 조건에서도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의 단면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1)는, 하이드로포밍 공법이나 용접결합에 의해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삽입결합구조로 조립되더라도 높은 체결력과 강성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중공바(10), 제2 중공바(20) 및 이탈방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중공바(10)는 운전석 측에 형성되는 대구경부로 제2 중공바(20)는 조수석 측에 형성되는 소구경부로 도시되었으나, 제1 중공바(10)와 제2 중공바(20)는 각각의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카울크로스바(1)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서로 결합되는 제1 중공바(10)와 제2 중공바(20)의 결합되는 단부는 반드시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 사이에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1)는, 제1 중공바(10)의 반대쪽에서 제2 중공바(20)의 다른 한쪽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제3 중공바(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중공바(10)와 제2 중공바(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다각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제1 중공바(10)와 제2 중공바(20)는 동종재질 및 이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1)는 제1 중공바(10)와 제2 중공바(20)가 삽입조립구조로 제작되며, 따라서 기존 하이드로포밍 공법이나 용접에 의해 제작하기 어려운 이종재질의 카울크로바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중공바(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제2 중공바(20)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1)는, 제2 중공바(20)의 단부가 제1 중공바(10)의 단부에 삽입된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공바(20)의 단부에는 휨변형부(21) 및 삽입부(22)가 형성된다.
휨변형부(2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공바(20)의 단부가 제1 중공바(10)의 단부에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휨 변형되는 구성으로서, 삽입부(22)의 단부로부터 제2 중공바(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휨변형부(21)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휨변형부(21)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2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는 휨변형부(21)가 4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변형부(21)에는 돌출부(21p) 및 압축부(21c)가 형성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p)는 제1 중공바(10)의 관통공(10h)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휨변형부(21)의 단부에서 반경반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휨변형부(21)의 외경은 제1 중공바(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제1 중공바(10)의 내주면과 마찰하며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변형부(21)가 제1 중공바(10)에 삽입되면 휨변형부(21)는 돌출부(21p)에 의해 반경반향으로 서로 가까워지게 휨변형된다.
돌출부(21p)는, 제1 중공바(10) 내부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21p)는, 관통공(10h)에 삽입된 후에는 카울크로스바(1)의 길이방향 외력에 의한 관통공(10h)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삽입방향과 반대쪽이 삽입방향과 직각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공바(1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21p)가 삽입되는 관통공(10h)이 형성된다. 관통공(10h)은 돌출부(21p)와 동일한 개수 및 간격으로 형성되며, 삽입된 돌출부(21p)와 밀착되도록 제2 중공바(20)의 삽입방향 쪽은 삽입방향과 경사진 경사부(21pa)가 형성되고 제2 중공바(20)의 삽입방향 반대쪽은 삽입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부(21c)는 이탈방지부재(30)에 의해 압축되는 부분으로서, 이탈방지부재(30)의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2)는 휨변형부(21)와 함께 제1 중공바(10)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삽입부(22)의 외경은 휨변형부(21)와 마찬가지로 제1 중공바(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제1 중공바(10)의 내주면과 마찰하며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변형부(21)와 반대쪽 삽입부(22)의 단부에는 단차부(22s)가 형성된다. 삽입부(22)는 단차부(22s)에 의해 제1 중공바(10)에 삽입되지 않는 제2 중공바(20)의 나머지 부분과 단차를 형성하게 되며, 돌출부(21p)가 관통공(10h)에 삽입되면 제1 중공바(10)의 끝단과 단차부(22s)는 카울크로스바(1)의 길이방향과 직각의 접촉면을 형성하게 된다.
단차부(22s)는 휨변형부(21) 및 삽입부(22)가 제1 중공바(10)로 삽입되는 깊이의 경계를 형성하게 되며, 차량에 가해지는 외력(차량 사고 등)에 의해 카울크로스바(1)에 길이방향으로 압축력이 인가되더라도 카울크로스바(1)의 전체 길이가 유지된다.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30)는 관통공(10h)에서 돌출부(21p)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제2 중공바(20)의 내부에서 삽입부(22) 및 휨변형부(21) 쪽으로 삽입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이탈방지부재(30)는 수나사로 이루어지고, 제2 중공바(20)의 단부에는 이탈방지부재(30)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2f)가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암나사부(22f)는 삽입부(22)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탈방지부재(30)의 머리에는 드라이버나 렌치가 삽입되는 공구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이탈방지부재(30)는 공구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암나사부(22f)와 나사결합되면서 삽입부(22)와 휨변형부(21)의 안쪽으로 삽입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30)가 삽입부(22)의 내부를 통해 복수의 휨변형부(21) 사이로 삽입되면 복수의 휨변형부(21)는 제1 중공바(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휨변형이 방지되며, 결과적으로 돌출부(21p)가 관통공(10h)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탈방지부재(30)가 복수의 휨변형부(21) 사이로 삽입되면 삽입부(22) 및 휨변형부(21)의 외주면은 제1 중공바(10)의 내주면과 더욱 밀착되며, 이에 따라 제1 중공바(10)와 제2 중공바(20)가 서로 결합력을 형성하는 단부에 결합력 및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카울크로스바(1)에 휨응력이 인가되는 경우 이탈방지부재(30)는 제1 중공바(10) 및 제2 중공바(20)와 함께 휨응력을 지지함으로써, 제1 중공바(10)와 제2 중공바(20)가 서로 결합력을 형성하는 단부의 변형이 방지된다.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휨변형부(21)에는 이탈방지부재(30)와 제1 중공바(10)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부(21c)가 형성된다. 압축부(21c)는 이탈방지부재(30)가 개재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돌출부(21p)가 관통공(10h)에 끼워진 상태에서 복수의 휨변형부(21)는 압축부(21c)에 의해 제2 중공바(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게 되며, 이탈방지부재(30)가 휨변형부(21) 사이로 삽입되면 압축부(21c)는 이탈방지부재(30)에 의해 제1 중공바(10)와 이탈방지부재(30)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21p)는 관통공(10h) 측으로 더욱 밀착되며, 돌출부(21p)와 관통공(10h) 간 결합력이 증가하게 된다.
도 3에서 압축부(21c)는 휨변형부(21)의 전체길이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압축부(21c)는 휨변형부(21)의 일부 즉, 돌출부(21p)가 형성된 휨변형부(21)의 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2)는, 제1 중공바(10)의 단부가 제2 중공바(20)의 단부에 삽입되고, 돌출부(21p)는 제1 중공바(10)의 바깥쪽에서 관통공(10h)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공바(20)의 단부에는 휨변형부(21) 및 지지부(23)가 형성된다.
휨변형부(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공바(10)의 단부가 제2 중공바(20)의 단부에 삽입될 때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휨 변형되는 구성으로서, 지지부(23)의 단부로부터 제2 중공바(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휨변형부(21)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변형부(21)에는 돌출부(21p) 및 압축부(21c)가 형성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p)는 제1 중공바(10)의 관통공(10h)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휨변형부(21)의 단부에서 반경반향 안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휨변형부(21)의 내경은 제1 중공바(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제1 중공바(10)의 외주면과 마찰하며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공바(10)가 복수의 휨변형부(21) 사이로 삽입되면 휨변형부(21)는 돌출부(21p)에 의해 반경반향으로 서로 멀어지게 휨변형된다.
돌출부(21p)는, 제1 중공바(10)가 복수의 휨변형부(21) 사이를 통해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21p)는, 관통공(10h)에 삽입된 후에는 카울크로스바(1)의 길이방향 외력에 의한 관통공(10h)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삽입방향과 반대쪽이 삽입방향과 직각을 형성한다.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공바(1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21p)가 삽입되는 관통공(10h)이 형성된다. 관통공(10h)은 돌출부(21p)와 동일한 개수 및 간격으로 형성되며, 삽입된 돌출부(21p)와 밀착되도록 제1 중공바(10)의 삽입방향 반대쪽은 삽입방향과 경사진 경사부(21pa)가 형성되고 제1 중공바(10)의 삽입방향 쪽은 삽입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부(21c)는 이탈방지부재(30)에 의해 압축되는 부분으로서, 이탈방지부재(30)의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3)는 휨변형부(21)와 함께 제1 중공바(10)가 안쪽으로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부(23)의 내경은 휨변형부(21)와 마찬가지로 제1 중공바(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제1 중공바(10)의 외주면이 마찰하며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휨변형부(21)와 반대쪽 지지부(23)의 단부에는 단차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는 지지부(23)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돌출부(21p)가 관통공(10h)에 삽입되면 제1 중공바(10)의 끝단과 단차부는 카울크로스바(1)의 길이방향과 직각의 접촉면을 형성하게 된다.
단차부는 제1 중공바(10)가 제2 중공바(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의 경계를 형성하게 되며, 차량에 가해지는 외력(차량 사고 등)에 의해 카울크로스바(2)에 길이방향으로 압축력이 인가되더라도 카울크로스바(1)의 전체 길이가 유지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30)는 관통공(10h)에서 돌출부(21p)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제2 중공바(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암나사로 이루어진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공바(20)의 단부에는 이탈방지부재(30)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23m)가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수나사부(23m)는 지지부(23)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30)의 외주면에는 작업자의 손이나 몽키 등 공구와 마찰력을 형성하기 위한 마찰홈(30h)이 형성되며, 이탈방지부재(30)는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수나사부(23m)와 나사결합되면서 휨변형부(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동하게 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30)가 복수의 휨변형부(21)를 바깥쪽에서 감싸게 되면 복수의 휨변형부(21)는 제1 중공바(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휨변형이 방지되며, 결과적으로 돌출부(21p)가 관통공(10h)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탈방지부재(30)가 복수의 휨변형부(21)를 감싸게 되면 지지부(23) 및 휨변형부(21)의 내주면은 제1 중공바(10)의 외주면과 더욱 밀착되며, 이에 따라 제1 중공바(10)와 제2 중공바(20)가 서로 결합력을 형성하는 단부에 결합력 및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카울크로스바(2)에 휨응력이 인가되는 경우 이탈방지부재(30)는 제1 중공바(10) 및 제2 중공바(20)와 함께 휨응력을 지지함으로써, 제1 중공바(10)와 제2 중공바(20)가 서로 결합력을 형성하는 단부의 변형이 방지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휨변형부(21)에는 이탈방지부재(30)와 제1 중공바(10)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부(21c)가 형성된다.
압축부(21c)는 이탈방지부재(30)가 개재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돌출부(21p)가 관통공(10h)에 끼워진 상태에서 복수의 휨변형부(21)는 압축부(21c)에 의해 제1 중공바(10)의 삽입방향과 반대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게 되며, 이탈방지부재(30)가 복수의 휨변형부(21)를 감싸게 되면 압축부(21c)는 이탈방지부재(30)에 의해 제1 중공바(10)와 이탈방지부재(30)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21p)는 관통공(10h) 측으로 더욱 밀착되며, 돌출부(21p)와 관통공(10h) 간 결합력이 증가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압축부(21c)는 휨변형부(21)의 전체길이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압축부(21c)는 휨변형부(21)의 일부 즉, 돌출부(21p)가 형성된 휨변형부(21)의 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중공바(10)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10h)이 형성되고, 제2 중공바(20)의 단부에는 관통공(10h)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21p)가 형성됨으로써, 하이드로포밍 공법이나 용접결합에 의해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삽입결합구조로 조립되더라도 높은 체결력과 강성을 형성하고, 특히 2종 재질로 형성되는 카울크로스바(1,2)에 있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차량에 장착된 후 차체 진동 또는 차량 사고와 같은 가혹한 조건에서도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1,2)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2 : 카울크로스바 10 : 제1 중공바
20 : 제2 중공바 30 : 이탈방지부재
21 : 휨변형부 10h : 관통공
21p : 돌출부 30h : 마찰홈
21pa : 경사부
21c : 압축부
22 : 삽입부
22f : 암나사부
23 : 지지부
23m : 수나사부

Claims (8)

  1.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삽입되는 제1 중공바와 제2 중공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공바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중공바의 단부와 결합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휨변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휨변형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가 상기 제1 중공바의 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휨변형부 사이에 개재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수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휨변형부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와 제1 중공바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개재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바의 단부가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휨변형부를 감싸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암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중공바의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휨변형부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와 제1 중공바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개재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KR1020150021799A 2015-02-12 2015-02-12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KR101623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99A KR101623190B1 (ko) 2015-02-12 2015-02-12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99A KR101623190B1 (ko) 2015-02-12 2015-02-12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190B1 true KR101623190B1 (ko) 2016-05-23

Family

ID=5610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799A KR101623190B1 (ko) 2015-02-12 2015-02-12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1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450Y1 (ko) 2004-03-12 2004-06-22 장병호 인삼재배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JP2008068641A (ja) 2006-09-12 2008-03-27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クロスカービーム構造
KR101231081B1 (ko) 2011-08-16 2013-02-07 김란순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450Y1 (ko) 2004-03-12 2004-06-22 장병호 인삼재배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JP2008068641A (ja) 2006-09-12 2008-03-27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クロスカービーム構造
KR101231081B1 (ko) 2011-08-16 2013-02-07 김란순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8615B2 (en) Bicycle front sprocket
US20140041185A1 (en) Elastic tube alignment and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ly locating and attaching components
US9458876B2 (en) Elastically deformable alignment fastener and system
JP5815364B2 (ja) メンバマウント及びその組付構造
KR101134946B1 (ko) 차량용 범퍼빔의 조립방법
JP2009029296A (ja) 衝撃吸収部材
US11067117B2 (en) Ball-socket grommet
JP5634896B2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
CN102933860B (zh) 抽芯铆钉及使用抽芯铆钉的紧固配置
JP2007320552A (ja) 自動車用の自動車シャーシ
US20150102621A1 (en) Reconfigurable vehicle interior assembly
JP2019104463A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KR101433357B1 (ko) 차량 범퍼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
US10408293B2 (en) Rubber bearing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rubber bearing
KR102452685B1 (ko) 차량용 휠 공명기 장착 구조체 및 장착 방법
KR102024776B1 (ko) 인서트 사출 성형구조를 갖는 카울크로스맴버
KR101623190B1 (ko) 삽입조립형 카울크로스바
JP5840519B2 (ja) バンパー取付構造
KR102146262B1 (ko) 프레스 앤 피트 방식 체결기구
JP5542652B2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
KR101754001B1 (ko) 프레임 타입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 결합구조
KR20200101618A (ko) 변속레버 고정용 사출 브라켓
JP5654913B2 (ja) フランジ付き筒形防振ゴムの製造方法
TWI699299B (zh) 保險杠用橫樑
KR101764457B1 (ko) 분리형 패드를 구비한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