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515B1 - Plastic Cage for Ball Bearing with Buffer - Google Patents

Plastic Cage for Ball Bearing with Buff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515B1
KR101622515B1 KR1020150046435A KR20150046435A KR101622515B1 KR 101622515 B1 KR101622515 B1 KR 101622515B1 KR 1020150046435 A KR1020150046435 A KR 1020150046435A KR 20150046435 A KR20150046435 A KR 20150046435A KR 101622515 B1 KR101622515 B1 KR 101622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main body
layer portion
lay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희훈
이경구
추동균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유)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to KR102015004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5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5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87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ball ret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4Ball or roller bearings, e.g. with resilient roll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3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3843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formed as one-piece cages, i.e. monoblock cages
    • F16C33/3856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formed as one-piece cages, i.e. monoblock cages made from plastic, e.g. injection moulded window cag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ing-shaped main body; a plurality of protrusion units extended from the main body in the axial direction and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layer unit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end of the protrusion unit, provided to face each other between the adjacent protrusion units, having a curved surface toward a ball, spaced from the protrusion uni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ving a pocket unit provided between the layer units facing each oth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stic cage for a ball bearing with a buffer unit, having a slit formed between the layer unit and the protrusion unit.

Description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Plastic Cage for Ball Bearing with Buff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tic cage for a ball bearing,

본 발명은 볼 베어링에 구비되는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의 구동시 발생되는 볼과 케이지 사이의 외력이나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ge for a ball bea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stic cage for a ball bearing having a buffer for absorbing an external force or vibration between a ball and a cage generated when a bearing is driven.

볼 베어링은 베어링의 구동을 위하여 내륜과 외륜 사이에 볼을 전동체로 사용하는 베어링을 지칭하며, 일반적인 볼 베어링에는 전동체인 볼들에 가해지는 구동하중을 고르게 분배하기 위하여 볼의 원주방향 간격을 유지시키는 리테이너가 장착되게 된다.A ball bearing is a bearing which uses a ball as a rolling body between an inner ring and an outer ring for driving a bearing. A general ball bearing includes a retainer for maintaining a circumferential spacing of balls in order to evenly distribute a driving load applied to the rolling balls .

도 1은 종래기술의 다른예에 따른 베어링(2)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볼 베어링에 구비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리테이너의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체인 볼(30)과 접촉하여 구동되도록 내측으로 외륜궤도(11)가 형성된 외륜(10)과, 볼(30)과 접촉하여 구동되도록 외측으로 내륜궤도(21)가 형성된 내륜(20)과, 상기 외륜(10)과 내륜(20) 사이에 위치하여 외륜궤도(11)와 내륜궤도(21)의 사이에서 구름 접촉하면서 구동되는 복수의 볼(30)과, 상기 볼(3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리테이너(40)와, 베어링(2)의 내부로 대기중의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씰(50)로 이루어진다.FIG.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ring 2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portion of a conventional retainer provided in the ball bearing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S. 1 and 2, an outer ring 10 having an outer ring raceway 11 formed inside to be driven in contact with the ball 30 as shown in the drawing, An inner ring 20 having an inner ring raceway 21 and a plurality of balls 20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ring 10 and the inner ring 20 and driven in rolling contact between the outer ring raceway 11 and the inner ring raceway 21, A retainer 40 installed to keep the gap between the balls 30 and a seal 50 for prevent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bearing 2. [

종래기술에 의한 베어링(2)에 설치된 리테이너(40)의 구조 및 설치 방법을 설명하면, 리테이너(4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몸체부(41)와, 복수의 포켓(43)과 지지부(44)가 일정한 간격으로 몸체부(41)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44)의 상단에 리테이너(40)로부터 볼(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출부(42)가 상향으로 연장 구비되어 있다. 볼(30)을 내륜(20)과 외륜(10) 사이에 위치시키고 리테이너(40)를 외륜(10)과 내륜(20)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볼(30)이 리테이너(40)로 삽입 되도록 하여 리테이너(40)의 조립이 완료된다.The retainer 40 includes a body portion 41 formed integrally and a plurality of pockets 43 and a support portion 44. The body portion 4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tainer 40, And a support protrusion 42 for preventing the ball 30 from separating from the retainer 4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44 so as to extend upward. The ball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ring 20 and the outer ring 10 and the retainer 40 is pressed axially between the outer ring 10 and the inner ring 20 to insert the ball 30 into the retainer 40 So that the assembling of the retainer 40 is completed.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리테이너(40)는 볼(30)과 포켓(43)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베어링의 구동시 축 방향 또는 경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진동으로 인하여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어 베어링의 수명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리테이너에 틸팅이 발생되었을 시 리테이너가 볼로부터 탈락될 가능성이 있고, 지지돌출부가 가압하중에 의해 변형되거나 타손되어 불량률이 높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retainer 40,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ball 30 and the pockets 43 so that vibrations occur in the axial or radial direction when the bearings are driven, And the tilting of the retainer may cause the retainer to fall out of the ball, and 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deformed or damaged by a pressing load, resulting in a high defect rate.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9-0065044호Republic of Korea Pub. No. 10-2009-006504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레이어부로 이루어진 완충부를 구비하여 베어링의 구동시 진동이 방지되도록 하므로써 구동 소음 및 윤활유의 유출이 방지되고, 케이지에 틸팅이 발생되었을 시 볼로부터 케이지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a buffer part composed of a layer part is provided to prevent vibration during driving of the bearing, thereby preventing the driving noise and the lubricating oil from leaking. When tilting occurs in the cage, And a cushion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cushioning member from coming off.

본 발명은 본체와, 돌출부와, 레이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레이어부는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위치하여 구비되고, 이웃하는 돌출부 사이에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며, 볼을 향하는 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며; 마주하는 레이어부의 사이에 포켓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이어부와 돌출부 사이에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 protruding portion, and a layer por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in a ring shape; The protrusions extending axially from the body and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ayer por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and is provided facing each other between neighboring protrusions, and has a curved surface facing the ball,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A pocket portion is formed between facing layer portions; And a slit is formed between the layer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에서, 레이어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슬릿은 레이어부와 돌출부 사이에서 상향 개구되고 만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layer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And the slit is formed by upwardly opening and curved extension between the layer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에서, 레이어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레이어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layer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And the slit extends axially between the layer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에서, 레이어부의 단부는 돌출부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이어부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보다 축 방향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end of the layer portion is provided apart from the end of the protrus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layer portion is further projected in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end portion of the projecting portion.

상기에서, 레이어부는 돌출부에 연결되어 본체를 향하여 연장 구비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레이어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본체를 향하여 만곡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lay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and extends toward the main body; The slit is formed between the layer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and is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main body.

상기에서, 레이어부는 본체측의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lay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nd portions of the main body side are provid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에서, 레이어부의 단부 사이에는 안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본체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면에 볼이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홈이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a seating protrusion is provide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layer portion; The seating protrusion is protrud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and the groove is curved so that the ball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는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는 레이어부로 이루어진 완충부가 구비되어 베어링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과 윤활유의 유출이 방지되고, 케이지에 틸팅이 발생시 볼에서 케이지가 탈락되는 것이 방지되며, 볼의 장착성이 향상되어 조립 불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The plastic cage for a ball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ffer part formed of a layer part to prevent vibration generated during driving of the bearing and leakage of lubricating oil and prevent the cage from falling off the ball when tilting occurs in the cage , The mounting performance of the ball is improved and the defective assembly is reduced.

도 1은 종래의 리테이너를 구비한 볼 베어링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볼 베어링에 구비되는 종래의 리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플라스틱 케이지에 안착돌기가 구비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플라스틱 케이지의 포켓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에 구비되는 레이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플라스틱 케이지의 포켓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플라스틱 케이지 돌출부에 연장부가 구비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플라스틱 케이지의 포켓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슬릿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라스틱 케이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포켓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all bearing with a retain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tainer provided in the ball bearing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stic cage for a ball bearing having a cushion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plastic cage of FIG. 3 is provided with a seating protrus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cket portion of the plastic cage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layer portion provided in a plastic cage for a ball bearing having a cushion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cket portion of the plastic cage of Fig. 6,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plastic cage protrusion of FIG. 6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or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cket portion of the plastic cage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stic cage in which the slit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1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pocket portion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을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lastic cage for a ball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플라스틱 케이지에 안착돌기가 구비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플라스틱 케이지의 포켓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리용 플라스틱 케이지에 구비되는 레이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플라스틱 케이지의 포켓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플라스틱 케이지 돌출부에 연장부가 구비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플라스틱 케이지의 포켓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슬릿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라스틱 케이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포켓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stic cage for a ball bearing with a cushion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a seating protrusion is provided in the plastic cage of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layer portion provided in a plastic cage for a ball bearing with a cushion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cket portion of the plastic cage shown in Fig.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cket portion of the plastic cage of Fig. 8,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plastic cage of Fig. 8, and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plastic cage protrusion of Fig. Fig. 1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pocket portion of Fig. 10; Fig.

이하에서 베어링의 축이 삽입되는 방향을“축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aft of the bearing is inserted is referred to as " axial direction ".

도 3 내지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100)는 본체(111)와, 돌출부(113)와, 레이어부(117)로 이루어진다.
3 to 5, a plastic cage 100 for a ball bearing having a cushion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1, a protrusion 113, and a layer portion 117.

상기 본체(111)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The main body 111 is provided in a ring shape.

상기 돌출부(113)는 상기 본체(111)로부터 축 방향 일측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13)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13)의 원주 방향 양측면은 만곡되어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13)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3)의 상단에는 원주 방향 양측으로 연결부(1131)가 연장 구비된다.
The protrusion 113 extends from the main body 111 in one axial direction. The protrusions 1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oth side surfac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rojecting portion 113 are curved. The protruding portion 113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its 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end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113, a connecting portion 1131 is extended to both si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레이어부(117)는 상기 돌출부(113)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레이어부(117)는 상기 연결부(1131)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113)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레이어부(117)는 이웃하는 돌출부(113)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레이어부(117)는 상기 돌출부(113)를 따라 본체(111)쪽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레이어부(117)는 볼을 향하는 면이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레이어부(117)의 본체(111) 측 단부는 상기 본체(111)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레이어부(117)는 상기 돌출부(113)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The layer portion 117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13. The layer portion 117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13 by the connection portion 1131. The layer portion 117 is provided to face the adjacent protrusions 113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layer portion 117 is extended toward the main body 111 along the protrusion 113. The layer portion 117 has a concavely curved surface facing the ball. The end of the layer portion 117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11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11. The layer portion 117 is spaced from the protruding portion 11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따라서, 상기의 레이어부(117)는 스티어링 칼럼과 같은 저속 및 틸팅이 크게 작용하는 곳에 구비되는 베어링의 케이지에 구비되어 케이지에 틸팅이 발생될 시 캔틸레버 빔의 역할을 하여 볼로부터 케이지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ly, the layer portion 117 is provided in a cage of a bearing provided at a place where a low speed and a tilting greatly act, such as a steering column, and when the tilting is generated in the cage, the layer 117 functions as a cantilever beam, prevent.

상기 레이어부(117)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부(113)의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레이어부(117)는 연결부(1131)를 지나 축 방향으로 돌출된 레이어 연장부(117a)를 가질 수 있다. The layer portion 117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ortion 11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ayer portion 117 may have a layer extending portion 117a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131. [

따라서, 볼이 포켓(115)에 삽입될 때 볼이 상기 레이어 연장부(117a)에 접하여 연결부(1131)에 연결된 레이어부(117)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balls are inserted into the pockets 115, the balls are in contact with the layer extending portions 117a, and the layer portions 117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s 1131 can be easily deformed.

상기 연결부(1131)는 상기 돌출부(113)의 원주 방향 양측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131)의 일단은 돌출부(113)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131)의 타단은 상기 레이어부(117)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131)는 상기 돌출부(113)와 레이어부(117)의 사이에 구비된다.
The connection portions 1131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projection 11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13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113.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131 is connected to the layer portion 117. The connection portion 1131 is provided between the protrusion 113 and the layer portion 117.

마주하는 레이어부(117) 사이에는 포켓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포켓부(115)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포켓부(115)에는 볼이 삽입된다. 상기 포켓부(115)는 상향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A pocket portion 115 is formed between the opposing layer portions 117. The pocket portions 1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pocket portions 115. A ball is inserted into the pocket portion 115. The pocket portion 115 is formed in an upwardly opened shape.

상기 레이어부(117)는 상기 돌출부(113)로부터 이격되어 레이어부(117)와 돌출부(113) 사이에는 슬릿(119)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19)은 상기 돌출부(113)와 레이어부(117)의 원주 방향 측면을 따라 만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릿(119)은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The slit 119 is formed between the layer portion 117 and the protrusion 113 by separating the protrusion 113 from the layer portion 117. The slit 119 is curv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ide surfaces of the protrusion 113 and the layer portion 117. The slit 119 is formed radially.

상기의 슬릿(119)이 형성됨으로써 볼이 케이지의 포켓부(115)로 삽입 조립될 시 레이어부(117)가 상기 돌출부(113) 쪽으로 밀려 조립 저항이 감소된다. 따라서 베어링의 생산 공정시 발생할 수 있는 조립 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윤활유의 저장소 역할을 하여 베어링에 원활한 윤활제 공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ball is inserted into the pocket portion 115 of the cage by forming the slit 119, the layer portion 117 is pushed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113, so that the assembling resistance is reduced. Therefore, not only the assembly failure which may occur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bearing is prevented, but also the lubricant can be supplied to the bearing by providing a lubricant storag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어부(117)의 단부 사이에는 안착돌기(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112)의 양측은 레이어부(117)의 마주하는 단부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안착돌기(112)는 상기 본체(111)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안착돌기(112)의 상면에는 볼이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만곡되어 본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4 and 5, a seating protrusion 11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layer portion 117. As shown in FIG. Both sides of the mounting projection 112 are spaced apart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layer portion 117. The seating protrusion 112 protrudes axially from the main body 111. A recess (not show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rotrusion 112 to recess the ball. The grooves are curved and concave toward the main body side.

따라서, 상기의 안착돌기(112)가 구비됨으로써 포켓부(115)로 삽입된 볼을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by providing the seating protrusion 112, the ball inserted into the pocket portion 115 can be stably supported.

도 6 내지 도 10은 상기 본체(111)에 구비되는 레이어부(117)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레이어부(117)는 상기 본체(111)로부터 돌출부(113)가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레이어부(117)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부(113)의 양측에 구비된다. 이웃하는 돌출부(113) 사이에서 서로 마주하는 레이어부(117) 사이에 포켓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레이어부(117)의 볼을 향하는 방향을 만곡되어 구비된다. 상기 레이어부(117)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113)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FIGS. 6 to 10 show a modified example of the layer portion 117 provided in the main body 111. FIG. The layer portion 117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113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111. The layer portion 117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ortion 11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ocket portion 115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protruding portions 113 and between the layer portions 117 facing each other. And is curv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ll of the layer portion 117. The layer portion 117 is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11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돌출부(113)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원주 방향 양측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1133)가 구비된다.The protruding portion 113 is provided with an extending portion 1133 protruding axially from both si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레이어부(117)는 연장부(1133)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레이어부(117)의 상단은 상기 돌출부(113) 상단보다 축 방향으로 더 돌출 구비된다.
The layer portion 117 is spaced apart from the extended portion 1133. The upper end of the layer 117 protrudes further in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113.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3)의 상단에는 연장부(1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33)는 상기 레이어부(117)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1133)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113)의 상단보다 축 방향으로 더 돌출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1133)는 상기 레이어부(117)로부터 원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8 to 9, an extension 1133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113. As shown in FIG. The extended portion 1133 extend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yer portion 117 extends. The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1133 is further projected in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upper end of the projecting portion 113. The extended portion 1133 is spaced away from the layer portion 117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레이어부(117)와 상기 돌출부(113)의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19)은 상기 레이어부(117)와 돌출부(113)의 원주 방향 측면을 따라 만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릿(119)은 상향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A slit is formed between the layer portion 117 and the protruding portion 113. The slit 119 is formed to be curv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ide surfaces of the layer portion 117 and the protrusion 113. The slit 119 is formed in an upwardly open form.

상기의 연장부(1133)가 구비됨으로써 케이지에 볼이 삽입 결합될 시 레이어부(117)가 슬릿(119)측으로 과도하게 밀리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The extension portion 1133 prevents the layer portion 117 from being excessively pushed toward the slit 119 when the ball is inserted into the cage.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어부(117)의 볼로부터 먼 원주 방향 측면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직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10 to 11, the circumferential side surface remote from the ball of the layer portion 117 may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b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상기 돌출부(113)의 원부 방향 측면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직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13 may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b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상기 레이어부(117)와 돌출부(113)의 사이에는 슬릿(119)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19)은 축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릿(119)은 상향 개구되어 형성된다.A slit 119 is formed between the layer portion 117 and the protruding portion 113. The slit 119 is formed to extend straight in the axial direction. The slit 119 is formed to open upward.

따라서, 축 방향으로 곧게 형성된 슬릿(119)으로 인하여 케이지 제작 공정시에 케이지의 성형을 완료한 후 금형이 후퇴될 시 직선으로 형성된 슬릿(119)으로 인하여 성형시 발생할 수 있는 레이어부(117)의 스크레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된다.Therefore, when the mold is retreated after the cage is formed in the cag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the slit 119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slit 119, which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when the mold is retreated, Scratches, deformation and breakage are prevented.

상기 레이어부(117)는 포켓부(115)를 형성하며, 돌출부(113)로부터 이격되어 완충부를 형성한다.The layer portion 117 forms a pocket portion 115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protruding portion 113 to form a buffer portion.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를 구비한 볼베어리용 플라스틱 케이지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Up to now, the plastic cage for a ball bearing with a cushion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it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 will understand that.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리용 플라스틱 케이지
111: 본체 112: 안착돌기
113: 돌출부 115: 포켓부
117: 레이어부 119: 슬릿
100: Plastic cage for ball bearings with buffer
111: main body 112:
113: protrusion 115: pocket portion
117: Layer part 119: Slit

Claims (7)

본체(111)와, 돌출부(113)와, 레이어부(117)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11)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13)는 상기 본체(111)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레이어부(117)는 상기 돌출부(113)의 양측에 위치되며, 이웃하는 돌출부(113) 사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13)에 연결되어 본체(111)를 향하여 연장 구비되며, 볼을 향하는 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13)로부터 이격 구비되며; 마주하는 레이어부(117)의 사이에 포켓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레이어부(117)와 돌출부(113) 사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1131)가 구비되어 슬릿(119)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119)은 본체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
A main body 111, a protrusion 113, and a layer portion 117; The main body 111 is provided in a ring shape; The protrusions 113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111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ayer portion 117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113 and is opposed to each other between the adjacent protrusions 113. The protrusion 113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13 and extends toward the main body 111, A surface facing the ball is provided in a curved shap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projection 113; A pocket portion 115 is formed between the opposing layer portions 117;
A slit 119 is formed between the layer 117 and the protruding part 113 so as t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lit 119 extends toward the main body. A plastic cage for ball bearings with par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부(117)는 상기 본체(111)로부터 돌출부(113)가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슬릿(119)은 레이어부(117)와 돌출부(113) 사이에서 상향 개구되고 만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ayer portion (117)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113)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111); Wherein the slit (119) is formed upwardly and curvedly extended between the layer portion (117) and the protruding portion (1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부(117)는 상기 본체(111)로부터 돌출부(113)가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슬릿(119)은 상기 레이어부(117)와 상기 돌출부(113)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ayer portion (117)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113)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111); Wherein the slit (119) extends axially between the layer portion (117) and the protrusion (113).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부(117)의 단부는 돌출부(113)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이어부(117)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113)의 단부보다 축 방향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The optical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end of the layer portion (117)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protrusion (113); Wherein the end of the layer portion (117) is further projected in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113).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부(117)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The plastic cage for a ball bear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portions of the layer portion (117)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부(117)의 단부 사이에는 안착돌기(112)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돌기(112)는 상기 본체(111)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면에 볼이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홈이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볼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a seating protrusion (112) is provided between the ends of the layer section (117); Wherein the seating protrusion (112) is protrud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111), and the groove is curved concavely so that the ball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KR1020150046435A 2015-04-01 2015-04-01 Plastic Cage for Ball Bearing with Buffer KR101622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435A KR101622515B1 (en) 2015-04-01 2015-04-01 Plastic Cage for Ball Bearing with Buf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435A KR101622515B1 (en) 2015-04-01 2015-04-01 Plastic Cage for Ball Bearing with Buff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941A Division KR20160118158A (en) 2016-04-05 2016-04-05 Plastic Cage for Ball Bearing with Buff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515B1 true KR101622515B1 (en) 2016-05-18

Family

ID=5611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435A KR101622515B1 (en) 2015-04-01 2015-04-01 Plastic Cage for Ball Bearing with Buff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51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7514A (en) * 2006-06-06 2007-12-20 Nsk Ltd Ball bearing
JP2012137177A (en) * 2010-12-10 2012-07-19 Jtekt Corp Retainer for ball bearing and ball bearing
KR101503173B1 (en) 2013-11-20 2015-03-16 셰플러코리아(유) Retainer for ball bea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7514A (en) * 2006-06-06 2007-12-20 Nsk Ltd Ball bearing
JP2012137177A (en) * 2010-12-10 2012-07-19 Jtekt Corp Retainer for ball bearing and ball bearing
KR101503173B1 (en) 2013-11-20 2015-03-16 셰플러코리아(유) Retainer for ball bea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57361A1 (en) Box Type Sealing Structure and Conical Roller Bearing
KR20200095456A (en) Sealing device for wheel bearings
US6939052B1 (en) Bearing with integrated mounting features
WO2016143472A1 (en) Retainer for bearing and bearing
JP2007239993A (en) Pre-loaded bearing device
JP2018109448A (en) Conical roller bearing
KR101878548B1 (en) Bearing having a retainer
KR20160118158A (en) Plastic Cage for Ball Bearing with Buffer
KR101622515B1 (en) Plastic Cage for Ball Bearing with Buffer
KR101815764B1 (en) wheel bearing having a flinger with rubber for prevention water-inflow
JP2009074589A (en) Sealing device
US8596874B2 (en) Bearing in irregular shaped housings
JP6323037B2 (en) Cage for roller bearing and roller bearing
KR101734691B1 (en) A Flinger For Bearing Having Preventing Means for Bending
KR20170036835A (en) Seal for rolling bearing
JP2015075218A (en) Roller bearing with seal device
KR102355566B1 (en) Angular ball bearings, bearing units and headstock units
KR102102940B1 (en) A Rolling Bearing Having Improved Heat Emitting Capability
KR102064502B1 (en) A Cage For Ball Bearing
JP7003683B2 (en) Angular contact ball bearings, bearing devices, and spindle devices
KR101986988B1 (en) A Cage For Ball Bearing
JP4822123B2 (en) Oilless compressor
KR20190071191A (en) A Cartridge Seal For Rolling Bearing
JP2009287626A (en) Rolling bearing device
KR20230129644A (en) A rolling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