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416B1 -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 Google Patents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416B1
KR101621416B1 KR1020150142196A KR20150142196A KR101621416B1 KR 101621416 B1 KR101621416 B1 KR 101621416B1 KR 1020150142196 A KR1020150142196 A KR 1020150142196A KR 20150142196 A KR20150142196 A KR 20150142196A KR 101621416 B1 KR101621416 B1 KR 10162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al
cap
protective agent
nasal cavit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현
Original Assignee
정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현 filed Critical 정승현
Priority to KR102015014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4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oin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비강 보호제가 들어있는 용기에 사용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에 있어서, 보호제가 나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ole)을 포함하는 몸체; 그리고, 몸체에 형성되는 날개;로서, 홀과 몸체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CAP OF CONTAINER FOR NASAL CAVITY PROTECTAN}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강 보호제를 비강 내의 점막에 잘 바를 수 있도록 날개가 구비된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9737호에 제시된 비강용 연고 도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코(8) 내부의 비강(9) 내의 상처 등에 연고를 위생적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한 연고 도포기(1)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고튜브(2)와 나사 결합되는 본체부(3)와 본체부 내측에 형성되며, 본체부(3)의 전방에 길게 막대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선단이 반구형으로 구성된 삽입봉(5)과 첨단부측과 연통되도록 삽입봉(5)의 선단 측방에 형성한 연고 배출공(6)을 포함한다. 삽입봉(5)으로 문질러 연고를 발라줄 때, 많은 움직임이 필요하며, 연약한 비강 내의 점막에 움직임으로 인한 상처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3705호에 제시된 연고 튜브용 투약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측에 액상의 약이나 연고를 담는 용기(31)와 나사식 또는 접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부(11)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11)는 연결관(12)를 가지며, 상기 연결관(12)의 끝에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분출공(14)을 가진다. 연결관(12)에 문지름 부위를 형성함에 있어, 연결관(12)의 단부를 구형(13)으로 둥글게 형성한다. 분출공(14)이 끝단에 형성되어, 연고가 비강 깊이 흡인될 수 있어 부작용 및 불편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비강 보호제가 들어있는 용기에 사용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에 있어서, 보호제가 나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ole)을 포함하는 몸체; 그리고, 몸체에 형성되는 날개;로서, 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이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9737호에 제시된 비강용 연고 도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3705호에 제시된 연고 튜브용 투약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을 이용해 비강 내에서 사용하는 모습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강 보호제(400)가 들어있는 비강 보호제 용기(500)에 결합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은 몸체(100) 및 날개(2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01;hole)을 포함한다. 몸체(100)는 비강 보호제 용기(500)와 연결할 수 있고, 비강 보호제(400)가 홀(101)을 통과하기 전까지 비강 보호제(400)는 일정부분 몸체(100) 내에 머무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강 보호제(400)는 약 15g 정도가 몸체(100)에 머무를 수 있다. 비강 보호제(400)는 몸체(100)를 비강 내의 점막에 문질러 비강 보호제(400)를 비강 내의 점막에 바를 수 있다. 비강에 쉽게 들어가기 위해 몸체(100)의 둘레가 몸체(100)의 상단(600)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0)는 비강 내의 점막에 밀착될수록 비강 보호제(400)를 고르게 바를 수 있다. 압력에 의해서 몸체(100)의 형상이 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플라스틱,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료용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101)은 비강 보호제(400)의 점도에 따라 알맞은 크기와 모양으로 바뀔 수 있다.
날개(200)는 몸체(100)에 형성되며, 홀(101)과 몸체(100)의 상단(600) 사이에 형성된다. 날개(200)는 몸체(100)를 둘러쌀 수 있다. 날개(200)는 몸체(100)에 디스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200)는 홀(101)에서 나온 비강 보호제(400)가 비강 깊숙히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주고, 홀(101)에서 나온 비강 보호제(400)를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이 비강으로부터 나올 때, 비강 내 점막에 발라줄 수 있다.
날개(200)는 상면(201)과 하면(202)을 가질 수 있다. 비강으로 들어갈 때, 날개(200)의 상면(201)은 비강 내의 점막과 접촉할 수 있다. 날개(200)의 하면(202)은 홀(101)에서 나온 비강 보호제(400)가 비강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비강에서 나올 때, 날개(200) 하면(202)은 홀(101)에서 나온 비강 보호제(400)를 골고루 펴 발라줄 수 있다. 날개(200)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위 아래로 잘 굽혀질 수 있다. 날개(200)는 탄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와 같이 홀(101)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101)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101)이 몸체(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날개(200)는 몸체(100)에 형성되며, 날개(200)는 몸체(100)를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날개(200)는 몸체(100)에 디스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개(200)는 0.3mm 두께를 가지고, 2mm의 길이(103)를 가진다.
예를 들면,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은 34mm의 높이를 가지고, 몸체(100)의 둘레 중 가장 두꺼운 부분은 14mm 이며, 몸체(100)의 둘레 중 가장 얇은 부분은 9mm이다.
도 4(b)는 도 4(a)의 B-B'의 단면도이다. 홀(101)은 몸체(100)의 둘레를 따라 60도 간격으로 6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360도 전방향으로 도포가능하다.
도 4(c)는 홀(101)을 확대한 그림이다. 홀(101)은 장축(111)과 단축(112)을 가지고, 장축(111)이 몸체(100)의 둘레 방향과 수직이 된다. 예를 들면, 홀(101)의 장축(111)은 13mm이며, 단축(112)은 1mm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날개(200)가 두 개 이상일 때, 각각의 날개(200)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날개(200) 사이에 홀(101)이 형성되면, 날개(200)가 홀(101)에서 나온 비강 보호제를 비강 내의 점막에 바르기가 힘들다. 비강 내의 점막에 고르게 비강 보호제를 바르기 위해서, 홀(101) 위에 날개(200)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강 내를 몸체(100)가 위 아래로 움직이면서 홀(101)에서 나온 비강 보호제를 날개(200)가 비강 내 점막에 고르게 바를 수 있기 때문이다.
날개(2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일 수 있고, 각각의 날개(200)는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날개(200)는 일정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날개(200)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200)는 몸체(100)에 대해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의 경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분리형의 경우, 날개(200)가 손상되면 교체할 수 있다.
몸체(100)의 상단(600)이 뾰족하면 비강 내의 점막에 닿을 때 상처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상단(600)에 굴곡이 있거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면 비강에 걸림 없이 들어가는 것이 힘들다. 비강 내에 몸체(100)를 넣을 때, 상처나 걸림 없이 넣을 수 있도록 몸체(100)의 상단(600)이 라운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강 보호제 용기(500)는 돌기(501)를 가지며, 비강 보호제 용기(500)의 돌기(501)와 결합하는 홈(102)을 몸체(100)는 포함한다.
도 6(a)와 같이 비강 보호제 용기(500)의 돌기(501)와 몸체(100)의 홈(102)은 결합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비강 보호제 용기(500)와 몸체(100)는 나사결합 할 수 있다.
결합부위에서 돌기(501)는 몸체(100)에 구비될 수 있고, 홈(102)은 비강 보호제 용기(5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은 몸체(100)를 덮는 덮개(300;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과 비강 보호제 용기(500)를 사용 후 보관할 때,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100)를 덮는 덮개(300)를 덮어 보관할 수 있다. 덮개(300)는 외부로부터 몸체(100)를 보호하고, 비강 보호제(400)가 덮개(300)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의 몸체(100)가 다각형으로 생긴 예이다.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할 수 있다.
도 8(b)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이 성인용, 청소년용, 소아용, 유아용으로 형성되는 예이다.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 비강의 크기에 따라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의 몸체(100)의 사이즈를 달리한 예이다. 비강 보호제 용기(500)와 결합하는 몸체(100)의 둘레는 일정하고, 비강의 크기에 따라 몸체(100)의 높이, 홀(101)의 크기 및 개수, 날개(200)의 크기 등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을 이용해 비강 내에서 사용하는 모습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비강 내에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이 들어가 있는 옆 모습이다. 도 9(b)와 같이 비강 보호제 용기(500)에 결합한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을 비강(700)에 넣는다. 이때, 날개(200)의 상면(201)과 비강(700) 내의 점막이 닿으면서 날개(200)는 아래 방향으로 휘어져 비강(700) 속에 들어갈 수 있다. 비강(700) 속에서 날개(200)는 탄성을 이용해 펴질 수 있다. 비강 보호제 용기(500)를 누르면 비강 보호제(400)가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의 홀(101)을 통해 비강(700) 내 점막을 향하여 나온다. 이때, 날개(200)는 비강 보호제(400)가 비강(700) 깊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비강 보호제(400)는 몸체(100)를 이용해 비강(700) 내의 점막에 발라질 수 있다. 도 9(c)와 같이 비강(700) 밖으로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을 뺄 때, 날개(200)는 비강 보호제(400)를 비강(700) 내의 점막에 발라주면서 나온다. 이때, 날개(200)는 위 방향으로 휘어져, 날개(200)의 하면(202)이 비강(700) 내 점막에 비강 보호제(400)를 발라주면서 비강(700)을 나온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비강 보호제가 들어있는 용기에 사용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에 있어서, 보호제가 나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ole)을 포함하는 몸체; 그리고, 몸체에 형성되는 날개;로서, 홀과 몸체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2) 날개는 몸체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3) 날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며, 복수의 날개는 몸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4) 날개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5) 홀은 단축과 장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6) 홀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7) 날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날개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홀 위에 각각의 날개는 형성되어, 홀과 날개는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8)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을 덮는 덮개(co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9) 몸체의 상단은 라운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10) 몸체는 몸체의 둘레가 몸체의 상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11) 날개는 디스크 형태로 몸체를 둘러싸고,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홀은 단축과 장축을 가지고,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되며, 장축은 몸체의 둘레에 수직으로 되고, 복수의 홀은 일정한 간격으로 몸체 둘레 전체에 형성되며, 몸체는 몸체의 둘레가 몸체의 상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며, 몸체의 상단은 라운드로 형성되며,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본 개시에 의하면, 위생적으로 고르게 비강 보호제를 바를 수 있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몸체가 비강에 밀착하며, 몸체를 이용하여 비강에 비강 보호제를 바를 수 있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비강 보호제를 비강 내 점막에 고르게 펴주고, 홀에서 나온 비강 보호제가 비강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을 제공한다.

Claims (11)

  1. 연고형 비강 보호제(400)가 들어있는 용기(500)에 사용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에 있어서,
    비강 보호제(400)가 나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01; hole)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홀(101)을 통과하기 전까지 용기(500)로부터 공급된 비강 보호제(400)가 그 내부에 머무를 수 있고, 라운드된 상단(600)을 가지며, 라운드된 상단(600으로 갈수록 둘레가 갈수록 작아지는 몸체(100);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01)의 위에서, 그리고 라운드된 상단(600) 아래에서 몸체(100)에 형성되는 단일의 디스크 형태의 날개(200);로서,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이 비강(700)에서 나올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01)에서 나온 비강 보호제(400)를 점막에 골고루 펴 발라주는 날개(2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01) 각각은 장축(111)과 단축(112)을 가지며, 장축(111)이 몸체(100)의 둘레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
  2. 삭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01)은 몸체(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단일의 디스크 형태의 날개(200)는 몸체(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날개(200) 각각은 복수 개의 홀(100) 각각에 대응하도록 그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
  6. 삭제
  7.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및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개(2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10).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42196A 2015-10-12 2015-10-12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KR101621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96A KR101621416B1 (ko) 2015-10-12 2015-10-12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96A KR101621416B1 (ko) 2015-10-12 2015-10-12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416B1 true KR101621416B1 (ko) 2016-05-17

Family

ID=5610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196A KR101621416B1 (ko) 2015-10-12 2015-10-12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4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755Y1 (ko) 1995-05-03 1999-07-15 송창빈 비강 세척기
JP2004201766A (ja) 2002-12-24 2004-07-22 Fumakilla Ltd 鼻腔内塗布器
KR101064106B1 (ko) * 2010-06-08 2011-09-30 한상관 목 젓 또는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과 이물질을 소독하여 주는 다기능 소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755Y1 (ko) 1995-05-03 1999-07-15 송창빈 비강 세척기
JP2004201766A (ja) 2002-12-24 2004-07-22 Fumakilla Ltd 鼻腔内塗布器
KR101064106B1 (ko) * 2010-06-08 2011-09-30 한상관 목 젓 또는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과 이물질을 소독하여 주는 다기능 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91955B (zh) 安全式胰岛素笔针
US9987103B1 (en) Orthodontic protection device
US2898911A (en) Ophthalmic dispenser
CN108348691B (zh) 注射器
US20160038339A1 (en) Eyedropper with improved stability and method of administering a liquid onto the surface of an eye
US11129967B2 (en) Medical tube holder
WO2015186792A1 (ja) シリンジキャップ、針付シリンジ、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製剤
US20160213570A1 (en) Oral administration device
US9669201B2 (en) Applicator for use with ointment and method of use
US2623523A (en) Anthnfection spreading shield
KR101621416B1 (ko) 비강 보호제 용기용 캡
US10610670B2 (en) Catheter fixture
US20170056241A1 (en) Eye Drop Applicator
KR20160062637A (ko) 투입이 용이한 안약 용기
US20150209228A1 (en) Squeezable Ampule with Breakable Seal in Nose Bleed Kit
US20150209191A1 (en) Nose bleed kit
PT93091B (pt) Dispositivo de escovagem, nomeadamente, de dentes, para uma unica utilizacao , descartavel apos o uso
CN108290012A (zh) 用于医疗注射器的t形帽
KR20160001595U (ko) 점안액 투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액 투약 장치
CN105147371B (zh) 一种心血管麻醉式介入治疗装置
CN206214523U (zh) 一种药液注射装置
WO2016041458A1 (zh) 一种处理伤口并可用作量杯的防护罩
KR101711725B1 (ko) 일회용주사기 밀착 고정장치
KR200497888Y1 (ko) 바이알 홀더
US20120165763A1 (en) Eye medication appl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