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247B1 -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247B1
KR101621247B1 KR1020100017710A KR20100017710A KR101621247B1 KR 101621247 B1 KR101621247 B1 KR 101621247B1 KR 1020100017710 A KR1020100017710 A KR 1020100017710A KR 20100017710 A KR20100017710 A KR 20100017710A KR 101621247 B1 KR101621247 B1 KR 10162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inlet port
refrigerant inlet
valve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215A (ko
Inventor
이건호
장영일
채승범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두원학원
주식회사 두원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두원학원, 주식회사 두원전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두원학원
Priority to KR102010001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2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16K17/24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 F16K17/28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는,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밸브체; 상기 밸브하우징의 개방된 단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밸브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냉매 유입구는 밸브체의 냉매 수압면적이 증대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냉매의 토출압이 순간적으로 낮아져 토출압의 작동차압에 의해 밸브체의 개폐가 반복될 때에도 타격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CHECK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본 발명은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압의 차압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반복될 때에도 타격음이 발생하지 않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냉방 시스템에 포함되는 압축기는 벨트를 통해 엔진에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수를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근래에는 엔진의 회전수에 의해 규제되는 경우 없이 냉방 능력을 얻기 위해 냉매의 토출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용량가변형 압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용량가변형 압축기로는 사판식, 로터리식 및 스크롤식 등 다양한 종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중 사판식 압축기는, 크랭크실 내에서 경사각이 가변되도록 설치된 사판이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사판의 회전운동에 의해 피스톤이 왕복운동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흡입실의 냉매가 실린더 내에 흡입되어 압축된 후 토출실로 배출되는데, 상기 크랭크실 내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 내의 압력 차이에 따라 사판의 경사각이 변화하여 냉매의 토출량이 조절되게 된다.
특히, 전자 솔레노이드식 용량제어밸브를 채택하여 통전에 의해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크랭크실의 압력을 조정하고, 이를 통해 사판의 경사각을 조정하여 토출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용량제어밸브의 가동은, 검지된 엔진의 회전수, 차실 내외의 온도 또는 증발기 온도 등의 신호가 CPU 등을 내장하는 제어부에 의해 연산되고, 그 연산결과에 근거하여 전류가 용량제어밸브의 전자코일로 보내짐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토출실과 연통된 토출구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압축기의 최소용량 운전시에 냉매의 역류를 방지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체크밸브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체크밸브(1)는, 토출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2a)와 토출냉매가 배출되는 냉매 배출구(2b)가 각각 형성되는 밸브하우징(2)과, 상기 밸브하우징(2)의 내부를 왕복 운동하며 상기 냉매 유입구(2a)와 냉매 배출구(2b)를 개폐하는 밸브체(3)와, 상기 밸브하우징(2)의 개방된 단부를 덮는 커버(4) 및 상기 커버(4)와 밸브체(3)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5)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체크밸브(1)는 압축기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최소용량 운전시(저압토출시)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체크밸브(1)에 따르면 토출압(Pd)에 의해 밸브체(3)가 냉매 유입구(2a)와 냉매 배출구(2b)를 개방하고(도 1a), 그로 인해 토출압(Pd)이 하강하여 차압이 발생하게 되면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체(3)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체(3)와 밸브하우징(2)의 대향면이 맞부딪치며 타격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압의 차압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반복될 때에도 타격음이 발생하지 않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 수압면적의 증대를 도모하여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는,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밸브체; 상기 밸브하우징의 개방된 단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밸브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냉매 유입구는 밸브체의 냉매 수압면적이 증대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매 유입구는 중앙의 제1냉매 유입구와 상기 제1냉매 유입구의 주변에 형성된 제2냉매 유입구로 구분되며, 상기 제2 냉매유입구는 제1냉매 유입구와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제1냉매 유입구에서 분기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냉매 유입구는 제1냉매 유입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냉매 유입구는 입구와 출구 사이에 단면적이 변화되는 구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냉매 유입구의 단면적 변화구간은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냉매 유입구의 냉매 흐름 방향으로 1/2 이상인 구간부터 제2냉매 유입구의 출구까지 단면적이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밸브하우징에는 상기 밸브체에 대향하도록 냉매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밸브체에는 냉매수용홈에 대응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제1냉매 유입구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제1수압부 및 상기 제1수압부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냉매 유입구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2수압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가 폐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수압부가 냉매 배출구를 폐쇄하여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는 시점이 밸브체와 밸브하우징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는 시점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밸브체가 폐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수압부가 제1냉매 유입구를 폐쇄하여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는 시점이 밸브체와 밸브하우징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는 시점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에 따르면, 냉매의 토출압이 순간적으로 낮아져 토출압의 차압에 의해 밸브체의 개폐가 반복될 때에도 타격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밸브체의 제2수압부와 제1수압부가 냉매 배출구와 제1냉매 유입구를 폐쇄하여 토출압의 상승을 유도하여 밸브체의 이동을 억제하므로 밸브체와 밸브하우징의 대향면이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밸브체는 제1,2냉매유입구에 의해 냉매 수압면적의 증대를 도모하여 작동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상기 밸브체의 개폐방향으로의 반복적인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한다.
또한, 제2냉매 유입구의 출구 측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냉매의 역류가 방지된다.
또한, 냉매수용홈에 잔류하는 냉매가 댐퍼 기능을 수행하여 타격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를 도시한 종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가 설치된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가 설치된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C)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 보어(12)를 가지는 실린더 블럭(10)과, 상기 실린더 블럭(10)의 전방에 밀폐 결합된 전방 하우징(16)과, 상기 실린더 블럭(10)의 후방에 밸브 플레이트(20)를 개재하여 밀폐 결합된 후방 하우징(18)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하우징(16)의 안쪽에는 크랭크실(86)이 마련되며, 전방 하우징(16)의 중심 부근에는 구동축(44)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상기 구동축(44)의 타단은 상기 크랭크실(86)을 통과하여 실린더 블럭(10)에 설치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실(86) 내에는 구동축(44) 둘레에 러그 플레이트(54)와 사판(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러그 플레이트(54)에는, 중앙부에 가이드홀(64)이 각각 직선 천공된 한쌍의 동력전달용 지지 암(62)이 일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판(50)의 일면에는 볼(6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러그 플레이트(5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사판(50)의 볼(66)이 러그 플레이트(54)의 가이드홀(64)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사판(50)의 경사각이 가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판(50)의 외주면은 슈(76)를 개재하여 각 피스톤(14)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사판(50)이 경사된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그 외주면에 슈(76)를 개재하여 끼워진 피스톤(14)들은 상기 실린더 블럭(10)의 각 실린더 보어(12) 내에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하우징(18)에는 흡입실(22)과 토출실(2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후방 하우징(18)과 실린더 블럭(10)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 플레이트(20)에는 각 실린더 보어(12)에 대응하는 곳에 흡입밸브(32)와 토출밸브(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4)의 왕복운동에 의해 흡입실(22)의 냉매가 실린더 보어(12) 내에 흡입되어 압축된 후 토출실(24)로 배출되는데, 상기 크랭크실(86) 내의 압력과 실린더보어(12)의 압력 차이에 따라 사판(50)의 경사각이 변화하여 냉매의 토출량이 조절되는데, 이는 통전에 의해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크랭크실(86)의 압력을 조정하고, 이를 통해 사판(50)의 경사각을 조정하여 토출용량을 조절하는 용량제어밸브(200)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보통이다.
아울러, 상기 후방 하우징(18)에는 토출실(24)과 연통된 토출구(25)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25)에는 설정차압 이상에서 압축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배출된 냉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100)가 설치된다.
전술한 압축기는 본원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그 밖의 다양한 형식의 용량가변형 압축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100)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100)는, 토출실(24)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다음 냉각 사이클로 보내주는 작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크게 밸브하우징(110)과, 상기 밸브하우징(110) 내에 설치되는 밸브체(120) 및 상기 밸브체(120)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밸브 하우징(110)은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소경부(111)와 대경부(112)로 구획된다.
상기 소경부(111)의 중심에는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114)가 형성되며, 그 외경 둘레에는 토출구(25)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링(o)이 끼워진다.
아울러, 상기 대경부(112)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체(120)와 스프링(130)이 차례대로 설치되며, 그 외경 둘레에는 상기 냉매 유입구(114)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배출시키는 냉매 배출구(1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대경부(112)의 일단은 개방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개방부위는 별도의 커버(140)에 의해 마감 결합된다. 상기 커버(140)에 의해 지지된 스프링(130)은 탄성적으로 밸브체(12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밸브체(120)는 냉매 유입구(114)를 통한 냉매의 토출압(Pd)에 의해 상기 스프링(130)을 압축하며 상기 냉매 유입구(114)와 냉매 배출구(115)를 개방함으로써 압축된 냉매를 배출한다(도 3a, 도 4a).
한편, 상기 밸브체(120)의 개방에 의해 냉매가 배출되면 냉매의 토출압(Pd)이 순간적으로 하강하여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체(120)는 페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때 밸브체(120)와 밸브하우징(110)의 대향면이 부딪침이 발생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냉매 유입구(114)는 밸브체(120)의 냉매 수압면적이 증대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냉매 유입구(114)는 제1냉매 유입구(114a)와 제2냉매 유입구(114b)로 구분 형성되어 상기 밸브체(120)의 냉매 수압면적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제1냉매 유입구(114a)는 밸브체(120)의 중심면을 향해 냉매의 압력을 작용시키며, 상기 제2냉매 유입구(114b)는 밸브체(120)의 외주와 인접하는 면을 향해 냉매의 압력을 작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체크밸브(100)는 개폐시에 차압이 크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밸브체(120)는 제1,2냉매유입구(114a,114b)에 의해 냉매 수압면적의 증대를 도모하여 작동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상기 밸브체(120)의 수압면에 고르게 토출압이 작용하여 밸브체(120)의 개폐방향으로의 반복적인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타격음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냉매유입구(114b)는 도 3과 같이 제1냉매 유입구(114a)와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도 4와 같이 제1냉매 유입구(114a)에서 분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냉매 유입구(114b)는 제1냉매 유입구(114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냉매 유입구(114b)는 입구와 출구 사이에 단면적이 변화되는 구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냉매 유입구(114b)의 단면적 변화구간은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냉매 유입구(114b)의 냉매 흐름 방향으로 1/2 이상인 구간부터 제2냉매 유입구(114b)의 출구까지 단면적이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냉매 유입구(114b)의 단면적이 감소하는 출구에 의해 냉매의 역류가 방지된다. 즉, 상기 제2냉매 유입구(114b)의 출구는 단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출구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밸브체(120)는 상기 제1냉매 유입구(114a)에 대응되는 제1수압부(121) 및 상기 제1수압부(121)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냉매 유입구(114b)와 냉매 배출구(115)에 대응되는 제2수압부(122)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체(120)가 폐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수압부(122)가 냉매 배출구(115)를 폐쇄하여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는 시점이 상기 밸브체(120)의 제2수압부(122)와 밸브하우징(110)의 소경부(111)가 서로 접촉되는 시점보다 빠르도록 형성하여 타격음을 방지하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밸브체(120)가 폐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수압부(121)가 제1냉매 유입구(114a)를 폐쇄하여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는 시점이 상기 밸브체(120)의 제2수압부(122)와 밸브하우징(110)의 소경부(111)가 서로 접촉되는 시점보다 빠르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냉매의 토출압이 순간적으로 낮아질 때, 상기 밸브체(120)와 밸브하우징(110)의 대향면이 서로 부딪치기 전에 상기 제2수압부(122) 또는 제1수압부(121)가 냉매 배출구(115) 또는 제1냉매 유입구(114a)를 폐쇄(도 3b, 도 4b)하여 토출압(Pd)이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밸브체(120)의 폐변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여 타격음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체(120)의 제1,2수압부(121,122)는 제1,2냉매 유입구(114a,114b)를 통해 냉매가 각각 유입되어 토출압이 작용하므로 타격음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130)은 일단이 상기 커버(140)에 끼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체(120)를 가압하는 상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130)은 그 탄성계수의 크기에 따라 이동부재(120)가 개폐되는 압력차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2수압부(122)와 대면하는 밸브하우징(110)의 대향면으로 냉매수용홈(113)이 형성된다. 즉, 압축기(C) 및 냉각사이클의 이상동작에 의해 토출압이 급격하게 하강할 경우에 상기 냉매수용홈(113)에 잔류하는 냉매(유체)가 댐퍼 기능을 수행하여 타격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밸브체(120)에는 도 5와 같이 냉매수용홈(113)에 대응되는 돌기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100)가 압축기(C)의 토출 측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이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체크밸브(100)는 압축기(C)의 흡입 측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사판식 압축기를 대상으로 기술하였으나 다양한 형식의 압축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100 - 체크밸브 110 - 밸브하우징
120 - 밸브체 130 - 스프링
140 - 커버

Claims (10)

  1.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밸브체;
    상기 밸브하우징의 개방된 단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밸브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냉매 유입구는 밸브체의 냉매 수압면적이 증대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냉매 유입구는 중앙의 제1냉매 유입구와 상기 제1냉매 유입구의 주변에 형성된 제2냉매 유입구로 구분되며, 상기 제2 냉매유입구는 제1냉매 유입구와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제1냉매 유입구에서 분기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냉매 유입구는 입구와 출구 사이에 단면적이 변화되는 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냉매 유입구의 단면적 변화구간은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냉매 유입구의 냉매 흐름 방향으로 1/2 이상인 구간부터 제2냉매 유입구의 출구까지 단면적이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매 유입구는 제1냉매 유입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에는 상기 밸브체에 대향하도록 냉매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냉매수용홈에 대응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8. 제 1항, 제 3항, 제 6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제1냉매 유입구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제1수압부 및 상기 제1수압부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냉매 유입구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2수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가 폐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수압부가 냉매 배출구를 폐쇄하여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는 시점이 밸브체의 제2수압부와 밸브하우징의 소경부가 서로 접촉되는 시점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가 폐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수압부가 제1냉매 유입구를 폐쇄하여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는 시점이 밸브체의 제2수압부와 밸브하우징의 소경부가 서로 접촉되는 시점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KR1020100017710A 2010-02-26 2010-02-26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KR101621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710A KR101621247B1 (ko) 2010-02-26 2010-02-26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710A KR101621247B1 (ko) 2010-02-26 2010-02-26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215A KR20110098215A (ko) 2011-09-01
KR101621247B1 true KR101621247B1 (ko) 2016-05-17

Family

ID=4495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710A KR101621247B1 (ko) 2010-02-26 2010-02-26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448B1 (ko) * 2012-10-26 2018-04-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KR102302543B1 (ko) * 2019-12-26 2021-09-16 주식회사 인팩 유압식 댐퍼용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682A (ja) * 2004-08-18 2006-03-02 Toyota Industries Corp 逆止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682A (ja) * 2004-08-18 2006-03-02 Toyota Industries Corp 逆止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215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943B1 (ko) 사판식 압축기의 토출용 체크밸브
US9228577B2 (en)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1562629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9309875B2 (en)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1995886B1 (ko)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맥동 저감장치
KR101935805B1 (ko) 흡입체크밸브
KR101194431B1 (ko) 가변 용량 압축기
KR101621247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KR101452888B1 (ko)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조립체
KR101175269B1 (ko) 압축기의 체크밸브
KR102547594B1 (ko)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
KR101058774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KR20110035597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제어밸브
KR20110048108A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JP4929111B2 (ja) 可変容量圧縮機
KR101079117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
KR101757343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US20230204021A1 (en) Swash plate compressor
KR101631217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KR101601966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
KR101613986B1 (ko)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조립체
KR20120053330A (ko)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조립체
KR20220014947A (ko)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KR100993771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밸브 어셈블리
KR101166286B1 (ko) 사판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