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864B1 - 축냉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축냉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864B1
KR101620864B1 KR1020140153600A KR20140153600A KR101620864B1 KR 101620864 B1 KR101620864 B1 KR 101620864B1 KR 1020140153600 A KR1020140153600 A KR 1020140153600A KR 20140153600 A KR20140153600 A KR 20140153600A KR 101620864 B1 KR101620864 B1 KR 101620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nits
header
pai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671A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갑을오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갑을오토텍(주) filed Critical 갑을오토텍(주)
Priority to KR1020140153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8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9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comprising regenerative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는, 일면에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 제2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가 대향되도록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헤더유닛, 내부에 축냉재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의 제1체결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3체결부가 형성된 축냉유닛 및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 상부, 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 하부에 형성된 제2체결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4체결부가 형성되고, 수평 방향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커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축냉기 어셈블리{Regenerator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시스템에 구비되는 축냉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닛 단위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중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축냉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SG(Idle Stop & Go)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경우, 신호 대기나 기타 일시적인 정지 상태에 돌입하게 되면 엔진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제어 로직이 작동하게 되며, 에어컨이 작동되고 있는 상황인 경우에는 콤프레서의 구동을 함께 중지시키게 된다.
이 경우 재출발에 따른 엔진 재가동 시점까지의 대기 시간 동안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므로,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차량의 공조시스템에 운행 중 축냉이 가능한 축냉기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즉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차가워진 공기가 축냉기를 지나면서 냉기를 축냉기에 저장하게 되고, 엔진 정지 시 축냉기에 저장된 냉기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냉방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축냉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브래이징 열교환기 형태로서 축냉재가 주입되는 튜브와, 각 튜브를 결합시키는 헤드 및 탱크와,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는 핀이 구비되며, 이들은 서로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된 형태를 가진다.
도 1에는 종래의 차량 공조시스템이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 공조시스템은 증발기(10), 축냉기(20), 컴프레서(40), 콘덴서(50), 제어밸브(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와 축냉기(20)는 일렬로 배치되고, 이들은 서모커플(1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증발기(10)와 축냉기(20)가 일렬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축냉기(20)는 증발기(1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열교환기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공조시스템 레이아웃의 증대가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증발기(10)와 축냉기(20)가 일렬로 배치됨에 따른 공기 측 저항이 커짐에 따라 모터 등 기능품의 성능이 증대되고, 전체적인 중량의 증대가 불가피한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축냉기(20)의 제작을 위한 공정이 복잡하며, 이에 따라 가공성이 떨어져 수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19969호
본 발명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는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켜 수율을 증대시키고, 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는, 한 쌍의 헤더유닛 및 내부에 축냉재가 주입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 사이에 체결되는 축냉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에 체결된 상기 축냉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에 체결되는 커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유닛은 일면에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 제2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축냉유닛의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의 제1체결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3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의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 상부, 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 하부에 형성된 제2체결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4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3체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체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결합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보조삽입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냉유닛은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헤더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헤더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축냉유닛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4체결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부는 끼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4체결부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냉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에는 상기 축냉유닛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냉유닛은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지지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축냉유닛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냉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체 구조가 복수의 유닛이 조립된 형태를 가지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각 유닛의 가공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공조시스템 전체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축냉유닛에 개별적으로 축냉재 주입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조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헤더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축냉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커버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지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축냉유닛과 일측 헤더유닛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축냉유닛에 지지유닛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축냉유닛에 타측 헤더유닛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헤더유닛에 커버유닛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100)는 한 쌍의 헤더유닛(110a, 110b)과, 복수의 축냉유닛(120)과, 한 쌍의 커버유닛(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축냉유닛(120)을 지지하는 지지유닛(14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헤더유닛(110a, 110b), 상기 축냉유닛(120), 상기 커버유닛(130) 및 상기 지지유닛(140)은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헤더유닛(110a, 110b) 사이에는 복수의 축냉유닛(12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140)은 상기 축냉유닛(120)의 소정 지점을 지지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유닛(130)은 한 쌍이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상하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헤더유닛(110a, 110b)에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이들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헤더유닛(110a)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더유닛(110a)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헤더유닛 몸체(112)를 가지며, 상기 헤더유닛 몸체(112)의 일면에는 제1체결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더유닛 몸체(112)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2체결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114)는 후술할 축냉유닛이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제2체결부(116)는 후술할 커버유닛이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이와 같은 헤더유닛(110a)은 한 쌍이 구비되며, 이들은 제1체결부(114)가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체1체결부(114)는 후술할 축냉유닛의 제3체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제3체결부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보조삽입홈(115)이 더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축냉유닛은 복수 개가 구비되므로, 상기 헤더유닛(110a)은 상기 제1체결부(114)는 상기 헤더유닛 몸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축냉유닛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부(116)는 걸림돌기(117)와 끼움돌기(118)를 포함하고, 이들은 후술할 커버유닛의 제4체결부에 형성된 걸림홈 및 끼움홈에 각각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제2체결부(116)는 상기 헤더유닛 몸체(112)의 상하에 각각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축냉유닛(12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냉유닛(12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축냉유닛 몸체(122)를 가지며, 상기 축냉유닛 몸체(122)의 내부에는 축냉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축냉유닛(120)은 전술한 한 쌍의 헤더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의 제1체결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3체결부(12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일측의 제3체결부(126)에는 끝단에는 결합돌기(124)가 더 형성되며, 이는 전술한 제1체결부의 보조삽입홈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결합돌기(124)는 양단의 제3체결부(126)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축냉유닛(120)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냉유닛(120)의 외측에서 축냉재의 양을 확인하여 주입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냉유닛(120)은 복수 개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므로, 축냉재 주입 시 해당 축냉유닛(120)만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커버유닛(13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13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커버유닛 몸체(132)를 가지며, 상기 커버유닛 몸체(132)의 양단에는 전술한 한 쌍의 헤더유닛 상부, 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 하부에 형성된 제2체결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4체결부(136)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체결부(136)는 각각 걸림홈(137) 및 끼움홈(138)을 포함하며, 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제1체결부의 걸림돌기와 끼움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유닛(130)은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 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전체 구조에 대한 수평 방향의 지지력을 제공하며, 상기 축냉유닛(120)이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지지유닛(14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유닛(140)은 전술한 복수의 축냉유닛을 상호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지지유닛(140)은 지지유닛 몸체(142)를 가지며, 상기 지지유닛 몸체(142)에는 상기 축냉유닛이 관통되는 관통홀(144)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축냉유닛은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지지유닛 몸체(14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44)은 상기 지지유닛 몸체(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축냉유닛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지지유닛(14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축냉유닛의 소정 지점마다 위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들의 결합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축냉유닛(120)과 일측 헤더유닛(110a)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냉유닛(120)의 제3체결부를 일측 헤더유닛(110a)의 제1체결부(114)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3체결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24)는 보조삽입홈(115)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각 축냉유닛(120)마다 반복하여, 상기 일측 헤더유닛(110a)에 모든 축냉유닛(120)을 결합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축냉유닛(120)에 지지유닛(140)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냉유닛(120)과 일측 헤더유닛(110a)을 결합한 이후, 지지유닛(140)을 결합하게 된다.
본 과정에서는, 상기 지지유닛(140)의 관통홀(144)에 각 축냉유닛(120)을 삽입시키고, 상기 지지유닛(140)을 슬라이딩시켜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유닛(140)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각자 할당된 위치를 지지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축냉유닛(120)에 타측 헤더유닛(110b)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140)을 결합한 후 축냉유닛(120)의 타단에 형성된 제3체결부(126)에 타측 헤더유닛(110b)을 결합시키게 된다.
타측 헤더유닛(110b)의 결합 과정은 전술한 일측 헤더유닛(110b)과 축냉유닛(120)의 결합 과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헤더유닛(110a, 110b)에 커버유닛(130)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냉유닛(120)에 각 헤더유닛(110a, 110b)을 결합한 이후,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110a, 110b)의 상하에 커버유닛(130)을 결합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본 과정은 커버유닛(130)의 양단에 형성된 제4체결부(136)와, 각각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110a, 11b) 상부, 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110a, 11b) 하부에 형성된 제2체결부(116)와 결합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4체결부(136)의 걸림홈 및 끼움홈은, 각각 제1체결부(116)의 걸림돌기와 끼움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축냉기 어셈블리의 조립이 완성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축냉기 어셈블리는 전체 구조가 복수의 유닛이 조립된 형태를 가지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각 유닛의 가공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더유닛(110a, 110b), 축냉유닛(120), 커버유닛(130) 및 지지유닛(14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체 중량이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축냉기 어셈블리 110a, 110b: 헤더유닛
112: 헤더유닛 몸체 114: 제1체결부
115: 보조삽입홈 116: 제2체결부
117: 걸림돌기 118: 끼움돌기
120: 축냉유닛 122: 축냉유닛 몸체
124: 결합돌기 126: 제3체결부
130: 커버유닛 132: 커버유닛 몸체
136: 제4체결부 137: 걸림홈
138: 끼움홈 140: 지지유닛
142: 지지유닛 몸체 144: 관통홀

Claims (12)

  1. 한 쌍의 헤더유닛; 및
    내부에 축냉재가 주입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 사이에 체결되는 축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에 체결된 상기 축냉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에 체결되는 커버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헤더유닛은 일면에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 제2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축냉유닛의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의 제1체결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3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의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 상부, 또는 상기 한 쌍의 헤더유닛 하부에 형성된 제2체결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4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4체결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끼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4체결부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축냉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3체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형태로 형성된 축냉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체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결합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보조삽입홈이 더 형성된 축냉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유닛은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헤더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헤더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축냉유닛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 축냉기 어셈블리.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축냉기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에는 상기 축냉유닛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축냉기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유닛은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지지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축냉유닛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 축냉기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축냉기 어셈블리.
KR1020140153600A 2014-11-06 2014-11-06 축냉기 어셈블리 KR101620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600A KR101620864B1 (ko) 2014-11-06 2014-11-06 축냉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600A KR101620864B1 (ko) 2014-11-06 2014-11-06 축냉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671A KR20160054671A (ko) 2016-05-17
KR101620864B1 true KR101620864B1 (ko) 2016-06-07

Family

ID=5610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600A KR101620864B1 (ko) 2014-11-06 2014-11-06 축냉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8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210B1 (ko) * 2019-04-25 2024-04-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미세 튜브를 이용하는 열교환기 조립 장치 및 조립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241A (ja) 2001-08-29 2003-03-05 Denso Corp 蓄冷蓄熱熱交換器
JP2003090689A (ja) * 2001-09-13 2003-03-28 Denso Corp 蓄冷蓄熱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1307A (ja) * 1982-10-07 1984-05-11 イ−・アイ・デユポン・ド・ネモア−ス・アンド・コンパニ− 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
KR101264086B1 (ko) * 2006-08-29 2013-05-1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축냉 열교환기
KR20080019969A (ko) 2006-08-30 2008-03-05 한라공조주식회사 축냉기를 구비한 증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241A (ja) 2001-08-29 2003-03-05 Denso Corp 蓄冷蓄熱熱交換器
JP2003090689A (ja) * 2001-09-13 2003-03-28 Denso Corp 蓄冷蓄熱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671A (ko)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4175B2 (ja) 蓄冷熱交換器
US20170167795A1 (en) Radiator and condenser assembly
US11059345B2 (en) Storage evaporator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for use i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US10449832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system
US20150143835A1 (en)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System Using Same
WO2015045344A1 (ja) 蓄冷熱交換器
WO2014041771A1 (ja) 熱交換器
JP2006329511A (ja) 熱交換器
CN107110609A (zh) 具有用于热交换器的相变材料的储存器的管
KR101304864B1 (ko) 쿨링모듈
KR20170080748A (ko)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히트펌프 시스템
KR101620864B1 (ko) 축냉기 어셈블리
KR101309312B1 (ko) 이중관식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73385B1 (ko)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조립체
US20180281553A1 (en) Cold storage heat exchanger
KR102011278B1 (ko) 응축기
KR102144821B1 (ko) 차량용 쿨링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03042597A (ja) 一体型熱交換器
JP2015113747A (ja) 熱交換器用ファンモータの冷却装置
KR101259555B1 (ko) 라디에이터
KR101186564B1 (ko) 코일형 열교환기
KR101658157B1 (ko) 차량용 냉각시스템
KR101186552B1 (ko) 열교환기
KR20080026738A (ko) 증발기
JP2006266114A (ja) 熱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