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837B1 -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837B1
KR101620837B1 KR1020140067194A KR20140067194A KR101620837B1 KR 101620837 B1 KR101620837 B1 KR 101620837B1 KR 1020140067194 A KR1020140067194 A KR 1020140067194A KR 20140067194 A KR20140067194 A KR 20140067194A KR 101620837 B1 KR101620837 B1 KR 101620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needle
base material
ski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764A (ko
Inventor
안건영
황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하이트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하이트론(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40067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837B1/ko
Priority to PCT/KR2014/007418 priority patent/WO2015186860A1/ko
Priority to CN201480001217.2A priority patent/CN105324152B/zh
Publication of KR2015013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소재를 전처리하는 단계와, 베이스소재에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와, 필름에 복수개의 니들 형상이 형성되도록 필름을 노광하는 단계와, 필름을 현상하는 단계와, 필름에 노광된 복수개의 니들 형상과 대응되는 니들소재가 형성되도록 베이스소재를 에칭하는 단계와, 니들소재에서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니들 제작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NIDDLE FOR MEDICAL SKIN CARE}
본 발명은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삽입되어 고주파 자극을 줌으로써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피부는 각질층, 표피층 및 진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혈액순환의 장애 및 영양전달 물질의 공급불완전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한다.
이러한 피부 염증 중에서 여드름은 모공속 피지가 과도하게 분출되고, 피부속 세균과 결합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여드름은 모낭에 피질(皮質)과 각질(角質)이 꽉 차서 황백색의 덩어리가 생기며, 이어서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염증이 생기고 붉게 융기한다.
이러한 염증에 세균이 감염되면 화농하여 황색으로 되고, 나은 자리는 분화구 모양의 흔적이 남는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5310호(2003.11.27 등록, 고안의 명칭 : 아크네 이레이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부에 삽입되는 의료용 침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베이스소재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소재에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필름에 복수개의 니들 형상이 형성되도록, 상기 필름을 노광하는 단계; 상기 필름을 현상하는 단계; 상기 필름에 노광된 복수개의 니들 형상과 대응되는 니들소재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소재를 에칭하는 단계; 및 상기 니들소재에서 상기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상기 필름을 현상한 후, 상기 베이스소재와 상기 필름과의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소재를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소재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소재 표면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은: 상기 베이스소재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상부필름; 및 상기 베이스소재의 하측면에 부착되는 하부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을 현상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필름에 상부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홀부 내측으로 니들 형상을 하는 상부니들필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필름에 하부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홀부 내측으로 니들 형상을 하는 하부니들필름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홀부는 이격되어 상기 하부필름과 상기 하부니들필름을 연결하는 브릿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상기 니들소재에서 상기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니들소재에 절연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들소재는: 피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보다 폭이 길며 상기 피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상기 니들소재에 상기 절연물질을 도포한 후, 상기 니들소재를 상기 베이스소재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하나의 베이스소재에서 에칭을 통해 다량의 니들소재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에칭후에도 니들소재가 베이스소재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각 니들소재에 대한 절연물질 도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니들소재의 삽입부가 다면을 형성하므로, 피부에 삽입시 피부가 절개되어 피부에 의한 절연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연결부가 삽입부보다 폭이 더 길게 형성되므로, 삽입부가 피부에 삽입될 때 연결부가 피부에 걸려 삽입부의 과도한 삽입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서 베이스소재를 전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서 베이스소재에 필름을 부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서 상부필름과 하부필름이 노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서 상부필름과 하부필름이 현상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서 베이스소재가 에칭되어 니들소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니들소재에 절연물질이 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니들소재가 베이스소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니들소재가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서 베이스소재를 전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서 베이스소재에 필름을 부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를 위해 베이스소재(10)를 전처리한다(S10)
베이스소재(10)는 고주파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전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세정액을 통한 세척공정(S11)과, 베이스소재(10)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S12)을 포함한다. 일 예로, 롤러에 의해 베이스소재(10)가 이송되는 동안 상하부 노즐에서 세정액이 분사된 후,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분출되어 베이스소재(10) 표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베이스소재(10)에 대한 전처리가 완료되면(S10), 베이스소재(10)에 필름(20)을 부착한다(S20). 필름(20)은 베이스소재(10)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상부필름(21)과, 베이스소재(10)의 하측면에 부착되는 하부필름(22)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서 상부필름과 하부필름이 노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베이스소재(10)의 상부면을 나타내고, 도 4b는 베이스소재(10)의 하부면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소재(10)에 필름(20) 부착이 완료된 후(S20), 필름(20)에 복수개의 니들 형상이 형성되도록, 필름(20)을 노광한다(S30). 일 예로, 마스크를 통과한 노광램프의 광이 상부필름(21)과 하부필름(22)을 노광하여, 상부필름(21)과 하부필름(22)에는 광이 도달되지 못하는 비노광영역(a)(b)이 형성된다. 비노광영역(a)(b) 내측의 상부필름(21)과 하부필름(22)은 니들 형상을 한다. 비노광영역(a)(b)은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필름(21)의 비노광영역(a) 내측에 형성되는 상부필름(21)은 비노광영역(a)에 둘러싸여 폐쇄된다. 그러나, 하부필름(22)의 비노광영역(b) 내측에 형성되는 하부필름(22)은 비노광영역(b)에 둘러싸여 있지만, 비노광영역(b) 일부가 이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서 상부필름과 하부필름이 현상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베이스소재(10)의 상부면을 나타내고, 도 5b는 베이스소재(10)의 하부면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필름(20)의 노광이 완료된 후(S30), 필름(20)을 현상한다(S40). 필름(20) 현상이 이루어지면, 광이 도달되지 않은 비노광영역(a)(b)이 탈막된다. 즉, 상부필름(21)에는 비노광영역(a)이 제거되어 상부홀부(211)가 형성되고, 상부홀부(211) 내측으로 니들 형상을 하는 상부니들필름(212)이 형성된다. 하부필름(22)에는 비노광영역(b)이 제거되어 하부홀부(221)가 형성되고, 하부홀부(221) 내측으로 니들 형상을 하는 하부니들필름(222)이 형성된다. 상부니들필름(212)과 하부니들필름(222)은 각각 베이스소재(10)의 양측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비노광영역(b) 일부가 이격되므로, 하부홀부(221)가 이격되어 하부필름(22)과 하부니들필름(222)을 연결하는 브릿지(23)가 형성된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필름(20)을 현상한 후(S40), 베이스소재(10)와 필름(20)과의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열처리를 실시한다(S50). 열처리는 에칭 전 도포된 필름(20)과 베이스소재(10)간의 결합력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서 베이스소재가 에칭되어 니들소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베이스소재(10)의 상부면을 나타내고, 도 6b는 베이스소재(10)의 하부면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소재(10)에 대한 열처리를 실시한 후(S50), 베이스소재(10)를 에칭하여 니들소재(30)를 형성한다. 니들소재(30)는 필름(20)에 노광된 복수개의 니들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한다. 일 예로, 베이스소재(10)의 수평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베이스소재(10)의 양면에 에칭액이 분사될 수 있다. 에칭액은 도 5의 상부홀부(211)와 하부홀부(22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베이스소재(10)를 부식시켜 도 6의 식각홀부(15)를 형성한다. 일 예로, 하프에칭이 적용되어 상부홀부(211)를 통해 베이스소재(10)의 상측 절반두께가 부식되고, 하부홀부(211)를 통해 베이스소재(10)의 하측 절반두께가 부식될 수 있다. 이때, 브릿지(23)에 의해 베이스소재(10)와 니들소재(3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베이스부(10)에 대한 에칭이 완료된 후(S60), 니들소재(30)에 부착된 필름(20)을 제거한다(S70). 일 예로, 작업자는 베이스소재(10)에 부착된 상부필름(21)과 하부필름(22)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니들소재(30)의 상측면에 부착된 상부니들필름(212)을 제거하고, 니들소재(30)의 하측면에 부착된 하부니들필름(222)을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서 니들소재에 절연물질이 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베이스소재(10)의 상부면을 나타내고, 도 7b는 베이스소재(10)의 하부면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니들소재(30)에서 필름(20)을 제거한 후(S70), 니들소재(30)에 절연물질을 도포하여 니들소재(30)의 표면에는 절연층(40)이 형성된다(S80). 일 예로, 하나의 베이스소재(10)에는 복수개의 니들소재(30)가 형성되고, 자동화공정을 통해 복수개의 니들소재(30)에 대한 절연물질 도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니들소재가 베이스소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8을 참조하면, 니들소재(30)에 절연물질을 도포한 후, 니들소재(30)를 베이스소재(10)에서 분리한다(S9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니들소재가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니들소재(30)는 삽입부(31)와 연결부(32)를 포함한다.
삽입부(31)는 피부(100)에 삽입되고, 연결부(32)는 삽입부(32)에 연결된다. 연결부(32)는 치료용 기기와 장착되어 고주파 신호를 전달하고, 고주파 신호는 삽입부(31)를 통해 피부(100) 내부를 자극한다. 삽입부(31)는 단부가 뾰족한 첨탑 형상을 하되 외측이 에칭공정(S60)에 의해 다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32)는 삽입부(31)보다 폭이 길도록 형성되어, 연결부(32)와 피부(100)간의 접촉에 의해 연결부(32)의 이동을 제한한다. 일 예로, 삽입부(31)의 좌측단부터 피부(100)에 삽입되는데(도 9 참조), 연결부(32)는 삽입부(31)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삽입부(31)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연결부(32)의 좌측단부가 피부(100) 표면과 접촉되어 삽입부(3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도 9를 기준으로 삽입부(31)의 우측단부에서 연결부(32)에 걸쳐 절연층(40)이 형성되어, 피부(100)와의 접촉에 의한 전기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2)는 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일부분에만 절연층(4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31)가 다면을 형성함에 따라, 피부(100)에 삽입부(31)가 삽입되는 동안 피부(100)의 표면이 절개된다. 절개된 피부(100)는 절연층(40)을 밀어내지 못하므로, 삽입부(31)에 도포된 절연층(4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하나의 베이스소재(10)에서 에칭을 통해 다량의 니들소재(30)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에칭후에도 니들소재(30)가 베이스소재(1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각 니들소재(30)에 대한 절연물질 도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니들소재(30)의 삽입부(31)가 다면을 형성하므로, 삽입부(31)가 피부(100)에 삽입시 피부(100)가 절개되어 피부(100)에 의한 절연층(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은 연결부(32)가 삽입부(31)보다 폭이 더 길게 형성되므로, 삽입부(31)가 피부(100)에 삽입될 때 연결부(32)가 피부(100)에 걸려 삽입부(31)의 과도한 삽입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소재 15 : 식각홀부
20 : 필름 21 : 상부필름
22 : 하부필름 30 : 니들소재
31 : 삽입부 32 : 연결부
40 : 절연층 100 : 피부
211 : 상부홀부 212 : 상부니들필름
221 : 하부홀부 222 : 하부니들필름

Claims (8)

  1. 베이스소재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소재에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필름에 복수개의 니들 형상이 형성되도록, 상기 필름을 노광하는 단계;
    상기 필름을 현상하는 단계;
    상기 필름에 노광된 복수개의 니들 형상과 대응되는 니들소재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소재를 에칭하는 단계; 및
    상기 니들소재에서 상기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상기 베이스소재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상부필름; 및
    상기 베이스소재의 하측면에 부착되는 하부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을 현상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필름에 상부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홀부 내측으로 니들 형상을 하는 상부니들필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필름에 하부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홀부 내측으로 니들 형상을 하는 하부니들필름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홀부는 이격되어 상기 하부필름과 상기 하부니들필름을 연결하는 브릿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현상한 후, 상기 베이스소재와 상기 필름과의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소재를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소재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소재 표면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소재에서 상기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니들소재에 절연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소재는
    피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보다 폭이 길며 상기 피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소재에 상기 절연물질을 도포한 후, 상기 니들소재를 상기 베이스소재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KR1020140067194A 2014-06-02 2014-06-02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KR101620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94A KR101620837B1 (ko) 2014-06-02 2014-06-02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PCT/KR2014/007418 WO2015186860A1 (ko) 2014-06-02 2014-08-11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CN201480001217.2A CN105324152B (zh) 2014-06-02 2014-08-11 皮肤治疗用针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94A KR101620837B1 (ko) 2014-06-02 2014-06-02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764A KR20150138764A (ko) 2015-12-10
KR101620837B1 true KR101620837B1 (ko) 2016-05-13

Family

ID=5476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194A KR101620837B1 (ko) 2014-06-02 2014-06-02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20837B1 (ko)
CN (1) CN105324152B (ko)
WO (1) WO201518686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34B1 (ko) * 2005-10-10 2007-02-15 한국과학기술원 미세바늘 어레이 제작방법
KR100943157B1 (ko) 2008-10-01 2010-02-17 김창현 미세바늘 어레이 제조용 금형과 이 금형의 제조방법 및, 이금형을 이용한 미세바늘 어레이
US20100185162A1 (en) 2006-07-04 2010-07-22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need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7401A (en) * 1990-03-07 1991-10-15 Ethicon, Inc. Process for making a device with a three-dimensionally tapered point
EP1671585A1 (de) * 2004-12-17 2006-06-21 F. Hoffmann-La Roch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echelements
CN102499667A (zh) * 2011-10-20 2012-06-20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柔性皮肤表面干电极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34B1 (ko) * 2005-10-10 2007-02-15 한국과학기술원 미세바늘 어레이 제작방법
US20100185162A1 (en) 2006-07-04 2010-07-22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needle
KR100943157B1 (ko) 2008-10-01 2010-02-17 김창현 미세바늘 어레이 제조용 금형과 이 금형의 제조방법 및, 이금형을 이용한 미세바늘 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764A (ko) 2015-12-10
CN105324152B (zh) 2017-03-29
CN105324152A (zh) 2016-02-10
WO2015186860A1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099B1 (ko) 일회용 전자기 에너지 애플리케이터 및 그 사용방법
US20180154141A1 (en) Skin treatment device
AU20182032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rmatological treatment
JP5908977B2 (ja) ラ−効果またはラプラス−効果による皮膚改善装置及び方法
KR101295687B1 (ko) 피부미용치료장치
WO2006086063A3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lesions in tissue and applying stimulation energy to tissue in which lesions are formed
JP2010508976A5 (ko)
CN105025976A (zh) 微型针、微型针的制造模具和制造方法
KR101620836B1 (ko) 피부 치료기
KR20170061042A (ko) 미세니들, 이의 제조용 몰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0837B1 (ko) 피부 치료용 니들 제조방법
KR101622388B1 (ko) 실리콘 마이크로 니들 스탬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935540B1 (ko) 피부 시술용 니들, 그 제조방법 및 니들 어레이
JP5760104B2 (ja) 皮膚美容装置のチップ構造
KR20160063784A (ko) 고주파를 이용한 질 치료 장치
TWI450742B (zh) 光學裝置
KR101845402B1 (ko) 피부시술용 멀티바늘의 제조방법
KR101471275B1 (ko) 마이크로니들치료기
KR20160133686A (ko) 피부 치료용 침
KR200481169Y1 (ko) 약물 주입용 피부시술장치
US20090198222A1 (en) Dermal Scar Treatment Equipment
KR102037949B1 (ko) 사마귀 고주파 치료용 니들팁 및 사마귀 고주파 치료장치
KR102251433B1 (ko) 변형 구조 마이크로 니들 및 피부 드레싱용 패드를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
KR100589132B1 (ko) 고주파를 이용한 주름제거장치
KR101589489B1 (ko) 3d 마스크 제조공정 및 3d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