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686A - 피부 치료용 침 - Google Patents

피부 치료용 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686A
KR20160133686A KR1020150066525A KR20150066525A KR20160133686A KR 20160133686 A KR20160133686 A KR 20160133686A KR 1020150066525 A KR1020150066525 A KR 1020150066525A KR 20150066525 A KR20150066525 A KR 20150066525A KR 20160133686 A KR20160133686 A KR 20160133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treatment
unit
stop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50066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3686A/ko
Publication of KR20160133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1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oporation, e.g.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치료용 침에 관한 것으로, 의료기기에 탈부착되고,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탈부착부와, 탈부착부에서 연장되고 피부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스토퍼부와, 스토퍼부에 형성되고 피부에 삽입되어 피부를 치료하는 대상체치료부를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분포된 피부 질환을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치료용 침{NEEDLE FOR MEDICAL SKIN CARE}
본 발명은 피부 치료용 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고주파 자극을 주어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피부 치료용 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피부는 각질층, 표피층 및 진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혈액순환의 장애 및 영양전달 물질의 공급불완전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한다.
이러한 피부 염증 중에서 여드름은 모공속 피지가 과도하게 분출되고, 피부속 세균과 결합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여드름은 모낭에 피질(皮質)과 각질(角質)이 꽉 차서 황백색의 덩어리가 생기며, 이어서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염증이 생기고 붉게 융기한다.
이러한 염증에 세균이 감염되면 화농하여 황색으로 되고, 나은 자리는 분화구 모양의 흔적이 남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5310호(2003.11.27 등록, 고안의 명칭 : 아크네 이레이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치료 대상 부위가 피부에 광범위하게 분포되더라도, 치료 대상 부위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피부 치료용 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은: 의료기기에 탈부착되고,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에서 연장되고, 피부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스토퍼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부를 치료하는 대상체치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부에는 상기 대상체치료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은: 상기 스토퍼부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대상체치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부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피부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은: 상기 탈부착부와 상기 스토퍼부 사이에 형성되어 파지 가능하고, 상기 탈부착부와 상기 스토퍼부보다 폭이 짧은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은: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대상체치료부 일부에 도포되고, 상기 피부와 접촉되어 상기 피부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화상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상체치료부는 상기 피부를 절개하도록 단부가 가공되어 다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상체치료부는 상기 피부를 절개하도록 단부가 가공되어 6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상체치료부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에칭 가공하여 다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은: 상기 대상체치료부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전기에너지를 균일화하는 균일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균일조절부는 상기 대상체치료부에 절연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은 스토퍼부에 의해 대상체치료부가 지정된 삽입 위치에 삽입되어 의료과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은 복수개의 대상체치료부가 동시에 치료를 하므로, 광범위하게 분포된 피부 질환을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은 피부보호부에 피부가 삽입되어 대상체치료부와의 접촉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은 피부를 절개하도록 단부가 가공되어 화상방지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은 대상체치료부에 절연되는 균일조절부가 형성되어, 대상체치료부 일부에만 전기에너지가 집중되어 피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이 의료기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에 균일조절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이 의료기기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이 의료기기에서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이 의료기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피부에 신호, 즉 고주파 전류를 통전하여 염증을 치료하거나 주름을 완화할 수 있다.
피부 치료용 침(1)은 의료기기(100)에 탈부착된다. 의료기기(100)는 홀더부(200)와 핸드피스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치료용 침(1)은 환자의 피부(400)에 삽입되어 피부(400)를 자극하고(도 3 참조), 홀더부(200)는 피부 치료용 침(1)과 결합되어 피부 치료용 침(1)에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피부 치료용 침(1)은 홀더부(2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핸드피스부(300)는 홀더부(200)와 결합되고, 홀더부(200)에 신호를 공급한다. 핸드피스부(30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형상을 하며, 홀더부(200)가 접속되어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공급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100)에는 환자와 접촉되어 인체와의 회로를 구성하도록 하는 어스부(미도시)와, 핸드피스부(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인체의 피부조직은 표피와 그 하부의 피하조직으로 구성되며, 각질층을 가지는 표피층은 환경에 대한 생물학적 장벽으로 작용하고, 기저층에는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세포가 존재한다. 또한 하부의 피하조직은 세포외 단백질인 콜라겐이 지지체 역할을 함으로써 피부의 구조를 유지한다. 콜라겐은 섬유 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며, 세 개의 폴리펩티드가 나선구조를 이루고 있는 단백질이다. 상처를 입으면 신체는 복잡한 구제기능을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 중 섬유 아세포(fibroblast)는 피부 아래에 존재하다가 활성화되어 일시적으로 상처부위의 메트릭스(ECM, extra cellular matrix)로 들어가 가능한 빨리 상처를 덮기 위해 콜라겐을 분비한다. 섬유아세포가 메트릭스 주변에서 천천히 이동하면서 섬유를 끌어당겨 재조합하는 과정에서 메트릭스를 점점 단단하게 만들며, 초기에는 부드러운 상태인 메트릭스에 포함된 성장요소 때문에, 섬유아세포가 성장요소에 의해 수축성 단백질을 발현하면서, 어느 시점에 이르면 섬유 아세포는 이동을 멈추고 팝아이(popeye)처럼 강한 수축성 세포로 변하여 메트릭스 내에 정착하여 상처 가장자리를 끌어당기게 되어, 흉터가 생기거나 피부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게 된다. 이때, 콜라겐 섬유 조직이 소정의 에너지원에 의해 가열되며, 특정 온도에서 상기 단백질 메트릭스의 물리적 특성의 변성이 일어나게 되며, 메트릭스의 분자결합이 파괴되게 되어 피부의 상태가 고르게되며, 또한 콜라겐층을 활성화시켜 피부의 탄력이 복귀될 수 있다.
상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하부 피하조직에 이르도록 조사하여, 피하조직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조직의 리모델링을 구현한다. 특히, 고주파 전류는 인체 조직을 통전할 때 진동 폭이 매우 짧기 때문에 이온 운동을 거의 야기하지 않으며, 전기화학적 반응 또는 전기분해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고주파의 전기 에너지가 조직에 가해지면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어 생체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고주파는 다른 전류 형태와 달리 감각신경 및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고, 인체 내 불편함이나 근수축을 일으키지 않으며, 열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열 에너지는 또한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추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피부과 치료에 있어서, 고주파는 여드름 치료, 주름 리프팅(lifting), 여드름에 의한 흉터 치료, 피부 보충제(filler)의 주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탈부착부(10)와, 스토퍼부(20)와, 대상체치료부(30)를 포함한다. 피부 치료용 침(1)은 전기에너지 전달이 가능하도록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탈부착부(10)는 의료기기(100)에 탈부착된다. 일 예로, 탈부착부(10)는 얇은 판 형상을 하며, 홀더부(200)와의 조립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탈부착홀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20)는 탈부착부(10)에서 연장되고, 피부(400)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대상체치료부(30)는 스토퍼부(20)에 형성되고, 피부(400)에 삽입되어 피부(400)를 치료한다.
즉, 피부 치료용 침(1)의 일단부부터 대상체치료부(30)와, 스토퍼부(20)와, 탈부착부(10)가 순차로 배치된다. 대상체치료부(30)는 피부(400)에 삽입된다. 이러한 대상체치료부(30)는 홀더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피부(400) 내부 진피층에 공급하도록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부(20)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대상체치료부(30)가 돌출될 수 있다. 대상체치료부(30)가 피부(400)에 삽입되더라도, 스토퍼부(20)가 피부(400)와 접촉되어 스토퍼부(20)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대상체치료부(3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피부보호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부보호부(40)는 스토퍼부(20)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대상체치료부(30) 사이에 배치되어 피부(400)의 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토퍼부(20)의 단부에는 3개의 대상체치료부(30)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피부보호부(40)는 대상체치료부(30)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부(20)의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피부보호부(40)는 직선이 아닌 형상 즉, 오목한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을 하여 피부(400)의 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부(20)가 피부(400)에 밀착되어 대상체치료부(30)의 삽입이 제한될 때, 대상체치료부(30)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400)의 표피층이 피부보호부(40)에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대상체치료부(30)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400)의 표피층이 주위의 대상체치료부(30)와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파지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50)는 탈부착부(10)와 스토퍼부(20) 사이에 위치되고, 양단부가 탈부착부(10)와 스토퍼부(20)에 각각 연결된다. 즉,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대상체치료부(30)와, 스토퍼부(20)와, 파지부(50)와, 탈부착부(10)가 순차로 배치된다. 파지부(50)는 탈부착부(10)와 스토퍼부(20) 보다 폭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탈부착부(10)가 의료기기(100)에 장착될 때, 파지부(5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핀셋과 같은 도구로 파지부(50)의 가장자리를 잡고 피부 치료용 침(1)을 이동시킬 때, 도구가 파지부(50)에서 미끄러지더라도 탈부착부(10) 또는 스토퍼부(20)에 걸려 피부 치료용 침(1)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화상방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방지부(60)는 스토퍼부(10)와 대상체치료부(30) 일부에 도포되고, 피부(400)와 접촉되어 피부(400)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스토퍼부(20)의 좌측단부와 대상체치료부(30)의 우측단부에 화상방지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면, 대상체치료부(30)의 좌측단부가 피부(400)에 삽입될 때 피부(400) 표면이 화상방지부(60)와 접촉됨으로써, 피부(100) 표피층의 화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화상방지부(60)는 스토퍼부(10)와 대상체치료부(30) 일부에 한정되지 않고, 스토퍼부(10)와 파지부(50)에 골고루 도포되어, 사용자가 피부 치료용 침(1)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충격이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탈부착부(10)는 의료기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탈부착부(10)에서는 절연물질이 층을 형성하는 화상방지부(60)가 배제될 수 있다. 그 외, 탈부착부(10)에서 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탈부착부(10)의 일부분에만 화상방지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대상체치료부(30)의 단부가 원뿔 형상을 하면, 대상체치료부(30)의 단부가 피부(400)를 뚫고 들어갈 때, 피부(400)의 표피층이 절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대상체치료부(30)가 피부(400)에 삽입 완료될 때, 피부(400)가 화상방지부(60)를 밀어내어 대상체치료부(30)에 코팅된 화상방지부(60)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치료부(30)는 피부(400)의 표피층을 절개하도록 단부가 가공되어 다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대상체치료부(30)에는 가공면(31)이 형성되어 피부(100)에 삽입시 피부(100)가 절개된다. 이로 인해, 대상체치료부(30)가 피부(400)에 삽입 완료되더라도 피부(400)가 화상방지부(60)를 밀어내지 못해 화상방지부(6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대상체치료부(30)는 피부(400)를 절개하도록 6개의 가공면(31)을 형성할 수 있다. 가공면(31)은 대상체치료부(30)의 외측에 형성되며, 대상체치료부(30)의 축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이때, 대상체치료부(30)의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든다. 대상체치료부(30)의 단부에 가공면(31)이 형성되면, 대상체치료부(30)의 단부가 피부(400)의 표면을 뚫고 들어가면서 피부(400)의 표면이 절개되어 벌어질 수 있다.
대상체치료부(30)는 전도성을 갖는 금속성 재질 중에서 스테인레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대상체치료부(30)는 에칭(etching) 가공에 의해 다수의 가공면(31)이 형성될 수 있다.
대상체치료부(30)는 환자의 피부 대상에 따라 길이가 달리 설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여드름, 주름, 한관종, 눈밑 지방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치료 위치에 따라 대상체치료부(30)의 길이와 개수, 화상방지부(60)의 분포 범위가 달리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에 균일조절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균일조절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균일조절부(70)는 대상체치료부(30)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전기에너지를 균일화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대상체치료부(30)에는 3개의 균일조절부(70)가 등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균일조절부(70)는 대상체치료부(30)에 절연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대상체치료부(3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고주파 신호가 대상체치료부(30)의 첨단부에 집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 전도도가 불연속적인 균일조절부(70)에 전하가 집중되도록 유도되어, 피부(400)의 치료 대상인 진피층에 균일한 전기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 즉, 대상체치료부(30) 일부가 전기에너지가 집중되지 않고, 설계안대로 전기에너지가 피부(40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이 의료기기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이 의료기기에서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100)에서 홀더부(200)는 몸체부(210)과 설치부(220)을 포함한다.
몸체부(210)의 일단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이 삽입되고, 몸체부(210)의 타단부는 핸드피스부(300)에 장착된다. 설치부(220)은 몸체부(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몸체부(210)에 삽입된 피부 치료용 침(1)을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설치부(220)는 탈부착부(10)와 결합되어, 탈부착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210)은 홀더몸체(211)와, 신호전달판(212)을 포함한다.
홀더몸체(211)의 일단부에는 삽입홀부(511)가 형성되고, 홀더몸체(211)의 중앙부에는 노출홀부(512)가 형성된다. 삽입홀부(511)는 피부 치료용 침(1)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노출홀부(512)는 홀더몸체(211)에 내장된 설치부(220)을 노출시킨다. 홀더몸체(211)는 대칭되는 한 쌍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신호전달판(212)은 홀더몸체(211)에 장착된다. 신호전달판(212)은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피부 치료용 침(1)과 접촉되어 신호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신호전달판(212)은 홀더몸체(211)에 내장되고, 단부가 핸드피스부(300)의 신호공급부(미도시)와 접촉된다. 그리고, 홀더몸체(211)에 삽입된 탈부착부(10)가 신호전달판(212)과 접촉된다.
홀더몸체(211)에는 걸림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13)는 삽입홀부(511)를 통해 삽입되는 탈부착부(10)가 걸리도록 돌출되어 탈부착부(10)의 삽입거리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220)은 설치버튼(221)과, 걸림대(222)와, 회전축(223)과, 조립돌기(224)와, 설치탄성체(225)를 포함한다.
설치버튼(221)은 홀더몸체(211)에 내장되고 설치홀부(5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걸림대(222)는 설치버튼(221)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걸림대(222)는 홀더몸체(211)에 내장된다. 회전축(223)은 걸림대(222)에 형성되고, 홀더몸체(2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어, 회전축(223)은 걸림대(22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홀더몸체(211)에 핀 결합된다.
조립돌기(224)는 걸림대(222)에 형성되고, 걸림대(222)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피부 치료용 침(1)을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조립돌기(224)는 탈부착홀부(11)를 관통하여 탈부착부(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설치탄성체(225)는 홀더몸체(211)에 내장되고, 설치버튼(221)을 탄성 지지한다. 예를 들어, 설치버튼(221)은 하부가 개구된 캡 형상을 하며, 설치탄성체(225)는 설치버튼(221)에 삽입된다. 이때, 설치탄성체(225)는 설치버튼(221)과 홀더몸체(211)에 형성되는 돌기를 감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하여 좌우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회전축(223)을 기준으로 우측에 조립돌기(224)가 위치되고, 좌측에 설치탄성체(225)가 위치된다(도 5와 도 6 참조).
따라서, 설치탄성체(225)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축(22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조립돌기(224)가 하강하여 삽입된 탈부착부(1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치버튼(221)을 가압하여 설치탄성체(225)가 수축되면, 회전축(223)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조립돌기(224)가 상승하여 탈부착부(10)와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홀더부(200)가 핸드피스부(300)에 장착되면, 홀더부(200)에 내장된 신호전달판(212)은 핸드피스부(300)의 신호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치버튼(221)을 가압하면 설치탄성체(225)가 수축되면서 조립돌기(224)가 상승한다(도 6 참조).
설치버튼(221)이 가압되면, 사용자는 도구를 이용하여 파지부(50)를 잡고 탈부착부(10)를 삽입홀부(511)로 삽입한다. 이때, 탈부착부(10)는 걸림돌기(213)에 걸릴때까지 삽입된다. 탈부착부(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설치버튼(221)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한다. 설치버튼(221)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면, 설치탄성체(225)의 복원력에 의해 조립돌기(224)가 하강하여 탈부착홀부(11)에 위치된다(도 5 참조).
피부 치료용 침(1)이 홀더부(200)에 장착되면, 사용자는 피부 치료용 침(1)을 피부(400)에 삽입시킨다(도 3 참조). 이때, 피부 치료용 침(1)의 스토퍼부(20)가 피부(400)에 접촉되어 대상체치료부(3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된다. 이러한 스토퍼부(20)는 대상체치료부(30)를 치료 대상 지점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부(20)에는 복수개의 대상체치료부(30)가 형성되며, 스토퍼부(20)가 피부(400)와 접촉될 때 복수개의 대상체치료부(30)가 동시에 피부(400)에 삽입되어 광범위한 피부 치료가 가능하다.
스토퍼부(20)가 피부(400)에 접촉될 때, 스토퍼부(20)에 형성되는 피부보호부(40)에는 피부(400)가 유입된다. 피부보호부(40)는 대상체치료부(30) 사이에 배치되는 피부(400)가 스토퍼부(20)에 밀린 후 대상체치료부(30)와 접촉되어 화상을 당하지 않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스토퍼부(20)가 피부(400)에 걸려 대상체치료부(30)가 지정된 삽입 위치에 삽입됨으로써, 대상체치료부(30)의 과도한 삽입에 의한 의료과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복수개의 대상체치료부(30)가 동시에 치료를 할 수 있으므로, 질환이 있는 광범위한 피부(400)를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대상체치료부(30)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400)가 스토퍼(20)에 눌려 대상체치료부(30)와 접촉되지 않고 피부보호부(40)에 유입됨으로써, 대상체치료부(30)와의 접촉에 의한 피부(400)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피부(400)를 절개하도록 단부가 가공되어 화상방지부(6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치료용 침(1)은 대상체치료부(30)에 절연되는 균일조절부(70)가 형성됨으로써, 대상체치료부(30) 일부에만 전기에너지가 집중되어 피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탈부착부 20 : 스토퍼부
30 : 대상체치료부 40 : 피부보호부
50 : 파지부 60 : 화상방지부
70 : 균일조절부 100 : 의료기기
200 : 홀더부 300 : 핸드피스부
210 : 몸체부 211 : 홀더몸체
212 : 신호전달판 220 : 설치부
221 : 설치버튼 222 : 걸림대
223 : 회전축 224 : 조립돌기
225 : 설치탄성체

Claims (10)

  1. 의료기기에 탈부착되고,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에서 연장되고, 피부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스토퍼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부를 치료하는 대상체치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에는 상기 대상체치료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대상체치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부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피부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와 상기 스토퍼부 사이에 형성되어 파지 가능하고, 상기 탈부착부와 상기 스토퍼부보다 폭이 짧은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대상체치료부 일부에 도포되고, 상기 피부와 접촉되어 상기 피부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화상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치료부는
    상기 피부를 절개하도록 단부가 가공되어 다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치료부는
    상기 피부를 절개하도록 단부가 가공되어 6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치료부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에칭 가공하여 다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치료부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전기에너지를 균일화하는 균일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침.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균일조절부는 상기 대상체치료부에 절연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용 침.
KR1020150066525A 2015-05-13 2015-05-13 피부 치료용 침 KR20160133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25A KR20160133686A (ko) 2015-05-13 2015-05-13 피부 치료용 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25A KR20160133686A (ko) 2015-05-13 2015-05-13 피부 치료용 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686A true KR20160133686A (ko) 2016-11-23

Family

ID=5754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525A KR20160133686A (ko) 2015-05-13 2015-05-13 피부 치료용 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36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894B1 (ko) * 2017-07-27 2018-06-21 주식회사 파나시 여드름질환 치료용 마이크로 니들 고주파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869893B1 (ko) * 2017-07-21 2018-06-21 주식회사 파나시 여드름질환 치료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893B1 (ko) * 2017-07-21 2018-06-21 주식회사 파나시 여드름질환 치료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WO2019017532A1 (ko) * 2017-07-21 2019-01-24 주식회사 파나시 여드름질환 치료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869894B1 (ko) * 2017-07-27 2018-06-21 주식회사 파나시 여드름질환 치료용 마이크로 니들 고주파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WO2019022308A1 (ko) * 2017-07-27 2019-01-31 주식회사 파나시 여드름질환 치료용 마이크로 니들 고주파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54141A1 (en) Skin treatment device
KR101620836B1 (ko) 피부 치료기
JP5908977B2 (ja) ラ−効果またはラプラス−効果による皮膚改善装置及び方法
US10335224B2 (en) Method of destroying tissue cells by electroporation
USRE42277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ubcutaneous fat deposits, virtual face lift and body sculpturing by electroporation
KR101073839B1 (ko) 피부미용 치료장치
KR100852500B1 (ko) 건 방식의 멀티홀 시술장치
CN106999235B (zh) 射频皮肤处理
JP6817219B2 (ja) コラーゲン刺激装置及び方法
KR101295687B1 (ko) 피부미용치료장치
CN111278377A (zh) 微针治疗系统
KR20160133686A (ko) 피부 치료용 침
KR101220541B1 (ko) 피부 치료기
KR101585955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조직 거상술용 시술장치 및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조직 거상술
KR101869894B1 (ko) 여드름질환 치료용 마이크로 니들 고주파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US2018036052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ir treatment
KR100895548B1 (ko) 고주파 핸드피스
KR100899100B1 (ko) 피부 관리기
KR102576689B1 (ko) 니들 및 고주파 전극을 구비한 핸드피스
JP3041670U (ja) 絶縁スリーブを備えた電極針
US11617885B2 (en) Mouthpiece for skin treatment and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using electrical energy
CN213158929U (zh) 一种微针构件和微针射频治疗头
KR20200132643A (ko) 안면 및 구강 내부용 고주파 치료기
KR20150021200A (ko) 고주파 핸드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