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625B1 -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 - Google Patents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625B1
KR101620625B1 KR1020160041972A KR20160041972A KR101620625B1 KR 101620625 B1 KR101620625 B1 KR 101620625B1 KR 1020160041972 A KR1020160041972 A KR 1020160041972A KR 20160041972 A KR20160041972 A KR 20160041972A KR 101620625 B1 KR101620625 B1 KR 10162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module unit
cooling tower
tensile force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관
김영욱
우명주
한상필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귀뚜라미 범양냉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0250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2062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귀뚜라미 범양냉방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F25B41/003
    • F25B41/04
    • F25B41/06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공간 및 설비 수단들을 기초바닥에 대하여 설치 및 확보하도록 된 고정구조물을 공간적 배치에 따라 분할하여서 된 모듈단위체로써, 타 모듈단위체와 결합할 때 비틀림 등과 같은 형상변형에 대한 보정을 통해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하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냉각매체가 열 교환하도록 된 열교환공간 및 설비수단들을 기초바닥에 대하여 설치 및 확보하도록 된 고정구조물을 전체 점유공간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분할하여서 이루어져 결합시 상기 고정구조물을 구현하도록 된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들이 수직 및 수평 상으로 결합되어 점유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에서 최소한 타 된 몸체와 연결되는 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에는, 대각방향으로 마주하는 지점을 연결하여 인장력(tension)을 형성하도록 된 연결체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체를 통해 형성되는 인장력을 조절하여 몸체에 형성된 형상변형에 대한 보정을 구현하도록 된 인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A module unit body of block type cooling tower}
본 발명은 내부에 냉각매체를 외기와 열 접촉하는 열교환공간을 가지는 블록형 냉각탑을 구성하는 모듈단위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열교환공간 및 설비 수단들을 기초바닥에 대하여 설치 및 확보하도록 된 고정구조물을 공간적 배치에 따라 분할하여서 된 모듈단위체로써, 타 모듈단위체와 결합할 때 비틀림 등과 같은 형상변형에 대한 보정을 통해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하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탑은 발전 설비와 공기조화설비 등과 같은 설비에서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냉각매체(열매체)를 유입 받아 열을 흡수하여 저온으로 열 교환하고 상기 설비 측으로 저온의 냉각매체를 공급하여 재순환하도록 된 열 교환설비의 하나이다.
이러한 냉각탑은, 주로 고온의 열이 적용되는 발전설비, 공장설비 등과 같은 대형의 설비에서 열교환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에서 열교환공간은, 외부의 기류를 공급받아 냉각매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하도록 된 공랭식 증발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현장에서 냉각탑을 일일이 조립하여 설비하는 상당히 노동 집약적 방식이라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냉각탑의 조립에 대하여 숙련된 노동력을 필요로 하며, 상당히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비경제적인 단점을 가진다.
즉, 냉각탑의 설치 시, 냉각탑의 부품들은 생산 현장이 아닌 냉각탑 설치 작업현장(예를들면, 건물의 옥상)에서 조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냉각탑의 구성요소(설비수단)들은 크기와 하중이 커, 작업 현장에서의 조립에는 많은 시간과 인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공랭식 증발구조가 적용된 냉각탑은, 바닥면에 시설되는 기초바닥의 상부로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냉각매체가 경유하면서 열 교환하도록 된 열교환공간과, 상기 열교환공간으로 냉각매체를 투입하거나 순환시키도록 된 설비수단과, 상기 열교환공간 및 설비수단들을 기초바닥에 대하여 설치 및 확보하도록 고정 지지하도록 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392763호(명칭: 하이브리드형 냉각탑)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냉각탑이 게재되어 있으며, 내부에 냉각매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중에 열 교환하도록 된 열교환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열교환공간의 상부에 마련되며 냉각매체를 열교환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로 자유낙하 하여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분사설비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열교환공간의 하부에 마련되어 열 교환공간에서 자유 낙하하는 냉각매체를 수용하는 수조와 냉각매체를 순환시키도록 된 펌프를 포함하는 순환설비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열교환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외기를 냉각탑의 내부로 순환시키도록 된 송풍설비를 가지는 냉각탑이 게재되어 있다.
즉, 상기 분사설비와 수조설비와 순환설비 및 열교환공간이 상기 케이싱을 구성하는 고정구조물을 통해 구현되거나 고정되어 냉각매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냉각탑은, 냉각탑을 설치하고자하는 장소에 대한 현장조사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기초를 형성하고, 상기 기초를 기반으로 냉각탑 설치를 위한 비계를 설치하며, 설치된 비계 상에서 작업자가 설치작업을 통해 유입되는 각종 설비구성품을 조립하여 냉각탑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냉각탑의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된 비계를 해체하여 시공을 마무리하면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31272호(명칭: 모듈형 냉각탑)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급기구와 배기구를 갖으며 열교환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열교환영역에 배치되어 냉각수와 공기가 상호 유동하며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열교환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와; 열교환부를 향해 송풍하고 열교환을 마친 포화습공기를 배기구를 통해 배기하는 송풍팬부를 갖는 모듈형 냉각탑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은 전판 및 후판과, 상판 및 저판과, 양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6면을 갖는 직사각의 수평형으로 구성되고, 급기구는 케이싱의 후판 또는 저판 중 어느 한 곳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배기구는 상기 케이싱의 전판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케이싱을 지지하며, 케이싱의 내측 6면의 모서리를 따라 구성되는 프레임부를 가진다.
또한, 열교환부와 급기구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급기영역을 형성하며, 살수부의 일측을 구획하는 살수영역구획부와, 열교환부와 면하게 구성되는 급기영역구획부와, 살수영역구획부와 급기영역구획부사이에 형성되는 상부구획부와, 급기영역구획부에 마련되는 송풍개구로 구성되어 냉각수와 공기가 우회 유동없이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구획하는 송풍구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송풍구획부와 상기 급기구사이에 형성되는 흡기영역과; 열교환부와 배기구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영역과; 송풍팬부는 흡기영역 또는 배기영역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고, 케이싱의 저부에 밀착 고정되며, 저판과 저판과 면하는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복수의 저부장착부재와; 케이싱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판과 상판과 면하는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복수의 상부장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공보에 첨부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의 독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다수의 모듈형 냉각탑을 상호 연결되게 구성하여 대용량의 열교환을 가능하게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모듈형 냉각탑은,작업현장에서 냉각탑의 각 구성을 조립하여 시공하지 않고 제조현장에서 서로 체결 가능하게 독립된 소형의 모듈형 냉각탑을 일일이 완성하여 제조한 후, 작업현장에 선택된 수량만큼 결합함으로써 원하는 용량을 가지는 냉각탑을 시공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현장에서의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독립된 소형의 모듈형 냉각탑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다수의 완성 된 냉각탑들을 일일이 제조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며, 특히, 설치현장에서의 열교환공간의 확보가 효율적이지 못하고, 다수의 냉각탑을 관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최근에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매체가 열 교환하도록 된 열교환공간(2) 및 설비 수단(3)들을 기초바닥(4)에 대하여 설치 및 확보하도록 된 고정구조물(5)을 공간적 배치에 따라 분할하여서 된 모듈단위체(10)를 통해 구현하도록 되어, 상기 모듈단위체(10)에 상기 설비수단(3)들을 공간적으로 분할하여서 된 설비모듈단위체(31)들을 결합 고정된 상태로 제조현장에서 제조한 후, 상기 기초 바닥(4)으로 운반하고 조립하여 시공함으로써, 시공의 간편성을 확보해 경제적인 이익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블록형 냉각탑(1)이 제안되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31272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392763호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냉각탑들은, 다수의 모듈단위체들을 서로 말착한 상태로 결합하여 고정구조물을 형성할 때, 모듈단위체의 자체 하중 및 모듈단위체에 고정되는 설비들에 의해,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그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타 모듈단위체와 밀착된 상태로 결합할 때, 간극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형 냉각탑을 구성하며 열교환공간 및 설비 수단들을 기초바닥에 대하여 설치 및 확보하도록 된 고정구조물을 공간적 배치에 따라 분할하여서 된 모듈단위체로써, 타 모듈단위체와 결합할 때 비틀림 등과 같은 형상변형에 대한 보정을 통해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하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는, 냉각매체가 열 교환하도록 된 열교환공간 및 설비수단들을 기초바닥에 대하여 설치 및 확보하도록 된 고정구조물을 전체 점유공간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분할하여서 이루어져 결합시 상기 고정구조물을 구현하도록 된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들이 수직 및 수평 상으로 결합 되어 점유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에서 최소한 타 된 몸체와 연결되는 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에는, 대각방향으로 마주하는 지점을 연결하여 인장력(tension)을 형성하도록 된 연결체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체를 통해 형성되는 인장력을 조절하여 몸체에 형성된 형상변형에 대한 보정을 구현하도록 된 인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인장력조절수단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체를 구성하며 일단이 상기 몸체상에서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지점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들의 타단부들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들을 서로 근접 또는 이격시켜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인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턴버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는, 다수 개가 결합하여 블록형 냉각탑을 형성하는 고정구조물을 구성하게 됨은 물론, 자체 하중 또는 부착 고정된 설비들의 하중에 의해 비틀림 등과 같은 형상변경이 발생할 경우, 상기 인장력조절수단을 몸체에 구현된 인장력을 조절하여 몸체의 형상변형을 보정하도록 됨에 따라, 타 모듈단위체와 접하는 면의 밀착이 제대로 이루어져 결합될 때, 간극이 발생하는 등의 결함을 방지함으로써, 블록형 냉각탑의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블록형 냉각탑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일반적인 블록형 냉각탑을 구성하는 냉각탑의 모듈단위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10)는, 냉각매체가 열 교환하도록 된 열교환공간(2) 및 설비수단(3)들을 기초바닥(4)에 대하여 설치 및 확보하도록 된 고정구조물(5)을 전체 점유공간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분할하여서 이루어져 결합시 블록형 냉각탑(1)을 구성한다.
즉, 상기 고정구조물(5)에 대한 공간적 분할을 구현하여, 결합시 냉각탑(1)을 구성하는 고정구조물(5) 전체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현장에서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듈단위체(10)를 제조하고 결합하여 냉각탑(1)을 구성하는 고정구조물(5)을 완성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해체하고, 설치현장에서 재결합하여 완성된 고정구조물(5)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시공의 간편성을 확보해 경제적인 이익과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의 향상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시 예에 의한 모듈단위체(10)에는, 제조현장에서 상기 설비수단(3)의 전체를 점유공간에 대하여 분할하는 설비부분들을 결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설치현장에서,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듈단위체(10)를 조립하여 고정구조물(5)을 형성함과 동시에 열교환공간(2) 및 설비수단(3)의 구성이 이루어져 전체 모듈형 냉각탑(1)의 시공에 완료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듈단위체(10)는, 다수의 프레임(111)들이 수직 및 수평 상으로 결합되어 점유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몸체(11)를 가진다.
즉, 다수의 프레임(111)이 '틀' 형태로 결합하여 상기 몸체(11)를 구성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점유 공간에 각종 설비수단(3)이 고정됨과 아울러, 열교환공간(2)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몸체(11)는 다수의 프레임(111)들이 다면체 형태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면체의 확보된 공간을 통해 상기 열교환공간(2)을 구현하거나, 상기 프레임(111)들에 상기 설비수단(3)들이 고정 지지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몸체(11)는 입방체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듈단위체(10)는, 상기 몸체(11)에서 최소한 타 된 몸체(11)와 연결되는 면을 구성하는 프레임(111)에는, 대각방향으로 마주하는 지점을 연결하여 인장력을 형성하도록 된 연결체(12)가 구비된다.
즉, 몸체(11)의 일 면에서 대각 방향으로 몸체(11)에 대한 인장력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연결체(12)는, 상기 몸체(11)의 일 면에 대하여 서로 교차하는 "X" 자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의 모서리에 대한 인장력을 각각 발생시켜, 몸체(11)의 일 면에서 전체적으로 인장력이 구성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연결체(12)는, 밴드, 로프, 와이어 등과 같이 장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면 족하고, 바람직하게는 내구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듈단위체(10)는, 상기 연결체(12)를 통해 형성되는 인장력을 조절하여 몸체(11)에 형성된 형상변형에 대한 보정을 구현하도록 된 인장력조절수단(13)을 가진다.
즉, 상기 몸체(11)의 일 면에서 각각의 모서리에 대하여 형성된 인장력을 조절하여 몸체의 비틀림 등과 같은 형상변형을 보정 하여 정 자세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타 모듈단위체(10)와 연결 결합시에 접촉하는 면에서 간극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체 고정구조물(5)의 내구성과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다.

상기에서 연결체(12)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12)의 단부가 체결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1)의 프레이(111)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리편(14)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체(12) 및 상기 인장력조절수단(13)은, 상기 몸체(11)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단위모듈체(10)들의 결합시 외부에서 안정적으로 인장력을 조절하여 몸체의 비틀림 등과 같은 형상변형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듈단위체(10)에서, 상기한 인장력조절수단(13)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체(12)를 구성하며 일단이 상기 몸체(11)상에서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지점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들의 타단부들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들을 서로 근접 또는 이격시켜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들을 서로 근접 또는 이격될 때,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되는 인장력이 몸체의 모서리부위를 외측방향으로 늘리거나 잡아당겨 변형된 변위를 해소하는 보정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인장력조절수단(13)은 상기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턴버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가 턴버클을 구성하는 한 쌍의 나사부(131)들에 각각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턴버클을 구성하는 너트부(132)를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부(131)들이 서로 근접 및 이격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들의 단부들을 근접 및 이격시켜 전체 연결체(12)의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인장력조절수단(13)은, 상기 제1연결부재(121) 및 제2연결부재(121)의 양단에 구비된 미 도시된 볼트와, 상기 프레임(111)에 구비되며 상기 볼트가 나사결합하는 미도시 된 너트체로 이루어져, 상기 볼트와 너트의 나사결합에 따라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듈단위체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듈단위체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다수의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듈단위체(10)를 구성하는 상기 몸체(11)들을 서로 연결 고정하여,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탑(1)을 구성하는 고정구조물(5)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1)를 구성하는 프레임(111)에 상기 설비수단(3)의 전체를 점유공간에 대하여 분할하는 설비부분들을 결합하여 제조하여 일체로 구성하면, 설치현장에서,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듈단위체(10)를 조립하여 고정구조물(5)을 형성함과 동시에 열교환공간(2) 및 설비수단(3)의 구성이 이루어져 전체 블럭형 냉각탑(1)의 시공에 완료된다.
따라서, 시공작업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몸체(11)들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될 때, 자체 하중 또는 설비수단(3)의 하중에 따른 편중이 발생하여 몸체(11)에 비틀림 등과 같은 형상변형이 발생하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변형이 발생한 몸체(11)의 모서리 부위에 대한 인장력을 조절하여 보정 함으로써, 안정된 형상을 구현하고, 타 몸체(11)와 밀착되게 접하도록 한 후, 결합하면 된다.
이때, 상기 인장력조절수단(13)을 통해 상기 연결체(12)의 인장력을 조절함으로써, 몸체(11)의 모서리 부위에 대한 형상변형을 보정 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몸체(11)의 모서리부위가 외측 방향으로 늘어난 형상변형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와 인접된 모서리부위는 내측으로 수축되는 형상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일 모서리부위에서 발생된 형상변형을 보정 하면, 그와 인접된 모서리부위에서 발생된 형상변형이 동시에 보정된다.
따라서, 서로 교차하여 배치된 각각의 인장력조절수단(13)을 각각 조정하여, 각각의 모서리부위의 인장력을 각각 조절하면, 더욱 세밀한 인장력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1)의 형상변형에 대하여 인장력을 조절함으로서, 변형된 변위에 대한 보정이 완료되면, 몸체의(11) 형상의 제대로 형성되어 타 몸체(11)와 밀착되어 결합될 때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공되는 모듈형 냉각탑(1)의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냉각탑 2 : 열교환공간
3 : 설비수단 4 : 기초바닥
5 : 고정구조물 10 : 모듈단위체
11 : 몸체 111 : 프레임
12 : 연결체 121 : 제1연결부재
122 : 제2연결부재 13 : 인장력조절수단
131 : 나사부 132 : 너트부
14 : 고리편

Claims (1)

  1. 냉각매체가 열 교환하도록 된 열교환공간(2) 및 설비수단(3)들을 기초바닥(4)에 대하여 설치 및 확보하도록 된 고정구조물(5)을 전체 점유공간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분할하여서 이루어져 결합시 상기 고정구조물(5)을 구현하도록 되며 수직 및 수평 상으로 다수의 프레임(111)들이 '틀' 형태로 결합하여 입방체형태로 이루어져 점유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프레임(111)에서 대각방향으로 마주하는 지점을 연결하여 인장력(tension)을 형성하도록 모서리부위들을 연결하도록 된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로 이루어진 연결체(12)와;
    상기 연결체(12)의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들의 사이에 구비되어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인장력조절수단(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블록형 냉각탑(1)의 모듈단위체(10)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12)는,
    상기 몸체(11)의 일 면에 대하여 서로 교차하는 "X" 자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의 모서리에 대한 인장력을 각각 발생하되, 금속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장력조절수단(13)은,
    상기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들의 타단부들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들을 서로 근접 또는 이격시켜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턴버클로 이루어지고;
    상기에서 연결체(12)는,
    상기 연결체(12)의 단부가 체결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1)의 프레이(111)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리편(14)에 결합하도록 되며;
    상기 몸체(11)의 모서리부위가 외측 방향으로 늘어난 형상변형이 발생된 때에,
    그와 인접된 모서리부위를 상기 인장력조절수단(13)을 통해 상기 연결체(12)의 인장력을 조절하여 내측으로 수축되는 형상변형을 통해 보정하여 발생된 형상변형이 보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
KR1020160041972A 2016-04-05 2016-04-05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 KR10162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72A KR101620625B1 (ko) 2016-04-05 2016-04-05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72A KR101620625B1 (ko) 2016-04-05 2016-04-05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625B1 true KR101620625B1 (ko) 2016-05-12

Family

ID=5602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972A KR101620625B1 (ko) 2016-04-05 2016-04-05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6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196B1 (ko) * 2018-04-20 2019-01-03 강미영 냉각탑용 조립식 프레임
WO2020116834A1 (ko) * 2018-12-03 2020-06-11 구태준 모듈형 냉각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196B1 (ko) * 2018-04-20 2019-01-03 강미영 냉각탑용 조립식 프레임
WO2020116834A1 (ko) * 2018-12-03 2020-06-11 구태준 모듈형 냉각탑
US11506456B2 (en) 2018-12-03 2022-11-22 Tae-June GU Modular cooling t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1639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9995182B2 (en) Installation support structure for a steam condensation system
KR20180100436A (ko)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KR101620625B1 (ko) 블록형 냉각탑의 모듈단위체
KR20160016886A (ko) 모듈형 공랭식 콘덴서 장치 및 방법
US9826664B2 (en) Apparatus for cooling server cabinet, server cabinet apparatus, and internet data center
US11105565B2 (en) Heat exchanger assembly
JP6804735B2 (ja) サーバ室用空調システム
US1111611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ir-conditioning a cold aisle
US10352583B2 (en) Panel for an air handling unit,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panel, and air handling unit including such a panel
CN202853004U (zh) 制冷装置的室外机组
JP7204928B2 (ja) チリングユニット及びチリングユニットシステム
US20230279657A1 (en) Modular structural louver and methods of use
KR101769015B1 (ko)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유닛형 외조기
US11060739B2 (en) Air handling unit
CN112020270B (zh) 热交换器组件以及组装热交换器组件的方法
CN110043954B (zh) 落地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20200000330U (ko) 내진 성능이 향상된 통신기기용 내진 랙
CN215809230U (zh) 箱体与间接蒸发冷却机组
WO2023013666A1 (ja) 冷却塔
KR101556350B1 (ko) 블록형 냉각탑 및 그의 시공방법
JP2655814B2 (ja) 冷却塔のルーバーパネル
CN213178793U (zh) 一种用于机房空调的风帽
CN210267836U (zh) 一种抽屉式蓄冷板架
KR101064556B1 (ko) 이종 케이싱 조립용 프레임 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344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1103

Effective date: 20190515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