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409B1 - 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409B1
KR101620409B1 KR1020140023063A KR20140023063A KR101620409B1 KR 101620409 B1 KR101620409 B1 KR 101620409B1 KR 1020140023063 A KR1020140023063 A KR 1020140023063A KR 20140023063 A KR20140023063 A KR 20140023063A KR 101620409 B1 KR101620409 B1 KR 101620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aft
plating
plating roll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1590A (en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2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409B1/en
Publication of KR2015010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5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4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8Rin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 클리닝장치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의 일측에 상기 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롤러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롤러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클리닝유닛들; 및 상기 클리닝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롤러의 표면과 맞닿도록 위치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ller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rolle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er on one side of a roller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a foreign object moving toward the roller, A plurality of cleaning units each having a removable blade; And 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respectively, for positioning each of the blades so as to abut the surface of the roller.

Description

롤러 클리닝장치{APPARATUS FOR CLEANING ROLLER}[0001] 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0002]

본 발명은 롤러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의 일측에 배치되어 롤러를 향해 이동하여 롤러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롤러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er clea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ller cleaning apparatus having a blade disposed on one side of a roller and moving toward a roller to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roller.

일반적으로 가전제품, 자동차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강판은 표면에 아연계의 금속 및 금속 합금을 도금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면서 표면의 외관을 우수하게 유지시킨다. 특히, 강판 표면의 도금작업은 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연속적인 도금작업이 가능한 수평셀(LCC-H; Liquid Cushion Cell-Horizontal) 타입의 전기도금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다.
Generally, steel sheet which is widely used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automobile materials is coated with zinc-based metal and metal alloy on the surface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maintain excellent surface appearance. In particular, the plating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s performed by using a horizontal cell (LCC-H) type electropla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plating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process.

예를 들어, 수평셀 타입의 전기도금장치를 이용한 황산욕 도금에는 불용성 전극이 사용되며, 이 전극은 대체로 1500 ~ 2000mm의 길이를 갖도롤 형성되어 약 200A/dm의 전류밀도, 도금셀당 50KA 전류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고전류 밀도의 조업이 가능하여 합금 도금이 용이하다.
For example, an insoluble electrode is used for the plating of the sulfuric acid bath using a horizontal cell type electroplating apparatus. The electrode is rolled even if it has a length of 1500 to 2000 mm, and a current density of about 200 A / dm and a current of 50 kA per plating cell By performing the work,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high current density and the alloy plating is easy.

수평셀 타입의 전기도금장치는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도금전극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강판이 진행하며, 강판과 도금전극 사이에는 대략 9mm 정도의 간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액노즐을 통해 강판과 도금전극 사이의 간격으로 도금용액이 공급된다.
In the horizontal cell type electroplating apparatus, a steel plate advances through a space between a pair of plating electrodes arranged up and down, and a gap of about 9 mm is formed between the steel plate and the plating electrode. Then, the plating solution is supplied through the solution nozzle at a distance between the steel plate and the plating electrode.

도금전극의 양측으로는 강판에 도금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스틸 재질의 높은 경도로 구성된 도금롤과 도금롤이 설치된 강판의 반대쪽으로 강판을 대략 4 ~ 5kg/cm2의 압하력으로 도금롤에 밀착되어 강판을 이송시키는 백업롤이 설치된다. 도금전극 및 도금전극의 전후에 배치된 도금롤과 백업롤에 둘러싸여 도금용액이 충진됨에 따라 도금공정이 이루어지는 소정의 공간인 도금셀이 마련된다.
On both sides of the plating electrode, the steel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lating roll at a descending force of about 4 to 5 kg / cm < 2 >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lating roll having high hardness of steel material and the steel plate provided with the plating roll, A backup roll for feeding the steel sheet is provided. A plating cell is provided,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plating process is performed as the plating solution is filled in the plating roll surrounded by the plating roll and the backup roll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plating electrode and the plating electrode.

이에 따라, 강판이 도금롤과 백업롤 사이에서 접촉하여 도금롤 및 백업롤이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도중 도금셀에서는 도금롤을 통해 음극의 도금전류가 강판에 공급되게 하여 표면이 미려하고 색상이 우수한 도금제품의 생산을 연속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Thus, in the plating cell, the plating current of the negative electrode is supplied to the steel plate through the plating roll while the steel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plating roll and the backup roll and the plating roll and the backup roll are transported by rota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tinuously produce the plating product.

반면, 장시간 연속 도금작업시, 도금전류에 의해 도금롤에 자장이 형성되어 자화됨으로써 도금롤에 이물이 부착되며, 이로 인해 도금강판은 도금롤 이물마크인 굴곡 형상 불량인 덴트(dent) 품질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금롤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하여 강판의 품질 결함을 방지가능한 장치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during continuous plat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plating roll by the plating current to magnetize the foreign object to the plating roll, thereby causing dent quality defects in the plating roll, .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quality defects of a steel sheet by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plating roll.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44758호. 2011. 06. 27.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44758. June 27,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도금롤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a plating ro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율적으로 도금롤의 표면 관리하여 강판의 품질 결함을 방지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manage the surface of the plating roll to prevent quality defects of the steel shee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 클리닝장치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의 일측에 상기 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롤러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롤러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클리닝유닛들; 및 상기 클리닝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롤러의 표면과 맞닿도록 위치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ller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rolle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er on one side of a roller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a foreign object moving toward the roller, A plurality of cleaning units each having a removable blade; And 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respectively, for positioning each of the blades so as to abut the surface of the roller.

상기 구동유닛은, 기설정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호 이격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들의 정점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함몰부를 가지는 이송부재; 일단부가 상기 블레이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이동가능하며, 타단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와 접촉하여 상기 이송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 및 상기 돌출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가능한 승강축을 구비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승강축이 상기 돌출부의 정점에 위치할 경우,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롤러와 맞닿는 작동위치를 가질 수 있다.Wherein the driv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radially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center of rota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ransf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rotrusions and having depressions formed by recesses from apexes of the protrusions; One end of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lade and movable together with the blad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depressed portion and is capable of being sequentially moved along the depressed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by rotation of the transferring member Wherein the blade has an operating position in which the blade contacts the roller when the lifting shaft is located at the apex of the protrusion.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블레이드가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후방 블레이드는 상기 이송부재의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를 가질 수 있다.Wherein the blades have front and rear blades disposed respectively forward and rearward with respect to a rotating direction of the roller, and when the front blades are positioned at the operating position, the rear blades detach from the protrusions of the feeding member And may have a standby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ller.

상기 함몰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정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블레이드의 승강축이 상기 함몰부의 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과 상기 롤러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Th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to the apex of the protrusion may be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blade and the roller in a state where the elevation axis of the blad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이송부재와 축결합되어 상기 이송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한 이송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롤러와 맞닿아 함께 회전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further includes a conveying shaft axially coupled to the conveying member and rotatable together with the conveying member, wherei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roll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blade, the driving roller contacting the roller and rotating together; A driving shaft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roller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 roller; And a 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haft to the feeding shaft.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링축; 상기 구동축과 상기 링축을 연결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링축과 상기 이송축을 연결하는 제2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es a ring shaf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member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rive shaft; A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connecting the drive shaft and the ring shaft; And a second power transmitting member connecting the ring shaft and the conveying shaft.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축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구동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어링블록; 하단부가 상기 베어링블록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지지하는 고정축을 구비할 수 있다.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housing disposed above the roller and housing 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wherein the drive unit supports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and the drive shaf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earing block; A lowe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bearing block, and an upper end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driving roller.

상기 고정축의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축 상에 고정설치되는 리미터링; 및 상기 리미터링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fixed shaft is inserted and fixed in a through hol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he driving unit includes a limiter ring position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fixed shaft; And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limiter ring and the housing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ward the driving roller.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승강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승강축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승강축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부재의 외면을 따라 회전가능한 푸싱롤러; 상기 승강축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푸싱롤러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롤브라켓; 및 상기 롤브라켓과 상기 하우징 바닥면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housing which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oller and accommodates the respective transferring members, wherein each of the lifting shafts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 fix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lifting shaft to fix the blade; A pushing roller positioned on the lifting shaft and rotatabl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member; A roll bracket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lifting shaft and connected to the pushing roller so as to be rotatable; And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roll bracket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ward the conveying member.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승강하는 실린더로드; 상기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를 구동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cylinder ro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housing; And a cylinder connected to the cylinder rod to drive the cylinder rod.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빔; 및 일측이 상기 고정빔에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빔을 따라 상기 하우징과 함께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stationary beam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and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er; And a sliding housing which is supported by the fixed beam on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on the other side and is movable together with the housing along the fixed beam.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롤러의 중심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blades may be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the roller.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can rotate with a different phase differ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블레이드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도금롤을 향해 이송시킴으로써 도금롤에 부착된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레이드의 승강은 도금롤의 회전력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에너지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복수의 블레이드가 도금롤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맞닿음으로써 블레이드의 피로도를 최소화하여 도금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plating roll can be easily removed by transferring a plurality of blade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sequentially toward the plating roll.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energy source by using the rotating force of the plating roll as it is, and the plurality of blades ar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lating roll sequentially to minimize the fatigue of the blad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an be maximized.

도 1은 일반적인 수평셀 타입의 전기도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horizontal cell type electroplating apparatus.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ll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5 and 6 are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S. 7 to 1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embodiments best suited to underst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llustr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the respective embodiments,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도 1은 일반적인 수평셀 타입의 전기도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평셀 타입의 전기도금장치(1)는 도금전극(3)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강판(S)이 진행되고, 도금용액(7)은 강판(S)과 도금전극(3)의 사이의 정압노즐(5)로부터 공급된다. 도금롤(8)이 강판(S)과 접촉하여 회전됨으로써 도금롤(8)을 통해 음극의 도금전류가 강판(S)에 인가되며, 도금롤(8)이 설치된 강판(S)의 반대쪽에는 백업롤(9)이 설치되어 강판(S)이 도금롤(8)에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써 표면이 미려하고 색상이 우수한 도금제품의 생산이 이루어진다.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horizontal cell type electroplating apparatus. 1, a general horizontal cell type electroplating apparatus 1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eel sheet S advances through a space between plating electrodes 3 and a plating solution 7 is coated with a steel sheet S And is supplied from the constant-pressure nozzle 5 between the electrodes 3. The plating roll 8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steel plate S so that the plating current of the negative electrode is applied to the steel plate S through the plating roll 8 and the back side of the steel plate S on which the plating roll 8 is provided A roll 9 is provided and the steel sheet S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plating roll 8 and rotated to produce a plated product having a beautiful surface and excellent color.

이러한 도금공정을 장시간 계속할 경우, 도금롤(8)과 강판(S)이 접촉되는 과정에서 강판(S)의 칩(Chip)이나 스케일(Scale)과 같은 이물(6)이 도금롤(8)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후물재 작업시 강판(S)의 에지부에 발생되는 덴드라이드(Dendraite)가 도금롤(S)의 표면에 침작되는 결함이 발생한다. 즉, 강판(S)과 밀착, 접촉되는 도금롤(8)의 표면 상태는 직접적으로 도금 강판(S)의 표면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도금롤(8) 표면의 결함이 발생한 상태에서 장시간 연속 도금작업시 제품 표면결함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금롤(8)의 표면 이물(6)을 제거가능한 롤러 클리닝장치(도 2의 1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When the plating process is continued for a long time, foreign matter 6 such as a chip or a scale of the steel sheet S contacts the plating roll 8 while the plating roll 8 and the steel sheet 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defect occurs in which the dendrite generated on the edge of the steel sheet S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plating roll S. That is, the surface state of the plating roll 8 in close contact with and in contact with the steel sheet S directly affects the surface of the coated steel sheet S, and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surface of the plating roll 8, Product surface defects frequently occur during plating.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roller cleaning device (100 in Fig. 2) capable of removing the foreign object 6 on the surface of the plating roll 8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클리닝장치(100)는 도금롤(8)의 상부에 배치된다. 롤러 클리닝장치(100)는 도금롤(8)과 맞닿아 도금롤(8)에 부착된 이물(6)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10)를 구비하는 복수의 클리닝유닛(20)들과 연결되어 블레이드(10)가 도금롤(8)의 표면을 향해 위치시키는 구동유닛(40)을 포함한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ll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1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ing roll 8. 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leaning units 20 having a blade 10 capable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6 attached to the plating roll 8 by abutting against the plating roll 8, 10) toward the surface of the plating roll (8).

또한, 롤러 클리닝장치(100)는 클리닝유닛(20) 및 구동유닛(40)이 각각 연결되어 함께 이동가능한 하우징(50)을 더 포함하며, 하우징(50)의 상부에는 실린더로드(65)가 연결되어 실린더(60)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로드(65)는 하우징(50)과 함께 승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롤러 클리닝장치(100)는 도금롤(8)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도금롤(8)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고정빔(80)과 고정빔(80)에 지지되어 고정빔(80)을 따라 함께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하우징(85) 및 일측이 슬라이딩 하우징(85)에 연결되며, 타측이 실린더(60)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8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브라켓(88)과 슬라이딩 하우징(85) 사이에는 메인블록(8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하우징(85)은 고정빔(8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스크류축(82)에 연결되어 스크류축(82)의 회전에 의해 고정빔(8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housing 50 to which the cleaning unit 20 and the drive unit 40 are connected and can be moved together. A cylinder rod 65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50 And the cylinder rod 65 can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housing 50 by driving the cylinder 60. [ 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100 is supported on the stationary beam 80 and the stationary beam 80 that are fix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ing roll 8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ing roll 8, And a connection bracket 88 connected to the sliding housing 85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cylinder 60 at the other side. A main block 87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bracket 88 and the sliding housing 85 so that the sliding housing 85 is connected to the screw shaft 82 which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eam 80 And can move along the fixed beam 80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82.

즉, 클리닝유닛(20)과 구동유닛(40)은 하우징(50)과 함께 이동가능하며, 하우징(50)은 실린더(60) 및 실린더로드(65)를 통해 도금롤(8)을 향해 승강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은 슬라이딩 하우징(85)과 연결되어 고정빔(80)을 따라 도금롤(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후술하는 각각의 클리닝유닛(20)은 도금롤(8)의 이물을 제거하는 블레이드(25)를 구비하며, 구동유닛(40)은 각각의 클리닝유닛(20)을 도금롤(8)을 향해 순차적으로 이송가능한 이송부재(30) 및 이송부재(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70)를 포함한다.
That is, the cleaning unit 20 and the drive unit 40 are movable together with the housing 50, and the housing 50 is moved up and down toward the plating roll 8 through the cylinder 60 and the cylinder rod 65 . The housing 50 is connected to the sliding housing 85 and is movable along the fixed beam 8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ing roll 8. Each of the cleaning units 20 described later has a blade 25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the plating roll 8. The driving unit 40 drives each cleaning unit 20 toward the plating roll 8 sequentially And a driving roller (70)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conveying member (30).

클리닝유닛(20)은 도금롤(8)의 폭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클리닝유닛(20)의 하단부에는 도금롤(8)에 부착되는 이물(6)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25)가 각각 구비된다. 블레이드(25)는 도금롤(8)의 중심을 기준을 향해 배치되며, 각각의 클리닝 유닛(20)은 도금롤(8)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cleaning unit 20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ing roll 8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each cleaning unit 20 with a blade capable of removing foreign matter 6 attached to the plating roll 8. [ Respectively. The blade 25 is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the plating roll 8 and each of the cleaning units 20 can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lating roll 8.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0)은 내부공간(52)을 가지며, 이송부재(30)는 하우징(50)의 내부공간(52)에 배치된다. 각각의 이송부재(30)는 기설정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34)들 및 돌출부들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돌출부들의 정점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함몰부(32)를 가진다. 이송부재(30)의 함몰부(32)와 돌출부(34)를 교대로 형성되며, 함몰부(32)와 돌출부(34)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송부재(3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plan view of 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5 and 6 are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3 to 6, the housing 50 has an internal space 52, and the conveying member 30 i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52 of the housing 50. As shown in Fig. 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3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34 extending radially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center of rota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depression 32 disposed between the protrusions and recessed from apexes of the protrusions, . The depressed portion 32 and the protruding portion 34 of the transfer member 30 are alternately formed and the depressed portion 32 and the protruded portion 34 may be formed in plural corresponding to each other. Further, 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30 may have the same shape.

이송부재(30)는 클리닝유닛(20)과 대응되는 복수로 구비되며, 예를 들어 도금롤(8)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 이송부재(30a, 30c), 그리고 전방 및 후방 이송부재(30a, 30c)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이송부재(30b)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이송부재(30)는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전방 및 후방, 그리고 중앙 이송축(31)과 축결합되어 함께 회전가능하며, 각각의 이송축(31)들은 하우징(50)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conveying member 3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to the cleaning unit 20 and is provided with the front and rear conveying members 30a and 30c and the front and rear conveying members 30a and 30b, And a central transferring member 30b disposed between the transferring members 30a and 30c. 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30 is rotatable together with the respective forward and rearward and central conveying shafts 31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re rotatable together. Each of the conveying shafts 31 is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50 Lt; / RTI >

각각의 이송부재(30)의 하부에는 클리닝유닛(20)이 위치한다. 클리닝유닛(20)은 하단부에 도금롤(8)과 접촉하는 블레이드(25)와 블레이드(25)의 상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재(27), 고정부재(27)에 연결되는 승강축(35)을 포함한다. 그리고 클리닝유닛(20)은 승강축(35)의 상단에 롤브라켓(37)이 연결되며, 푸싱롤러(38)는 롤브라켓(3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승강축(35)은 하우징(50)의 바닥면(52)에 형성된 삽입홀(53)에 각각 삽입되며, 승강축(35)과 고정부재 사이에는 가이드링(29)이 고정설치된다. 가이드링(29)은 하우징(50)의 외측에 위치하며, 삽입홀(53)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The cleaning unit 20 is positioned below 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30. The cleaning unit 20 is provided with a blade 25 which contacts the plating roll 8 at the lower end and a fixing member 27 which fixes and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blade 25, a lifting shaft 35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27, . The cleaning unit 20 has a roll bracket 37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shaft 35 and a pushing roller 38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ll bracket 37. The lifting shaft 3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3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housing 50 and the guide ring 29 is fixed between the lifting shaft 35 and the fixing member. The guide ring 29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50 and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53.

또한, 클리닝유닛(20)은 롤브라켓(37)과 하우징(50)의 바닥면(52)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3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탄성부재(36)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이송부재(30)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푸싱롤러(38)는 이송부재(30)의 회전에 의해 이송부재(30)의 함몰부(32) 및 돌출부(3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푸싱롤러(38)가 이송부재(30)의 돌출부(34) 상에 위치할 경우, 승강축(35) 및 블레이드(25)는 함께 하강하며, 푸싱롤러(38)가 함몰부(32) 상에 위치할 경우, 승강축(35) 및 블레이드(25)는 함께 승강한다. 한편, 고정부재(27)의 전방에는 블레이드 커버(28)가 결합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25)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6)이 강판(S)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leaning unit 20 also includes a second elastic member 36 installed between the roll bracket 37 and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housing 50. For example, the second elastic member 36 may be an elastic spring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ward the conveying member 30. The pushing roller 38 can move along the depressed portion 32 and the protruding portion 34 of the conveying member 30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member 30. [ When the pushing roller 38 is positioned on the projecting portion 34 of the conveying member 30, the lifting shaft 35 and the blade 25 descend together and the pushing roller 38 abuts on the depressed portion 32 When it is positioned, the lifting shaft 35 and the blade 25 ascend and descend together. The blade cover 28 can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xing member 27 and the foreign matter 6 removed by the blade 25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teel sheet S. [

구동롤러(70)는 블레이드(25)의 일측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후방 블레이드(25c)의 후방에 배치되어 도금롤(8)와 맞닿아 도금롤(8)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축(75)은 구동롤러(70)와 축결합되어 구동롤러(70)와 함께 회전가능하며, 구동축(75)의 상부에는 링축(90)이 배치된다. 베어링블록(76)은 구동축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며, 구동축(75)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링축(90)은 하우징(50)의 내부공간(52)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방 이송부재(30c)의 이송축(31c)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축(72)의 하단부는 베어링블록(76)에 연결되며, 상단부는 하우징(50)의 바닥면(52)에 형성된 관통홀(71)에 삽입되어 지지링(79)에 의해 지지된다.
The driving roller 7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blade 25 and is disposed behind the rear blade 25c to abut the plating roll 8 and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lating roll 8 . The drive shaft 75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e roller 70 and rotatable together with the drive roller 70. A ring shaft 90 is disposed above the drive shaft 75. [ The bearing block 76 supports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and the drive shaft 75 is rotatably connected. The ring shaft 90 can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52 of the housing 50 and can be disposed behind the transfer shaft 31c of the rear transfer member 30c. The lower end of the fixed shaft 72 is connected to the bearing block 76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71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housing 50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79.

리미터링(74)은 고정축(72) 상에 고정설치되며, 하우징(50)의 바닥면(52) 하부에 위치한다. 제1 탄성부재(77)는 리미터링(74)과 하우징(50)의 바닥면(52)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롤러(70)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구동롤러(70)는 도금롤(8)과 긴밀히 밀착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가능하며, 제1 탄성부재(77)의 완충력을 통해 도금롤(8)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limiter ring 74 is fixedly mounted on the fixed shaft 72 and is located below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housing 50. The first elastic member 77 is provided between the limiter ring 74 and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housing 50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ward the drive roller 70. Therefore, the driving roller 70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plating roll 8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mpact applied to the plating roll 8 through the buffe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77 can be minimized.

제1 벨트(92)는 구동축(75)과 링축(90)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풀리(99)에 연결될 수 있으며, 링축(90)은 구동롤러(70)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75)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축(90)과 후방 이송축(31c) 및 후방 이송축(31c)과 중앙 이송축(31b), 그리고 중앙 이송축(31b)과 전방 이송축(31a) 또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풀리(99)가 고정설치되어 각각 제2 내지 제4 벨트(93, 94, 95)에 연결됨으로써 함께 회전 가능하다.
The first belt 92 may be connected to a pulley 99 fixed to the drive shaft 75 and the ring shaft 90. The ring shaft 9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70 by a drive shaft 75 It can rotate. 4, the ring shaft 90, the rear conveying shaft 31c, the rear conveying shaft 31c and the central conveying shaft 31b, and the central conveying shaft 31b and the front conveying shaft 31a, In addition, pulleys 99 are fixedly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second to fourth belts 93, 94 and 95,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rotate together.

즉, 각각의 이송축(31)이 회전함으로써 이송축(31)과 대응되는 각각의 전방 및 후방, 중앙 이송부재(30a, 30b, 30c)는 함께 회전함으로써 푸싱롤러(38)는 이송부재(30)의 함몰부(32) 및 돌출부(34)를 따라 이동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재(30)는 각각 네 개의 함몰부(32)와 돌출부(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송부재(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 및 중앙 이송부재(30c, 30b)는 약 22.5도 어긋나도록 배치각(θ1)을 가진다. 중앙 이송부재(30b)와 전방 이송부재(30a) 또한, 후방 및 중앙 이송부재(30c, 30b)의 배치각(θ1)과 등각 배치되며, 각각의 이송부재(30)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한다.
That is, as each of the conveying shafts 31 rotates, the forward and rearward and central conveying members 30a, 30b, and 30c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shafts 31 rotate together so that the pushing roller 38 is rotated by the conveying member 30 The projections 34 and the depressed portions 32 of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ng portions 31 and 32 are moved. 3, 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30 may be provided with four depressions 32 and protrusions 34. In this case, The members 30c and 30b have an arrangement angle? 1 so as to be shifted by about 22.5 degrees. The central conveying member 30b and the front conveying member 30a are also equally arranged with the arrangement angle? 1 of the rear and central conveying members 30c and 30b, and 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30 has a different phase difference Rotate.

따라서, 후방 승강축(35c)에 연결되는 후방 블레이드(25c)를 시작으로 중앙 블레이드(25b), 전방 블레이드(25a)는 순차적으로 도금롤(8)의 표면과 맞닿을 수 있다. 한편, 도금롤(8)의 회전방향에 따라 구동롤러(70)의 회전방향은 변화함으로써 회전 방향이 반대일 경우, 전방 블레이드(25a)를 시작으로 후방 블레이드(25c)를 향해 순차적으로 도금롤(8)의 표면과 맞닿을 수 있다.
Therefore, the center blade 25b, the front blade 25a starting from the rear blade 25c connected to the rear elevation shaft 35c can com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lating roll 8 sequential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roller 70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lating roll 8, the rotation direction is reversed from the front blade 25a to the rear blade 25c, 8). ≪ / RTI >

또한, 하강한 블레이드(25)는 롤브라켓(27)과 하우징(50)의 바닥면(52)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36)의 탄성력을 통해 상승함으로써 이송부재(30)의 돌출부(34)로부터 함몰부(32)를 향해 상승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블레이드(25) 및 구동롤러(70)는 도금롤(8)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며, 구동축(75) 및 승강축(35)이 각각 삽입되는 하우징(50)의 바닥면(52)은 도금롤(8)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lowered blade 25 is lif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6 provided between the roll bracket 27 and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housing 50, 34) toward the depression (32). Each of the blades 25 and the drive roller 70 is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the plating roll 8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housing 50 into which the drive shaft 75 and the lift shaft 35 are respectively inserte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ing roll 8.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하우징(85)에 연결되는 하우징(50)은 고정빔(80)을 따라 함께 이동 가능함으로써 도금롤(8)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금롤(8)의 상부에 위치한 하우징(5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상부에 연결된 실린더(60)를 구동하여 실린더로드(65)를 하강함으로써 하우징(50) 및 하우징(50)에 연결되는 블레이드(25)는 함께 하강하여 도금롤(8)의 상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FIGS. 7 to 1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oller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7, the housing 50 connected to the sliding housing 85 can be located above the plating roll 8 by being movable together along the fixed beam 80. As shown in Fig. The housing 50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ing roll 8 drives the cylinder 60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50 to descend the cylinder rod 65, The blades 25 connected to the housing 50 descend together and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top of the plating roll 8. [

예를 들어, 도금롤(8)의 표면과 전방 블레이드(25a)의 이격거리(l)는 전방 블레이드(25a)에 연결되는 전방 푸싱롤러(38a)가 전방 이송부재(30a)의 함몰부(32a) 상에 위치('대기위치')할 경우, 함몰부(32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부(34a)의 정점의 거리와 같도록 배치된다. 이와 함께, 구동롤러(70)는 도금롤(8)과 맞닿아 함께 회전함으로써 이송부재(30)를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블레이드(25c)는 도금롤(8)과 맞닿는 작동위치에 놓이며, 동시에 중앙 및 전방 블레이드(25b, 25a)는 도금롤(8)로부터 이격된다.
For example, the distance l between the surface of the plating roll 8 and the front blade 25a is set so that the front pushing roller 38a connected to the front blade 25a is pressed against the depression 32a of the front transfer member 30a (The " standby position "), it is disposed so as to be equal to the distance of the apex of the protruding portion 34a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32a. At the same time, the drive roller 70 can rotate the conveying member 30 by abutting against the plating roll 8 and rotating together. Thus, the rear blade 25c is placed in the operating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plating roll 8, and at the same time the central and front blades 25b, 25a are separated from the plating roll 8.

구동롤러(70)의 구동축(75)과 각각의 벨트(92, 93, 94, 95)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이송축(31)들은 구동축(7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블레이드(25c)는 도금롤(8)로부터 이격되며, 중앙 및 전방 블레이드(25b, 25a)가 순차적으로 도금롤(8)에 맞닿아 도금롤(8)에 부착된 이물(6)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25)는 도금롤(8)의 중심을 향해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도금롤(8)을 향해 승강하므로, 도금롤(8)은 블레이드(25)의 두께와 대응되는 면 접촉이 이루어져 도금롤(8)에 부착된 이물(6)을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도금롤(8)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conveying shafts 31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75 of the driving roller 70 by the respective belts 92, 93, 94 and 95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75, The rear blade 25c is spaced from the plating roll 8 and the center and front blades 25b and 25a are in contact with the plating roll 8 sequentially to remove foreign matter (6) can be removed. Since the blades 25 are raised and lowered toward the plating roll 8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respectively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the plating roll 8, the plating roll 8 is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lades 25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foreign matter 6 attached to the plating roll 8 and to minimize the breakage of the plating roll 8.

즉, 본 발명은 복수의 블레이드(25)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도금롤(8)을 향해 이송시킴으로써 도금롤(8)에 부착된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레이드(25)의 승강은 도금롤(8)의 회전력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에너지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복수의 블레이드(25)가 도금롤(8)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맞닿음으로써 블레이드(25)의 피로도를 최소화하여 도금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plating roll 8 can be easily removed by transferring a plurality of blades 25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sequentially toward the plating roll 8.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separate energy sources by using the rotating force of the plating roll 8 as it is and the plurality of blades 25 are sequentially moved up and down on the surface of the plating roll 8 By minimizing the fatigue of the blade 25,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plating process can be maximized.

상기와 같이 설명한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roller cleaning apparatus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l or a part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1 : 수평셀 도금장치 3 : 도금전극
5 : 정압노즐 7 : 도금용액
8 : 도금롤 9 : 백업롤
20 : 클리닝유닛 25 : 블레이드
30 : 이송부재 31 : 이송축
32 : 함몰부 34 : 돌출부
35 : 승강축 36 : 제2 탄성부재
37 : 롤브라켓 38 : 푸싱롤러
40 : 구동유닛 50 : 하우징
60 : 실린더 65 : 실린더로드
70 : 구동롤러 75 : 구동축
77 : 제1 탄성부재 80 : 고정빔
85 : 슬라이딩 하우징 90 : 링축
1: Horizontal cell plating device 3: Plating electrode
5: Constant pressure nozzle 7: Plating solution
8: Plating roll 9: Backup roll
20: cleaning unit 25: blade
30: conveying member 31: conveying shaft
32: depression portion 34:
35: lifting shaft 36: second elastic member
37: roll bracket 38: pushing roller
40: drive unit 50: housing
60: cylinder 65: cylinder rod
70: drive roller 75: drive shaft
77: first elastic member 80: fixed beam
85: sliding housing 90: ring shaft

Claims (13)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도금롤의 일측에 상기 도금롤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도금롤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도금롤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클리닝유닛들; 및
상기 클리닝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도금롤의 표면과 맞닿도록 위치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기설정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호 이격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들의 정점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함몰부를 가지는 이송부재;
일단부가 상기 블레이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이동가능하며, 타단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와 접촉하여 상기 이송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 및 상기 돌출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가능한 승강축을 구비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승강축이 상기 돌출부의 정점에 위치할 경우,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도금롤과 맞닿는 작동위치를 가지는, 도금롤 클리닝장치.
A plurality of cleaning units disposed on one side of a plating roll which rotates in one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ating roll and which are movable toward the plating roll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plating rolls, Units; And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each of the cleaning units, for positioning each of the blades so as to abut the surface of the plating roll,
The driving unit includes:
A transfer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radially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center of rota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depressions respectively depressed from apexes of the protrusions;
One end of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lade and movable together with the blad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depressed portion and is capable of being sequentially moved along the depressed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by rotation of the transferring member However,
Wherein the blade has an operating position at which the blade contacts the plating roll when the lifting shaft is located at the apex of the protrus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도금롤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블레이드가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후방 블레이드는 상기 이송부재의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도금롤으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를 가지는, 도금롤 클리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ades are provided with front and rear blades disposed respectively forward and rearward with respect to a rotating direction of the plating roll,
Wherein when the front blade is located at the operating position, the rear blade has a standby position that is separated from the plating roll by being separated from the projection of the convey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정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블레이드의 승강축이 상기 함몰부의 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과 상기 도금롤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도금롤 클리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to the apex of the protrusion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blade and the plating roll in a state where the lifting axis of the blad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이송부재와 축결합되어 상기 이송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한 이송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금롤과 맞닿아 함께 회전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더 포함하는, 도금롤 클리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further includes a conveying shaft axially coupled to the conveying member and rotatable together with the conveying member,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roll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lade and contacting the plating roll and rotating together;
A driving shaft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roller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 roller; And
And a 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haft to the feeding shaf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링축;
상기 구동축과 상기 링축을 연결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링축과 상기 이송축을 연결하는 제2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는, 도금롤 클리닝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es:
A ring shaf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member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rive shaft;
A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connecting the drive shaft and the ring shaft; And
And a second power transmit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ring shaft and the conveying shaf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롤 클리닝장치는 상기 도금롤의 상부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축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구동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어링블록;
하단부가 상기 베어링블록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지지하는 고정축을 구비하는, 도금롤 클리닝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ating roll clean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housing disposed above the plating roll and accommodating 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The driving unit includes:
A bearing block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the drive shaft being rotatably connected;
And a lowe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bearing block and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driving roll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축 상에 고정설치되는 리미터링; 및
상기 리미터링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도금롤 클리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pper end of the fixed shaft is inserted and fixed i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he driving unit includes:
A limiter ring position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fixed shaft;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limiter ring and the housing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ward the driving 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롤 클리닝장치는 상기 도금롤의 상부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승강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승강축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승강축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부재의 외면을 따라 회전가능한 푸싱롤러;
상기 승강축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푸싱롤러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롤브라켓; 및
상기 롤브라켓과 상기 하우징 바닥면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도금롤 클리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ing roll clean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housing disposed above the plating roll and accommodating 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Each of the lifting shafts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he cleaning unit includes:
A fix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lifting shaft to fix the blade;
A pushing roller positioned on the lifting shaft and rotatabl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member;
A roll bracket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lifting shaft and connected to the pushing roller so as to be rotatable; An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roll bracket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ward the conveying memb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롤 클리닝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승강하는 실린더로드;
상기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를 구동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도금롤 클리닝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lating roll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cylinder ro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moving up and down with the housing;
And a cylinder connected to the cylinder rod for driving the cylinder r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롤 클리닝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도금롤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빔; 및
일측이 상기 고정빔에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빔을 따라 상기 하우징과 함께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도금롤 클리닝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ating roll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fixed beam fixedly mounted on the cylinder, the fixed beam being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ing roll; And
Further comprising a sliding housing which is supported by the fixed beam on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on the other side and is movable together with the housing along the fixed beam.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도금롤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는, 도금롤 클리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each of said blades is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said plating roll.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하는, 도금롤 클리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conveying members rotates with a different phase difference.
KR1020140023063A 2014-02-27 2014-02-27 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KR1016204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63A KR101620409B1 (en) 2014-02-27 2014-02-27 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63A KR101620409B1 (en) 2014-02-27 2014-02-27 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590A KR20150101590A (en) 2015-09-04
KR101620409B1 true KR101620409B1 (en) 2016-05-12

Family

ID=5424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063A KR101620409B1 (en) 2014-02-27 2014-02-27 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4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94B1 (en) * 2015-04-27 2016-07-21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cleaning roll
KR101696118B1 (en) * 2015-12-22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continuous electroforming
KR102562611B1 (en) * 2023-04-24 2023-08-01 조정선 Engine pulley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909B1 (en) 2002-09-13 2010-03-24 주식회사 포스코 Device for removing particle on surface of conduction ro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909B1 (en) 2002-09-13 2010-03-24 주식회사 포스코 Device for removing particle on surface of conduction r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590A (en)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409B1 (en) 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JP5833355B2 (en) Surface treatment equipment
KR101543228B1 (en) Apparatus for removing rust of strip
KR101641594B1 (en) Apparatus for cleaning roll
JP5865958B2 (en)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work holding jig
KR100843944B1 (en) Apparatus for removing alien substance on strip in plating utility
KR1016028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roll
KR101602859B1 (en) 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KR101593586B1 (en) Electroplating apparatus and method in horizontal cell
KR101394448B1 (en) Earthroll cleaning unit and electroplanting apparatus in horizontal cell
RU2398918C2 (en) Installation for treatment of metal item surface, particularly by electrolysis
JP6403612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rod plating equipment
JP6117891B2 (en) Surface treatment equipment
KR100782738B1 (en) Apparatus for removing metallic powder from the surface of conduct rolls
CN103298980B (en) For the equipment of the one side electrolysis treatment of planar substrates
KR10126645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nnecessary substance of conductor roll
JP6687592B2 (en) Surface treatment device and work holding jig
KR101620411B1 (en) 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JP4755729B1 (en) Electroplating equipment
JP2013019018A (en) Polishing apparatus for hanger bar of electrode plate, and electrode plate transfer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2296336A (en) Solar cell electroplating equipment capable of improving electroplating uniformity
JP6342538B2 (en) Surface treatment equipment
KR100515756B1 (en) electrode of electric gilding apparatus
KR101607915B1 (en) Carrier for conveying plating apparatus
KR101628060B1 (en) Scrapper for hot dip co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