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813B1 - 전자식 스위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813B1
KR101619813B1 KR1020150169686A KR20150169686A KR101619813B1 KR 101619813 B1 KR101619813 B1 KR 101619813B1 KR 1020150169686 A KR1020150169686 A KR 1020150169686A KR 20150169686 A KR20150169686 A KR 20150169686A KR 101619813 B1 KR101619813 B1 KR 10161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connection
terminal
extension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열
Original Assignee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071/08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부 부품이 간소화됨에 따라 생산경제성이 향상되면서도 전원 라인의 접속력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홈으로 형성되되 바닥면에 전기적 신호가 순환되는 연결라인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단자체결홈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단자체결홈부에 삽입되되, 상기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일측내면과 대응되도록 일체로 절곡 연장된 면접속연장부와, 내면이 상기 면접속연장부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연장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절곡부를 중심으로 지그재그로 다단 절곡된 탄성가압연장부를 포함하는 클램핑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전자식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스위치{electronic switch}
본 발명은 전자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부품이 간소화됨에 따라 생산경제성이 향상되면서도 전원 라인의 접속력이 개선된 전자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스위치는 전기회로를 개폐 또는 전환하는 기구로서, 끈을 당겨서 조작하는 풀(pull) 스위치, 코드 상에 들어가는 코드 스위치, 문의 개폐에 사용되는 도어 스위치, 손잡이를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여서 조작하는 텀블러(tumbler) 스위치, 손잡이를 돌리는 로터리 스위치 및 버튼을 눌러 조작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스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식 스위치는 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단자삽입부(1a)에 고정단자(2)가 삽입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단자(2)는 상기 단자삽입부(1a)의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는 베이스부(2a)의 양측에 상기 단자삽입부(1a)의 내측방향으로 제1접속부(2b)와 제2접속부(2c)가 절곡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2a)의 중앙부에는 상기 각 접속부(2b,2c)와 대향방향으로 접촉돌기(2d)가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돌기(2d)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돌기(2d)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가동단자(미도시)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가동단자(미도시)의 일측에는 플린저(미도시)가 접촉되되, 상기 플린저(미도시)가 상기 가동단자(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가동단자(미도시)의 일측과 상기 고정단자(2)의 접촉돌기(2d)가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린저(미도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 상측으로 노출되는 노브(미도시)를 조작하여 상기 플린저(미도시)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가동단자(미도시)와 상기 접촉돌기(2d)가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접속부(2b)와 제2접속부(2c) 사이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의 연결라인(3)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라인(3)의 단부(3a)가 상기 고정단자(2)와 밀착되도록 상기 제1접속부(2b)와 베이스부(2a) 및 상기 제2접속부(2c)가 이루는 프로파일 내측으로 탄성편(4)이 별도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4)은 탄발지지력에 의해 상기 연결라인(3)의 단부(3a)를 상기 제1접속부(2b)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연결라인(3)과 상기 고정단자(2)의 접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식 스위치는 상기 탄성편(4)을 별도로 제조하여 조립하여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증가되고 조립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탄성편(4)의 탄발지지력이 증가되도록 과도한 각도로 다중 절곡됨에 따라 상기 탄성편(4)을 제조하는데 많은 원자재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편(4)의 생산단가가 높아짐으로 인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결라인(3)의 단부(3a)가 상기 제1접속부(2b) 및 제2접속부(2c) 사이로 삽입 및 분리되는 과정이 반복됨에 의해 상기 탄성편(4)의 각 절곡부가 반복적으로 절곡 및 복원되어 탄발지지력이 점차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상기 고정단자(2)와 상기 연결라인(3) 간의 접촉력을 저하시켜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2990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부품이 간소화됨에 따라 생산경제성이 향상되면서도 전원 라인의 접속력이 개선된 전자식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홈으로 형성되되 바닥면에 전기적 신호가 순환되는 연결라인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단자체결홈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단자체결홈부에 삽입되되 상기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일측내면과 대응되도록 일체로 절곡 연장된 면접속연장부와, 내면이 상기 면접속연장부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연장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절곡부를 중심으로 지그재그로 다단 절곡되는 전도성 재질의 탄성가압연장부를 포함하는 클램핑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홀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연결라인의 단부가 상기 면접속연장부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탄성가압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연장된 제1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절곡부를 중심으로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내측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각도로 1차 절곡된 제2연장부와, 상기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2절곡부를 중심으로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각도로 2차 절곡된 제3연장부를 포함하여 다단 절곡된 탄성보강연장부와, 상기 탄성보강연장부에 의해 상기 면접속연장부측으로 지지되되, 상기 탄성보강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된 제3절곡부로부터 상기 탄성보강연장부의 내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설정된 제3각도에 대응하여 연장된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3연장부가 단차지되 각각의 연장방향이 상호 대응되는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타측내면에는 상기 제3연장부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단턱이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위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3각도는 상기 탄성가압부의 말단부와 상기 면접속연장부 사이 간격이 상기 연결라인의 단부 단면폭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탄성가압연장부의 말단부 테두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클램핑접속단자의 삽입위치를 정렬하도록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일측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면접속연장부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가이드단턱에 구속되는 가이드슬롯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단턱과 상기 가이드슬롯부의 상호 대향면에는 후크구속돌기와 후크구속홈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클램핑접속단자는 상기 연결라인의 단부와 면접촉되는 면접속연장부와 상기 연결라인의 단부를 상기 면접속연장부측으로 가압하여 접촉력을 보강하는 탄성가압연장부가 전도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단자와 연결라인 간의 전기전도도가 개선되면서도 종래에 별도의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조립하는데 소요되던 제조비용 및 조립공정이 생략되어 제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탄성보강연장부는 상기 연결라인의 단부가 상기 클램핑접속단자 내측으로 삽입시 상기 제1절곡부를 중심으로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내측 방향으로 탄발 변형되더라도, 상기 제2절곡부를 중심으로 하여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이미 소성 변형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가압부의 탄발복원력이 상기 연결라인의 단부를 가압하는데 실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타측내면에 돌설된 지지단턱이 각 절곡부를 중심으로 지그재그로 절곡된 상기 탄성보강연장부의 외면을 상기 면접속연장부측으로 더욱 인접하게 지지하여 접촉력이 개선되면서도, 상기 연결라인의 단부가 삽입시 상기 탄성보강연장부가 탄발 변형되는 각도폭을 제한하므로 상기 클램핑접속단자의 내구성이 개선되어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스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에 삽입되는 클램핑접속단자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풀러의 조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접속단자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접속단자의 변형예가 적용된 전자식 스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에 삽입되는 클램핑접속단자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풀러의 조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100)는 케이스(10)와 클램핑접속단자(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식 스위치(100)는 조작노브(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전원측과 부하측의 연결라인(30)이 선택적으로 상호 통전 및 단전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부하측에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 즉 전력을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하측은 상기 전원측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다양한 전기부품 또는 전기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전력, 전원 및 전기는 상기 전자식 스위치(100)의 조작을 통해 연결라인(30)으로 연결된 상기 전원측과 부하측을 순환하는 전기적 신호로서 실질적으로 상호 대응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하측에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복수개의 전기장치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노브(미도시)의 시소운동에 따라 하나의 전기장치와 다른 하나의 전기장치가 상호 교번하여 상기 전원측과 통전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전원의 통전/단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와 같은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1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공지된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가 삽입되는 단자체결홈부(11)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자체결홈부(11)는 일측이 개구된 홈으로 형성되되 바닥면에 전기적 신호가 순환되는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홀(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체결홈부(11)는 상기 전자식 스위치(100)의 용도에 따라 상기 케이스(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체결홈부(11)에는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는 상기 연결라인(30)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류의 저항 소실이 최소화되도록 높은 전도성을 가지는 황동이나 구리재질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21), 면접속연장부(22) 및 탄성가압연장부(23)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21)는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조작노브(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구동단자(미도시)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돌기(21a)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21a)는 일측단부를 제외한 테두리면이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절개되며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외측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부(21)에는 상기 접촉돌기(21a) 외에도 상기 회로기판 등의 부품에 체결 구속되어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더 돌설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접촉돌기(21a)와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베이스부(21)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서로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면접속연장부(22)는 상기 베이스부(21)의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일측내면(11a)과 대응되도록 일체로 절곡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일측내면(11a)이라 함은 상기 삽입홀(12)과 인접한 위치의 내측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가 상기 삽입홀(12)을 통하여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면접속연장부(22)의 내면과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 일측이 상호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30), 상기 면접속연장부(22)를 포함하는 클램핑접속단자(20) 및 상기 구동단자(미도시)로 이어지는 전기적 순환 라인을 따라 상기 부하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전력이 통전 또는 단락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클램핑접속단자(20)는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와 실질적으로 면접촉되는 상기 면접속연장부(22)와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를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가압시키는 탄성가압연장부(23)가 높은 전도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면접속연장부(22)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 역시 상기 연결라인(30)을 통하여 전해지는 전류를 전도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접촉부위가 증가하여 전기전도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는 상기 베이스부(21)의 타측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되되, 내면이 상기 면접속연장부(22)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는 상기 베이스부(21)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면접속연장부(22)와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가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프로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절곡부(b1,b2,b3)를 중심으로 지그재그로 다단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개의 절곡부(b1,b2,b3)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교번 절곡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는 측면형상이 지그재그로 다단 절곡된 형상으로 소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가 상기 삽입홀(12)을 통하여 삽입되면,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는 상기 연결라인 단부(30a) 부피에 의해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타측내면(11b)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는 상기 복수개의 절곡부(b1,b2,b3)를 중심으로 하여 탄발 변형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탄발 변형된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를 상기 면접속연장부(22)의 내면측으로 가압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와 상기 연결라인(30) 간의 접촉력이 향상되므로 전원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식 스위치(100)는 단자와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 간의 접촉력을 보강하기 위한 탄성수단이 일체로 형성된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별도의 탄성편을 제조하고 조립하는데 소요되던 제조비용 및 조립공정이 생략되므로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12)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가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에는 탄성보강연장부(25)와 탄성가압부(26)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는 상기 베이스부(21)의 타측단부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제1절곡부(b1)를 중심으로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내측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각도(d1)로 1차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부(b1)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제2절곡부(b2)를 중심으로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각도(d2)로 2차 절곡된다. 이때,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내측방향이라 함은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가 삽입되는 공간의 중앙부측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외측방향이라 함은 상술한 내측방향의 대향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부(21)의 타측단부와 상기 제1절곡부(b1) 사이에는 상기 면접속연장부(22)와 대응되도록 연장된 제1연장부(25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25a)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제1각도(d1)에 대응하여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절곡된 제2연장부(25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2연장부(25b)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제2각도(d2)에 대응하여 상기 제2연장부(25b)가 절곡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3연장부(25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는 상기와 같이 각 절곡부(b1,b2,b3)를 중심으로 지그재그로 다단 절곡됨에 따라 후술되는 상기 탄성가압부(26)가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를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하는 힘을 보강 지지해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가압부(26)는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에 의해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지지되되,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의 단부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된 제3절곡부(b3)로부터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가압부(26)는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의 내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설정된 제3각도(d3)에 대응하여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가압부(26)는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가 상기 삽입홀(12)을 통하여 삽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가 상기 삽입홀(12)을 통하여 삽입되면서 상기 탄성가압부(26)를 밀면, 상기 탄성가압부(26)가 상기 제3절곡부(b3)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3각도(d3)는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의 말단부와 상기 면접속연장부(22) 사이 간격(20w)이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 단면폭(30w)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면접속연장부(20)와 상기 탄성가압부(26)의 말단부 사이 간격(20w)은 상기 연결라인(30) 단부(30a)에 의해 탄성 변형되기 전의 초기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는 상기 면접속연장부(22)가 상기 삽입홀(12)과 인접한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일측내면(11a)과 대응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12)을 통하여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의 단면폭(30w)에 의해 상기 탄성가압부(26)는 상기 라운드진 제3절곡부(b3)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면접속연장부(22)의 타측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와 상기 탄성가압부(26) 사이는 상기 제3각도(d3)보다 좁아지게 탄성 변형된다.
더불어, 상기 제1연장부(25a)와 제2연장부(25b) 사이는 상기 제1절곡부(b1)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각도(d1)보다 좁아지게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2연장부(25b)와 상기 제3연장부(25c) 사이는 상기 제2절곡부(b2)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각도(d2)보다 좁아지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와 상기 탄성가압부(26)는 상기 각 절곡부(b1,b2,b3)를 중심으로 상기 기설정된 제1각도(d1), 제2각도(d2) 및 상기 제3각도(d3)로 소성 변형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폭(30w)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됨과 동시에 각 절곡부(d1,d2,d3)를 중심으로 하여 탄발 복원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가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를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가압하여 접촉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각도(d1)와 상기 제2각도(d2)는 상기 제1연장부(25a)와 상기 제3연장부(25c)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단차지되 각각의 연장방향이 상호 대응되는 값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타측내면(11b) 하단부에는 상기 제3연장부(25c)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단턱(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타측내면(11b) 하단부라 함은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바닥면과 인접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연장부(25a)는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타측내면과 실질적으로 대응되고 상기 제3연장부(25c)는 상기 단자체결홈부(11)로부터 기설정된 폭으로 돌설된 상기 지지단턱(13)과 실질적으로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각도(d1)와 상기 제2각도(d1)는 상기 제2연장부(25b)가 상기 제1연장부(25a)와 상기 제3연장부(25c)를 일체로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는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각도(d1)와 상기 제2각도(d2)는 둔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는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를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보강 지지하기 위해 절곡되면서도, 상기 절곡된 각도(d1,d2)가 둔각으로 설정되어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원자재가 현저히 절감되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가압부(26)는 상기 라운드진 제3절곡부(b3)를 중심으로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탄발 복원되면서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라인(30) 단부(30a)와 상기 면접속연장부(22)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는 상기 제1절곡부(b1)와 상기 제2절곡부(b2)를 중심으로 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교번 절곡되되, 상기 제3연장부(25c)가 상기 지지단턱(13)의 외면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탄성가압부(26)는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에 보다 가까운 프로파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가 상기 제1절곡부(b1)와 상기 제2절곡부(b2)를 중심으로 교번 절곡된 프로파일이 상기 지지단턱(13)이 지지되어 상기 연결라인(30) 단부(30a)가 삽입되어 상기 탄발보강연장부(25)가 가압되더라도 상술한 지그재그 형상이 과도하게 탄발 변형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식 스위치(100)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상기 연결라인(30)을 반복적으로 삽입 및 분리시키더라도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의 각 절곡부(b1,b2,b3)를 중심으로 변형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개선되어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가 삽입시,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는 상기 제1절곡부(b1)를 중심으로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내측방향으로 탄발 변형되더라도 상기 제2절곡부(b2)를 중심으로 하여 이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성 변형이 이미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탄성가압부(26)가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탄발복원되는 힘이 상기 연결라인(30) 단부(30a)를 가압하는데 실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의 말단부(26a) 테두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연결라인(30) 단부(30a)가 삽입 내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와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의 말단부(26a) 테두리 간의 마찰에 의한 손상 내지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가압부(26)의 말단부(26a) 테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를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가압하는 면적이 보다 증가됨으로써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와 상기 면접속연장부(22) 사이 접촉력이 보다 향상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풀러의 조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로부터 상기 연결라인(30)을 분리시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와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의 말단부(26a)가 이격되도록,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바닥면에 형성된 풀러체결홈(14)을 통하여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탄성가압부(26)를 가압하는 풀러부(15)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풀러부(15)는 상기 탄성가압부(26)와 대응되는 일면이 상기 탄성가압부(26)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부(15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한 탄성가압연장부(23)의 말단부(26a)는 실질적으로 상기 탄성가압부(26)의 말단부(26a)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풀러체결홈(14)에 체결된 상기 풀러부(15)를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의 베이스부(21)측으로 밀면, 상기 탄성가압부(26)가 상기 경사면부(15a)에 접촉 및 상기 베이스부(21)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가압부(26)의 말단부(26a)가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각 단부(26a,30a)간의 간섭없이 상기 연결라인(30)을 상기 케이스(1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10)로부터 상기 연결라인(3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가압부(26)의 말단부(26a)와 상기 연결라인 단부(30a)가 마찰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접속단자(20)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접속단자(20)의 변형예가 적용된 전자식 스위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가이드단턱(216)과 가이드슬롯부(224)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체결홈부(211)의 일측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단턱(216)이 형성되고, 상기 면접속연장부(222)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가이드단턱(216)에 구속되는 가이드슬롯부(224)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단자체결홈부(211)에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20)가 삽입시 상기 상기 가이드슬롯부(224)의 테두리면이 상기 가이드단턱(216)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단턱(216)의 돌설된 폭과 상기 면접속연장부(222)로부터 상기 가이드슬롯부(224)가 절개된 폭이 실질적으로 대응되므로 상기단자체결홈부(211)에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측면방향으로의 유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단턱(216)과 상기 가이드슬롯부(224)의 상호 대향면에는 후크구속돌기(216a)와 후크구속홈(224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구속돌기(216a)가 상기 후크구속홈(224a)에 걸림 구속되기만 하면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20)가 실질적으로 상기 단자체결홈부(211)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23)에서 제공되는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가 상기 면접속연장부(222)측으로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되므로 접촉력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라인(30)을 상기 케이스에 반복적으로 체결 및 분리하더라도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20)의 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되며,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20)가 상기 단자체결홈부(211)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100)에서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는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와 면접촉되는 면접속연장부(22)와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를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가압하여 접촉력을 보강하는 탄성가압연장부(23)가 황동 등의 높은 전도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20)와 상기 연결라인(30) 간의 전기적 접촉범위가 증가되므로 전기전도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가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 내측으로 삽입시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가 상기 제1절곡부(b1)를 중심으로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내측 방향으로 탄발 변형되더라도, 상기 제2절곡부(b2)를 중심으로 하여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이미 소성 변형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가압부(26)의 탄발복원력이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를 가압하는데 실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단자체결홈부(11)의 타측내면에 돌설된 지지단턱(13)이 각 절곡부(b1,b2)를 중심으로 지그재그로 절곡된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의 일측 외면을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더욱 인접하게 지지하여 접촉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라인(30)의 단부(30a)가 삽입시 상기 탄성보강연장부(25)가 상기 각 절곡부(b1,b2)를 중심으로 탄발 변형되는 각도폭이 최소화되도록 제한하여 상기 클램핑접속단자(20)의 내구성이 개선되어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탄성가압연장부(23)는 상기 탄성가압부(26)가 상기 연결라인(30) 단부(30a)와 인접해지면서도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라인(30) 단부(30a)를 상기 면접속연장부(22)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각도로 절곡된다. 이에 따라, 제조를 위한 원자재 사용량이 현저히 절감되어 경제적이며, 종래에 별도의 탄성수단을 제조하고 조립하는데 소요되던 제조비용 및 조립공정이 생략되어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케이스 11 : 단자체결홈부
12 : 삽입홀 13 : 지지단턱
15 : 풀러 16 : 가이드단턱
20 : 클램핑접속단자 21 : 베이스부
22 : 면접속연장부 23 : 탄성가압연장부
24 : 가이드슬롯 25 : 탄성보강연장부
26 : 탄성가압부 100 : 전자식 스위치

Claims (5)

  1. 일측이 개구된 홈으로 형성되되 바닥면에 전기적 신호가 순환되는 연결라인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단자체결홈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단자체결홈부에 삽입되되 상기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일측내면과 대응되도록 일체로 절곡 연장된 면접속연장부와, 내면이 상기 면접속연장부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연장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절곡부를 중심으로 지그재그로 다단 절곡되는 전도성 재질의 탄성가압연장부를 포함하는 클램핑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홀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연결라인의 단부가 상기 면접속연장부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탄성가압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연장된 제1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절곡부를 중심으로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내측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각도로 1차 절곡된 제2연장부와, 상기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2절곡부를 중심으로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각도로 2차 절곡된 제3연장부를 포함하여 다단 절곡된 탄성보강연장부와,
    상기 탄성보강연장부에 의해 상기 면접속연장부측으로 지지되되, 상기 탄성보강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된 제3절곡부로부터 상기 탄성보강연장부의 내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설정된 제3각도에 대응하여 연장된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3연장부가 단차지되 각각의 연장방향이 상호 대응되는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타측내면에는 상기 제3연장부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단턱이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각도는 상기 탄성가압부의 말단부와 상기 면접속연장부 사이 간격이 상기 연결라인의 단부 단면폭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탄성가압연장부의 말단부 테두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접속단자의 삽입위치를 정렬하도록 상기 단자체결홈부의 일측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면접속연장부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가이드단턱에 구속되는 가이드슬롯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단턱과 상기 가이드슬롯부의 상호 대향면에는 후크구속돌기와 후크구속홈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위치.
KR1020150169686A 2015-12-01 2015-12-01 전자식 스위치 KR10161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686A KR101619813B1 (ko) 2015-12-01 2015-12-01 전자식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686A KR101619813B1 (ko) 2015-12-01 2015-12-01 전자식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813B1 true KR101619813B1 (ko) 2016-05-11

Family

ID=5602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686A KR101619813B1 (ko) 2015-12-01 2015-12-01 전자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8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30B1 (ko) * 2016-07-22 2016-10-1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용 단자대
KR101795767B1 (ko) * 2017-07-07 2017-11-0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누전차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744Y1 (ko) * 2004-03-18 2004-06-22 진미연 텀블러 스위치의 가동단자 구조
JP2005004965A (ja) * 2002-07-26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
JP2005216559A (ja) 2004-01-27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4965A (ja) * 2002-07-26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
JP2005216559A (ja) 2004-01-27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
KR200353744Y1 (ko) * 2004-03-18 2004-06-22 진미연 텀블러 스위치의 가동단자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30B1 (ko) * 2016-07-22 2016-10-1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용 단자대
KR101795767B1 (ko) * 2017-07-07 2017-11-0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누전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7473B2 (en) Board connector assembly,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thereof
US7122752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S10381754B1 (en) Terminal block having fastening handle
KR101979610B1 (ko)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KR20200080647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1619813B1 (ko) 전자식 스위치
JP2013239308A (ja) 端子台ブロック
KR20160123865A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1500577B1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CN109980467B (zh) 插座
KR20120028355A (ko)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1462137B1 (ko) 원바디 타입 커넥터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1786334B1 (ko) 조인트 커넥터
US3290638A (en) Lampholders for electric discharge lamps
CN221407726U (zh) 面板组件及插座、开关
KR20100003516U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200262627Y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CN111816518B (zh) 一种接线端子及断路器
CN210575611U (zh) 开关组件
KR20180001782U (ko) 천장 조명 시스템용 전선 연결장치
KR100603054B1 (ko) 기기의 하우징
KR100922205B1 (ko) 벌브커넥터
KR20160046173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