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775B1 - Forward Moving Method of Heavy Body - Google Patents

Forward Moving Method of Heavy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775B1
KR101619775B1 KR1020130163452A KR20130163452A KR101619775B1 KR 101619775 B1 KR101619775 B1 KR 101619775B1 KR 1020130163452 A KR1020130163452 A KR 1020130163452A KR 20130163452 A KR20130163452 A KR 20130163452A KR 101619775 B1 KR101619775 B1 KR 101619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ving block
advancing direction
block
advan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5463A (en
Inventor
곽종원
조창빈
곽임종
최은석
이정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775B1/en
Publication of KR2015007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4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7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체를 이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잭장치가 신축함에 따라 중량체를 진출방향의 전방으로 이송하되, 잭장치가 신장될 때에는 중량체의 1차 이송이 이루어지고 잭장치가 후퇴할 때에도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중량체의 2차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중 이송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중량체를 진출방향 이송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중량체의 이송방법이 제공된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veying a weigh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veying a weight by forwarding a weight in a forward direction as the jack device is extended or retracted, There is provided a conveying method of a weight capable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a work for conveying a weight in an advancing direction by allowing a double conveyance in which a weight is subjected to secondary conveyance by a sliding action even when the apparatus is retracted.

Figure R1020130163452
Figure R1020130163452

Description

이동블록 상면의 경사 슬라이딩면과 잭장치의 신축에 의한 2중 전진이 가능한 중량체 이송장치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Forward Moving Method of Heavy Bod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oving a weight using an inclined sliding surface on a top surface of a moving block and a heavy body conveying device capable of two-

본 발명은 중량체를 들어 올려서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중량체의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잭장치가 신축함에 따라 중량체를 진출방향의 전방으로 이송하되, 잭장치가 신장될 때에는 이동블록의 슬라이딩에 의해 중량체의 1차 이송이 이루어지고 잭장치가 후퇴할 때에도 이동블록의 슬라이딩에 의해 중량체의 2차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중 이송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중량체를 진출방향으로 전진시켜 이송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중량체의 이송장치와, 이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a weight for lifting a weight and forwar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a weight by forwarding a weight in a forward direction, When the jack device is elongated, the double transfer is performed in which the primary transfer of the weight is effected by the sliding of the moving block and the secondary transfer of the weight is performed by sliding of the moving block even when the jack device is retracted, To a conveying device of a weight capable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a work for conveying and advancing the weight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a conveying method of a weight using the conveying device.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연속압출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연속압출공법에 의해 교량을 시공할 때에는 교량의 거더를 상당한 무게를 가지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제작하고, 이러한 무거운 중량의 세그먼트를 교축방향으로 밀어내는 과정이 수행되며, 이와 같이 무거운 중량의 세그먼트를 밀어내어 전방으로 전진시키기 위해서는 중량체 이송장치가 필요하다. 중량체 이송장치는 "중량체 압출장치"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an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is known. When a bridge is constructed by such a continuous extrusion method, a girder of a brid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having a considerable weight, and a process of pushing the heavy weight segment in the throttling direction is performed. A weight transferring device is required in order to push forward and advance forward. The weight transfer device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 weight extrusion device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478호에는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자동압출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에 의해 큰 중량의 세그먼트를 이송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압출장치 즉, 중량체의 이송장치는 그 자체로도 매우 유용하지만,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의 상태에 안주해서는 안 되며 더욱 높은 이송효율을 가지도록 개선될 필요가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6478 discloses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heavy weight segment by the name of the invention "automatic extruding device for a continuous extrusion process". Such a conventional automatic extrusion apparatus, that is, a weight transfer apparatus is very useful in itself, but in order to develop the technology, it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current state and needs to be improved to have a higher transfer efficienc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6478호(2010. 10. 08. 공고) 참조.Se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6478 (October 10, 2010 announcement).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중량체 이송장치의 이송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중량체를 이송함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에서 잭장치가 수축될 경우뿐만 아니라 잭장치가 신장될 때에도 중량체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잭장치의 1회 신축과정이 진행될 때 두 번의 전진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중량체 이송장치에 비하여 더 긴 중량체의 이송거리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여 중량체 이송장치의 이송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conveying efficiency of the heavy body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in conveying a heavy body having a heavy weight, in a conventional heavy conveying apparatus, So that the weight is transferred not only when the jack device is contracted but also when the jack device is elongated. Thus, when the jack device is extended or retracted once, two forward feeds are performed, So that the conveyance distance of the sieve body can be realized, thereby maximizing the conveyance efficiency of the heavy body conveyanc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중량체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극대화된 효율로 중량체를 이송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ansferring a weight with a maximized efficiency using such a weight transfer device.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진출방향의 가면서 낮아지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으로 이루어진 상면, 및 중량체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를 구비하며 중량체에 결합되는 전방지지블록과, 하향경사 슬라이딩면과 상면이 접하여 전방지지블록이 하향경사 슬라이딩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만드는 제1이동블록과, 상기 제1이동블록에 대해 진출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당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량체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위치 진출장치; 진출방향으로 가면서 높아지는 상향경사 슬라이딩면으로 이루어진 상면, 및 중량체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부를 구비하며 중량체에 결합되는 후방지지블록과, 상향경사 슬라이딩면과 상면이 접하여 후방지지블록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만드는 제2이동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량체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위치 진출장치; 및 후퇴방향 단부는 제2이동블록에 연결되어 있고 진출방향 단부는 전방지지블록의 후방스톱퍼에 연결되어, 후퇴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제2이동블록을 후퇴방향으로 밀어주거나 또는 진출방향으로 당겨주는 잭장치를 포함하며; 제2이동블록이 설치면에 고정되고 제1이동블록은 설치면에서 이동가능하며, 중량체가 전방지지블록과 후방지지블록에 놓인 상태에서, 잭장치가 신장되어 후방지지블록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을 따라 진출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중량체를 들어 올리면서 중량체를 1차 이송시키며, 제1이동블록은 당김장치에 의해 진출방향으로 당겨져 중량체를 지지하게 되고; 제1이동블록이 설치면에 고정되고 제2이동블록은 설치면에서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 후, 잭장치가 수축하여 제2이동블록이 진출방향으로 당겨지면, 전방지지블록은 중량체를 지지한 채로 하향경사 슬라이딩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하강하면서 진출방향으로 중량체를 2차 이송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의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ont support block comprising a front supporting block coupled to a weight and having an upper face made of a downwardly inclined sliding face which is lower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a front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a weight, And a pulling device for applying a force in the advanc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moving block, wherein the front supporting block is slidable along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face, A front position advancing device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rection; A rear support block coupled to the weight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of an up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that increases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a rear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weight; And a second moving block which slides along the second moving block, and is positioned rearward in the advancing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weight; And the retracting direction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block and the advancing direction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ar stopper of the front support block so that the second moving block is retracted in the retracting direction while pushing the second moving block in the retracting direction, ; The second moving block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first moving block is movable on the mounting surface and with the weight placed on the front support block and the rear support block, the jack device is extended so that the back support block can move upwards The first moving block is pull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by the pulling device to support the weight body; After the first moving block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second moving block is made movable on the mounting surface, if the jack device is contracted and the second moving block is pull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front supporting block supports the weight And sliding the slider along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while descending while moving the weight in the advancing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중량체의 이송장치에 의해 중량체를 이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veying a weight by a conveying device of the weight is provided.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의 이송장치 및 중량체의 이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김장치는 감겨지려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로 이루어져서 전방지지블록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당김장치를 이루는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제1이동블록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감기려는 성질로 인하여 제1이동블록에는 진출 방향으로 이동되게 만드는 탄성력이 항시 작용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weight transferring device and the weight transfer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device is formed of a coil spring which exerts an elastic force to be wound an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ront support block, One end of the coil spring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block and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lastic force for moving the first moving block in the advancing direction always operates due to the winding property of the coil spring.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잭장치를 신장할 때 중량체의 1차 이송이 이루어지고, 잭장치를 수축할 때 추가적인 중량체의 2차 이송이 이루어져서, 잭장치의 1회 신축과정이 진행될 때 두 번의 전진 이송이 진행되므로, 단순히 잭장치를 수축시켰을 때만 중량체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중량체 이송장치에 비하여 중량체의 이송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jack device is extended, the primary transfer of the weight is performed, and when the jack device is contracted, the secondary transfer of the additional weight is performed, The feed efficiency of the heavy body is great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heavy body conveying apparatus in which the weight is conveyed only when the jack device is simply contrac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에서 1차 이송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인 제1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가 중량체의 이송을 위해 복수개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에 구비된 전방위치 진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에서 1차 이송이 이루어지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에서 2차 이송이 이루어지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 도 4 내지 도 15의 각 단계를 하나의 도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각각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478호에 의한 종래의 중량체 이송장치에 의해 중량체를 진출방향으로 이송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first step in a state before a primary transfer is performed in a heavy body transfe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eight transfer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re installed for transferring a weight.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rward position advanc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heavy body conve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7 are schematic side views corresponding to FIG. 1, respectively, showing respective steps of primary transfer in the heavy body transfer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15 are schematic side views corresponding to FIG. 1, respectively, showing respective steps of secondary transfer in the heavy body conve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view showing each step of Fig. 1 and Fig. 4 to Fig. 15 in a single figure.
13 to 16 are schematic sid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weight in the advancing direction by the conventional weight transferring device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0986478.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진출방향"이라는 용어는, 중량체를 이송하려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퇴방향"이라는 용어는 상기 진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진출"이라는 용어는 진출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후퇴"라는 것은 "후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방"이라는 용어는 진출방향으로의 앞쪽을 의미하며, "후방"이라는 용어는 이와 반대로 진출방향으로의 뒤쪽을 의미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advancing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a weight is to be conveyed, the term" retraction direction " mean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dvancing direction, Means moving, while "retraction" means moving in the "retraction direction".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forward "means the front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the term" rear "means the backward in the advancing direction.

도 1, 도 4 내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100)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도 1은 중량체(200)를 진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의 이송 싸이클(cycle)에서의 제1단계(1차 이송이 이루어지기 전(前) 단계)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상태에 후속한 제2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와 도 5는 각각 후속하는 제3단계와 제4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가 중량체의 이송을 위해 복수개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100)에 구비된 전방위치 진출장치(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4 to 15 are schematic side views of a heavy body conve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1 shows one conveying cycle for conveying the weight 200 in the advancing direction 2 and 3 each show a second step subsequent to the state of FIG. 1, and FIGS. 4 and 5 show the first step (before the first transfer) And show the subsequent third and fourth steps, respectively. In particular,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eight transfer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re installed for transferring a weight. FIG. 3 is a cross-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rward position advanc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1, 도 4 내지 도 1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는 바로 직전의 단계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면부호 R은 중량체(200)가 진출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기준점(R)이다. 도 1에서 화살표 F는 진출방향을 의미한다. Reference symbols R in FIG. 1 and FIGS. 4 to 15 denote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reference mark R, and R denotes a reference point R for describing the movement of the weight 200 in the advancing direction. to be. In Fig. 1, the arrow F indicates the advancing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100)는 중량체(200)를 진출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량체(200)의 진출방향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진출방향에서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위치 진출장치(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100)는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후방위치 진출장치(2)로 구성되는데, 진출방향으로의 일직선 상에서 전방위치 진출장치(1)는 전방에 위치하고 후방위치 진출장치(2)는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다. The weight transf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ransferring the weight 200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includes a forward position advancing device 1 positioned forward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weight 200, And a rear position advancing device 2 positioned rearward from the rear position advancing device. That is, the weight transfer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orward position advancing device 1 and a rear position advancing device 2, wherein the forward position advancing device 1 on a straight line in the advancing direction is located forward, And the position advancement device 2 is located at the rear side.

중량체를 이송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100)는 하나의 중량체(200)에 대해 복수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이송동작을 복수개의 중량체 이송장치(100)에서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중량체의 이송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weight transfer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plurality of weights 200, and a plurality of weight transfer devices (100) so that the conveying operation of the weight can be performed smoothly.

우선 전방위치 진출장치(1)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전방위치 진출장치(1)는, 중량체(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진출방향으로 가면서 경사가 낮아지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을 하면으로 가지고 있는 전방지지블록(10)과, 상기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에 그 상면이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제1이동블록(12)과, 상기 제1이동블록(12)을 전방으로 당겨주는 당김장치(4)를 포함하고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44는 당김장치(4)와 제1이동블록(12)을 연결하는 인출선(44)이다. First, the forward position advancing apparatus 1 includes a down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11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eight 200 and inclined downward in the advancing direction, A first moving block 12 moving in a state in which its upp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ownward slanting sliding surface 11 and a second moving block 12 moving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pulling device 4 for pulling.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44 denotes an outgoing line 44 connecting the pulling device 4 and the first moving block 12.

상기 전방지지블록(10)의 전방에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지면에 닿아 있는 전방지지부(13)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당김장치(4)는 감겨지려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되어 전방지지부(13)의 진행방향 전면에 설치되어 있고, 인출선(44)은 전방지지부(13)를 지나 제1이동블록(12)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당김장치(4)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경우, 코일스프링의 감겨지려는 특성 때문에 제1이동블록(12)에는 진출방향으로 당기려는 탄성력이 항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당김장치(4)는 코일스프링의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upport block 10, a front support portion 1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11 and contacting the ground surface is provid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pulling device 4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that exerts an elastic force to be wound and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front support portion 13 in the advancing direction, (13) and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block (12). When the pulling device 4 is constituted by a coil spring, the elastic force to pull the first moving block 12 in the advancing direction always acts because of the property of winding the coil spring. However, the pulling device 4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coil spring.

전방지지블록(10)에서 후방에는 제1이동블록(12)의 후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스톱퍼(14)가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후방스톱퍼(14)는 지면까지 연장될 필요가 없다. A rear stopper 14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in the retreating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upport block 10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11. [ The rear stopper 14 need not extend to the ground.

앞서 언급한 것처럼, 상기 전방지지블록(10)의 하면은 후방단부에서부터 진출방향으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높이가 낮아지는 하강 경사를 가지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로 구성되어 있다.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은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과 항상 밀착하게 되므로, 제1이동블록(12)의 상면 역시 진출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이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에 밀착한 상태로 제1이동블록(12)이 이동하거나 또는 전방지지블록(10)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이동블록(12)의 상면과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 사이에는 마찰력의 작용이 거의 없거나 매우 작은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소위 "테플론"이라는 저마찰 소재로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과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의 모두를 또는 그 중 하나를 코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마찰 소재의 코팅 방법 이외에 제1이동블록(12)의 상면 또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에 바퀴와 같은 구름부재(rolling member)를 설치하여 구름운동에 의해 서로 간에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upport block 10 is composed of a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11 having a downward inclination lowered from the ground to the lower surface in the advancing direction from the rear end.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11,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also inclined downwardly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first moving block 12 moves or the front supporting block 10 moves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own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11, There is little or very littl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and the downward slanting sliding surface 11,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coat both the downwardly sloping sliding surface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or one of them, for example, with a so-called "Teflon" low friction material. A rolling member such as a wheel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11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so that sliding is performed between them by rolling motion It is possible.

한편, 상기 제1이동블록(12)은,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100)가 놓이게 되는 설치면(300)에 필요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이동블록(12)에 결합플랜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고, 결합플랜지가 설치면(300)에 밀착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플랜지를 설치면(3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또는 필요할 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이동블록(12)을 설치면(300)에 필요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구성은 위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자력(전자석)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moving block 12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firmly fixed or separated as necessary on the mounting surface 300 on which the weight transfer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For example, a coupling flange (not shown in the figure) is provided on the first moving block 12, and the coupling flange is attached to the mounting surface 300 by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300), or may be separated when necessary. 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firmly fixed or separated as necessary on the mounting surface 300 is not limited to that exemplified above,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by using a magnetic force (electromagnet) Can be used.

다음으로 후방위치 진출장치(2)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후방위치 진출장치(2) 역시 중량체(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인데, 진출방향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으로 이루어진 하면을 가지는 후방지지블록(20)과, 상면이 상기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제2이동블록(22)을 포함하고 있다.The rear position advancing device 2 is also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eight 200. The upward inclining sliding face 21 increases in height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a second moving block 22 whose upper surface moves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ward sloping sliding surface 21. [

상기 후방지지블록(20)에서 후방에는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지면에 닿아 있는 후방지지부(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지지블록(20)에서 전방에는 제2이동블록(22)의 진출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스톱퍼(24)가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방스톱퍼(24)는 지면까지 연장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The rear support block 20 is provided with a rear support portion 2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21 and contacting the ground surface of the rear support block 20, A forward stopper 24 for restricting movement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up-sloping sliding surface 21 is provided. The front stopper 24 may not extend to the ground.

앞서 언급한 것처럼, 상기 후방지지블록(20)의 하면은 후방단부에서부터 진출방향으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높이가 점차로 높아지는 상승 경사를 가지는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로 구성되어 있다. 제2이동블록(22)의 상면은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과 밀착하게 되므로, 제2이동블록(22)의 상면 역시 진출방향으로 갈수록상향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이동블록(22)의 상면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에 밀착한 상태로 제2이동블록(22)이 이동하거나 또는 후방지지블록(20)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이동블록(22)의 상면과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 사이에는 마찰력의 작용이 거의 없거나 매우 작은 상태가 된다. 앞서 설명한 제1이동블록(12)의 상면과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 사이의 저마찰 슬라이딩 구조(저마찰 소재 코팅, 구름부재 설치 등)는 제2이동블록(22)의 상면과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 사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블록(22) 역시 설치면(300)에 필요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제2이동블록(22)을 설치면(300)에 필요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구성은 제1이동블록(12)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block 20 is composed of an up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21 having a rising slope gradually increasing in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lower surface in the advancing direction from the rear end.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21,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also inclined upwards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second moving block 22 moves or the rear supporting block 20 moves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block 22 closely contacts the up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21, There is little or very littl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block 22 and the upward slanting sliding surface 21, The low friction sliding structure (low friction material coating, rolling member installation, etc.)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and the down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11 described above is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block 22 and the upper inclined sliding surface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surface 21 as well. The second moving block 22 also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firmly fixed or separated on the mounting surface 300 as needed. Since the second moving block 22 may be fixedly mounted on or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urface 300 as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do.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100)에는, 후퇴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제2이동블록(22)을 후퇴방향으로 밀어주거나 또는 진출방향으로 당겨주는 잭장치(3)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잭장치(3)의 후퇴방향 단부는 제2이동블록(22)에 연결되어 있고, 잭장치(3)의 진출방향 단부는 전방지지블록(10)의 후방스톱퍼(14)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후방스톱퍼(14)는 잭장치(3)의 신축을 위한 반력대로서의 기능도 가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eavy body conve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jack device 3 for pivoting the second moving block 22 in the retracting direction or pulling it in the advancing direction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the retracting direction. 1 to 15, the retracting direction end of the jack device 3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block 22, and the advancing direction end of the jack device 3 is connected to the front supporting block 10,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stopper 14 of the motorcycle. In this case, the rear stopper 14 also has a function as a reaction force band for extending and retracting the jack device 3. [

다음에서는 도 1,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vy body conve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4 to 15.

앞서 살펴본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상기 후방위치 진출장치(2)를 진출방향 일직선 상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전방위치 진출장치(1)에서 전방지지부(13)의 하단과 제1이동블록(12)의 하면은 지면에 닿아 있고, 후방위치 진출장치(2)에서 후방지지부(23)의 하단과 제2이동블록(22)의 하면 역시 지면에 닿아 있으며, 전방지지블록(10)의 상면과 후방지지블록(20)의 상면에 걸쳐서 중량체(200)가 놓이게 된다. 그리고 제1이동블록(12)은 전방지지블록(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이동블록(22)은 후방지지블록(2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 있다. 잭장치(3)는 수축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2이동블록(22)은 설치면(30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이고, 제1이동블록(12)은 설치면(300) 위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또한 중량체(200)는 전방지지블록(10) 및 후방지지블록(20)과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 있다. 즉, 중량체(200), 전방지지블록(10) 그리고 후방지지블록(20)은 함께 움직이도록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다. The front position advancing device 1 and the rear position advancing device 2 are positioned on the straight line in the advancing direction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supporting part 23 in the rear position advancing device 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block 22 also contact the ground, The weight 200 is place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upport block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block 20. [ And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positioned behind the front support block 10 and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ar support block 20. [ The jack device 3 is in a contracted state.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fixed so as not to move on the mounting surface 300 and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free to move on the mounting surface 300. In addition, the weight 200 is in a state of being integrally joined with the front support block 10 and the rear support block 20. That is, the weight 200, the front support block 10, and the rear support block 20 are integrated to move together.

이러한 제1단계의 상태에서는, 중량체(200)가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후방위치 진출장치(2)의 모두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상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후방위치 진출장치(2) 중 어느 하나만으로도 중량체(200)가 지지될 수 있는 상태이다. In this state of the first stage, it is supposed that the weight 200 is supported by both the forward position advancing device 1 and the backward positioning device 2, but in fact, the forward position advancing device 1 and the rear position The weight 200 can be supported by only one of the advancing devices 2.

이러한 제1단계에 후속하여, 제2단계에서는 잭장치(3)의 신장에 의해 제2이동블록(22)이 후퇴하면서 후방지지블록(20)이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진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량체(200)를 진출방향으로 1차 이송시키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단계에서는 잭장치(3)가 신장하게 되는데, 제2이동블록(22)이 설치면(30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므로, 잭장치(3)가 신장하게 되면,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후방지지블록(20)은 진출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제2이동블록(22)이 설치면(30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므로, 잭장치(3)가 신장하게 되면, 제2이동블록(22)의 상면과 후방지지블록(20)의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 사이에서의 슬라이딩에 의해, 후방지지블록(20)이 진출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상향경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후방지지블록(20)은 진출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점차 상승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중량체(200)는 들어 올려지면서 진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준점(R)은 A0로 표시되었던 위치에서 A1로 표시된 전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Following the first step, in the second step, as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retracted by the extension of the jack device 3, the rear supporting block 20 is lifted and at the same time moving in the advancing direction, 200 in the advancing direction. 4, the jack device 3 is extended in the second step. Since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300 and does not move, When the apparatus 3 is elongated, the front position advancing apparatus 1 and the rear supporting block 20 are mov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When the jack device 3 is extende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block 2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upporting block 20 are fixed to each other. That is, since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300 and does not move, The rear supporting block 20 is mov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by sliding between the upward inclined sliding surfaces 21 of the rear supporting blocks 20. [ Since the up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21 has an upward inclination that becomes higher as it goes forward, the rear supporting block 20 slides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gradually ascends, so that the weight 200 is lifted while advancing. Therefore, the reference point R moves to the forward position indicated by A1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A0.

이 때 중량체(200)와 전방지지블록(10)은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중량체(200)가 들어 올려지면 전방지지블록(10)도 들어 올려지고, 그에 따라 전방지지블록(10)의 하면과 제1이동블록(11)의 상면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게 된다.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제1단계에서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Since the weight 200 and the front support block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weight 200 is lifted, the front support block 10 is lif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lock (11). The dotted line in FIG. 4 shows the state in the first step.

제1이동블록(12)은 당김장치(4)에 의해 진출방향으로 당기려는 탄성력을 항상 받고 있으므로, 위와 같이 중량체(200)와 전방지지블록(10)이 들어 올려져서 전방지지블록(10)과 제1이동블록(11) 사이에 간극이 생기게 되면, 제1이동블록(12)은 당김장치(4)에 의해 진출방향으로 당겨져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이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에 밀착한 상태로 된다. The weight block 200 and the front support block 10 are lifted up and the front support block 10 is lifted up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first moving block 12 always receives the elastic force to pull in the advancing direction by the pulling device 4. [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pull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by the pulling device 4 so that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pulled back in the advanc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11.

잭장치(3)가 계속 신장하게 되면, 제2이동블록(22)의 후퇴, 후방지지블록(20)과 중량체(200)의 진출방향 이동과 상승, 전방지지블록(10)과 제1이동블록(11) 사이의 간극 발생 및 제1이동블록(12)의 진출방향 이동이 계속되어, 중량체(200)의 진출방향 이송이 진행된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잭장치(3)가 더 신장하고 그에 따라 후방지지블록(20)과 중량체(200)의 진출방향 이동과 상승이 이루어지고, 전방지지블록(10)과 제1이동블록(11)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잭장치(3)가 신장함으로써 기준점(R)은 A1로 표시되었던 위치에서 A2로 표시된 전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제1이동블록(12)이 당김장치(4)에 의해 당겨져서 다시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이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에 밀착한 상태로 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When the jack device 3 continues to be extended,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retreated, the rear supporting block 20 and the weight 200 are mov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the elevating direction, the front supporting block 10 and the first moving The gap between the block 11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continued to advance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weight 200. [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jack device 3 is further elongated in the state of Fig. 5 and accordingly the rear supporting block 20 and the weight 200 are mov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raised and the front supporting block 10 and the first And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moving blocks 11. As the jack device 3 is extended, the reference point R is moved from the position indicated by A1 to the forward position indicated by A2.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pulled by the pulling device 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own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11 in the state of FIG. It shows.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잭장치(3)의 신장 과정 즉, 도 1,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중량체(200)의 1차 이송이 이루어진다. 1차 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중량체(200)가 제1이동블록(12)과 제2이동블록(22)에 의해 지지되고 있지만 제1이동블록(12)과 제2이동블록(22)중 어느 하나만으로도 중량체(200)의 지지가 가능한 상태에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ransfer of the weight 200 is performed by the extension process of the jack device 3, that is, the series of processes shown in FIGS. 1, 4 to 7. The weight 200 is supported by the first moving block 12 and the second moving block 22 while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completed, The weight 200 can be supported by only one of them.

후속하여 2차 이송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1차 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격적인 2차 이송이 진행되기에 앞서 제2이동블록(22)을 설치면(300) 위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 반면에 제1이동블록(12)을 설치면(30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제2이동블록(22)은 자유로운 이동상태에 있고 제1이동블록(22)은 설치면(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잭장치(3)를 수축시키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이동블록(12)만으로도 중량체(200)의 지지가 가능하므로, 잭장치(3)의 수축 직후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1이동블록(22)에 의해서만 중량체(22)가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런데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은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과 저마찰력 상태로 접하고 있고 제1이동블록(12)은 설치면(3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량체(200)의 무게와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의 경사에 의해 제1이동블록(12)과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 사이의 슬라이딩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방지지블록(10)이 진출하게 되고, 그에 따라 중량체(200) 및 후방지지블록(20)도 진출하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기준점(R)이 A2로 표시되었던 위치에서 A3로 표시된 전방위치로 이동하면서 중량체(200)의 2차 이송이 시작되는 것이다. Subsequently, secondary transfer proceeds. Specifically, in the state where the primary transfer is completed,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made to be freely movable on the mounting surface 300 before the full-scale secondary transfer is performed, while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fixed on the mounting surface (300) so as not to move. Thus,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in a free moving state and the first moving block 22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300, thereby contracting the jack device 3 as shown in Fig. Since the weight 200 can be supported only by the first moving block 12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22 can be supported only by the first moving block 22 as shown in FIG. 8 immediately after the jack device 3 is contracted ) Is supported.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in contact with the down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11 in a low frictional state and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300, Sliding between the first moving block 12 and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11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inclination of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11 so that the front supporting block 10 advances, (200) and the rear support block (20). 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secondary transfer of the weight 200 starts while the reference point R is moved from the position indicated by A2 to the forward position indicated by A3.

잭장치(3)의 수축이 진행되면 제2이동블록(22)은 계속하여 전방으로 당겨지고(도 10), 제1이동블록(12)의 상면과 하향경사 슬라이딩(11) 사이의 슬라이딩이 계속되면서 전방지지블록(10) 및 그 위에 놓여 있는 중량체(200)는 전방을 향하여 움직이면서 2차 이송이 계속 진행된다(도 11). 2차 이송이 이루어지면 기준점(R)은 A3의 위치에서 전방에 있는 A4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 후속하여 잭장치(3)의 수축이 진행되면서 제2이동블록(22)이 계속하여 전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 후속하여 제1이동블록(12)의 상면과 하향경사 슬라이딩(11) 사이의 슬라이딩 진행 및 그에 따른 중량체(200)의 전방을 향한 2차 이송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 후속하여 잭장치(3)의 수축이 진행되면서 제2이동블록(22)이 계속하여 전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 후속하여 제1이동블록(12)의 상면과 하향경사 슬라이딩(11) 사이의 슬라이딩 진행 및 그에 따른 중량체(200)의 전방을 향한 2차 이송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2차 이송의 진행이 완료되면 다시 도 1의 상태가 되면서 중량체(200)를 진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1회의 이송 싸이클(cycle)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량체(200)의 이송 싸이클을 필요한 회수로 반복함으로써 중량체(200)를 필요한 거리만큼 진출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When the jack device 3 is retracted,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continuously pulled forward (Fig. 10), and sliding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lock 12 and the downward inclined sliding 11 continues The front support block 10 and the weight 200 placed thereon move forward while the secondary transfer continues (FIG. 11). When the secondary transfer is performed, the reference point (R) moves from the position of A3 to the position of A4 on the front side. Fig.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continuously pulled forward while the shrinkage of the jack device 3 proceeds following the state of Fig. 11, and Fig.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block 22 is pulled forward The sliding progres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12 and the downwardly inclined slide 11 and the progress of the secondary transfer toward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weight 200 are shown.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continuously pulled forward while the shrinkage of the jack device 3 proceeds following the state of Fig. 13, and Fig. 15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block 22 is pulled forward The sliding progres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12 and the downwardly inclined slide 11 and the progress of the secondary transfer toward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weight 200 are shown. When the progress of the secondary transfer is completed, the transfer of the weight 200 is advanced in the state shown in FIG. 1, and a single transfer cycle is completed. By repeating the transfer cycle of the weight 200 as many times as necessary, the weight 200 is transferr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by a required distance.

도 16은 도 1, 도 4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을 함께 모아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100)에 의해 중량체(200)의 1회 이송 싸이클이 진행되는 것을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즉, 본 발명의 1회 이송 싸이클이 진행되면 기준점(R)은 처음 A0 위치에서 A6의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FIG. 16 is a view collectively showing one of FIGS. 1 and 4 to 15, and shows the progress of the one-time transfer cycle of the weight 200 by the weight transferr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one-time transfer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he reference point R moves from the first A0 position to the A6 position.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잭장치(3)를 신장할 때 중량체(200)의 1차 이송이 이루어지고, 잭장치(3)를 수축할 때 추가적인 중량체(200)의 2차 이송이 이루어진다. 앞서 살펴본 종래의 중량체 이송장치에서는, 연직잭장치를 수축하였을 때만 하향이동블록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한 중량체의 이송이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잭장치(3)를 신장시킬 때 1차 이송이 이루어지고 잭장치(3)를 수축시킬 때 2차 이송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잭장치(3)를 수축시킬 때뿐만 아니라 잭장치(3)를 신장시킬 때에도 중량체(200)의 이송이 이루어지므로 잭장치(3)의 신장과 수축이라는 한 번의 순환동작에 의해서 두 번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에 따라 더 긴 거리를 더 빠르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중량체 이송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중량체(200)의 이송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ransfer of the weight 200 is performed when the jack device 3 is extended, and the secondary transfer of the additional weight 200 is performed when the jack device 3 is contracted.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heavy body conveying device, only when the vertical jack device is contracted, the weight is conveyed by downward sliding of the downwardly moving block.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jack device 3 is extended, When the high-jitter device 3 is retracted, a secondary feed is perform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eight 200 is conveyed not only when the jack device 3 is retracted but also when the jack device 3 is extended, This allows two transfers to be carried out, thus allowing longer distances to be transferred fast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weight transfer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weight 200 is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evice.

1: 전방위치 진출장치
2: 후방위치 진출장치
10: 전방지지블록
11: 하향경사 슬라이딩면
12: 제1이동블록
20: 후방지지블록
21: 상향경사 슬라이딩면
22: 제2이동블록
1: forward position advance device
2: rear position advancing device
10: front support block
11: Downward slope sliding face
12: first movable block
20: rear support block
21: Upward inclined sliding face
22: second moving block

Claims (3)

삭제delete 삭제delete 중량체를 이송하려는 방향에 해당하는 진출방향으로 가면서 낮아지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으로 이루어진 상면, 및 중량체(200)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13)를 구비하며 중량체(200)에 결합되는 전방지지블록(10)과,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과 상면이 접하여 전방지지블록(10)이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만드는 제1이동블록(12)과, 상기 제1이동블록(12)에 대해 진출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당김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량체(200)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위치 진출장치(1); 진출방향으로 가면서 높아지는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으로 이루어진 상면, 및 중량체(200)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부(23)를 구비하며 중량체(200)에 결합되는 후방지지블록(20)과,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과 상면이 접하여 후방지지블록(20)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만드는 제2이동블록(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량체(200)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위치 진출장치(2); 및 진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후퇴방향의 단부는 제2이동블록(22)에 연결되어 있고 진출방향 단부는 전방지지블록(10)의 후방스톱퍼(14)에 연결되어, 후퇴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제2이동블록(22)을 후퇴방향으로 밀어주거나 또는 진출방향으로 당겨주는 잭장치(3)를 포함하는 중량체의 이송장치(100)를 이용하여 중량체(200)를 이송하되;
상기 전방위치 진출장치(1)는 중량체(200)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위치 진출장치(2)는 중량체(200)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상기 후방위치 진출장치(2)를 진출방향 일직선 상에 각각 위치시키고, 중량체(200)가 전방지지부(13)와 후방지지부(2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 있게 하는 단계;
제2이동블록(22)이 설치면(300)에 고정되고 제1이동블록(12)은 설치면(300)에서 이동가능하며, 중량체(200)가 전방지지블록(10)과 후방지지블록(20)에 놓인 상태에서, 잭장치(3)가 신장되어 후방지지블록(20)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을 따라 진출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중량체(200)를 들어 올리면서 중량체(200)를 1차 이송시키며, 제1이동블록(12)은 당김장치(4)에 의해 진출방향으로 당겨져 중량체(200)를 지지하게 만드는 단계; 및
제1이동블록(12)이 설치면(300)에 고정되고 제2이동블록(22)은 설치면(300)에서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 후, 잭장치(3)가 수축하여 제2이동블록(22)이 진출방향으로 당겨지면, 전방지지블록(10)은 중량체(200)를 지지한 채로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하강하면서 진출방향으로 중량체(200)를 2차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의 이송방법.
And a front support portion 13 for supporting the weight 200. The upper support portion 13 supports the weight 200 and the upper surface is composed of a down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11 which is lower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ight is to be conveyed, A first moving block 12 for causing the front support block 10 to slide along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11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11, A forward positioning device (1) comprising a bending device (4) for applying a force in a advanc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a moving block (12) and positioned forward of the weight (200) in the advancing direction; A rear support block 20 having an upper surface made up of an up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21 which rises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a rear support portion 23 for supporting the weight 200 and coupled to the weight 200, And a second moving block 22 that causes the rear support block 20 to slide along the up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21 so that the upper supporting surface of the rear supporting block 2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sliding surface 2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eight 200, A rear position advancing device (2) located behind the advancing direction; And the end portion in the retrea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dvancing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block 22 and the advancing direction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ar stopper 14 of the front support block 10, And a jack device (3) for pushing the second moving block (22) in the retracting direction or pulling the second moving block (22) in the advancing direction, while conveying the weight (200) using the conveying device (100);
The forward position advancing device 1 is disposed forward of the weight 200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the rear position advancing device 2 is disposed behind the weight 200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front position advancing device 1 and the rear position advancing device 2 are positioned on the straight line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the weight 200 is supported by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13 and the rear supporting portion 23 ;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300 and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movable on the mounting surface 300 so that the weight 200 can move between the front supporting block 10 and the rear supporting block 10. [ The jack device 3 is extended so that the rear support block 20 slides in the advancing direction along the upward inclined sliding surface 21 to lift the weight 200, The first moving block 12 being pull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by the pulling device 4 to support the weight 200; And
After the first moving block 12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300 and the second moving block 22 is movable on the mounting surface 300 the jack device 3 is retracted to the second moving block 22 are pull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front support block 10 slides along the downwardly inclined sliding surface 11 while supporting the weight 200, moves downward while advancing the weight 200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weight of the weighing body is transferred to the weighing body.
KR1020130163452A 2013-12-26 2013-12-26 Forward Moving Method of Heavy Body KR1016197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452A KR101619775B1 (en) 2013-12-26 2013-12-26 Forward Moving Method of Heavy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452A KR101619775B1 (en) 2013-12-26 2013-12-26 Forward Moving Method of Heavy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463A KR20150075463A (en) 2015-07-06
KR101619775B1 true KR101619775B1 (en) 2016-05-11

Family

ID=5378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452A KR101619775B1 (en) 2013-12-26 2013-12-26 Forward Moving Method of Heavy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7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209B (en) * 2018-12-22 2021-02-02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Vertical synchronous relay jacking construction method for large-tonnage combined equipment
CN110485272B (en) * 2019-09-16 2024-04-02 莆田学院 Rolling lifting type bridge anti-seismic stop block device
KR102437062B1 (en) * 2021-04-01 2022-08-26 강대흥 Mechanical Uplift System of Brid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463A (en)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775B1 (en) Forward Moving Method of Heavy Body
CA267687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ubulars
KR100986478B1 (en) Self-launching apparatus for moving girders forwardly for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CN105083972A (en)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flat tube
CN103708218B (en) A kind of single driving moves expects a mechanism
CN204780607U (en) Stride thrustor
KR101619774B1 (en) Forward Moving Method of Heavy Body
JP6024893B2 (en) Transfer equipment
CN204777689U (en) Pile up neatly device of formula of shrinking
JP6499108B2 (en) Transfer equipment
JP4326352B2 (en) Nursery box stacking device
CN104538280A (en) Lamp bulb pin straightening device
EP3891334B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laying sleepers on a ballast-bed for a railroad
CN102989850A (en) Die elevating device applied to tube bending machine
CN205254480U (en) Automatic kludge of zooming
CN211572656U (en) Walking pushing equipment for steel truss girder
CN103964182A (en) Tire lifting and load transferring mechanism for automatic tire production line
JP6812842B2 (en) Transport device
JP7125837B2 (en) Equipment for transporting heavy objects
JP6290470B1 (en) Carrying material positioning device
JP2018017067A (en) Sending-out/installing manual extender
CN214877674U (en) LED board support mobile device
CN204348682U (en) Bulb pin stalk straightening device
CN213010625U (en) Translation lifting mechanism for valve body spraying process
KR20210011960A (en) Substrate ho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