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300B1 -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의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의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300B1
KR101619300B1 KR1020150119607A KR20150119607A KR101619300B1 KR 101619300 B1 KR101619300 B1 KR 101619300B1 KR 1020150119607 A KR1020150119607 A KR 1020150119607A KR 20150119607 A KR20150119607 A KR 20150119607A KR 101619300 B1 KR101619300 B1 KR 10161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bar
frame
auxiliary ba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기
Original Assignee
(주)진보아이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보아이앤디 filed Critical (주)진보아이앤디
Priority to KR1020150119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04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with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22Servicing or operating apparatus or multistep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2Tanks; Installatio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2Tanks; Installations therefor
    • C25D17/04External supporting frames or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25D17/08Supporting racks, i.e. not for susp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8Rin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전착도장 대상물이 거치되는 보조바, 보조바 양단이 고정되는 행거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에 있어서, 행거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각각 체결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단부가 상기 보조바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단부의 횡단면은 중앙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부(가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바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공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공간에 상기 체결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의 최외각은 상기 원통형 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에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 및 이 행거에서 보조바와 행거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의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 제거 방법 {method of removing paint between assist bar and frame in a hanger for hanging matter for electrostatic painting}
본 발명은 전착도장 설비 관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착도장 설비에서 다수 소재를 전착가공하기 위한 행거에 소재를 걸 수 있도록 만들어진 보조바와 행거 프레임 사이의 결합구조 및 이 결합구조에서 보조바와 행거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착도장은 도장 대상물인 피도체 혹은 소재에 전기를 이용하여 도료를 입히는 도장 방법으로 원리상 도금과 매우 비슷하지만 소재 표면에 금속 대신 이온화된 도료를 부착시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전착도장액은 이온성 입자를 가지는 수용성 도료로 주로 구성되며, 에폭시 계열, 우레탄 계열, 아크릴 계열, 기타 불소 및 폴리아미드 등의 특수 소재로 구분될 수 있다.
전착도장을 하기 위해 대개 소재를 전착도장조의 도장액에 침지하고, 소재 및 전착도장조 탱크에 두 전극 가운데 한 전극씩 연결하여 전착도장액을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소재에 인가되는 전극 극성은 도료의 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전착도장은 도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도장의 균일성과 평활성, 에지 커버성, 컬러도장 가능성 측면에서 우수하여 자동차, 각종 부품 도장에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통상의 전착도장 설비는 대략 도1의 평면적 개념도와 같이 소재를 도장하는 전착도장부(a1)와 도장 된 소재를 건조하는 건조로(a2)와 이들 전착도장부(a1)와 건조로(a2)를 경유하는 이송레일(b)과, 이송레일(b)을 따라 움직이면서 행거를 이송시키는 이송부(c), 이송레일(b)을 구동시키는 레일구동부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착도장 설비에 대한 행거 진입 및 행거 분리는 진입 및 분리 영역(d)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착도장 설비에서 이송레일을 따라 전착도장부와 건조로를 순차적으로 이동, 경유하는 이송부(c)에 다수의 소재가 실장된 행거를 거치시켜 소재에 전착도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전착도장용 행거에서 행거 프레임 자체는 설비의 전착도장부나 건조로 크기에 맞추어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프레임 크기를 변화시키기는 어렵지만, 소재의 크기 및 형태 변화에 맞추어 행거 프레임에 설치하는 보조바의 갯수 및 위치는 수시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바는 프레임에 수시로 여러 위치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전착도장에서 도장피막은 소재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소재에 전기가 통하도록 통로가 되는 행거 프레임이나 보조바에도 형성되고, 보조바와 프레임은 영구적으로 고정 결합된 것이 아니고 탈착가능한 것이어서, 이 결합부에도 틈새 공간이 있다면 이 공간에 노출된 표면에는 도장피막이 형성된다.
이런 경우, 도장피막은 프레임과 보조바 사이의 도전을 방해하게 되고, 보조바에 걸리는 소재로의 도전도 방해되어 소재에 대한 전착도장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탈착 용이한 연결부 혹은 결합부에 형성되는 절연성 도장피막을 수시로 제거해야 하는데, 이런 제거 작업은 번거롭고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이런 작업이 제때에 이루어지지 못하면 전착도장 설비의 가동율이 떨어지거나, 전착도장 피막 상태가 고르지 못한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03942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97030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0394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전착도장 설비에서 행거 프레임과 보조바 사이의 결합부에 절연성 도장피막 제거의 번거로움과 비용 증가, 불량 발생 가능성 증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다른 비용과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면서 프레임과 보조바 사이의 결합부의 절연성 도장피막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행거 및 이 행거에서의 결합부 피막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행거는
전착도장 대상물이 거치되는 보조바, 보조바 양단이 고정되는 행거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에 있어서,
행거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각각 체결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단부가 상기 보조바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단부의 횡단면은 중앙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부(가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바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공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공간에 상기 체결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의 최외각은 상기 원통형 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에 접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행거에서, 행거 프레임은 보조바의 양단이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바, 상기 복수의 수직바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단바를 구비하여 전착도장 설비의 이송부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이런 경우, 복수의 수직바의 대향부에 각각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 개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이 체결부의 끝단에는 상방을 향하는 체결단부가 형성되고, 이 체결단부의 횡단면은 중앙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부(가지)가 구비되고, 보조바의 양단은 체결단부가 삽입되어 보조바를 받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원통형 공간을 가지거나, 상단이 폐쇄된 원통형 공간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행거에서 프레임, 정확하게는 체결단부의 각 돌출부의 최외각과 보조바, 정확하게는 보조바 양 단부의 원통형 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의 결합부에서 도장피막을 제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행거에서 보조바의 양단부 가운데 하나의 단부(제1 단부)에서 체결단부(제1 체결단부)와 원통형 공간(제1 원통형 공간)을 분리하고, 보조바의 다른 단부(제2 단부)에서는 원통형 공간(제2 원통형 공간)에 체결단부(제2 체결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그 체결단부(제2 체결단부)를 중심으로 보조바를 회전이동시켜 원통형 공간(제2 원통형 공간)과 닿는 내측면에서 체결단부(제2 체결단부)의 각 돌출부의 끝단(최외각 부분)이 도장피막을 긁어 제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방법에서 보조바의 한 단부의 원통형 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와 체결단부의 돌출부 끝단이 닿아 마찰을 일으키면서 도장피막을 제거할 경우, 보조바의 다른 단부에서는 도장피막이 제거되지 않는 상태가 되지만, 적어도 이때 보조바 한 단부에서는 행거 프레임과 보조바 사이의 전기적 접점은 확보가 되므로 전착도장에 별 문제가 없고, 일정한 규칙을 정하여 가령, 보조바의 양 단부를 번갈아 가면서 도장피막 제거를 실시하거나, 프레임에 보조바를 장착할 때에는 보조바의 양측 가운데 일측에서 그리고 분리할 때에는 다른 일측에서 도장피막을 제거하나, 전착도장 설비에서 일정 주기마다 보조바 양 단부 가운데 도장피막을 제거하는 단부를 바꾸면 고르게 보조바 양 단부 모두에서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결합부의 도장피막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에 보조바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보조바 장착 위치를 바꿔 전착도장을 실시하는 행거에 있어서, 프레임에 보조바를 탈착할 때마다 자연스런 결합 동작이나 분리 동작을 통해 프레임과 보조바 사이의 결합부의 절연성 도장피막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행거 프레임과 보조바 사이의 결합부에 절연성 도장피막을, 전착도장 작업 필요성에 따른 보조바의 프레임 탈착과 관계없이, 도장피막 제거만을 위하여, 별도로 작업을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증가를 줄일 수 있고, 불량 발생 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
도1은 종래 행거와 전착도장 설비의 평면적 설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행거 프레임에 보조바가 결합된행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프레임과 보조바의 결합부 부분을 분리 상태로 상세히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프레임과 보조바의 일 측만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바를 일정 각도 범위에서 왕복 회전이동하여 결합부의 도장피복을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프레임과 보조바의 도4와 다른 일측만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바를 일정 각도 범위에서 왕복 회전이동하여 결합부의 도장피복을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루는 도2의 행거에 행거대차가 결합을 위해 접근하여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의 행거와 행거대차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송부에 행거를 결합시키기 위해 이송부로 접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행거의 상단바와 이송부의 결합 방법 및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행거와 행거대차 및 이송부가 함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행거와 이송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행거와 행거대차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행거 구성을 살펴보면, 기존의 통상의 행거와 마찬가지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임 본체를 가진다.
상단의 수평부재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송부에 결합되는 상단바(upper bar:10)이며 이송부에 결합될 때 대략 수평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단바(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이송부와 결합될 때 대략 수직 상태를 이루는 수직바(vertical bar:21, 25)의 상단이 고정되며, 상단바(10)의 길이 방향 중앙에도 별도 수직바(23)의 상단이 고정된다. 이들 3개의 수직바(21, 23, 25)의 하단은 경사지지면을 형성하는 경사지지바(30)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단바(10)는 길이 방향과 수직한 폭방향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면서 수평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드 결합부(12a, 12b)를 이루어, 이송부의 행거수용부와 결합될 때 사용된다.
수직바(21, 23, 25)는 봉형 혹은 좁고 길게 형성되는 플레이트형 막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단면이 대략 4각형인 4각 막대로 이루어지고, 행거를 이송부에 장착할 때 그 길이 방향이 수직 방향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단바의 길이 방향은 수평면 내의 한 방향이며, 수직바의 길이 방향은 수직방향 자체로, 상단바 길이 방향과 수직바 길이 방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한다.)
이들 수직바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 여기서는 4각 파이프형 수직바의 서로 대향하고 있는 측면에는 소재걸이용 보조바(4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체결단부(21a, 23a, 25a)가 복수개 설치된다. 이때, 체결단부 복수개는 상하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고 있는 두 측면에서 설치되는 체결단부들의 숫자는 서로 같고, 같은 레벨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하나의 체결단부 주변을 좀 더 상세히 보면, 먼저 수직부(23)에는 체결부(23b)가 대향된 상대 체결부를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듯이 형성된다. 각 체결부(23b)의 끝단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단부(23a)가 구비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면 수평으로 돌출된 체결부 중간을 절곡하여 위를 향하는 체결단부가 이루어지는 형태를 가진다.
상방을 향하는 체결단부(23a)의 상단면 혹은 이 체결단부(23a)를 하나의 수평면으로 자른 횡단면은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뻗는 복수 개의 돌출부 혹은 가지를 가져, 가령 -자, +자 혹은 Y자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이 실시예에서는 체결단부(23a)의 횡단면은 + 형태의 4 개의 서로 90도씩 회전이격된 돌출부 혹은 가지(23a')를 구비하고 있다.
가지와 가지 사이의 중심각 혹은 거리는 서로 같도록 가지는 서로 균등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바(40)의 양단은 이러한 체결단부(23a)가 아래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부(43) 혹은 원통형 공간을 가진다.
원통형 공간은 상하도 뚫려있거나 상단이 폐쇄되도록 이루어지며, 원통의 횡단면이 이루는 원의 반지름은 체결부가 삽입될 경우 체결부 중심에서 가지의 최외각 끝단까지의 거리와 거의 같아서 가지의 최외각 말단이 원통형 공간을 이루는 내측면과 접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조바(40)는 이송부에 행거를 장착할 때 수평을 이루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가면서 소재를 걸기 위한 복수의 걸이부(41)가 설치되어 있다. 걸이부(41)는 수직 상향 혹은 경사지게 상향하는 돌출막대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보조바(41)의 길이 방향 양단은 수직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 원통부(43) 혹은 상단이 막힌 원통부(43)로 이루어지고, 보조바(40)를 행거 프레임 혹은 수직바(23)에 설치할 때에는 이 원통부(43)에 수직바(23)의 체결단부(23a)가 아래로부터 끼워지도록 보조바(40)를 체결단부(23a) 위쪽에서 도3의 화살표 방향으로 씌워 결합하게 된다.
경사지지바(30)는 3개의 수직바(21, 23, 25)와 고정되어 있지만 위치가 수직바의 하단에 고정되고, 수평과 일정 각도 가령 3도나 5도와 같이 작은 예각을 이루고 있다는 측면에서 상단바(10)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3 개의 수직바의 길이는 모두 조금씩 차이가 있어서 한쪽 수직바(21)가 가장 길고, 중간 수직바(23), 다른쪽 수직바(25)는 점차 더 짧게 형성된다.
또한, 경사지지바(30)는 평평한 플레이트가 아니고 폭방향 중간에서 한번 절곡된 앵글 형태의 막대로, 그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은 영문자 v자를 거꾸로 세운 형태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행거에서 행거 프레임에 보조바를 착탈하는 과정, 방법을 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장착작업장에서는 행거의 프레임은 수직바(21, 23)가 수직한 상태를 이루도록 거치대(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걸어 거치시킨다. 그리고, 행거 프레임에 보조바(40)를 결합시킨 후 이 상태에서, 전착도장이 필요한 소재를 보조바의 걸이부(41)에 걸어 전착도장 준비를 하게 된다. 물론, 상황에 따라 작업장에서 보조바에 먼저 소재를 걸고, 이 상태로 보조바를 행거 프레임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때, 먼저 소재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프레임 내에 보조바(40)가 몇 개가 어떤 간격으로 설치될 것인지 결정하고, 행거 프레임의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차례로 보조바(40)를 장착한다.
보조바(40)를 장착할 때에는 먼저 보조바(40)의 양 끝단 가운데 먼저 한쪽 끝단, 가령, 오른쪽 끝단을 행거 프레임의 수직바(23)에 결합시킨다. 결합을 위해 프레임의 체결단부(23a) 위에 보조바(40)의 오른쪽 끝단의 원통부(43)을 위치시키고 도3의 화살표와 같이 그대로 아래로 이동시켜 결국 그 원통부(43)로 수직바(23)의 체결단부(23a)가 아래에서부터 삽입된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단, 이때 이 보조바(40)의 왼쪽 끝단은 대향되는 수직바(21)의 체결단부(21a)와 결합되지 않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보조바(40)의 왼쪽 끝단을 잡고, 보조바(40)의 오른쪽 단부에 체결된 체결단부(23a)를 중심으로 회전이동시킨다. 체결단부(23a)는 횡단면이 +자 형태이므로 각 가지(23a')는 인접 가지와 90도의 중심각을 이루고 설치되므로 이런 경우, 회전이동 각도가 90도를 넘도록 하면 체결단부(23a)의 각 가지(23a')의 최외각 부분들에 의해 원통부(43)을 이루는 내측면 전체가 쓸려지거나(sweeped) 닦여지고 마찰되어 내측면의 도장피복이 긁혀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앞선 전착도장 과정에서 이 측면에 피착되어 있던 도장피복은 마찰에 의해 측면에서 이탈되어 측면은 깨끗하게 닦일 수 있다. 도장피복의 제거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회전이동을 도4의 양화살표와 같이 시계 및 시계 반대 방향으로 몇 번 반복할 수 있다. 물론 전착도장막이 체결단부 최외각에도 피복되어 있었다면 이 과정을 통해 이 부분에서도 전착도장막은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바(40)의 오른쪽 끝단을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보조바의 왼쪽 끝단을 프레임의 해당 체결단부(21a)에 결합시킨다.
이상 방식으로 행거 프레임에 필요한 모든 보조바를 결합시키고, 소재도 보조바에 장착하면, 행거를 행거대차에 장착하여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로 옮기고 행거대차 상단 수평바를 이송부와 결합시키고, 행거대차를 행거와 분리시키고, 이송레일을 가동하여 행거를 전착도장조 및 건조로로 차례로 이동시켜 소재에 전착도장막을 입히고 안정시키게 된다. 이런 과정은 도6 내지 도10을 통해 향후 더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소재를 장착한 상태로 건조로를 거친 행거는 이송부에 걸린 행거 아래에 행거대차를 진입시켜 행거대차에 행거를 안착, 고정시키고, 행거대차를 움직여 이송부에서 분리시킨다. 그리고, 행거에서 소재를 분리시키는 작업장으로 행거가 이송된다. 이 작업장은 앞서 언급된 장착작업장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이 작업장에서는 먼저 전착도장된 소재를 보조바 걸이부에서 탈착, 분리시킨다.
같은 소재를 전착도장하기 위해 행거 프레임에서의 보조바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도장될 소재를 걸이부에 장착하여 이송부로 보낼 수도 있지만, 다른 소재를 위해 보조바를 행거 프레임에서 일단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면 분리 작업을 한다.
이때에도, 먼저 보조바의 양 끝단 가운데 한쪽 끝단, 즉, 오른쪽 끝단을 위로 들어 행거 프레임의 해당 체결단부(23a)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이 보조바(40)의 왼쪽 끝단은 대응되는 체결단부(21a)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보조바의 분리된 오른쪽 끝단을 잡고, 보조바(40)의 왼쪽 단부에 체결된 체결단부(21a)를 중심으로 회전이동시킨다. 체결단부(21a)는 횡단면이 +자 형태이므로 이때에도 회전이동 각도가 90도를 넘도록 하면 체결단부(21a)의 각 가지의 최외각 부분들에 의해 원통부(43)을 이루는 내측면 전체가 쓸려지거나 닦여지고 마찰되어 긁혀질 수 있다.
이때에도 바로 전 전착도장 과정에서 이 내측면에 피착되어 있던 도장피복은 마찰에 의해 내측면에서 이탈되어 내측면은 깨끗하게 닦일 수 있다. 도장피복의 제거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회전이동을 도5의 양화살표와 같이 시계 및 시계 반대 방향으로 몇 번 반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완전한 분리를 위해 보조바(40)의 왼쪽 단부에서도 보조바 끝단을 위로 들어 프레임의 체결단부(21a)로부터 보조바의 왼쪽 끝단의 원통부(43)를 분리시킨다.
한편, 이상의 과정들에서 보조바가 충분히 길고 탄성변형이 용이한 경우, 한쪽을 체결단부에 체결한 상태로 다른쪽을 체결단부에 체결하거나, 두쪽이 모두 체결된 상태에서 한 쪽만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체결된 부분에서 보조바를 살짝 들어 가체결 상태로 만든 후, 다른 쪽을 체결하거나 체결 해제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면, 보조바를 프레임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과정에서 보조바의 한쪽씩 행거 프레임과 보조바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서 접촉면을 깨끗하게 닦아 도장피복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행거가 전착도장조에 들어갈 때에는 적어도 보조바의 한쪽은 도전성 접촉상태를 확보할 수 있고, 소재의 도장을 확실하게 하고, 도장 상태를 고르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6 내지 도10을 참조하면서 앞서 언급하였듯이 소재가 장착된 행거를 이송부에 결합시키고, 전착도장을 마친 소재를 장착한 행거를 이송부에서 분리시키는 과정,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소재를 장착하고, 도6과 같이 거치대에 걸린 행거 아래로 행거대차를 근접시켜 행거대차에 행거를 싣고 고정하게 된다. 행거대차는 일종의 수레라고 볼 수 있으며, 행거대차에는 사각형(여기서는 등변사다리꼴 형태)의 하부프레임(110)이 있고, 하부프레임의 4 모서리 하부에는 지면에서 자유롭게 구를 수 있는 롤러바퀴(130)가 설치된다. 하부프레임(110) 위에는 하부프레임의 두 빗변(111) 사이 위치에 안내지지바(114)가 설치된다. 하부프레임(110)의 서로 평행한 상변(112), 하변(113) 가운데 길이가 긴 하변(113)에는 행거대차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ㄷ자형 손잡이(120)가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며, ㄷ자형 손잡이 중앙에는 ㄷ자형 손잡이의 수평부(121) 중앙과 하부프레임의 긴 하변(113) 중앙을 잇는 수직지지대(125)가 설치된다.
이때, 안내지지바(114)는 상부가 경사지지바(30)와 같이 그 길이 방향으로 수평과 3 내지 5도의 경사를 이루며,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영문자 v자를 거꾸로 세운 형태를 가져, 그 위에 경사지지바(30)가 전체적으로 밀착되면서 안착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125)의 그 길이방향과 수직한 횡단면은 행거 프레임의 4각 막대형 수직바 가운데 가장 짧은 수직바(25)를 수용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경사지지바나 안내지지바는 지면 기준으로 볼 때 행거대차의 손잡이측 단부가 높고 반대측 단부가 낮은 경사를 형성한다.
이렇게, 경사지지바를 안내지지바 위에 놓이도록 하고, 행거 프레임의 수직바(25) 하나를 수직지지대(125)에 삽입되도록 하고, 빠지지 않도록 고정 장치(127)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안정적으로 행거대차에 행거를 적재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장치는 행거대차의 수직지지대와 행거의 짧은 수직바를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기존의 다양한 결합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결합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행거대차를 이동시켜 전착도장 설비의 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있는 이송부(200)가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행거 결합 위치로 간다. 이때 이송부(200)는 그 길이 방향이 이송레일이 있는 수평면 내에서 이송레일의 진행 방향과 수직을 이루고, 길이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의 크기는 행거의 상단바(10)와 같거나 대략 비슷하게 된다. 이 이송부의 대기 위치에서 지면에는 행거대차의 롤러바퀴(130) 진입을 바르게 유도할 수 있는 유도레일(미도시)이 설치된다. 유도레일의 끝단에 행거대차의 과도한 진행을 막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이송부(200)는 행거대차가 유도레일을 따라 진입할 경우 행거의 상단바(10)의 슬라이드 결합부(12a, 12b)가 행거수용부(210))의 입력단에 삽입되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진행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행거대차의 안내지지바의 위치와 높이와 이송부의 높이, 행거의 프레임의 높이, 유도레일 위치가 서로 대응하도록 설치됨은 물론이며, 이송부(200)는, 상단 수평바의 슬라이드 결합부가 결합될 때 상단바 아래로 고정되는 수직바의 상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의 폭방향 중앙부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행거수용부(210)의 입력단 입구가 슬라이드 결합부(12a, 12b)의 폭이나 두께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삽입이 쉽고, 입력단 입구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판스프링으로 된 탄성 곡면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진입되는 슬라이드 결합부를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거나 행거의 상단 수평바가 이송부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단 수평바가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단속하여 안정적 결합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결합부(12a, 12b)가 행거수용부(210)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진행되는 동안 슬라이드 결합부는 행거수용부의 활주면(211a)에서 미세하게 위로 이격되어 마찰이 없거나 약한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부의 행거수용부의 입력단의 타측 단부에 스토퍼가 있어서 슬라이드 결합부가 행거수용부에서 지나치게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9와 같은 형태로 이송부와 행거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행거대차를 진입 방향과 반대로 이동시켜 행거로부터 분리시킨다. 먼저 행거대차의 수직지지대(125)를 행거의 짧은 수직바(25)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127)를 해제하고, 행거가 이송부에 결합된 상태로 행거대차를 유도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당겨 작은 거리만큼 빼내면 행거와 행거대차가 분리되면서 행거의 경사지지바가 행거대차의 안내지지바로부터의 지지를 받을 수 없어 중력에 의해 미세하게 하강하며, 행거의 슬라이드 결합부를 행거 수용부의 활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 구간에서는 도10과 같이 행거대차를 안내지지부의 예각 경사의 낮은 쪽으로부터 높은 쪽 방향으로 수평으로 당겨 쉽게 빼내어 행거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행거 및 행거에 걸린 전착도금 대상물은 이송부에 결합된 상태로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착도장부와 건조부를 거쳐 행거 분리 위치로 오게 된다. 이때 행거 분리 위치는 행거 진입 위치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이 위치에서 제1 행거대차가 진입하여 이송부의 행거를 받아 나오고, 행거 및 전착도장 대상물이 장착된 제2 행거대차가 다시 진입하여 빈 이송부에 행거를 결합시키고 나올 수 있다.
통상, 행거 분리 위치에서는 행거 결합 위치에서와 반대의 과정을 통해 행거를 이송부와 분리시키고 행거대차에 다시 결합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이송부에 결합된 행거가 행거 분리 위치에 오면 행거대차가 빈 상태로 행거 분리 위치의 바닥에 형성된 유도 레일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진입한다. 행거대차의 안내지지바는 점차 행거의 경사지지바에 수평 방향에서 접근하여 접하게 된다. 경사지지바 및 안내지지바는 수평면에서 경사진 상태를 이루고, 상호 수평방향에서 접근하게 되므로 접촉이 이루어질 때까지는 경사지지바와 안내지지바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고, 쉽게 행거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경사지지바와 안내지지바가 막 접하는 시점에서, 행거의 가장 짧은 수직바는 아직 행거대차의 수용부에 완전히 수용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행거대차의 수직지지바의 수용부로 행거의 수직바를 수평방향으로 더 당겨 완전히 수용되도록 하고 고정 장치를 통해 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행거대차의 수용부 내로 행거의 수직바를 수평방향으로 더 당기는 과정에서 경사지지바와 안내지지바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지만 이들은 모두 작은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방향 이동거리는 행거를 수직으로 드는 길이에 비해 길어지지만 행거를 수직하게 직접 드는 힘에 비해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은 매우 작아도 되며, 역으로 된 v자 형태로 인하여 경사지지바가 안내지지바 위에서 안정적으로 놓여 안내되므로 작업자가 수평방향으로 더 당기는 과정에서 사용해야하는 힘과, 조절을 위한 수고를 절약할 수 있다.
이후, 이렇게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도 경사지지바나 안내지지바는 수평과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경사지지바가 행거대차의 안내지지바에 단순히 접해진 상태가 아니고 안내지지바 위에 얹혀, 밀착되고, 행거의 무게를 거의 지지하는 상태가 되며, 행거 상단 수평바의 슬라이드 결합부는 이송부에 있는 행거 수용부의 활주면에서 미세하게 위로 이격되어 뜬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행거대차와 행거를 움직여 진입할 때와 반대로 안내 레일에서 빠져나오도록 힘을 주면 행거 상단 수평바의 슬라이드 결합면은 이송부의 행거 수용부 활주면과 약간 이격된 상태이므로 마찰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고 쉽게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행거와 결합된 상태로 행거대차를 행거 분리 위치에서 빠져나오게 하면 행거대차를 이동시켜 전착도장이 완료된 소재를 분리시켜 반출시키고, 다음 작업을 위해 전착도장 대상물을 보조수평바의 걸이에 걸어 다시 행거 결합 위치로 진입시켜 행거와 이송부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 실시예를 위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상단바 12a, 12b: 슬라이드 결합부
21, 23, 25: 수직바 21a, 23a, 25a: 체결단부
21a, 23b: 체결부 23a': 가지 (체결단부의 가지)
30: 경사지지부 40: 보조바
41: 걸이부 43: 원통부 (원통형 공간)
110: 하부프레임 111: 빗변
113: 하변 114: 안내지지부
120: 손잡이 125: 수직지지대
127, 127': 고정장치 130: 롤러바퀴
200: 이송부 210: 행거수용부
211a: 활주면

Claims (4)

  1. 전착도장 대상물이 거치되는 보조바, 상기 보조바 양단이 고정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각각 체결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단부가 상기 보조바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단부의 횡단면은 중앙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부(가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바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공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공간(원통형 공간)에 상기 체결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의 최외각이 상기 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에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의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 제거 방법으로서,
    상기 보조바의 양단부 가운데 하나인 제1 단부에서 상기 체결단부(제1 체결단부)와 상기 원통형 공간(제1 원통형 공간)을 분리하고,
    상기 보조바의 다른 단부인 제2 단부에서는 상기 원통형 공간(제1 원통형 공간)에 상기 체결단부(제2 체결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단부(제2 체결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보조바를 회전이동시켜 상기 원통형 공간(제2 원통형 공간)과 닿는 내면에서 상기 체결단부(제2 체결단부)의 각 돌출부의 끝단(최외각 부분)이 도장피막을 긁어 제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의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 제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보조바를 장착할 때에는 상기 보조바의 양 단부 가운데 제1 단부 측에서 도장피막을 제거하고,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보조바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보조바의 양 단부 가운데 제2 단부 측에서 도장피막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의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 제거 방법.
KR1020150119607A 2015-08-25 2015-08-25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의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 제거 방법 KR101619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07A KR101619300B1 (ko) 2015-08-25 2015-08-25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의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07A KR101619300B1 (ko) 2015-08-25 2015-08-25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의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300B1 true KR101619300B1 (ko) 2016-05-10

Family

ID=5602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607A KR101619300B1 (ko) 2015-08-25 2015-08-25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의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186A (ko) 2017-10-27 2019-05-08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분체도장용 비전도체 도장걸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6016A (ja) 2009-11-20 2011-06-02 Gastar Corp 被塗装物の搬送用保持具およびその装着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6016A (ja) 2009-11-20 2011-06-02 Gastar Corp 被塗装物の搬送用保持具およびその装着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186A (ko) 2017-10-27 2019-05-08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분체도장용 비전도체 도장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476B2 (en) Jig and a method and apparatus of applying a surface treatment to a member on the jig
KR101619300B1 (ko)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의 보조바와 프레임 사이의 도장피막 제거 방법
US7384522B2 (en) Ergonomic loading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processes
JP2011106016A (ja) 被塗装物の搬送用保持具およびその装着構造
KR20130022914A (ko) 도금랙 어셈블리
US5997655A (en) Panel washing device
JP6469168B2 (ja) 水平搬送メッキ処理装置における板状被処理物のクランプ治具
KR20130026868A (ko) 리드 클리닝 장치
CN106994410B (zh) 一种用于运动型多用途汽车后背门的涂装辅具
KR101619299B1 (ko) 전착도장 소재 장착용 행거 및 이 행거를 전착도장 설비의 이송부에 결합시키는 방법
US4288313A (en) Hanger for handling sheet material during processing thereof
CN210284659U (zh) 用于直升机桨叶的多姿态夹持工装
CN211767385U (zh) 一种便于转移的涂料运送装置
KR20190053530A (ko) 용융아연 도금 설비의 롤 스크래퍼 장치
JP6183834B2 (ja) 自動車ドアの固定用治具
US20200001901A1 (en) Locking assembly
JP3203224U (ja) 電着塗装用吊り金具
CN203066441U (zh) 一种混凝土抹光机用快速装卸抹片
KR101668850B1 (ko) 부분 도장이 가능한 전착 도장 장치
CN211067675U (zh) 一种快拆装置及基于快拆装置的医用车
JP6695587B2 (ja) 電着塗装用ハンガー
EP1172462A1 (en) A jig and a method and apparatus of applying a surface treatment to a member on the jig
KR102056835B1 (ko) 전착도장용 행거 및 행거와 노즐분사방식 전처리설비를 이용한 전착도장방법
CN217376920U (zh) 一种电梯导轨安装工具
JP2004211118A (ja) 液中搬送式電気メッキ装置におけるワーク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