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161B1 -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161B1
KR101619161B1 KR1020140041608A KR20140041608A KR101619161B1 KR 101619161 B1 KR101619161 B1 KR 101619161B1 KR 1020140041608 A KR1020140041608 A KR 1020140041608A KR 20140041608 A KR20140041608 A KR 20140041608A KR 101619161 B1 KR101619161 B1 KR 101619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
treatment tank
toluene
filt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930A (ko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 아미켐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미켐씨에스 filed Critical (주) 아미켐씨에스
Priority to KR102014004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1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는 톨루엔이 저장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외피가 절개된 젤리케이블이 수용되는 망 형상의 케이블 수용부재, 및 상기 처리조의 내부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는 케이블 수용부재보다 조밀한 망 형상으로 구성되어, 톨루엔에 의해 젤리케이블에서 분리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를 통과한 젤리성분을 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Jelly from Jelly filled Cables}
본 발명은 통신용 젤리 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피와 내부 세선 사이에 젤리가 충전된 통신 케이블의 상기 세선에 포함되어 있는 동선 등의 폐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인 톨루엔을 이용하여 상기 점착성의 젤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젤리 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선은 개별 피복된 다수의 세선(細線)이 일체로 피복된다. 동케이블과 같은 통신선은 사용장소에 원하는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통신선의 루트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케이블을 설치하기 때문에 가설과 운용시에 외부 충격에 강인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통신선은 물, 습기 등에 의해 절연 성능이 저하되기 쉽고 수명이 단축되며, 전송 품질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동케이블을 이루는 세선들끼리는 합성유, 미네랄 오일, 폴리스티렌계 수지, 산화방지제, 유기합성물 등의 혼합물인 젤리가 충진,도포됨으로써 케이블의 침수 및 충격완화가 보장되고 절연성을 높이게 된다.
젤리충전 동케이블 통신선은 크게 블랙 폴리에틸렌(Black PE), 알루미늄, 전기동(電氣銅), 폼 폴리에틸렌(Foam PE) 및 젤리 컴파운드(jelly compound)로 구성된다.
이러한 젤리충전 동케이블 통신선이 폐기될 경우 이러한 각 구성물들을 소재별로 분류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들 구성물 중에서 전기동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젤리 컴파운드를 완전히 제거할 것이 요구된다.
젤리 컴파운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물리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이 있다. 그런데, 물리적 방법의 경우 기계를 이용한 챠핑(Chopping) 방법 등은 전처리, 파쇄, 분쇄, 자석 선별, 비중 선별 등을 거쳐 경사진 동체 등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젤리에 포함되어 있는 수지의 부착력 때문에 젤리 케이블의 파쇄나 분쇄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세정액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젤리를 제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젤리 제거방법은 하기 [문헌 1]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기 [문헌 1] 등에 개시된 방법의 경우 처리조를 회전시키거나 내부에 수용된 폐전선을 교반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동력장치나 초음파 발생기 등을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기 [문헌 1] 등에 개시된 방법의 경우 젤리의 제거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세정액 등을 가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세정액 특유의 휘발성을 가중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이나 작업자의 건강악화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0-0001682호(2010. 1. 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가열수단, 교반장치, 또는 초음파 발생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용매에 침적하는 것에 의하여 젤리케이블에 충진된 젤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용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젤리 제거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용매의 순환 중에 분리된 젤리를 필터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용매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켜 폐용매의 배출량 감소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젤리 제거작업이 밀폐된 처리조 공간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휘발성 용매의 기화에 따른 환경오염 및 작업자의 건강악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는 톨루엔이 저장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외피가 절개된 젤리케이블이 수용되는 망 형상의 케이블 수용부재, 및 상기 처리조의 내부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는 케이블 수용부재보다 조밀한 망 형상으로 구성되어, 톨루엔에 의해 젤리케이블에서 분리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를 통과한 젤리성분을 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연결된 용매공급관, 상기 처리조의 하부와 상기 용매공급관을 연결하는 용매배출관, 및 상기 용매배출관 또는 용매공급관의 중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필터를 경유한 톨루엔을 상기 용매배출관과 용매공급관을 통해 처리조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매배출관 또는 용매공급관의 중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필터를 경유한 톨루엔에 포함된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2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리조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어 처리조 내부, 용매공급관, 및 용매배출관에 톨루엔이 순환되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덮개와, 상기 처리조 또는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공간에서 발생되는 톨루엔 유증기를 외부의 집진장치로 배출하는 배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필터에 걸러진 젤리성분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 상기 제2필터를 경유한 톨루엔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 및 상기 하중센서 또는 탁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각각의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제1필터 또는 제2필터의 교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 또는 제2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교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순환펌프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매공급관의 중도에서 상기 제2필터의 전후에 설치된 개폐밸브, 상기 순환펌프와 용매공급관의 중도에 연결된 바이패스관을 통해 상기 용매공급관에 연결된 버퍼탱크, 및 상기 바이패스관의 중도에 연결된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처리조 내부로 톨루엔을 순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필터의 교체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하여 처리조 내부의 톨루엔을 버퍼탱크로 배출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시키며, 상기 제2필터의 교체신호가 입력되면 순환펌프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방법은 젤리케이블을 6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외피를 절개하는 제1단계, 상기 외피가 절개된 젤리케이블을 톨루엔이 수용된 상온의 처리조에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 동안 침적시켜 젤리케이블로부터 젤리성분을 분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젤리성분이 제거된 폐전선을 건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건조된 폐전선을 외피와 세선으로 분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계는 처리조에 수용된 톨루엔을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 연결된 용매배출관과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연결된 용매공급관을 통해 순환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외피가 절개된 젤리케이블을 망 형상의 케이블 수용부재에 담아 상기 처리조에 침적시키는 제2-1단계,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를 경유한 톨루엔에 포함된 젤리성분을 필터로 걸러내는 제2-2단계, 및 상기 필터에 걸러진 젤리성분의 양을 판단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제2-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설정시간이 완료된 경우 처리조 내부의 톨루엔을 용매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버퍼탱크로 배출하고, 처리조 내부의 톨루엔 유증기를 외부의 집진장치로 배출하는 제2-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은 단순히 처리조 내부에 톨루엔 용매 속에 외피가 절개된 젤리케이블을 침적하는 것에 의하여 젤리를 제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가열수단, 교반장치, 또는 초음파 발생기 등의 장비가 불필요하여 장치 구성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은 처리조의 상하부와 각각 연결된 용매공급관과 용매배출관을 통하여 처리조로 톨루엔을 순환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젤리 제거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톨루엔의 순환시 분리된 젤리를 제1,2필터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폐톨루엔의 배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은 상기 젤리 제거작업이 밀폐된 처리조 공간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젤리 제거가 완료된 이후에는 처리조를 개방하기 이전에 내부 유증기를 외부의 집진장치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휘발성 용매의 기화에 따른 환경오염 및 작업자의 건강악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한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의 동작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및
도3 및 도4는 각각 도1에 도시한 젤리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젤리케이블의 젤리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의 동작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는 젤리를 용해하기 위한 용매인 톨루엔이 내부에 수용되는 처리조(10), 상기 처리조(10)의 내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외피가 절개된 젤리케이블이 수용되는 망 형상의 케이블 수용부재(30), 및 상기 처리조(10)의 내부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3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필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처리조(10)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통상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깊이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30)와 제1필터가 장착될 수 있는 제1거치대(11)와 제2거치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10)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는 각각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톨루엔을 공급 및/또는 순환하거나 배출하는 경우 적정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1수위센서(13)와 제2수위센서(1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30)는 톨루엔에 의하여 젤리 성분이 분리된 젤리케이블의 외피와 세선이 톨루엔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망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의 메쉬 사이즈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외피와 세선은 통과하지 못하고 톨루엔에 슬러리 타입으로 섞인 분리된 젤리성분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필터(40)는 케이블 수용부재(30)보다 조밀한 망 형상으로 구성되되, 톨루엔에 의해 젤리케이블에서 분리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30)를 통과한 젤리성분을 거를 수 있을 정도의 메쉬 사이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단순히 처리조(10) 내부의 톨루엔 용매 속에 젤리케이블을 침적하는 것에 의하여 젤리를 제거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젤리 제거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톨루엔 용매가 처리조(10)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는 상기 처리조(10)의 상부에 연결된 용매공급관(55), 상기 처리조(10)의 하부와 상기 용매공급관(55)을 연결하는 용매배출관(50), 및 상기 용매배출관(50) 또는 용매공급관(55)의 중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필터(40)를 경유한 톨루엔을 상기 용매배출관(50)과 용매공급관(55)을 통해 처리조(10)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5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톨루엔을 순환시키는 경우 제1필터(40)에서 걸러지지 않은 부유물 형태의 젤리성분을 추가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용매배출관(50) 또는 용매공급관(55)의 중도에 설치된 제2필터(6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필터(60)는 파이프 배관을 흐르는 유체 속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중도에 결합되는 통상의 부직포 필터, 여과재 필터, 카본 필터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는 상기 제1,2필터(40,60)에 걸러진 젤리성분의 양을 판단하여 제1,2필터(40,60)의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상기 제1필터(40)에 걸러진 젤리성분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16)와, 상기 제2필터(60)를 경유한 톨루엔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6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하중센서(16)는 통상의 스트레인게이지, 로드셀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하중센서(16)가 제1필터(40)가 거치되는 제2거치대(12)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탁도센서(65)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통상의 광센서나 전류값 변화를 이용하여 탁도를 산출하는 수질센서 등으로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탁도센서(65)를 광센서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탁도센서(65)가 설치되는 용매공급관(55)의 일부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는 제1,2필터(40,60)의 교체하거나 젤리성분이 제거된 폐전선을 처리조(10)로부터 인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용매배출관(50)의 중도에서 처리조(10)와 순환펌프(51) 사이에 설치된 제1개폐밸브(52), 상기 용매공급관(55)의 중도에서 상기 제2필터(60)의 전후에 설치된 제2,3개폐밸브(53,54), 상기 순환펌프(51)와 용매공급관(55)의 중도에 연결된 바이패스관(70)을 통해 상기 용매공급관(55)에 연결된 버퍼탱크(80), 및 상기 바이패스관(70)의 중도에 연결된 바이패스 밸브(71)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버퍼탱크(80)는 초기에 처리조(10) 내부로 공급될 톨루엔 용액을 임시로 수용하거나, 처리조(10) 내부에 공급된 톨루엔 용액을 회수하는 경우 이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로 구성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처리조(10)가 개방된 상태로 운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톨루엔의 유증기에 의한 환경오염 및 작업자의 건강악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는 상기 처리조(10)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어 처리조(10)의 내부, 용매공급관(55), 및 용매배출관(50)에 톨루엔이 순환되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덮개(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결합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처리조(10)와 덮개(20)의 단부에는 각각 결합용 플랜지(15,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처리조(10)의 내부가 밀폐형으로 구성될 경우 톨루엔의 유증기에 의한 폭발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조(10) 또는 덮개(20)의 일측에는 상기 밀폐공간에서 발생되는 톨루엔 유증기를 외부의 집진장치(미도시)로 배출하는 배기장치(21,22,2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기장치가 덮개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배기장치는 덮개(20)를 관통하여 상기 밀폐공간과 연통되는 배기관(21)과 상기 배기관의 중도에 설치되는 배기밸브(22) 및 배기펌프(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배기밸브(22), 제1,2,3개폐밸브(52,53,54), 및 바이패스 밸브(71)는 기계식 밸브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전자밸브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는 수동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자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술한 제1,2수위센서(13,14), 하중센서(16), 탁도센서(65)의 출력,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장치의 온/오프 신호, 젤리케이블의 침적시간, 제1,2필터(40,60) 교체신호 등의 장치의 운용에 필요한 신호, 및 장치의 동작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120)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22,52,53,54,71), 펌프(23,51), 경보부(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하중센서(16) 또는 탁도센서(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각각의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부(130)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필터 교체시기를 적절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젤리성분의 제거 중에 상기 밀폐공간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배기밸브(22)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3과 도4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를 이용한 젤리 제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젤리 제거방법은 일정한 길이로 잘라진 젤리케이블의 외피를 절개하는 단계(S100), 상기 젤리케이블을 처리조(10)에 투입하는 단계(S200), 톨루엔을 이용하여 상기 젤리케이블의 젤리를 제거하는 단계(S300), 젤리가 제거된 폐전선을 건조하는 단계(S400), 및 건조된 폐전선을 외피와 세선으로 분리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S100 단계는 젤리케이블을 60℃ 내지 100℃로 가열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피 내부에 충진된 젤리성분을 말랑말랑하게 함으로써 외피의 절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S300 단계는 상온에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어부(100)는 케이블 수용부재(30)를 통해 젤리케이블이 수용된 처리조(10)에 톨루엔을 공급하게 되며(S310, S320),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제1개폐밸브(52)를 닫고 제2,3개폐밸브(53,54)와 바이패스 밸브(71)를 개방한 상태에서 순환펌프(51)를 작동시켜 적정 수위까지 버퍼탱크(80) 내부의 톨루엔을 처리조(1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S32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제1필터(40)의 교체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S330), 이 경우 사용자는 하중센서(16)의 출력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 경보부(130)에 발생된 경보를 인식하여 제1필터(40)의 교체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S330 단계의 판단결과 교체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처리조(10)의 톨루엔을 버퍼탱크(80)로 배출하게 되는데(S332),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71)를 개방하고 상기 제2,3개폐밸브(53,54)를 폐쇄한 상태에서 순환펌프(51)를 작동시키게 되며 톨루엔이 적정 수위까지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순환펌프(51)를 정지시킨다.
S332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톨루엔 공급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34), 입력된 경우이면 S310 단계를 수행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S334 단계를 수행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필터의 교체 내지 청소가 완료되면 입력부(110)를 통해 톨루엔 공급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S330 단계의 판단결과 교체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제2필터(60)의 교체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S340), 이 경우 사용자는 탁도센서(65)의 출력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 경보부(130)에 발생된 경보를 인식하여 제2필터(60)의 교체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S340 단계의 판단결과 교체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상기 제2,3개폐밸브(53,54)를 폐쇄한 상태에서 순환펌프(5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342).
S342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순환펌프 동작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44), 입력된 경우이면 순환펌프를 동작시키는 S346 단계를 수행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S342 단계를 수행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필터의 교체 내지 청소가 완료되면 입력부(110)를 통해 순환펌프 동작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S340 단계의 판단결과 교체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침적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50), 경과된 경우이면 S332 단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처리조(10) 내부의 톨루엔을 배출한 후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처리조(10) 내부의 유증기를 외부 집진장치로 배출하게 된다(S360,S370).
또한, S350 단계의 판단결과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이면 S320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설정시간은 처리될 젤리케이블의 분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한 시간일 수 있다.
10 : 처리조 20 : 덮개
30 : 케이블 수용부재 40 : 제1필터
51 : 순환펌프 60 : 제2필터
70 : 바이패스관 80 : 버퍼탱크

Claims (10)

  1. 톨루엔이 저장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외피가 절개된 젤리케이블이 수용하되, 상기 톨루엔에 의해 젤리케이블에서 분리된 외피와 세선은 거르고, 상기 젤리케이블에서 분리되어 상기 톨루엔에 슬러리 타입으로 섞인 젤리성분은 통과시키는 망 형상의 케이블 수용부재;
    상기 처리조의 내부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보다 조밀한 망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를 통과한 젤리성분을 거르는 제1필터;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연결된 용매공급관;
    상기 처리조의 하부와 상기 용매공급관을 연결하는 용매배출관;
    상기 용매배출관 또는 용매공급관의 중도에 설치되고, 상기 제1필터를 경유한 톨루엔을 상기 용매배출관과 용매공급관을 통해 처리조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용매배출관 또는 용매공급관의 중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필터를 경유한 톨루엔에 포함된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2필터;
    상기 제1필터에 걸러진 젤리성분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
    상기 제2필터를 경유한 톨루엔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 및
    상기 하중센서 또는 탁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이 각각의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가 절개된 젤리케이블을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 동안 상기 처리조 내의 톨루엔에 침적시켜 젤리성분을 분리하되, 상기 설정시간 동안 상기 톨루엔을 순환시켜 상기 젤리성분을 지속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어 처리조 내부, 용매공급관, 및 용매배출관에 톨루엔이 순환되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덮개;와
    상기 처리조 또는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공간에서 발생되는 톨루엔 유증기를 외부의 집진장치로 배출하는 배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1필터 또는 제2필터의 교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 또는 제2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교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순환펌프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공급관의 중도에서 상기 제2필터의 전후에 설치된 개폐밸브;
    상기 순환펌프와 용매공급관의 중도에 연결된 바이패스관을 통해 상기 용매공급관에 연결된 버퍼탱크; 및
    상기 바이패스관의 중도에 연결된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처리조 내부로 톨루엔을 순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필터의 교체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하여 처리조 내부의 톨루엔을 버퍼탱크로 배출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시키며, 상기 제2필터의 교체신호가 입력되면 순환펌프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8. 젤리케이블을 6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외피를 절개하는 제1단계;
    상기 외피가 절개된 젤리케이블을 톨루엔이 수용된 상온의 처리조에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 동안 침적시켜 젤리케이블로부터 젤리성분을 분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젤리성분이 제거된 폐전선을 건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건조된 폐전선을 외피와 세선으로 분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계는 처리조에 수용된 톨루엔을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 연결된 용매배출관과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연결된 용매공급관을 통해 순환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외피가 절개된 젤리케이블을 망 형상의 케이블 수용부재에 담아 상기 처리조에 수용하되, 상기 망 형상의 케이블 수용부재에 의해 상기 젤리케이블에서 분리된 상기 외피와 세선은 걸러지고, 상기 톨루엔에 슬러리 타입으로 포함된 젤리성분은 케이블 수용부재를 통과시키는 제2-1단계,
    상기 케이블 수용부재를 통과한 톨루엔에 포함된 젤리성분을 필터로 걸러내는 제2-2단계,
    상기 필터에 걸러진 젤리성분의 양을 판단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제2-3단계, 및
    상기 설정시간이 완료된 경우 처리조 내부의 톨루엔을 용매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버퍼탱크로 배출하고, 처리조 내부의 톨루엔 유증기를 외부의 집진장치로 배출하는 제2-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41608A 2014-04-08 2014-04-08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619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608A KR101619161B1 (ko) 2014-04-08 2014-04-08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608A KR101619161B1 (ko) 2014-04-08 2014-04-08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930A KR20150116930A (ko) 2015-10-19
KR101619161B1 true KR101619161B1 (ko) 2016-05-11

Family

ID=5439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608A KR101619161B1 (ko) 2014-04-08 2014-04-08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1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141Y1 (ko) 2001-02-14 2001-07-19 장팔술 젤리 통신폐전선의 젤리 분리장치
KR100495694B1 (ko) 2004-02-06 2005-06-16 주식회사 현진기업 보조여과탱크를 갖는 상수도 여과장치
KR100980077B1 (ko) 2010-06-18 2010-09-06 주식회사 비즈코리아 젤리 충전 통신 케이블의 젤리 제거 장치 및 젤리 제거 방법
KR101367685B1 (ko) 2013-07-02 2014-02-27 (주)서울메탈무역 폐전선 알루미늄 박판 탈피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141Y1 (ko) 2001-02-14 2001-07-19 장팔술 젤리 통신폐전선의 젤리 분리장치
KR100495694B1 (ko) 2004-02-06 2005-06-16 주식회사 현진기업 보조여과탱크를 갖는 상수도 여과장치
KR100980077B1 (ko) 2010-06-18 2010-09-06 주식회사 비즈코리아 젤리 충전 통신 케이블의 젤리 제거 장치 및 젤리 제거 방법
KR101367685B1 (ko) 2013-07-02 2014-02-27 (주)서울메탈무역 폐전선 알루미늄 박판 탈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930A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387B1 (ko)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CN107224612A (zh) 一种自动化脱细胞系统及脱细胞方法
KR20160089102A (ko) 슬러지 배출장치
KR101619161B1 (ko) 젤리케이블의 젤리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US4919161A (en) Apparatus for removing residues from parts of plastics processing machines
CA2976110C (fr) Dispositif pour stocker et transporter des produits aquacoles et procede de stockage et de transport correspondant
CN207686642U (zh) 一种废弃水基钻井泥浆处理成套设备
AU2008318264B2 (en) Fuel and fuel tank treatment
CN107012085B (zh) 一种自动补液式脱细胞系统及方法
JP2015039759A5 (ko)
CN212693336U (zh) 一种海水采集系统
CN110743220B (zh) 一种农村生活污水生态治理设备
CN208284600U (zh) 一种废旧电池放电槽
GB2386408A (en) Water heater with scale removal
KR101289688B1 (ko) 탈부착형 여과기를 구비한 원심분리형 수처리 장치
CN215288362U (zh) 一种灌肠机用废水回收机构
KR101512654B1 (ko) 방사능 오염 챔버의 세척장치
US11906426B2 (en) Suspended solids measurement of wastewater
CN215161686U (zh) 一种鱼虾苗养殖污水处理设备
JP2011110457A (ja) 濾過機設備の運転方法及び濾過機設備
CN221908751U (zh) 一种可过滤废水的农副产品清洗装置
CN212236083U (zh) 一种水利工程过滤装置
KR20010044856A (ko) 미세조류 조사용 밀도측정장치
CN221038997U (zh) 水质检测分析系统及水质检测分析设备
CN220918377U (zh) 一种过滤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