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942B1 - Finder for lifesaving - Google Patents

Finder for lifesa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942B1
KR101618942B1 KR1020140013024A KR20140013024A KR101618942B1 KR 101618942 B1 KR101618942 B1 KR 101618942B1 KR 1020140013024 A KR1020140013024 A KR 1020140013024A KR 20140013024 A KR20140013024 A KR 20140013024A KR 101618942 B1 KR101618942 B1 KR 101618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ection
mounting
presen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2537A (en
Inventor
박우열
이혁수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942B1/en
Publication of KR2015009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5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9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4Vie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인명탐지 로봇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명탐지로봇에 있어서, 장착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을 촬상하여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몸체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화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장착유닛; 및 상기 장착홀에 탈부착되며, 주변을 촬상하여 탐지데이터를 형성하는 탐지카메라와, 상기 탐지데이터를 상기 장착유닛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갖는 인명탐지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탐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명탐지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life detecting robo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for detecting a human life, comprising: a body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therein; an imaging mea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for picking up an image of a front side to form image data; A mounting unit having a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image data in real time,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 human detection unit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the detection unit having a detection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surroundings to form detection data,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data to the attachment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the received detection data.

Description

휴대용 인명탐지 로봇{Finder for life­saving}{Finder for lifesaving}

본 발명은 휴대용 인명탐지 로봇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life detecting robot.

일반적으로, 재난은 화재, 기상이변으로 인한 기습적이고 국지적인 지진 또는 화재를 신속히 대처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이다.In general, disasters are caused by failing to respond promptly to a surge, local earthquake or fire caused by fire, weather changes.

이러한 재난을 미리 대처하기 위해 실시하는 재난 방송에서 재난 예방이나 발생시 라디오 또는 기타 방송의 통신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데, 이때 직접 방송을 청취하지 못했다면 예상되는 재난에 대비하지 못하게 되어 재산과 인명이 손실되는 문제와, 재난 정보를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람이 직접 기기를 구동하여 음성으로 전달할 경우 게릴라성 재해에 대해 신속한 정보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disasters, emergency broadcasts are transmitted through radio or other broadcast communication media in case of disaster prevention or occurrence, and if they do not listen to direct broadcasts, they will not be prepared for the expected disast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a person directly drives the apparatus to transmit the disaster information to the public, the information can not be quickly transmitted to the guerrillas.

또한, 각 지역을 행정구역 또는 기타 방법으로 행정구역을 코드로 전달하는 방식이 실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구역의 크기가 일정치 않고 행정구역의 변동이 발생할 시 국지성 재난에 대비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기기가 정상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기기가 항상 동작 가능 상태로 있어야 하는데 시스템의 자체 진단은 가능하나 방송계통상의 문제 또는 방송 수신기의 문제로 인한 고장은 확인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방송용 기기가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예상되는 재난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지역까지 이동하여 예상되는 재난을 전달해야하므로 신속한 정보의 전달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in which each area is communicated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y code or by other methods, but it is not appropriate to prepare for the local disaster when the size of each zone is constant and the chang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ccurs, In order for the device to operate normally in the event of a situation, the device should always be in an operable state. However,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system itself, but it is very difficult to check the trouble due to problems with the broadcasting system or problems with the broadcasting receiver. If so, it is necessary to move to the area where it is installed to deliver the expected disaster, and to deliver the expected disaster, which limits the delivery of information promptly.

또한, 화재시에 화재 집중 지역에서는 약 1000℃ 정도가 넘는 고온에 해당하고, 붕괴가능성과 폭발우려가 있어 인명을 구조하기 힘든 상황에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a fire-concentrated area, it is at a high temperature of about 1000 ° C,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apse and explos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scue people.

따라서, 이러한 재난장소에서 대피하지 못하고 고립되어 버린 고립자들을 탐색하여 구조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역할을 하는 기기가 필요하다. 화재사고 현장은 고온, 강한화염, 질식, 짙은 농연, 가스폭발, 건물 및 벽의 붕괴 등으로 인해 고립되게 되는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고, 따라서, 소방관 등이 평상시 휴대하면서 고립자들을 구조하기 위해 접근 중 탐색이 어렵거나 위험한 상황에서, 소방관 등을 대신하여 정찰 및 고립자를 탐지할 수 있는 유닛이 요구되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helps to search and rescue the isolated isolators without escaping from these disaster sites. The site of a fire accident is in a dangerous situation where it is isolated due to high temperature, strong flame, suffocation, heavy rain, gas explosion, collapse of buildings and walls. Therefore, firefighters are required to approach In a difficult or dangerous situation, a unit was required to detect scouts and isolators on behalf of firefighters.

또한, 매년 소방관의 부상 및 순직 관련사고는 줄지않고 조금씩 증가하고 있으며, 부상 및 순직사고는 소방관의 임무 중 인명구조 등 사고 현장에서 재난자를 구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이 일어나고 있다. 사고의 원인으로는 사고현장에서 대피하지 못하고 고립되어버린 재난자를 찾기 위해 진입하다 짙은 농연으로 인한 붕괴사고, 강한 화염으로 인한 사고 등이 있다. 이러한 위험한 사고공간, 예측할 수 없는 환경들을 신속히 체크하여 나아가 주변환경만 체크하는 것이 아니라 소방관이 접근하기 어려운 공간에서 대신 인명까지 탐색하여 찾아주는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인명탐지로봇이 요구되었다. In addition, firefighters 'injuries and dismissal accidents are increasing little by little every year. Injuries and negligence accidents occur most frequently in the process of rescuing disaster victims in the accident scene such as firefighters' missions. The cause of the accident is to enter the disaster area that can not escape from the scene of the accident and to find the disaster that has been isolated. There is a need for a portable human-like detection robot having a function of rapidly searching for dangerous accident space and unpredictable environments, and then searching for surrounding objects in a space that is difficult for firemen to access instead of checking only surrounding environment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16958호Korean Patent No. 041695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27395호Korean Patent No. 072739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재사고 현장 등에서 소방관 등이 평상시 방화구조복에 휴대하고 있다가, 소방관 등이 고립자들을 구조하기 위해 접근하는 중, 탐색하기 어렵거나 위험한 상황에서, 장착유닛에 장착된 인명탐지유닛을 탈착하여, 탐지하고자 하는 위치에 던져 이동시키면서 정찰하고, 접근하기 전 인명탐지유닛의 탐지카메라로 주변환경을 체크할 수 있는 휴대용 인명탐지 로봇을 제공하게 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fighting apparatus,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or difficult to navigate while approaching to rescue, the life detection unit mounted on the installation unit is detached, scouted while being thrown to a position to be detected, and the detection camera of the life detection unit, Which can be checked by the user.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목적은, 인명탐지로봇에 있어서, 장착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을 촬상하여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몸체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화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장착유닛; 및 상기 장착홀에 탈부착되며, 주변을 촬상하여 탐지데이터를 형성하는 탐지카메라와, 상기 탐지데이터를 상기 장착유닛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갖는 인명탐지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탐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명탐지로봇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e detecting robot which comprises a body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therein, imaging mea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for imaging the front and forming image data, and hing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in real time, and a grip uni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 human detection unit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the detection unit having a detection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surroundings to form detection data,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data to the attachment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And the received detection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제1힌지와,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제2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인명탐지유닛에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유닛에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인명탐지유닛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구동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장착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인명탐지유닛에 구비되어 구동전력을 저장, 제공하는 전력저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명탐지유닛이 상기 장착유닛의 장착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전력저장부에 전력을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first hinge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body so as to allow the display uni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and a second hinge that allows the display unit to rotate based on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fe detection unit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drive power of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in the mounting unit And a power storage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life detection unit and stores and provides drive power. When the life detection unit is mounted in a mounting hole of the mount unit,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torage unit And stores the electric pow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재사고 현장 등에서 소방관 등이 평상시 방화구조복에 휴대하고 있다가, 소방관 등이 고립자들을 구조하기 위해 접근하는 중, 탐색하기 어렵거나 위험한 상황에서, 장착유닛에 장착된 인명탐지유닛을 탈착하여, 탐지하고자 하는 위치에 던져 이동시키면서 정찰하고, 접근하기 전 인명탐지유닛의 탐지카메라로 주변환경을 체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fighter or the like is usually carried in a firefighting rescue suit at a fire accident site and the firefighters or the like approach to rescue the insulators, It is possible to detach the mounted human detection unit, scout it while moving it to a position to be detected, and check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th a detection camera of the human detection unit before approaching.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명탐지로봇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명탐지로봇의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휴대용 인명탐지로봇의 측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힌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휴대용 인명탐지로봇의 측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탐지유닛이 장착유닛에서 탈착된 상태를 나타낸 인명탐지로봇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유닛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상수단 측을 나타낸 장착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조작부 측을 나타낸 장착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명탐지로봇을 소방관이 휴대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탐지유닛을 장착유닛에서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탐지유닛을 탐지하고자 하는 위치에 던지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life detect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life detect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life detecting robot in which a display unit is rotated with respect to a first axis by a first h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life detecting robot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by the second hi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d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rson detecting robo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e detecting unit is detached from a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showing an imaging means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showing a drive operation unit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fire detection robot carried by a firefigh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B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ife detec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FIG. 5c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throwing state at a position where the life detecting unit is to be det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d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명탐지로봇(1)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명탐지로봇(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명탐지로봇(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221)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20)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휴대용 인명탐지로봇(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힌지(222)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20)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휴대용 인명탐지로봇(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탐지유닛(100)이 장착유닛(200)에서 탈착된 상태를 나타낸 인명탐지로봇(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유닛(2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상수단(230) 측을 나타낸 장착유닛(20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조작부(250) 측을 나타낸 장착유닛(20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portable human detection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life detecting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life detecting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human detection robot 1 in which the display unit 22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by the first hinge 22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human detection robot 1 in which the display unit 22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by the second hinge 22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an detection robot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uman detection unit 100 is detached from the attachment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200 showing an imaging unit 230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operation uni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of the mounting unit 20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탐지로봇(1)은 도 1,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유닛(200)과 인명탐지유닛(100)으로 구성되며, 장착유닛(200)에는 장착홀(211)이 형성된 몸체(210), 촬상수단(230), 디스플레이부(220) 및 손잡이부(240) 등이 구비되며, 인명탐지유닛(100)은 몸체(210)에 형성된 장착홀(21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1, 2A, 2B, 2C, 2D, and 3, the lifesaving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unit 200 and a lifesaving unit 100, And the mounting unit 200 is provided with a body 210 having a mounting hole 211, an image sensing unit 230, a display unit 220 and a handle 240. The life detecting unit 100, It is detachable to the mounting hole 211 formed in the body 210.

장착유닛(200)의 몸체(210)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홀(211)이 형성되어지며, 이러한 장착홀(211)에 인명탐지유닛(100)이 탈부착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착유닛(200)에 구비된 촬상수단(230)은, 몸체(210)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을 촬상하여 화상데이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20)는, 몸체(210)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촬상수단(230)에서 형성한 화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40)는 몸체(210) 타측에 결합되게 된다. 1 and 3, a mounting hole 211 is formed in the body 210 of the mounting unit 200. When the life detecting unit 1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211, . The imaging unit 230 provided in the mounting unit 2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210 to capture an image of the front side to form image data. The display unit 220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body 210 to adjust the angle and displays the image data formed by the imaging unit 230 in real time. The handle 24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210.

인명탐지유닛(100)은, 장착유닛(200)의 몸체(210)에 형성된 장착홀(211)에 탈부착되며, 주변을 촬상하여 탐지데이터를 형성하는 탐지카메라(110)와, 탐지데이터를 장착유닛(200)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장착유닛(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무선송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탐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The human detection unit 100 includes a detection camera 110 detachably attached to a mounting hole 211 formed in the body 210 of the mounting unit 200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periphery to form detection data,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data to the mobile station 200.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220 of the mounting unit 200 displays the detection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또한,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20)와 몸체(210) 사이에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제1축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제1힌지(221)가 구비됨을 알 수 있고,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과 수직인 제2축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20)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제2힌지(222)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A and 2B, a first hinge 221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unit 220 and the body 210 to allow the display unit 220 to rotate about the first axis. And a second hinge 222 for rotating the display unit 220 about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s shown in FIGS. 2C and 2D.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20)의 각도를 변경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디스플레이부(2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change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220 to check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20 at a desired angle.

인명탐지유닛(100)에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실시예에서는 제1휠(120)과 제2휠(130)을 구비하여 제1휠(120)과 제2휠(130)이 회전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유닛(200)에는 이러한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인명탐지유닛(100)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구동조작부(250)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The human detection unit 100 may include driving means. The first wheel 120 and the second wheel 13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irst wheel 120 and the second wheel 130 can be rotated while being mov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mounting unit 20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25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rson detecting unit 100.

또한, 장착유닛(200)에는 전력공급부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의 구동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전력공급부는 통상의 2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명탐지유닛(100)에는 인명탐지유닛(100)의 구동전력을 저장, 제공하는 전력저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인명탐지유닛(100)이 상기 장착유닛(200)의 장착홀(211)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전력저장부에 전력을 저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unit 20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to supply driving power of the display unit 220.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The life detection unit 100 is provided with a power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providing the drive power of the life detection unit 100 so that the life detection unit 100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211 of the installation unit 200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store power in the power storage un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명탐지로봇(1)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명탐지로봇(1)을 소방관이 휴대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탐지유닛(100)을 장착유닛(200)에서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탐지유닛(100)을 탐지하고자 하는 위치에 던지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유닛(2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human detection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5A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fire detection robots 1 carried by a firefigh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ife detect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200. FIG. FIG. 5C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throwing state at a position where the life detec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detected. 5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탐지로봇(1)을 실시하게 되는 사용자(예를 들어, 소방관)는 평상시에 손잡이부(240)에 연결고리를 장착하여 휴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A, a user (for example, a firefighter) who carries out the life-threat detection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ring .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명탐지유닛(100)의 탐지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휴대하고 있던 인명탐지로봇(1)에서, 인명탐지유닛(100)을 장착유닛(200)에서 분리하게 되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명탐지유닛(100)을 탐지가 필요한 위치로 던지게 됨을 알 수 있다. 5B, when the detection of the human detection unit 100 is required, the user removes the human detection unit 100 from the attachment unit 200 in the human detection robot 1 carried by the user And as shown in FIG. 5C, it is understood that the human detection unit 100 is thrown to a position where detection is required.

그리고, 사용자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유닛(200)의 촬상수단(23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데이터를 확인하면서, 인명탐지유닛(100)의 위치를 확인하게 되고, 구동조작부(250)를 조작하여, 인명탐지유닛(100)을 이동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인명탐지유닛(100)에 구비된 탐지카메라(110)는, 실시간으로 탐지데이터를 형성하여 무선송신부에 의해 탐지데이터를 장착유닛(200)의 무선수신부 측으로 전송시키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20)에 의해 탐지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 사용자는 화상데이터와 탐지데이터를 확인하여 주변환경을 파악하여 인명을 탐지하게 되고, 구조될 위치와 구조방법을 예상하여, 인명을 구조하게 된다.
5D, the user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human detection unit 100 while checking th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20 by the imaging unit 230 of the placement unit 200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human detection unit 100 is moved by operating the drive control unit 250. At this time, the detection camera 110 provided in the human-being detection unit 100 forms detection data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detection data by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to the wireless reception unit side of the placement unit 200, ) To confirm the detection data. The user checks the image data and the detection data to detect the person's environment by grasp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nticipates the position and structure to be structured, and rescues the person.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휴대용 인명탐지로봇
100:인명탐지유닛
110:탐지카메라
120:제1휠
130:제2휠
200:장착유닛
210:몸체
211:장착홀
220:디스플레이부
221:제1힌지
222:제2힌지
230:촬상수단
240:손잡이부
250:구동조작부
1: Portable life detection robot
100: human detection unit
110: Detection camera
120: first wheel
130: second wheel
200: mounting unit
210: Body
211: Mounting hole
220:
221: first hinge
222: second hinge
230:
240: Handle portion
250:

Claims (2)

인명탐지로봇에 있어서,
장착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을 촬상하여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몸체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화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장착유닛; 및
상기 장착홀에 탈부착되며, 주변을 촬상하여 탐지데이터를 형성하는 탐지카메라와, 상기 탐지데이터를 상기 장착유닛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갖는 인명탐지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탐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제1힌지와,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제2힌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인명탐지유닛에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유닛에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인명탐지유닛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구동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장착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인명탐지유닛에 구비되어 구동전력을 저장, 제공하는 전력저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명탐지유닛이 상기 장착유닛의 장착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전력저장부에 전력을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명탐지로봇.
In a human detection robot,
An image pickup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for picking up an image of the front side to form image data; a display unit hinged to one side of the body to adjust the angle and display the image data in real time; A mounting unit having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nd a human detection unit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and having a detection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periphery to form detection data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data to the attachment unit,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detection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A first hinge for rotating the display unit about the first axis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body and a second hinge for rotating the display unit about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
Wherein the life detection unit includes a drive unit and the attachment unit has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to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fe detection unit,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mounting unit to supply driving power of the display unit; and a power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life detection unit to store and provide driving power, wherein the life detection unit is mounted in a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unit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stores power in the power storage unit when the power storage unit is mounted.
삭제delete
KR1020140013024A 2014-02-05 2014-02-05 Finder for lifesaving KR101618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24A KR101618942B1 (en) 2014-02-05 2014-02-05 Finder for lifesa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24A KR101618942B1 (en) 2014-02-05 2014-02-05 Finder for lifesav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37A KR20150092537A (en) 2015-08-13
KR101618942B1 true KR101618942B1 (en) 2016-05-09

Family

ID=5405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024A KR101618942B1 (en) 2014-02-05 2014-02-05 Finder for lifesa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94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624B1 (en) * 2006-07-06 2007-12-11 주식회사 코로 A rescue robot
JP2008229813A (en) * 2007-03-23 2008-10-02 Technic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Defence Hand throw type rob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624B1 (en) * 2006-07-06 2007-12-11 주식회사 코로 A rescue robot
JP2008229813A (en) * 2007-03-23 2008-10-02 Technic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Defence Hand throw type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37A (en)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766B1 (en)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KR102142510B1 (en) Automated detection of firefighter teams
KR101725774B1 (en) Smart Fire Fighting Evacuation System
KR101589133B1 (en) Disaster rescue system using Disaster rescue robot
JP6635529B2 (en) Monitoring system and mobile robot device
KR1016719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osition of co-operated firemen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displaying a position of co-operated firefighter, and fire hat for performing the method
Kim et al. Portable fire evacuation guide robot system
KR101879605B1 (en) Semifixed portable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oT
KR20110108858A (en) An two wheel-drive robot for dangerous spot search to have high-efficiency transportation
CN113805586A (en) Autonomous fire-fighting special explosion-proof robot
KR101765330B1 (en) Mobile Cart Having Temporary Fire-Fighting Apparatus and Fi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101562870B1 (en) The Argos tower and Argos system offering a cctv monitor for anti-crime and anti-disaster with wi-fi direct service
JP2017037516A (en) Emergency guidance system inside tunnel and emergency facility inside tunnel
KR20170001480U (en) Portable fire fighting system
JP6956018B2 (en) Safety management system
US11491296B2 (en) Autonomous aircraft and method for providing ventilation to people
KR101618942B1 (en) Finder for lifesaving
TWI738485B (en) Communication positioning system for disaster relief equipment
KR101751960B1 (en) Personal alert safety system for fireman
US20150304575A1 (en) Firefighters Integrated Thermal Imaging/ Information System
KR102661212B1 (en) Firefighting drone with thermal imaging camera
KR101993594B1 (en) Unexploded fire extinguisher search system using drone
KR200333615Y1 (en) Fog Transparent Apparatus Equipped on the Helmet
US20130300535A1 (en) Fire Fighting System
KR101560635B1 (en) Special purpose helmet and method of displaying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