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178B1 - Footwea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 Google Patents

Footwea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178B1
KR101618178B1 KR1020140174798A KR20140174798A KR101618178B1 KR 101618178 B1 KR101618178 B1 KR 101618178B1 KR 1020140174798 A KR1020140174798 A KR 1020140174798A KR 20140174798 A KR20140174798 A KR 20140174798A KR 101618178 B1 KR101618178 B1 KR 101618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t
seating
midsole
sho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정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17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1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1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 A43D3/021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for orthopaedic footwea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process for manufacturing footwear is delayed by using a midsole coupling device. The conven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fixing a midsole to a last by using staples or nails; sewing an external skin of the footwear on the last; and manually removing the tacking pins or nails. However,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coupling a fixing member to a last; fixing a midsole to the fixing member by using the midsole coupling apparatu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 sewing an external skin of the footwear on the last; and removing only the last from the footwear.

Description

신발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Footwea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Footwea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본 발명은 신발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종래의 라스트에 타카핀이나 못을 이용하여 중창을 고정하고 신발 외피를 라스트에 재봉한 후 일일히 수작업으로 타카핀이나 못을 제거하는 별도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제조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중창 결합 장치를 통해 이를 개선하여 라스트에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고, 고정 부재에 중창을 고정시킨 후 라스트에 신발 외피를 재봉한 후, 라스트만 신발로부터 제거하게 되어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신발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wea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otwe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twea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otwear,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delayed. Accordingly, the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last by improving the midpoint through the mid-coupling device, the middle of the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the shoe outer covering is sewn to the la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hoe.

일반적으로 신발 중창은 신발의 착용감을 좋게 하고 발이 쉽게 피로하지 않도록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신발의 내부 바닥에 삽입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shoe midsole is inserted into the inner bottom of the shoe to improve comfort of the shoe and to provide comfort so that the foot is not easily fatigued.

이러한 신발 중창은 통상적으로 발의 발가락 부분은 연질의 이브이에이(EVA)를 사용하여 발가락에 편안함을 주고, 발의 뒷꿈치 부분은 경질의 이브이에이를 사용하여 신발 착용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se shoe midsole typically uses soft EVA to provide comfort to the toes of the feet, while the heel of the feet is used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shoe wearer.

또한, 신발 중창의 뒷꿈치 부분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재를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In addition, a shock absorber capable of absorbing impact may be attached to the heel of the shoe midsole.

신발 중창을 신발 외피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process of joining the shoe midsole to the shoe sheath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스트(구두골)에 타카핀이나 못을 이용하여 일일히 수작업으로 중창을 고정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midsole is fixed manually by using a tacapin or a nail on the last (oral bone).

이후, 신발 외피를 라스트(구두골)에 재봉하여 신발의 외형을 갖추게 되는데, 이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타카핀이나 못 등을 일일히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별도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에 따른 제조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점과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Then, the shoe outer skin is sewn to the last (shoe) to form the shoe. Then, as shown in Fig. 2, a separate step of manually removing the taka pin or the nail is manually performe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delay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또한, 수작업시 실수로 타카핀이나 못 등을 제거하지 못하게 되면 제조된 신발에 타카핀이나 못 등이 그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신발을 착용한 발에 상처를 입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In addition, if the user can not remove the takapin or the nail by mistake during the manual operation, since the takapin or the nail is present in the manufactured shoe, it may result in injuring the foot wearing the shoe.

따라서, 수작업시 모든 타카핀이나 못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신경을 써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remove all the takapines and nails during manual operation.

결국, 타카핀이나 못 등을 라스트(구두골)에 고정시키는 작업과 이를 추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없는 제조 기술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As a result, manufacturing techniques that do not require the task of fixing the takapin or nail to the last (shoe) and removing it later becomes necessary.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757773호Korean Patent No. 0757773

본 발명의 신발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중창 결합 장치를 제공하여 라스트(구두골)에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고, 고정 부재에 중창을 고정시킨 후 라스트에 신발 외피를 재봉한 후, 라스트만 신발로부터 제거하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 수작업과 제거 수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데 있다.The sho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sho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related art, and provide a shoe joining device for joining a fixing member to a last (sho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shoes from the last shoes after sewing the shoe outer sheath to the rear en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out the separate fixed hand work and the removal hand work.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중창 결합 장치에 라스트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라스트지지수단을 구성하여 고정 부재를 고정시키는 공정에서 라스트가 움직이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며, 라스트안착수단에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와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조절부를 구성하여 신발 사이즈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last movement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fixing member by constituting the last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last to the midsole coupling device, And a til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tilt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shoe size,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operator.

본 발명의 신발 제조 방법은,The sho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중창 결합 장치에 형성된 라스트안착수단(200)에 라스트를 안착시키는 라스트안착단계(S100);A last seating step (S100) in which the last is seated on the last seating means (200) formed in the midsole coupling device;

중창 결합 장치에 형성된 하중제공수단(400)에 다수의 고정 부재(70)를 위치시키고, 하중제공수단을 하강시켜 라스트(50)의 뒷꿈치 부위에 다수의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결합단계(S200);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70 are placed on the load providing means 400 formed on the midway coupling device and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are coupl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last 50 by lowering the load providing means S200 );

상기 고정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라스트의 상부면에 중창을 위치시키는 중창위치단계(S300);A middle position step (S300) of positioning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ast to which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중창 결합 장치에 형성된 하중제공수단을 하강시켜 라스트에 돌출된 고정 부재에 하중을 제공하여 중창을 라스트에 결합시키는 중창결합단계(S400);를 포함한다.And a middle coupling step (S400) of lowering the load providing means formed in the midway coupling device to provide a load to the fix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last and coupling the middle to the last.

또한, 본 발명인 신발 제조장치는,Further, in the sho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 프레임(100);A body frame (100);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끝단에 라스트(5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재(25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라스트안착수단(200);A final seating means 200 formed vertically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having a seating member 250 protruding from the end for seating the last 50;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라스트안착수단보다 높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300);A vertical frame (30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higher than the last seating means;

상기 수직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다수의 고정부재(7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450)가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하중제공수단(400);을 포함한다.
And a load providing means 400 formed at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 seating portion 450 for seating a plurality of holding members 70 formed at an end thereof.

본 발명에 의해, 중창 결합 장치를 제공하여 라스트에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고, 고정 부재에 중창을 고정시킨 후 라스트에 신발 외피를 재봉한 후, 라스트만 신발로부터 제거하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 수작업과 제거 수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제조 시간 단축 및 제조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idsole coupling device to join a fixation member to a last, fix a midsole to a fixation member, sew the shoe skin to the last, remove it from the last only shoe,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또한, 중창 결합 장치에 라스트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라스트지지수단을 구성하여 고정 부재를 고정시키는 공정에서 라스트가 움직이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며, 라스트안착수단에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와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조절부를 구성하여 신발 사이즈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발 사이즈별 중창 결합 장치를 구입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라스트에 고정 부재를 고정하는 공정에서는 수평을 유지하고, 중창을 라스트에 위치시키거나, 라스트에 중창을 고정시킨 후 해당 라스트를 이격시킬 경우에 기울기를 조절하여 쉽게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last movement in the step of fixing the fixing member by configuring the last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last in the midsole coupling device, the last sea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shoe size. Thus,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a midsole coupling device for each shoe size.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fixing member to the las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to be easily spaced when the last is separated from the last after fixing the middle in the last,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accordingly.

도 1은 종래의 라스트에 중창을 위치시키고, 타카핀으로 고정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2는 중창에 고정된 타카핀을 제거하는 공정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인 신발 제조 방법의 공정도이며, 도 4는 라스트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5는 라스트안착수단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6은 라스트가 라스트안착수단에 안착된 사진이며, 도 7은 하중제공수단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8은 라스트에 고정 부재가 고정된 사진이며, 도 9는 라스트에 중창이 위치한 사진이며, 도 10은 하중제공수단을 이용하여 중창을 라스트에 고정시키는 사진이며, 도 11은 라스트에 중창을 고정시킨 후, 하중제공수단을 상승시키는 사진이며, 도 12는 라스트에 중창이 고정된 사진이며, 도 13은 중창이 고정된 라스트에 신발 외피를 씌운 사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인 신발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신발 제조장치의 전체 사진이며, 도 16은 라스트안착수단의 확대 사진이며, 도 17은 라스트지지수단을 나타낸 사진.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 process of positioning a midsole in a conventional last and fixing it with a takapine, and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a process of removing a takapine fixed to a midsole.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last seating means, FIG. 6 is a photograph in which the last is seated on the last seating means, and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load Fig. 9 is a photograph in which the middle is located in the last, Fig. 10 is a photograph in which the middle is fixed in the last using the load providing means, and Fig. 12 is a photograph in which a midsole is fixed to the last, FIG. 13 is a photograph in which a shoe outer covering is applied to the last to which a midsole is fixed, and FIG. 14 is a photograph Fig. 15 is a photograph of the shoe manufacturing apparatus; 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the last seating means; and Fig. 1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last supporting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신발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3은 본 발명인 신발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3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sho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 제조 방법은 라스트안착단계(S100); 고정부재결합단계(S200); 중창위치단계(S300); 중창결합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sho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a last seating step S100; (S200); Middle position step (S300); And a middle joining step (S400).

상기 라스트안착단계(S100)는 중창 결합 장치에 형성된 라스트안착수단(200)에 라스트(50)를 안착시키는 단계이다.The last seating step S100 is a step of seating the last 50 on the last seating means 200 formed on the midway coupling devic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스트의 상부에는 라스트안착수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부재(250)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55)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an insertion groove 55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ast to be inserted into a seating member 250 protruding from the last seating means.

상기 삽입홈을 안착부재에 삽입하게 되면, 라스트의 바닥 부위가 하중제공수단을 바라보게 된다.When the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eat member, the bottom portion of the last sees the load providing means.

상기 라스트는 구두골로서, 신발 형태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last is a verbal score, and plays a role of catching the shape of a shoe.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중창은 인솔과 아웃솔 사이에 있는 중간창(미드솔)으로 신발의 뒤틀림 방지와 사람 발바닥의 입체적인 모양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The midsol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dsole between the insole and the outsole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shoe and to hold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sole of the person.

국내의 신발 제조는 대부분 시멘팅 공법으로 신발 제조시 갑피의 형태를 잡아주는 라스트와 신발의 뒤틀림 방지와 아웃솔과 갑피를 조립하기 위한 중창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므로 라스트에 중창 고정은 매우 기초적이며 꼭 필요로 하는 공정이다.Most of the domestic shoe manufacturing is cementing method, and it is necessary to fix the shape of the upper part of the shoe during the shoe manufacturing and to prevent the distortion of the shoe and to assemble the outsole and the upper part. .

신발 사고의 대부분이 타카핀이나 못이 나와서 고객의 발바닥에 상해를 입히는 것이다.Most of the shoe accidents are caused by takapin or nails, causing injury to the sole of the customer.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라스트안착수단은 라스트의 삽입홈을 삽입하는 안착부재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last seating means is formed with a seating member for inserting the last insertion groove.

결국, 도 6과 같이, 라스트안착수단에 라스트가 안착되게 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the last is seated on the last seating means.

상기 고정부재결합단계(S200)는 중창 결합 장치에 형성된 하중제공수단(400)에 다수의 고정 부재(70)를 위치시키고, 하중제공수단을 하강시켜 라스트(50)의 뒷꿈치 부위에 다수의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이다.In the fixing unit S200,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70 are placed on the load providing means 400 formed on the midsole coupling device, and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70 are mounted on the heel portion of the last 50, .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제공수단에 다수의 고정 부재를 위치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are placed on the load providing means.

이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제공수단을 하강시켜 라스트의 뒷꿈치 부위에 고정 부재들을 결합시키게 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8, the load providing means is lowered to join the fixing members to the heel portion of the last.

상기 중창위치단계(S300)는 상기 고정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라스트의 상부면에 중창을 위치시키는게 되는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창(30)을 라스트의 상부면에 위치시키게 된다.In the middle position step S300, the midsol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st to which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As shown in FIG. 9, the midsole 3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st.

상기 중창결합단계(S400)는 중창 결합 장치에 형성된 하중제공수단을 하강시켜 라스트에 돌출된 고정 부재에 하중을 제공하여 중창을 라스트에 결합시키는 단계이다.In the midsole coupling step S400, the load providing means formed on the midway coupling device is lowered to provide a load to the fix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last, thereby coupling the midsole to the last.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제공수단을 하강시켜 라스트에 돌출된 고정 부재에 하중을 제공하게 되면, 도 11과 같이, 라스트에 형성된 고정 부재에 중창이 결합되게 되며, 도 12와 같이 최종적으로 중창이 결합된 라스트가 완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0, when a load is provided to the fixing member protruded to the last by lowering the load providing means, as shown in FIG. 11, the middle member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formed in the last, Finally, the last is combined with the middle.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 외피를 라스트를 감싸도록 한 후 신발 외피를 중창에 봉재하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13, after the shoe outer covering is wrapped around the last, the outer surface of the shoe is sewn in the middle.

도 14는 본 발명인 신발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신발 제조장치는, As shown in Fig. 14, in the sho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 프레임(100);A body frame (100);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끝단에 라스트(5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재(25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라스트안착수단(200);A final seating means 200 formed vertically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having a seating member 250 protruding from the end for seating the last 50;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라스트안착수단보다 높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300);A vertical frame (30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higher than the last seating means;

상기 수직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다수의 고정부재(7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450)가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하중제공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And a load providing means 400 formed at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 seating portion 450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70 formed at an end thereof.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는 수직하게 라스트안착수단(200)을 구성하게 되는데, 라스트안착수단의 끝단에는 라스트(5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재(250)가 돌출되게 형성되게 된다.The last seating means 200 is vertic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 seating member 250 for seating the last 50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last seating means.

또한,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수직프레임(300)을 형성하되, 상기 라스트안착수단보다 높게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frame 30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but is formed higher than the last seating means.

왜냐하면,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하중제공수단이 결합되기 때문에 안착부재에 안착된 라스트에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라스트안착수단보다 높게 형성하게 된다.Because the load providing means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it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last seating means in order to provide a load to the last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하중제공수단(400)을 구성하게 되는데, 다수의 고정부재(7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450)가 끝단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In addition, a load providing means 40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a seating portion 450 for seating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70 is formed at the end.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가 구성되고, 고정부재를 안착시키게 되는데, 예를 들어, 안착부를 자석으로 구성하게 되면 자석에 의해 고정부재가 붙어있게 된다.As shown in Fig. 7, the seating portion is constituted, and the fixing member is seated. For example, when the seat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a magnet, the fixing member is attached by the magnet.

그리고, 자석 이외에 고정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어떠한 수단이라도 상관은 없다.Any means for fixing the fixing member in addition to the magnet may be used.

한편,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라스트지지수단(50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라스트의 일측을 지지하여 고정 부재를 라스트에 고정시킬 경우에 움직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7, the last support means 5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which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last member when the last member is fixed to the last member .

상기 라스트지지수단은 필요에 따라 기울이기 위하여 수직프레임에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여 이를 작업자가 조절하게 되면 원하는 기울임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The last support means may comprise a means for adjusting the tilt in the vertical frame to tilt as needed, and may provide a desired tilt if the operator adjusts the tilt.

한편,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스트안착수단(200)은,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6, in the last seating means 200,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210)와,A height adjusting unit 210 for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상기 높이조절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조절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tilt adjusting unit 2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tilt.

즉, 라스트가 안착될 경우에 라스트의 위치를 상하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가 구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ast is seated, a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ast can be constituted.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반적으로 전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height adjuster may be generally configured in a motorized manner or may be manually configured by an operator manually.

그리고, 높이조절부의 일측에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조절부(220)를 구성할 수 있다.The tilt adjusting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inclination at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이는 중창을 라스트에 위치시키거나, 라스트에 중창을 고정시킨 후 해당 라스트를 이격시킬 경우에 기울기를 조절하여 쉽게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for the purpose of exert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operator by positioning the midsole in the last, securing the midsole in the last, and separating the last after adjusting the inclination so as to easily separate the last.

한편, 상기 하중제공수단(400)은 일측에 유압을 제공하여 하강시키기 위하여 유압제공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전동모터를 구성하여 전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load providing means 400 may constitute a hydraulic pressure providing device for lowering the oil pressure by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one side, or may be configured to constitute an electric motor and be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본 발명에 의하면, 중창 결합 장치를 제공하여 라스트에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고, 고정 부재에 중창을 고정시킨 후 라스트에 신발 외피를 재봉한 후, 라스트만 신발로부터 제거하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 수작업과 제거 수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제조 시간 단축 및 제조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idsole coupling device to join a fixing member to a last, fix a midsole to a fixing member, sew the shoe outer to the last, remove the last shoe from the shoe,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도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100 : 본체 프레임
200 : 라스트안착수단
300 : 수직프레임
400 : 하중제공수단
500 : 라스트지지수단
100: Body frame
200: Last seating means
300: vertical frame
400: load providing means
500: Last support means

Claims (4)

신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창 결합 장치에 형성된 라스트안착수단(200)에 라스트를 안착시키는 라스트안착단계(S100);
중창 결합 장치에 형성된 하중제공수단(400)에 다수의 고정 부재(70)를 위치시키고, 하중제공수단을 하강시켜 라스트(50)의 뒷꿈치 부위에 다수의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결합단계(S200);
상기 고정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라스트의 상부면에 중창(30)을 위치시키는 중창위치단계(S300);
중창 결합 장치에 형성된 하중제공수단을 하강시켜 라스트에 돌출된 고정 부재에 하중을 제공하여 중창을 라스트에 결합시키는 중창결합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제조 방법.
A sho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last seating step (S100) in which the last is seated on the last seating means (200) formed in the midsole coupling device;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70 are placed on the load providing means 400 formed on the midway coupling device and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are coupl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last 50 by lowering the load providing means S200 );
A middle position step (S300) for positioning the middle (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st to which the fixing member is engaged;
(S400) of lowering the load providing means formed on the midsole coupling device to provide a load to the fix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last and coupling the midsole to the last.
신발 제조장치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100);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끝단에 라스트(5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재(25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라스트안착수단(200);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라스트안착수단보다 높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300);
상기 수직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다수의 고정부재(7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450)가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하중제공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제조장치.
In a shoe manufacturing apparatus,
A body frame (100);
A final seating means 200 formed vertically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having a seating member 250 protruding from the end for seating the last 50;
A vertical frame (30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higher than the last seating means;
And a load providing means (400) formed at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 seating portion (450) for seating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70) at an end thereof.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라스트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라스트지지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라스트안착수단(200)은,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210)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조절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제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last support means (500)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last,
The last seating means (200)
A height adjusting unit 210 for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And a tilt adjusting unit (2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til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450)는,
자석으로 형성하여, 고정 부재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제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ating part 450 includes: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formed of a magnet.
KR1020140174798A 2014-12-08 2014-12-08 Footwea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KR101618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798A KR101618178B1 (en) 2014-12-08 2014-12-08 Footwea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798A KR101618178B1 (en) 2014-12-08 2014-12-08 Footwea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178B1 true KR101618178B1 (en) 2016-05-04

Family

ID=5602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798A KR101618178B1 (en) 2014-12-08 2014-12-08 Footwea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17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874B1 (en) * 2019-03-29 2020-03-30 남경숙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s with no mid so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874B1 (en) * 2019-03-29 2020-03-30 남경숙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s with no mid so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138B2 (en)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CA2987041A1 (e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US9491981B2 (en) Toe wedge for a ballet pointe shoe
US20100269375A1 (en) Footbed system and footwear construction
US20150351494A1 (en) Shoe midsole assembly equipped airbag system
KR1020146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the upper to the sole
KR101618178B1 (en) Footwea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KR101459374B1 (en) ankle foot orthoses
KR101524229B1 (en) High heel having spring embedded insole and platform
WO2011098953A2 (en) Method of producing shoes and shoe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KR20190042555A (en) Fixed midsole and insole assembly
KR100964287B1 (en) Shoe last and method of shoe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IL289228A (en) Shoe or shoe insert for a shoe
JP5079923B1 (en) Shoes and insole
CN210329539U (en) Shoe sole inner pad reinforcing device
US2186141A (en) Method of preparing prewelt shoe uppers
KR10209487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s with no mid sole
US2124621A (en) Sho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827713A (en) Vamp lining with elastic insets
US20230270201A1 (en) Articles of footwear
CN210329536U (en) High-heeled shoes with adjustable heel length
KR101247657B1 (en) Removable wedge hill
EP1425981A1 (en) Improved shoe
US1264881A (en) Shoe.
US2200375A (en) Manufacture of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