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845B1 - 선박의 맞춤치구 - Google Patents

선박의 맞춤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845B1
KR101616845B1 KR1020140025852A KR20140025852A KR101616845B1 KR 101616845 B1 KR101616845 B1 KR 101616845B1 KR 1020140025852 A KR1020140025852 A KR 1020140025852A KR 20140025852 A KR20140025852 A KR 20140025852A KR 101616845 B1 KR101616845 B1 KR 10161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fixing
fixing piec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4303A (ko
Inventor
전미리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84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선박의 슬리브 내 배관의 센터링을 맞출 수 있는 선박의 맞춤치구가 소개된다.
이 맞춤치구는 슬리브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바디와,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슬리브와 상기 배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배관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바디에 장착되어 배관을 슬리브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선박의 맞춤치구{DEVICE FOR CENTERING PIPE OF VESSEL}
본 발명은 선박의 맞춤치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맞춤치구를 슬리브의 가장자리부에 이격 배치하여 슬리브내 배관을 정확하게 센터링할 수 있는 선박의 맞춤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운전과 각종 설비의 연계동작을 위하여 각종 배관과 배전관 등이 연결 및 설치된다. 예컨대, 선박의 건조시, 선박의 데크에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이 관통홀에 슬리브를 설치하며, 설치된 슬리브에 배관을 관통하여 설치한다.
그런데, 슬리브 내 배관의 센터링이 불량하거나 기타 다른 요인에 의해 배관의 센터링이 불량이 발생되면, 배관이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지 못하게 되고, 선주들이 배관의 재 설치를 요청하기도 한다. 이에, 슬리브 내 배관을 센터링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배관플랜지 센터링 장치(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5406)"가 참고될 수 있다.
종래 배관플랜지 센터링 장치는 몸체의 일측에 플랜지고정핀을 갖춘 플랜지고정대를 결합 설치하고, 몸체의 중심엔 나사식으로 움직이는 조정나사를 설치하며, 조정나사의 상부엔 조정핸들을 결합 설치하여 일측 플랜지의 위치를 변위시켜 플랜지를 센터링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플랜지 고정대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플랜지에 체결공이 존재하여야 하고, 센터링 장치가 플랜지의 일측부 만을 가압하거나 당겨서 플랜지의 센터를 맞추기 때문에, 플랜지 간의 센터 중심을 정확하게 맞추는데 어려운 점으로 작용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5406 (2011.6.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슬리브내 배관을 정밀하게 센터링할 수 있는 선박의 맞춤치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리브 내 배관의 센터링을 위한 선박의 맞춤 치구로서, 상기 슬리브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슬리브와 상기 배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및 상기 배관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배관을 상기 슬리브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상기 바디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볼트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볼트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큰 직경의 배관을 가압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제 1 고정편; 및 상기 고정볼트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작은 직경의 배관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제 1 고정편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제 2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 1 고정편 또는 상기 제 2 고정편이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는 장착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상기 슬리브의 가장자리부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부에는 상기 슬리브의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바디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볼트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수단은 자력에 의해 상기 배관에 부착되는 자성체가 단부에 구비된 줄자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과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슬리브내 배관의 센터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슬리브내 배관을 정밀하게 센터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개의 맞춤치구를 슬리브의 가장자리부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슬리브의 내경에서 배관의 외경 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슬리브 내에 직경이 다른 배관이 위치되더라도, 배관의 직경에 적합한 길이의 고정편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슬리브 내 배관을 손쉽게 센터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맞춤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맞춤치구가 슬리브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작은 직경의 배관을 가압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맞춤치구가 슬리브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맞춤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맞춤치구를 이용하여 슬리브 내 배관을 센터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맞춤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맞춤치구가 슬리브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3은 작은 직경의 배관을 가압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맞춤치구가 슬리브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맞춤치구(10)는, 슬리브(20) 내 배관(30)을 슬리브(20)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 조절하여, 슬리브(20) 내 배관(30)을 정밀하게 센터링할 수 있다.
이 맞춤치구(1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슬리브(2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 개의 맞춤치구(10)가 슬리브(2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여기서, 3개의 맞춤치구(10)는 슬리브(20) 내 배관(30)을 가장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개수로 볼 수 있다.
물론, 1 개의 맞춤치구(10)를 사용하여 슬리브(20) 내 배관(30)을 센터링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맞춤치구(10)가 지지하는 다른 방향으로 배관(30)이 기울어져 있게 되면, 슬리브(20) 내 배관(30)의 정확한 센터링이 어려울 수 있다.
맞춤치구(10)는 바디(100), 고정부재(200) 및 측정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슬리브(20)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한 구조로, 결합볼트(400)를 통해 슬리브(20)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100)의 하부에는 슬리브(20)의 가장자리부가 삽입되는 고정홈부(110)가 형성되고, 이 고정홈부(110)에는 바디(100)에 나사 결합되도록 바디(100)의 결합홀(111)을 관통하는 결합볼트(40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홈부(110)에 슬리브(20)의 가장자리부를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볼트(400)의 헤드부를 회전시키면, 결합볼트(400)의 단부가 슬리브(20)의 가장자리부 측벽을 가압하여 고정하고, 이때, 바디(100)는 슬리브(20)의 가장자리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100)는 결합볼트(400)를 매개로 슬리브(20)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지만, 바디(100)는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해 슬리브(20)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바디(100)를 슬리브(20)에 고정하거나, 홀더와 같은 고정기구를 통해 바디(100)를 슬리브(20)에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바디(100)에는 배관(30)을 슬리브(20)의 센터로 위치시키는 위한 고정부재(200)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수평방향, 보다 자세하게는 슬리브(20)의 직경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바디(100)에 장착되는 구조로, 고정볼트(210) 및 고정편(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볼트(210)는 바디(100)의 고정홀(102)에 나사 결합되어 관통되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편(220)은 고정볼트(210)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며, 배관(30)에 접촉되는 가압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맞춤치구(10)가 슬리브(2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볼트(210)의 헤드부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고정볼트(210)가 바디(100)의 고정홀(102)을 통해 배관(30)을 향해 이동할 수 있고, 이때, 배관(30)이 맞춤치구(10)를 향해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으면, 기울어져 있는 배관(30)을 푸쉬함으로써, 배관(30)을 슬리브(20)의 센터로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슬리브(20)내 배관(30)의 직경이 기준치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를 고려하여, 고정편(220)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고정편(22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편(220)은 큰 직경의 배관(30)을 가압하기 위한 일정 길이를 갖는 제 1 고정편(221)과, 작은 직경의 배관(30)을 가압하기 위해 제 1 고정편(221)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제 2 고정편(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고정편(221) 및 제 2 고정편(222)은 선택적으로 고정볼트(210)의 선단에 결합되거나, 바디(100)의 장착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구(120)는 바디(100)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장착구(120)의 외주면에는 제 1 고정편(221) 또는 제 2 고정편(222)이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슬리브(20) 내 큰 직경의 배관(30)이 위치하는 경우, 제 1 고정편(221)을 고정볼트(210)의 선단에 결합하고, 제 2 고정편(222)을 장착구(120)에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볼트(210)를 회전하면, 제 1 고정편(221)이 슬리브(20) 내 배관(30)의 일측 외경면을 푸쉬하여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듯이, 슬리브(20) 내 작은 직경의 배관(30')이 위치하는 경우, 제 2 고정편(222)을 고정볼트(210)의 선단에 결합하고, 제 1 고정편(221)을 장착구(120)에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볼트(210)를 회전하면, 제 2 고정편(222)이 슬리브(20) 내 배관(30')의 일측 외경면을 푸쉬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200)가 고정편(220) 및 고정볼트(210)으로 분리될 수 있고, 배관(30)의 직경에 따라 상이한 길이를 갖는 제 1 고정편(221) 또는 제 2 고정편(222)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편(220) 및 고정볼트(21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고정부재(200)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30),(30)의 직경이 변경되더라도 배관(30),(30')의 센터링 작업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고, 배관(30),(30')의 직경이 너무 작거나 커서, 고정부재(200)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바디(100)에는 배관(30)과 슬리브(2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300)이 마련될 수 있다.
측정수단(300)은 끝단에 자성체(311)가 구비된 줄자(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줄자(310)는 평상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권취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거리 측정이 필요한 경우 인출되어 자성체(311)를 통해 배관(30)의 외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맞춤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수단(300)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배관(30)과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거리 측정센서(320)는 레이저빔을 출력하는 송신부(미도시)와, 출력된 레이저빔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센서(320)가 사용되지만, 거리 측정센서(320)는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레이저 이외에도, 초음파, RF 등 다양한 측정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치구의 설치 및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맞춤치구에 의해 슬리브 내 배관을 센터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먼저, 3개의 맞춤치구(10)를 슬리브(2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각각의 맞춤치구(10)를 슬리브(20)에 장착하기 위해, 바디(100)의 고정홈부(110)를 슬리브(20)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볼트(400)의 헤드부를 회전시켜 결합볼트(400)의 단부를 슬리브(20)의 가장자리부 측벽을 고정한다.
맞춤치구(10)가 슬리브(20)에 장착되면, 맞춤치구(10)의 측정수단(300)을 이용하여 슬라브와 배관(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한다. 측정수단(300)을 통해 이격 거리가 측정되면, 측정된 이격 거리와 기 제공된 배관(30)의 직경과 슬리브(20) 직경을 통해, 슬리브(20) 내 배관(30)의 센터링 상태를 알 수 있다.
즉, 이격 거리와 배관(30)의 반경의 합이 슬리브(20) 반경보다 크면, 배관(30)은 슬리브(20)의 센터를 기준으로 측정수단(300)이 위치한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임을 알 수 있고, 이격 거리와 배관(30)의 반경의 합이 슬리브(20) 반경보다 작으면, 배관(30)은 슬리브(20)의 센터를 기준으로 측정수단(300)이 위치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30)이 도면의 우측방향을 치우쳐 위치한 경우, 도면의 좌측에 위치한 2개 맞춤치구(10)의 고정볼트(210)를 회전시켜, 고정편(220)을 배관(30)의 센터링 위치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우측에 위치한 1개 맞춤치구(10)의 고정볼트(210)를 회전시켜, 고정편(220)을 배관(30)의 센터링 위치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이때, 우측에 위치한 맞춤치구(10)의 고정편(220)이 배관(30)을 센터링 위치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도면의 좌측방향을 푸쉬하면, 배관(30)은 맞춤치구(10)의 고정편(220)에 의해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배관(30)은 도면의 우측에 위치한 2개 맞춤치구(10)에 의해 정지된다.
결국, 슬리브(20) 내 배관(30)은 3개의 맞춤치구(10)에 의해 슬리브(20) 내 센터 위치에 센터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내 배관의 센터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여, 슬리브내 배관을 정밀하게 센터링할 수 있고, 다수개의 맞춤치구를 슬리브의 가장자리부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하여, 슬리브의 내경에서 배관의 외경 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슬리브 내에 직경이 다른 배관이 위치되더라도, 배관의 직경에 적합한 길이의 고정편을 선택하여, 슬리브 내 배관을 손쉽게 센터링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바디 110 :고정홈부
200 :고정부재 210 :고정볼트
220 :고정편 221 :제 1 고정편
222 :제 2 고정편 300 :측정수단
310 :줄자 311 :자성체
320 :거리 측정센서 400 :결합볼트

Claims (6)

  1. 슬리브 내 배관의 센터링을 위한 선박의 맞춤 치구로서,
    상기 슬리브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슬리브와 상기 배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및
    상기 배관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배관을 상기 슬리브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상기 바디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은 큰 직경의 배관을 가압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제 1 고정편; 및 작은 직경의 배관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제 1 고정편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제 2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고정편 또는 상기 제 2 고정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볼트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 1 고정편 또는 상기 제 2 고정편이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는 장착구가 마련되는 선박의 맞춤치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슬리브의 가장자리부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부에는 상기 슬리브의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바디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볼트가 장착되는 선박의 맞춤치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자력에 의해 상기 배관에 부착되는 자성체가 단부에 구비된 줄자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과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선박의 맞춤치구.
KR1020140025852A 2014-03-05 2014-03-05 선박의 맞춤치구 KR101616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52A KR101616845B1 (ko) 2014-03-05 2014-03-05 선박의 맞춤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52A KR101616845B1 (ko) 2014-03-05 2014-03-05 선박의 맞춤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303A KR20150104303A (ko) 2015-09-15
KR101616845B1 true KR101616845B1 (ko) 2016-05-12

Family

ID=5424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852A KR101616845B1 (ko) 2014-03-05 2014-03-05 선박의 맞춤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580A (ko) * 2020-09-03 2022-03-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세팅용 지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35435B (zh) * 2022-10-28 2023-10-31 江苏联友科研仪器有限公司 一种模拟深层条件下出口超低死体积岩心夹持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580A (ko) * 2020-09-03 2022-03-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세팅용 지그장치
KR102379075B1 (ko) 2020-09-03 2022-03-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세팅용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303A (ko) 201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0616B2 (ja) 測定装置もしくは表示装置を物体に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8904662B2 (en) Test device for coaxial accuracy
KR101415912B1 (ko) 내외경 측정장치
US5713702A (en) Adaptors for a drill stand
CN105223966B (zh) 对旋转对称主体进行定位且对准的装置
KR101616845B1 (ko) 선박의 맞춤치구
CN105415445A (zh) 一种声学材料切割装置
US9518851B2 (en) Probes for inspection system for substantially round hole
JP2021071485A (ja) 溶接シーム検査チェーン
US7861591B2 (en) Device for the ultrasonic inspection of the weld seam of longitudinally welded pipes for defects
CN111664771A (zh) 用于管类零件内孔检测的装置及其检测方法
JP2010145340A (ja) 大型部品の寸法測定装置および寸法測定方法
JP4961291B2 (ja) 試料ホルダ用治具
US10161914B2 (en) Inspection methods with probe for substantially round hole
US11219984B2 (en) Clamp with workpiece alignment feature
JP2015058438A (ja) 配管挟持装置
KR200427425Y1 (ko) 배관중심 측정용 타겟
KR101564026B1 (ko) 계측타겟 고정 지그
CN210199023U (zh) 一种环焊缝相控阵超声检测扫查装置
TWM567858U (zh) External probe fixing fixture
JP2015024466A (ja) ドリル検査装置
KR20080000267A (ko) 배관중심 측정용 타겟
CN104792348A (zh) 透射式接收探头夹紧装置及调整方法
US2707835A (en) Gage block holder
CN107860345B (zh) 刀柄跳动测试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