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823B1 - 터렛 - Google Patents

터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823B1
KR101616823B1 KR1020140074913A KR20140074913A KR101616823B1 KR 101616823 B1 KR101616823 B1 KR 101616823B1 KR 1020140074913 A KR1020140074913 A KR 1020140074913A KR 20140074913 A KR20140074913 A KR 20140074913A KR 101616823 B1 KR101616823 B1 KR 101616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riser
pieces
turret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785A (ko
Inventor
김현석
박찬후
유정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4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82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라이저의 안전한 이동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터렛이 소개된다.
이 터렛은 선체에 설치되고 라이저가 관통되는 본체와, 라이저를 감싸도록 본체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부이편으로 분리될 수 있는 부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렛{TURRET}
본 발명은 터렛에 관한 것으로, 피항시 라이저의 안전한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드립쉽의 터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은 해양에서 원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는 장비를 탑재한 선박으로서, 시추선이라고도 하며, 해상 플랫폼의 설치가 불가능한 심해 지역이나 파도가 심한 해상에서 원유나 가스 등의 채취 작업이 가능한 선박이다.
드릴쉽은 해양에서 석유 또는 가스 자원을 채굴하기 위해, 라이저를 해저로 내린 후, 회전하는 시추 파이프를 라이저의 내부를 통해 내려 해저면을 드릴링을 한다.
최근에는 북극해 등의 천해역에서 드릴링 작업하는 드릴쉽의 시장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데, 천해역의 경우, 표류력의 영향이 심해보다 크기 때문에, 드릴링 작업을 위한 드릴쉽의 위치 유지를 위해서 별도의 계류시스템이 필요하다.
천해역에서 드릴쉽의 위치 유지를 위해, 회전이 가능한 터렛이 드립쉽에 장착되기도 한다. 드립쉽은 터렛을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드릴링 작업을 위한 드릴쉽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터렛의 탈부착이 가능한 드립쉽은 북극해와 같은 천해역에서의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유빙 등의 위험에 대처할 수 있다.
그런데, 터렛이 드릴쉽에서 분리되는 경우, 분리된 터렛의 부이와 라이저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라이저의 안전한 이동 통로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드릴쉽의 피항 시 분리된 터렛의 부이가 드립쉽의 운항에 위험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특허문헌: 국내 공개특허공보 2014-0010695호 (2014. 01. 2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체로부터 터렛이 분리될 때 선체에서 분리된 다수개의 부이편 간에 충분한 간격을 확보하여 라이저의 안전한 이동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터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설치되고 라이저가 관통되는 본체; 및 상기 라이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부이편으로 분리될 수 있는 부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이는 원추 형태 또는 다각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이편은 상기 부이가 상기 라이저를 중심으로 동일한 분리 각도에서 방사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부이가 슬라이딩 결합 또는 분리되는 장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구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이편의 외주면에는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레일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렛으로부터 부이를 두 개 이상으로 나누어 분리함으로써, 부이가 분리된 상태에서 드릴쉽이 피항하는 경우 드릴쉽의 피항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렛에서 분리된 다수개의 부이편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부이편 간에 충분한 간격을 확보할 수 있고, 결국, 라이저의 안전한 이동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의 터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렛에 제공되는 부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렛에 제공되는 부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렛에 제공되는 부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렛에 제공되는 부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의 터렛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렛에 제공되는 부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드릴쉽의 터렛에는, 드릴쉽의 선체(1)에 형성된 문풀(10)에서 다수개로 분리되는 부이(200)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문풀(10: moom pool)은 해수와 연통되도록 선체(1)를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으로, 문풀(10) 내에서는 시추 장비에 대한 설치, 테스트 및 유지보수 등의 전반적인 시추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렛은 문풀(10)에 설치되는 본체(100)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다수개의 부이편(210)으로 분리 될 수 있는 부이(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베어링을 통한 미끄럼 접촉에 의해 선체(1)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선체(1)의 문풀(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0)에는 회전을 위한 무어링 시스템(Mooring System)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터렛에 적용되는 무어링 시스템 기술은 터렛을 중심축으로 하여 드릴십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무어링 시스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드릴쉽은 북극해와 같은 천해역에서 표류력의 영향에 의해 유동하더라도, 터렛의 본체(100)를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드릴링 작업을 위한 드릴쉽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라이저(20)가 관통될 수 있다. 라이저(20)는 내구성이 강한 재질의 파이프로, 시추 작업 시 발생되는 진흙, 모래 및 자갈과 같은 분출물 등이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부이(200)가 슬라이딩 결합 및 분리되는 장착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구(110)는 본체(100)의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원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구(110)에는 장착구(110)에 결합된 부이(20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클램핑 기구로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부이(200)를 고정하는 통상의 클램프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부이(200)는 라이저(20)를 중심으로 원추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부이편(2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개의 부이편(210)이 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다수개의 부이편(210)이 본체(100)의 장착구(110)에 모여 하나의 부이(200)로 결합될 수 있고, 하나의 부이(2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부이(200)가 본체(100)의 장착구(110)에서 이탈되면서 다수개의 부이편(210)으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부이편(210)의 하부에는 해저면과의 고정을 위한 케이블(30)이 연결될 수 있고, 부이(200)의 중심부에 해당되는 부이편(210)의 일측부에는, 라이저(20)가 삽입되는 안착홈(201)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이(200)는 본체(100)의 장착구(110)에서 이탈되면서 다수개의 부이편(210)으로 분리되므로, 분리된 부이편(210) 간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드릴쉽의 이동시 라이저(20)의 안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부이편(210)이 라이저(20)를 중심으로 하나의 부이(200)로 결합되거나, 하나의 부이(200)가 세 개의 부이편(210)으로 분리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부이(2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부이편(2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이(200)가 네 개의 부이편(210)으로 구성되거나, 다섯 개 이상의 부이편(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렛에 제공되는 부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로, 부이(200)는 다각뿔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부이편(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이(200)가 결합되는 본체(100)의 장착구(110) 또한, 부이(200)의 형태에 대응되는 다각뿔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부이(200)는 다각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부이(200)가 본체(100)의 장착구(110)에 결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부이편(210)은 좌우 회전 없이 장착구(110)의 각진 형태의 홈을 따라 원활하게 착탈될 수 있고, 다수개의 부이편(210) 간에 충분한 간격이 확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이(200)는 육각의 다각뿔 형태로 제공되고, 장착구(110)는 육각 다각뿔 홈 형태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부이(200)는 오각의 다각뿔 형태 또는 팔각의 다각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장착구(110)는 오각 다각뿔 홈 형태 또는 팔각 다각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렛에 제공되는 부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렛에서는, 부이(200)를 본체(100)의 장착구(110)에 밀착시켜 슬라이딩 결합시키거나 슬라이딩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착구(110)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레일홈(111)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부이편(210)의 외주면에는 레일홈(111)에 삽입되어 레일홈(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레일돌기(211)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홈(111)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레일홈(111)은 장착구(11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레일홈(11)이 장착구(110)의 원주 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레일돌기(211)는 부이편(21)에서 레일홈(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레일홈(111) 및 레일돌기(211)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각각의 부이편(210)은 장착구(110)의 레일홈(111)을 따라, 장착구(1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부이편(210)의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고, 라이저(20)를 중심으로 동일한 분리 각도에서 방사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이편(210) 간에 충분한 간격을 확보할 수 있고, 라이저(20)의 안전한 이동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0)에 대한 부이편(210)의 보다 원활한 착탈을 위해, 레일돌기(211)가 진입되는 레일홈(111)의 진입 단부는, 레일돌기(211)의 단부가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깔대기 형태로 곡률지게 형성(미도시)될 수 있다. 이로써, 부이편(210)이 본체(100)의 장착구(110)에 진입하는 경우, 부이편(210)의 레일돌기(211)는 곡률지게 형성된 레일홈(111)의 곡률면을 따라, 보다 쉽고 신속하게 레일홈(111)에 진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렛에 제공되는 부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로, 각각의 부이편(210)은 레일돌기(211)를 갖는 다각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이(200)가 결합되는 본체(100)의 장착구(110) 또한, 부이(200)의 형태에 대응되는 다각뿔 홈 형태로 형성된다.
부이(200)가 다각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부이(200)가 본체(100)의 장착구(110)에 결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부이편(210)이 장착구(110)의 각진 형태의 홈에 따라, 레일돌기(211)와 레일홈(111) 간에 결합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렛으로부터 부이를 두 개 이상으로 나누어 분리하므로, 부이가 분리된 상태에서 드릴쉽이 피항하는 경우 드릴쉽의 피항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터렛에서 분리된 다수개의 부이편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부이편 간에 충분한 간격을 확보할 수 있고, 라이저의 안전한 이동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선체 10 :문풀
100 :본체 110 :장착구
111 :레일홈 200 :부이
201 :안착홈 210 :부이편
211 :레일돌기

Claims (5)

  1. 선체에 설치되고, 라이저가 관통되는 본체; 및
    상기 라이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부이편으로 분리될 수 있는 부이를 포함하고,
    상기 부이편은 상기 부이가 상기 라이저를 중심으로 동일한 분리 각도에서 방사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된 것인 터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는 원추 형태 또는 다각뿔 형태로 제공되는 터렛.
  3. 삭제
  4. 선체에 설치되고, 라이저가 관통되는 본체; 및
    상기 라이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부이편으로 분리될 수 있는 부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부이가 슬라이딩 결합 또는 분리되는 장착구가 형성되는 터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이편의 외주면에는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레일돌기가 돌출되는 터렛.
KR1020140074913A 2014-06-19 2014-06-19 터렛 KR101616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913A KR101616823B1 (ko) 2014-06-19 2014-06-19 터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913A KR101616823B1 (ko) 2014-06-19 2014-06-19 터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785A KR20150145785A (ko) 2015-12-31
KR101616823B1 true KR101616823B1 (ko) 2016-04-29

Family

ID=5512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913A KR101616823B1 (ko) 2014-06-19 2014-06-19 터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8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9276A (ja) 1997-10-08 2001-10-23 ハイテック システムズ エーエス 旋回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5679B1 (fr) * 2008-09-05 2010-09-24 Saipem Sa Support flottant comprenant un touret equipe de deux bouees d'amarrage de lignes d'ancrage et de conduites de liaison fond/surface
KR101402675B1 (ko) 2012-07-16 2014-06-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9276A (ja) 1997-10-08 2001-10-23 ハイテック システムズ エーエス 旋回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785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76361A1 (en) Downhole tool with expandable annular plug seat assembly having circumferentially overlapping seat segment joints
US9079644B2 (en) Production unit having a ballastable rotation symmetric hull and a moonpool
US10072475B2 (en) Integrated managed pressure drilling riser joint
KR102046438B1 (ko) 선박의 계류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선박의 계류 장치
AU2012213486A1 (en) Production unit having a ballastable rotation symmetric hull and a moonpool
KR20140014885A (ko) 헬리콥터 고정 장치
CN103189272A (zh) 可分离转塔系泊系统
KR101616823B1 (ko) 터렛
KR101625515B1 (ko) 무어링 장치
EP3485131A1 (en) Riser deflection mitigation
KR101691595B1 (ko) 무어링 장치
KR101616844B1 (ko) 터렛 지지장치
KR101741525B1 (ko) 계류 장치
KR101616840B1 (ko) 터렛 지지장치
CA2887345C (en) System and method for obstacle avoidance during hydrocarbon operations
KR101652432B1 (ko) 터렛의 그레이팅장치
KR20150089285A (ko) 쇄파 기능을 겸비한 트롤리 레일 서포트의 리세스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를 갖는 트롤리 레일 서포트
NL2009676C2 (en) Semi-submersible arctic waters drilling vessel and method.
KR200426887Y1 (ko) 선박의 문풀 유동 억제구조
KR102629058B1 (ko) 실린더 타입 라이저 텐셔너
CN107191678B (zh) 海洋钻探立管安装装置
KR101732601B1 (ko) 무어링장치
KR101454375B1 (ko) 터렛 터미널
KR101792848B1 (ko) 반목 장치
WO2014173456A1 (en) Turret mo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