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407B1 -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407B1
KR101616407B1 KR1020140053928A KR20140053928A KR101616407B1 KR 101616407 B1 KR101616407 B1 KR 101616407B1 KR 1020140053928 A KR1020140053928 A KR 1020140053928A KR 20140053928 A KR20140053928 A KR 20140053928A KR 101616407 B1 KR101616407 B1 KR 101616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hook rail
hook
flan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330A (ko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3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40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7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은,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Overhead Type Hook Rail)을 떠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후크 레일 지지부를 크레인 페디스털(Crane Pedestal)의 레일 플랜지(Rail Flange)의 하부에 설치하는 후크 레일 지지부 설치단계; 후크 레일 지지부를 이용하여 후크 레일을 레일 플랜지의 하부 설치위치로 배치하는 후크 레일 배치단계; 레일 플랜지의 하부에 후크 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 레일 고정부를 후크 레일 지지부들 사이에 배치하는 후크 레일 고정부 배치단계; 및 후크 레일 고정부를 이용하여 레일 플랜지의 하부에 후크 레일을 고정시키는 후크 레일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Overhead type hook rail installing method and crane pedestal installed the hook rail by the same}
본 발명은,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을 설치할 수 있는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이다.
이러한 풍력발전은 현재 기술에 의한 대체 에너지원 중 가장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풍력발전이 적용되는 풍력발전기의 효율은 풍속이 강하면서 풍향의 변화가 적을수록 높아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해상에서는 바람의 유동을 저하시키는 지형 등에 따른 영향이 적다. 때문에 해상풍의 평균풍속이 지상풍의 풍속보다 높고 해상풍의 풍량 또한 지상풍의 풍량보다 풍부하다.
특히, 내륙에서 먼 곳의 해상풍일수록 난류의 특성이 작아지므로 풍력발전에 더욱 유리하다.
그리고 풍력발전기를 지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소음이나 미관 등의 제약에 의해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될 수 있으나 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이러한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이에 따라, 현재 대규모의 해상 풍력발전단지가 건설되기도 하며, 이를 위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풍력발전기는 거대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거대 구조물을 해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 선박이 필요하다. 이를,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WTIV)이라 한다.
한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WTIV)의 경우, 해상용 메인 크레인(Main Crane) 구성품으로서 크레인 페디스털(Crane Pedestal)이 마련되며, 크레인 페디스털의 레일 플랜지에 후크 레일(Hook Rail)이 설치된다.
참고로, 크레인 페디스털은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크레인인 있는 모든 선박, 예컨대 드릴쉽을 비롯하여 각종 해양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크레인 페디스털의 레일 플랜지에 설치되는 후크 레일은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Overhead Type Hook Rail)로서, 로테이팅 데크가 회전 또는 운용될 때, 로테이팅 데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크레인 페디스털은 실질적으로 거대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크레인 페디스털의 레일 플랜지의 하부에 후크 레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부에서 후크 레일을 크레인 페디스털의 레일 플랜지 쪽으로 밀착 가압하여 지지시킨 후에 해당 위치에 후크 레일을 고정하면서 설치해야 하는데, 현재까지는 이러한 작업을 위한 수단과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후크 레일의 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대안으로서, 여러 대의 크레인을 사용하여 후크 레일을 설치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는 있지만 이러한 경우, 후크 레일 설치에 따른 효율 대비 비용이 너무 과도하게 소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항들을 전반적으로 고려할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87403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을 설치할 수 있는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Overhead Type Hook Rail)을 떠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후크 레일 지지부를 크레인 페디스털(Crane Pedestal)의 레일 플랜지(Rail Flange)의 하부에 설치하는 후크 레일 지지부 설치단계; 상기 후크 레일 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후크 레일을 상기 레일 플랜지의 하부 설치위치로 배치하는 후크 레일 배치단계; 상기 레일 플랜지의 하부에 상기 후크 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 레일 고정부를 상기 후크 레일 지지부들 사이에 배치하는 후크 레일 고정부 배치단계; 및 상기 후크 레일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 플랜지의 하부에 상기 후크 레일을 고정시키는 후크 레일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크 레일 지지부 설치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후크 레일 지지부는 상기 레일 플랜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 레일 지지부는, 단부가 상기 레일 플랜지의 하부에 임시로 고정되는 세로 지지부; 및 상기 세로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후크 레일을 떠받치는 가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레일 고정부는, 상기 레일 플랜지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레일 플랜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후크 레일을 떠받치는 후크 레일 받침용 하부 플레이트; 상기 레일 플랜지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레일 플랜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레일 플랜지와의 사이에 하이드로 잭(Hydro Jack)의 설치장소를 형성하는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후크 레일 받침용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레일 고정단계는, 상기 하이드로 잭을 구동시켜 상기 하이드로 잭이 상기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후크 레일의 상면이 상기 레일 플랜지의 밑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후크 레일 밀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레일 고정단계는, 상기 후크 레일 밀착단계 후에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레일 플랜지에 상면이 밀착된 상기 후크 레일을 클램핑하는 후크 레일 클램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레일 고정단계 후에 상기 후크 레일 지지부와 상기 후크 레일 고정부의 기자재를 철거하는 기자재 철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이 적용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레인 페디스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공정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의 단계적인 공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이 적용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페디스털(110, Crane Pedestal)은 도 1에 도시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00,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WTIV)에 적용되어 도시 않은 해상용 메인 크레인(Main Crane)이 설치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따라서 크레인 페디스털(110)은 비단 도 1의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00, WTIV)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해상용 메인 크레인이 적용되는 모든 선박들, 예컨대 드릴쉽을 비롯하여 각종 해양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도 1의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00, WTIV)에 적용되는 크레인 페디스털(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00,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WTIV)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크레인 페디스털(110)이 적용될 수 있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00, WTIV)의 선체(101)에는 지지프레임(103), 다수의 레그(105) 및 베이스 플레이트(106)가 마련될 수 있다.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선체(101)의 데크에는 해상에 설치될 해상 풍력발전기의 완성품 또는 부품이 적재될 수 있고, 이들을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 윈치, 컨베이어 등과 같은 운반수단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데크에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03)이 분산 설치되고, 지지프레임(103)에는 레그(105)가 각각 설치된다.
레그(105)는 선체(10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레그(105)의 하단부에 베이스 플레이트(106)가 마련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6)는 레그(105)가 하강하였을 때 해저면에 접하여 선체(101)의 하중이 해저면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레그(105)들은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00, WTIV)이 해수면 위로 상승되었을 때 선체(101)의 하중이 레그(105)들에 고루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같은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00, WTIV)의 선체(101) 일측에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해상용 메인 크레인과의 결합을 위한 거대 구조체로서의 크레인 페디스털(110)이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레인 페디스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크레인 페디스털(110)은 도 1과 같은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100, WTIV)의 선체(101) 일측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해상용 메인 크레인을 지지하면서 해상용 메인 크레인과 결합된다.
해상용 메인 크레인 역시, 거대 구조물일 뿐만 아니라 해상 작업을 위해 회전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거대 구조물의 해상용 메인 크레인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도 2 및 도 3과 같은 형태의 크레인 페디스털(110)이 적용될 수 있다.
크레인 페디스털(110)은 선체(101)에 지지되는 페디스털 바디(111)와, 페디스털 바디(111)의 상부에 연결되는 페디스털 헤드(112)를 포함한다.
페디스털 헤드(112)는 원형의 구조물로서, 이곳에 해상용 메인 크레인이 연결될 수 있다.
해상용 메인 크레인이 연결되기 위해, 페디스털 헤드(112)의 레일 플랜지(113, Rail Flange)에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120, Overhead Type Hook Rail)이 설치된다. 이하,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120)을 단순히 후크 레일(120)이라 하여 설명한다.
크레인 페디스털(110)의 레일 플랜지(113)에 설치되는 후크 레일(120)은 오버헤드 타입(Overhead Type)이다. 즉 레일 플랜지(113)의 밑면에 후크 레일(120)이 설치된다. 이러한 후크 레일(120)은 도시 않은 로테이팅 데크가 회전 또는 운용될 때, 로테이팅 데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 페디스털(110)은 실질적으로 거대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크레인 페디스털(110)의 레일 플랜지(113)에 설치되는 후크 레일(120) 역시 그 사이즈가 거대하다. 실제, 후크 레일(120)의 직경이 수십 미터에 이를 정도로 후크 레일(120) 역시 거대한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거대 구조물인 후크 레일(120)을 한번에 하나의 몸체로 제작할 수는 없으므로 단위 사이즈만큼 분리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단위 사이즈라 하더라도 그 부피와 중량은 매우 크며, 또한 이러한 거대 구조물인 후크 레일(120)을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 영역에서 상방으로 밀어 올려 레일 플랜지(113)에 밀착시킨 후에 후크 레일(120)을 고정시키는 작업은 실질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의 방법을 통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1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후크 레일(120)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도 4는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공정 사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의 단계적인 공정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은, 후크 레일 지지부 설치단계(S10), 후크 레일 배치단계(S20), 후크 레일 고정부 배치단계(S30), 후크 레일 밀착단계(S41)와 후크 레일 클램핑단계(S42)를 구비하는 후크 레일 고정단계(S40), 그리고 기자재 철거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위의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도 9와 같이, 크레인 페디스털(110)의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에 후크 레일(120)이 설치되도록 하려면 몇몇 기자재들이 필요하다. 즉 후크 레일 지지부(140), 후크 레일 고정부(150) 및 하이드로 잭(160, Hydro Jack) 등의 기자재가 필요하다.
후크 레일 지지부(140), 후크 레일 고정부(150) 및 하이드로 잭(160) 등의 기자재는 크레인 페디스털(110)의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에 후크 레일(120)이 설치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사용된 것으로서, 최종적으로는 철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거대 구조물인 후크 레일(120)을 한번에 하나의 몸체로 제작할 수는 없기 때문에 단위 사이즈만큼 분리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예컨대, 단위 사이즈의 후크 레일(120)이 20개 사용된다면 후크 레일 지지부(140) 역시 단위 사이즈로 제작하여 후크 레일(120)의 개수보다는 적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후크 레일 고정부(150)와 하이드로 잭(160)은 한 개씩 마련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시켜 가면서 작업할 수도 있다.
후크 레일 지지부(140)는 도 4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에 임시로 고정되는 세로 지지부(141)와, 세로 지지부(141)와 연결되고 후크 레일(120)을 떠받치는 가로 지지부(142)를 포함한다.
후크 레일 지지부(140)는 측면에서 볼 때, 아크 형상의 ㄴ자 구조물로서, 레일 플랜지(113)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군데군데 배치된다. 즉 다수의 후크 레일 지지부(140)는 레일 플랜지(11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예컨대 2미터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후크 레일 지지부(140)의 세로 지지부(141)의 상단부가 레일 플랜지(113)에 임시로 용접(W)된다.
이처럼 후크 레일 지지부(140)의 세로 지지부(141)의 상단부가 레일 플랜지(113)에 임시로 용접(W)되기 때문에, 후크 레일 지지부(140)는 레일 플랜지(113)에 매달린 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처럼 가로 지지부(142)의 상부에 후크 레일(120)을 올려 배치할 수 있다.
측면에서 볼 때, 아크 형상의 ㄴ자 구조물로 마련되는 후크 레일 지지부(140)와 달리, 후크 레일 고정부(150)는 측면에서 볼 때, 아크 형상의 ㄷ자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 레일 고정부(150)는 도 4,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레일 받침용 하부 플레이트(151),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152), 그리고 연결 플레이트(153)를 포함한다.
후크 레일 받침용 하부 플레이트(151)는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 영역에서 레일 플랜지(113)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후크 레일(120)을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도 4처럼 후크 레일 지지부(140)는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레일 플랜지(11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데, 후크 레일 고정부(150)의 후크 레일 받침용 하부 플레이트(151)는 후크 레일 지지부(140)들 사이의 이격간격에 배치되어 후크 레일(120)을 떠받쳐 지지할 수 있다.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152)는 레일 플랜지(113)의 상부 영역에서 레일 플랜지(113)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152)는 레일 플랜지(113)와의 사이에 하이드로 잭(160)의 설치장소를 형성한다.
연결 플레이트(153)는 후크 레일 받침용 하부 플레이트(151)와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152)를 연결하는 구조물이다.
하이드로 잭(160)은 도 7처럼 레일 플랜지(113)와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152) 사이에 배치되는데, 도 8처럼 구동되면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15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후크 레일 고정부(150)는 일체형 구조물이기 때문에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152)가 하이드로 잭(16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면 후크 레일 받침용 하부 플레이트(151) 역시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후크 레일(120)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후크 레일(120)의 상면이 레일 플랜지(113)의 밑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후크 레일 지지부(140), 후크 레일 고정부(150) 및 하이드로 잭(160) 등의 기자재를 이용하여 크레인 페디스털(110)의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에 후크 레일(120)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5처럼 다수의 후크 레일 지지부(140)를 크레인 페디스털(110)의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에 설치한다(S10).
이때는 후크 레일 지지부(140)의 세로 지지부(141)의 상단부가 레일 플랜지(113)에 임시로 용접(W)되도록 하면서 후크 레일 지지부(140)가 레일 플랜지(11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 도 6처럼 후크 레일 지지부(140)를 이용하여 후크 레일(120)을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 설치위치로 배치한다(S20).
전술한 S10 단계에 의해 후크 레일 지지부(140)는 레일 플랜지(113)에 매달린 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처럼 가로 지지부(142)의 상부에 후크 레일(120)을 올려 배치할 수 있다.
후크 레일(120)을 후크 레일 지지부(140)의 가로 지지부(142)의 상부에 올려 배치할 때는 후크 레일(120)이 설치될 위치를 찾아 그 직하방의 가로 지지부(142) 상에 배치해야 한다.
후크 레일(120)을 배치하고 나면, 도 7처럼 후크 레일 고정부(150)를 후크 레일 지지부(140)들 사이에 배치한다(S30).
그런 다음, 도 8 및 도 9처럼 하이드로 잭(160)과 더불어 후크 레일 고정부(150)를 이용하여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에 후크 레일(120)을 고정시킨다(S40).
즉 도 8처럼 하이드로 잭(160)을 구동시켜 하이드로 잭(160)이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152)를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후크 레일(120)의 상면이 레일 플랜지(113)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S41), 클립(130)을 이용하여 레일 플랜지(113)에 그 상면이 밀착된 후크 레일(120)을 클램핑함으로써(S42),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에 후크 레일(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클립(130)은 볼트(B)에 의해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에 고정되어 후크 레일(120)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물론, 클립(130)은 볼트(B)가 아닌 용접 방법에 의해 해당 위치에 고정된 후에 후크 레일(120)을 지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레일 플랜지(113)의 하부에 후크 레일(120)을 고정되고 나면, 도 10처럼 후크 레일 지지부(140), 후크 레일 고정부(150) 및 하이드로 잭(160) 등의 기자재를 철거하면 된다(S50).
이와 같은 구조와 방법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12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101 : 선체
105 : 레그 106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크레인 페디스털 111 : 페디스털 바디
112 : 페디스털 헤드 113 : 레일 플랜지
120 :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130 : 클립
140 : 후크 레일 지지부 141 : 세로 지지부
142 : 가로 지지부 150 : 후크 레일 고정부
151 : 후크 레일 받침용 하부 플레이트 152 :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
153 : 연결 플레이트 160 : 하이드로 잭

Claims (8)

  1.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Overhead Type Hook Rail)을 떠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후크 레일 지지부를 크레인 페디스털(Crane Pedestal)의 레일 플랜지(Rail Flange)의 하부에 설치하는 후크 레일 지지부 설치단계;
    상기 후크 레일 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후크 레일을 상기 레일 플랜지의 하부 설치위치로 배치하는 후크 레일 배치단계;
    상기 레일 플랜지의 하부에 상기 후크 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 레일 고정부를 상기 후크 레일 지지부들 사이에 배치하는 후크 레일 고정부 배치단계; 및
    상기 후크 레일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 플랜지의 하부에 상기 후크 레일을 고정시키는 후크 레일 고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레일 고정부는,
    상기 레일 플랜지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레일 플랜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후크 레일을 떠받치는 후크 레일 받침용 하부 플레이트;
    상기 레일 플랜지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레일 플랜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레일 플랜지와의 사이에 하이드로 잭(Hydro Jack)의 설치장소를 형성하는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후크 레일 받침용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레일 지지부 설치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후크 레일 지지부는 상기 레일 플랜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레일 지지부는,
    단부가 상기 레일 플랜지의 하부에 임시로 고정되는 세로 지지부; 및
    상기 세로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후크 레일을 떠받치는 가로 지지부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레일 고정단계는,
    상기 하이드로 잭을 구동시켜 상기 하이드로 잭이 상기 잭 설치용 상부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후크 레일의 상면이 상기 레일 플랜지의 밑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후크 레일 밀착단계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레일 고정단계는,
    상기 후크 레일 밀착단계 후에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레일 플랜지에 상면이 밀착된 상기 후크 레일을 클램핑하는 후크 레일 클램핑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레일 고정단계 후에 상기 후크 레일 지지부와 상기 후크 레일 고정부의 기자재를 철거하는 기자재 철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8. 제1항의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
KR1020140053928A 2014-05-07 2014-05-07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 KR101616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928A KR101616407B1 (ko) 2014-05-07 2014-05-07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928A KR101616407B1 (ko) 2014-05-07 2014-05-07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330A KR20150127330A (ko) 2015-11-17
KR101616407B1 true KR101616407B1 (ko) 2016-04-28

Family

ID=5478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928A KR101616407B1 (ko) 2014-05-07 2014-05-07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4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3632B2 (ja) * 1996-01-19 2005-04-27 ▲蔦▼井株式会社 ガードレール取付装置及びガードレール取付工法
ES2332457T3 (es) * 2003-02-25 2010-02-05 Hydralift Amclyde, Inc. Cojinete radial de apoyo para grua.
KR101222768B1 (ko) 2006-02-23 2013-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단말의 위치 추정 방법
KR100960439B1 (ko) * 2006-03-22 2010-05-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레일의 지지장치
DE102012000117B3 (de) * 2012-01-05 2013-04-04 Bicc Holdings Gmbh Stromschi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330A (ko)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740B1 (ko) 베이스 및 수력 터빈 설치 방법
RU245911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гидроэлектрической турбины
CN103228530B (zh) 浮体结构物作业系统、浮体结构物、作业船及浮体结构物的作业方法
US7112010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recting an offshore wind turbine assembly
JP6041581B2 (ja) 洋上風力発電の風車設備の設置専用船及び風車設備の設置方法
CN104136358A (zh) 用于在运输与装配过程中搬运风轮机部件的方法及设备
KR101805482B1 (ko)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KR20140141442A (ko) 해상파일 설치장치
KR20180022951A (ko)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시스템
CN103130106B (zh) 吊装设备
CN102701083A (zh) 风力发电机部件更换专用设备及方法
CN103693170A (zh) 一种漂浮式海上风电组装平台及用该平台组装海上风机的方法
KR20140030476A (ko)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JP5820953B1 (ja) 風力発電装置の組み付け方法、風力発電装置の分解方法、風力発電装置の設置方法、及び風力発電装置の作業用船舶
CN213566364U (zh) 用于海上多个风机整机运输及安装作业的单柱桅杆式装置
KR101616407B1 (ko)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오버헤드 타입의 후크 레일이 설치된 크레인 페디스털
KR20140050186A (ko) 해상 풍력 발전장치 및 이의 급속 설치방법
CN103303600B (zh) 海上风力发电机桩基基础的绑扎装置
CN105129629A (zh) 大部件提升系统及其拆卸方法、大部件提升方法
KR101619246B1 (ko) 타워, 나셀 및 로터 결합체의 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KR101297669B1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전용선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CN107654339B (zh) 一种海底扫平装置
CN106379495B (zh) 一种具有自航能力的码头桩基水下维修作业装置
CN205170227U (zh) 一种集成双钩钩笼的可拆式吊臂托架
CN103807116A (zh) 海上风力发电机组拉索千斤顶提升安装装置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