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358B1 - 전기회전로 - Google Patents

전기회전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358B1
KR101616358B1 KR1020150069421A KR20150069421A KR101616358B1 KR 101616358 B1 KR101616358 B1 KR 101616358B1 KR 1020150069421 A KR1020150069421 A KR 1020150069421A KR 20150069421 A KR20150069421 A KR 20150069421A KR 101616358 B1 KR101616358 B1 KR 10161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crucible
plate
power supply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철
Original Assignee
(주)부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원테크 filed Critical (주)부원테크
Priority to KR1020150069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02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of multiple-chamber or multiple-drum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08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heated electrically, with or without any other source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27B7/22Rotary drum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02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of multiple-chamber or multiple-drum type
    • F27B7/04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of multiple-chamber or multiple-drum type with longitudinal divisions
    • F27B2007/043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of multiple-chamber or multiple-drum type with longitudinal divisions the partition being a cylinder, coaxial to the rotary drum, defining two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력 전기로와 저전력 전기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용융 및 액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회전로에 관한 것으로, 상측면 중앙에 회전기둥이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 외주면에 대응하며 적재되는 측면판(20)과,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에 대응하도록 측면판(20)의 상측에 적재되며, 홀(31)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3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부에 적재되어 지지되고, 측면판(20)과 상부플레이트(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용광로(40)로 구성되고,
상기 용광로(40)는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위치하는 도가니받침부재(41)와, 내용물을 담지하고 용융하는 도가니(42)와, 상기 도가니(42)를 감싸도록 외측면에 구비되는 내화로(44)와, 상기 도가니(42)와 내화로(44) 사이에 위치하며 도가니(42)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부(43)로 구성되며, 내화로(44)와 도가니(42)의 상측 개방된 공간에 결합되는 마감판(4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부(43)는 도가니(42)를 감싸는 형태로 각각 한쌍씩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회전로를 이용하면 고전력의 전기로와 저전력의 전기로를 병행 사용함으로써, 유지비용이 저렴하고, 작업능률이 좋은 전기회전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회전로{ELECTRIC ROTARY FURNACES}
본 발명은 전기회전로에 관한 것으로, 고전력 전기로와 저전력 전기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용융 및 액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회전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는 금속광물질을 가열하여 액상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작업특성상 일정한 작업장소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는 금속을 고온으로 용융시켜 액상상태로 유지한 후 작업을 하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상의 고온의 쇳물을 이용한 작업시 용융된 쇳물을 작업시에 일일이 이송시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67291호(회전식 연속로,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피가열체의 입, 출구가 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연속로를 구성하는 각각의 섹션이 고리 모양으로 배열되고, 중심축을 구비하지 않고도 적치대를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회전식 연속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연속로는 피가열체의 입, 출구가 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로 본체와, 상기 로 본체 하단에서 로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로 본체 형상을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며, 로 본체 내부에 피가열체를 위치시키는 적치대와, 적치대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수동 회전부와, 수동 회전부와 구동 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부를 구비하여 구동 모터와 동력 전달부 구동에 의해 상기 적치대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회전식 연속로서 소량의 내용물을 적치대에 배치한 후 연속회전시키며 작업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대량의 내용물을 작업하는데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용융작업 후 주조 등의 후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7291호(회전식 연속로, 공개일자 2003년 08월 14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전력의 전기로와 저전력의 전기로를 병행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시간을 단축하고,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회전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광로의 내용물을 고온의 온도로 용융시키는 가열부(B)와 용광로의 용융된 내용물을 작업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온부(A)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B)와 보온부(A)의 용광로는 일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며 용광로 배치가 바뀌어 작업에 필요한 내용물을 가열시키는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전로이다.
이와 같은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측면에 호형태의 띠형상을 하는 고전력의 전기가 공급되는 제1전력공급선(12)와, 저전력의 전기가 공급되는 제2전력공급선(13)이 형성되고 중앙에 회전기둥이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 외주면에 대응하며 적재되는 측면판(20)과,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에 대응하도록 측면판(20)의 상측에 적재되며, 홀(31)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3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부에 적재되어 지지되고, 측면판(20)과 상부플레이트(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용광로(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용광로(40)는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위치하는 도가니받침부재(41)와, 내용물을 담지하고 용융하는 도가니(42)와, 상기 도가니(42)를 감싸도록 외측면에 구비되는 내화로(44)와, 상기 도가니(42)와 내화로(44) 사이에 위치하며 도가니(42)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부(43)로 구성되며, 내화로(44)와 도가니(42)의 상측 개방된 공간에 결합되는 마감판(4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부(43)는 도가니(42)를 감싸는 형태로 각각 한쌍씩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가니받침부재(41)은 하부면에 전열부와 하부플레이트(10)의 제1,2전력공급선(12,13)이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접속부재(41a)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재(41a)를 통하여 전열부(43)와 제1,2전력공급선(12,13)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도가니받침부재(41)의 하부면에는 가이드 돌기(41b)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41b)는 하부 플레이트(10)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홈(14)에 삽입되어 회전기둥(1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전열부(43)는 열반사판(43a)과 상기 열반사판 일측면에 구비되는 전열부재(43b)로 구성되며, 상기 열반사판(43a)의 오목한면에 전열부재(43b)가 배치되어 도가니(42)에 열기를 집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광로(40)에 내용물을 담지하고 용융하는 초기작업에는 제1전력공급선(12)에 위치하는 전열부(43)를 이용하여 용융시키고, 내용물의 용융작업이 완료된 후는 제2전력공급선(13)이 위치하는 전열부(43)로 이동시켜 용융된 액상상태의 내용물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회전로를 이용하면 고전력의 전기로와 저전력의 전기로를 병행 사용함으로써, 유지비용이 저렴하고, 작업능률이 좋은 전기회전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하부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공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절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전열부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하부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기회전로는 용광로의 내용물을 고온의 온도로 용융시키는 가열부(B)와 용광로의 용융된 내용물을 작업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온부(A)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B)와 보온부(A)의 용광로는 일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며 용광로 배치가 바뀌어 작업에 필요한 내용물을 가열시키는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전로이다.
이와 같은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측면에 호형태의 띠형상을 하는 고전력의 전기가 공급되는 제1전력공급선(12)와, 저전력의 전기가 공급되는 제2전력공급선(13)이 형성되고 중앙에 회전기둥이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10),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 외주면에 대응하며 적재되는 측면판(2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에 대응하도록 측면판(20)의 상측에 적재되며, 홀(31)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3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부에 적재되어 지지되고, 측면판(20)과 상부플레이트(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용광로(40)로 구성된다.
상기 용광로(40)는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위치하는 도가니받침부재(41)와, 내용물을 담지하고 용융하는 도가니(42)와, 상기 도가니(42)를 감싸도록 외측면에 구비되는 내화로(44)와, 상기 도가니(42)와 내화로(44) 사이에 위치하며 도가니(42)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부(43)로 구성되며, 내화로(44)와 도가니(42)의 상측 개방된 공간에 결합되는 마감판(4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부(43)는 도가니(42)를 감싸는 형태로 각각 한쌍씩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전력공급선(12)와 제2전력공급선(13)는 동일한 반지름으로 형성된 호의 형태이며, 각도가 큰 제1전력공급선(12)가 제2전력공급선(13)의 원주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용물을 용융시키는 구간이 용융된 내용물을 유지시키는 구간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전력공급선(12)와 제2전력공급선(13)를 혼합하여 구비하는 것은, 고전력의 전기가 공급되는 제1전력공급선(12)에서는 내용물을 용융시킬 때 사용하게 되며, 지속적인 항온을 유지할 수 있는 제2전력공급선(13)는 용융된 내용물을 응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융작업이 완료된 후, 후작업시 사용되기 때문에 두가지의 열원을 병행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전력공급선(12)와 제2전력공급선(13)가 전환되는 구간에는 전기접속이 차단되는 구간이 형성되며, 고전력의 전기로와 저전력의 전기로가 합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3개의 용광로가 구비된 본 발명을 작업장에서 사용할 때, 제1전력공급선에는 2개의 용광로가 배치되고 제2전력공급선에는 1개의 용광로가 배치된다.
이때, 제1전력공급선에 위치한 2개의 용광로에서는 고전력이 공급되어 용광로 내의 내용물을 용융시키는 작업을 진행하고 제2전력공급선에 위치한 1개의 용광로에서는 제1전력공급선에서 용융된 내용물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전력이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가니받침부재(41)은 하부면에 전열부와 하부플레이트(10)의 제1,2전력공급선(12,13)이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접속부재(41a)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재(41a)를 통하여 전열부(43)와 제1,2전력공급선(12,13)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도가니받침부재(41)는 상측에 적재될 도가니(42)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은 도가니(42)의 하단부분의 형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가니받침부재(41)의 하부면에는 가이드 돌기(41b)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41b)는 하부 플레이트(10)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홈(14)에 삽입되어 회전기둥(1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에는 하부플레이트(10)와 동일한 형상의 상부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이때, 상부플레이트(30)의 일측면에는 홀(31)이 형성된다.
상기 홀(31)은 내측에 구비되는 용광로(40)를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0)와 상부플레이트(30)의 사이에 측면판(2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측면판(20)은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복수개의 용광로(40)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하부플레이트(10)와 측면판(20) 및 상부플레이트(30)에 내삽되어 배치되는 용광로(40)는 담겨지는 내용물을 용융시키기 위한 도가니(42)와 상기 도가니(42)를 감싸도록 외측면에 내화로(4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가니(42)와 내화로(44) 사이에는 한쌍의 전열부(43)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쌍의 전열부(43)가 내측에 도가니(42)를 중심으로 외측에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열부(43)는 호형상의 열반사판(43a)과 상기 열반사판(43a)의 오목한면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열부재(43b)로 구성되어, 열원을 도가니(42)에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가니(42)의 외주면에 이격되어 내화로(44)가 구비되고, 상기 도가니(42)와 내화로(44) 사이에 한쌍의 전열부(43)가 배치된 후, 도가니(42)와 내화로(44)의 사이 상단부에 개방된 부분에 마감판(45)이 더 배치된다.
이때, 상기 마감판(45)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부플레이트(30)에 형성되는 홀(31)의 직경이 내화로(44)의 직경과 동일할 경우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광로(40)의 사용이 빈번하여 유지보수작업이 빈번할 경우, 마감판(45)을 적용하여 내측에 구비되는 도가니(42)와 전열부(43)의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용광로(40)를 하부플레이트(10) 상에 배치한 후, 상부플레이트(30)를 덮어 완성하게 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공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기회전로를 작업공간에서 사용될 시 하부플레이트의 제1전력공급선에 배치되는 용광로는 고전력이 인입되어 고온을 열을 발생시키며 용광로에 담지되는 내용물을 용융시키는 가열부(B부분)로 형성되고, 제2전력공급선에 배치되는 용광로는 저전력이 인입되어 저온을 열을 발생시키며 가열부를 통해 용융된 내용물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온부(A부분)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동안에 용융된 내용물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가열부와 보온부의 용광로는 턴테이블 형태의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로 인해 회전기둥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보온부의 작업이 끝나면 회전되어 가열부에서 용융된 내용물을 담지하고 있는 용광로를 보온부로 전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시간 및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전기회전로가 완성되는 것이다.
10 : 하부플레이트 11 : 회전기둥
12 : 제1전력공급선 13 : 제2전력공급선
14 : 가이드라인
20 : 측면판 30 : 상부플레이트
31 : 홀 40 : 용광로
41 : 도가니받침부재 41a : 접속부재
41b : 가이드부재 42 : 도가니
43 : 전열부 43a : 열반사판
43b : 전열부재 44 : 내화로
45 : 마감판

Claims (7)

  1. 용광로가 일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어 배치가 전환되며 작업에 필요한 내용물을 가열시키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전기회전로에 있어서,
    상측면에 호형태의 띠형상을 하는 고전력의 전기가 공급되는 제1전력공급선(12)과 저전력의 전기가 공급되는 제2전력공급선(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전력공급선(12)과 제2전력공급선(13)이 전환되는 구간에는 전기접속이 차단되는 구간이 형성되고 중앙에 회전기둥이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 외주면에 대응하며 적재되는 측면판(20)과;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에 대응하도록 측면판(20)의 상측에 적재되며, 홀(31)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3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상부에 적재되어 지지되고, 측면판(20)과 상부플레이트(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용광로(4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전력공급선(12)에는 용광로(40)의 내용물을 고온의 온도로 용융시키는 2개의 용광로(40)가 배치되고, 상기 제2전력공급선(13)에는 용광로의 용융된 내용물을 작업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1개의 용광로(4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전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광로(40)는 하부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위치하는 도가니받침부재(41)와, 내용물을 담지하고 용융하는 도가니(42)와, 상기 도가니(42)를 감싸도록 외측면에 구비되는 내화로(44)와, 상기 도가니(42)와 내화로(44) 사이에 위치하며 도가니(42)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부(43)로 구성되며, 내화로(44)와 도가니(42)의 상측 개방된 공간에 결합되는 마감판(4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부(43)는 도가니(42)를 감싸는 형태로 각각 한쌍씩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전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받침부재(41)은 하부면에 전열부와 하부플레이트(10)의 제1,2전력공급선(12,13)이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접속부재(41a)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재(41a)를 통하여 전열부(43)와 제1,2전력공급선(12,13)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전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받침부재(41)의 하부면에는 가이드 돌기(41b)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41b)는 하부 플레이트(10)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홈(14)에 삽입되어 회전기둥(1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전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43)는 열반사판(43a)과 상기 열반사판 일측면에 구비되는 전열부재(43b)로 구성되며, 상기 열반사판(43a)의 오목한면에 전열부재(43b)가 배치되어 도가니(42)에 열기를 집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전로.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광로(40)에 내용물을 담지하고 용융하는 초기작업에는 제1전력공급선(12)에 위치하는 전열부(43)를 이용하여 용융시키고, 내용물의 용융작업이 완료된 후는 제2전력공급선(13)에 위치하는 전열부(43)로 이동시켜 용융된 액상상태의 내용물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전로.
KR1020150069421A 2015-05-19 2015-05-19 전기회전로 KR10161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421A KR101616358B1 (ko) 2015-05-19 2015-05-19 전기회전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421A KR101616358B1 (ko) 2015-05-19 2015-05-19 전기회전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358B1 true KR101616358B1 (ko) 2016-04-28

Family

ID=5591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421A KR101616358B1 (ko) 2015-05-19 2015-05-19 전기회전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3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4A (ja) * 1992-06-19 1994-01-11 Murata Mfg Co Ltd 焼成炉
KR20000008489U (ko) * 1998-10-22 2000-05-15 최정미 가스 전기 겸용 용해 보온로
KR20030067291A (ko) 2002-02-08 2003-08-14 김영정 회전식 연속로
KR101362013B1 (ko) * 2013-10-24 2014-02-11 강호철 멀티용광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4A (ja) * 1992-06-19 1994-01-11 Murata Mfg Co Ltd 焼成炉
KR20000008489U (ko) * 1998-10-22 2000-05-15 최정미 가스 전기 겸용 용해 보온로
KR20030067291A (ko) 2002-02-08 2003-08-14 김영정 회전식 연속로
KR101362013B1 (ko) * 2013-10-24 2014-02-11 강호철 멀티용광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27078B2 (ja) ア−ク溶解炉あるいは抵抗溶解炉の接触電極装置
CA1075011A (en) Method and means for remelting scrap iron, iron sponge, pellets or the like
JP2006205191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の予熱方法及び予熱装置
JP5689649B2 (ja) 回転炉
KR101616358B1 (ko) 전기회전로
KR102051413B1 (ko) 아크로
ES2392194T3 (es) Procedimiento y horno para fundir chatarra de acero
US5406047A (en) Plasma torch for melting material to be processed in a container and for maintaining the material at the required temperature
KR101362013B1 (ko) 멀티용광로
JP2012055930A (ja) 溶接用予熱装置及び溶接用予熱方法
KR102340971B1 (ko) 용해로
KR100436176B1 (ko) 회전식융해로
CN108917393A (zh) 一种高效电磁熔炉
US2648166A (en) Internal lathe burner
US4610015A (en) Electrode assembly for arc furnaces
CN209532103U (zh) 双管螺旋推进式还原炉
CN106425016B (zh) 平板工件碰焊工装
CN105571317B (zh) 熔融炉
JP4129914B2 (ja) 融解金属の直接及び連続出湯に適した金属類の溶解炉
JPH0349188B2 (ko)
EP3225080B1 (en) Direct current electric arc furnace for metallurgical plant
KR20200096756A (ko) 금속재료 용융장치 및 방법
KR20180097822A (ko) 융착식 도료 용해장치
JP2023122752A (ja) 加熱コイル及び高周波焼入装置
JP2023150355A (ja) 誘導加熱コイル及び高周波焼入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