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020B1 - 무선 통신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020B1
KR101616020B1 KR1020147024815A KR20147024815A KR101616020B1 KR 101616020 B1 KR101616020 B1 KR 101616020B1 KR 1020147024815 A KR1020147024815 A KR 1020147024815A KR 20147024815 A KR20147024815 A KR 20147024815A KR 101616020 B1 KR101616020 B1 KR 10161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s
node
message
subset
contro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157A (ko
Inventor
산토쉬 폴 아브라함
알프레드 아스터자드히
마르텐 멘조 웬팅크
시몬 멀린
치 쿠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3Bus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충돌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이 설명된다. 한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 1 메시지가 전송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시간 기간들 동안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노드들에 통신 매체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한다. 이 장치는 제 1 메시지가 전송된 후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본 특허출원은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 POINT TRIGGERED TRANSMISSIONS AFTER TRAFFIC INDICATION MAP PAGING"이라는 명칭으로 2012년 2월 13일자 출원된 가출원 제61/597,94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노드들에 대한 업링크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기 통신 시스템들에서는, 공간상 분리된 여러 상호 작용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메시지들을 교환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들이 이용된다. 네트워크들은 예를 들어, 대도시권, 근거리 또는 개인 영역일 수 있는 지리적 범위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personal area network)로 각각 지정될 것이다. 네트워크들은 또한 다양한 네트워크 노드들과 디바이스들을 상호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교환/라우팅 기술(예를 들어, 회선 교환 대 패킷 교환), 전송을 위해 채택된 물리적 매체들의 타입(예를 들어 유선 대 무선), 그리고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세트(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internet protocol suite), 동기식 광통신망(SONET: Synchronous Optical Networking), 이더넷 등)에 따라 다르다.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이 이동식이고 그에 따라 동적 접속성 요구들을 가질 때, 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고정 토폴러지보다는 애드혹 토폴러지로 형성된다면, 흔히 무선 네트워크들이 선호된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라디오, 마이크로파, 적외선, 광 등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전자기파들을 사용하는 비-유도 전파 모드의 무형의 물리적 매체들을 이용한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유리하게, 고정된 유선 네트워크들과 비교할 때, 사용자 이동성 및 신속한 필드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무선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은 서로 간에 정보를 전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전송/수신하고 있지 않은 디바이스들은 선잠(doze) 상태로 들어가 전력을 보존할 수 있으며, 여기서 디바이스들은 선잠 상태에서는 적극적으로 정보를 전송/수신하지 않는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들을 추가로 이용하여, 언제 선잠 상태에서 깨어나서 각성(awake) 상태로 들어갈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징 메시지 뒤의 업링크 송신들을 관리하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각각 여러 가지 양상들을 갖는데, 이러한 양상들 중 단 하나의 양상이 그의 바람직한 속성들을 단독으로 책임지는 것은 아니다. 이어지는 청구항들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면서, 이제 일부 특징들이 간략히 논의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고려한 후, 그리고 특히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라는 제목의 섹션을 읽은 후에, 무선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개선된 페이징을 포함하는 이점들을 본 발명의 특징들이 어떻게 제공하는지가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의 한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통신 매체를 통해 복수의 노드들에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전송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메시지가 전송된 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한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이 개시되며, 이 방법은 통신 매체를 통해 복수의 노드들에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전송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메시지가 전송된 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개시되며, 이 장치는 통신 매체를 통해 복수의 노드들에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전송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메시지가 전송된 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한 양상에서, 통신 매체를 통해 복수의 노드들에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전송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메시지가 전송된 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개시된다.
한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개시되며, 이 장치는 통신 매체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제 1 메시지는 복수의 노드들에 전송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전송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함 ―; 그리고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에 의해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시작된다.
한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이 개시되며, 이 방법은 통신 매체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메시지는 복수의 노드들에 전송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전송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함 ―; 및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에 의해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시작된다.
한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개시되며, 이 장치는 통신 매체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메시지는 복수의 노드들에 전송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전송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함 ―; 및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에 의해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시작된다.
한 양상에서, 통신 매체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 1 메시지는 복수의 노드들에 전송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전송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함 ―; 및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개시되며,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에 의해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시작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상들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무선 스테이션들로 전송되는 복수의 분할된 페이징 메시지들을 나타낸다.
도 4는 예시적인 폴링 요청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5는 트래픽 맵 표시자 페이지 뒤의 액세스 포인트 시작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낸다.
도 6은 트래픽 맵 표시자 페이지 뒤의 액세스 포인트 시작 송신들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낸다.
도 7은 트래픽 맵 표시자 페이지 뒤의 액세스 포인트 시작 송신들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낸다.
도 8은 트래픽 맵 표시자 페이지 뒤의 액세스 포인트 시작 송신들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낸다.
도 9는 트래픽 맵 표시자 페이지 뒤의 액세스 포인트 시작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트래픽 맵 표시자 페이지 뒤의 액세스 포인트 시작 송신들을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다른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신규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다양한 양상들이 더 충분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본 개시 전반에 제시되는 어떠한 특정 구조 또는 기능에 국한된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그보다, 이러한 양상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본 개시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을 기반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범위가,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관계없이 구현되든 아니면 그와 결합되든,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신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고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부가하여 또는 그 외에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와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그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임의의 양상은 청구항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양상들이 설명되지만, 이러한 양상들의 많은 변형들 및 치환들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선호되는 양상들의 일부 이익들 및 이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개시의 범위는 특정 이익들, 용도들 또는 목적들에 국한된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다른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전송 프로토콜들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되며, 이들 중 일부는 선호되는 양상들에 대한 하기의 설명 및 도면들에서 예로서 설명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기보다는 단지 본 개시의 실례가 될 뿐이다.
대중적인 무선 네트워크 기술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들을 포함할 수 있다. WLAN은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킹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인근 디바이스들을 서로 상호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무선 프로토콜과 같은 임의의 통신 표준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기가헤르츠 이하 대역의 무선 신호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SSS: direct-sequence spread spectrum) 통신들, OFDM과 DSSS 통신들의 조합, 또는 다른 방식들을 사용하여 802.11ah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802.11ah 프로토콜의 구현들은 센서들, 계량(metering) 및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들에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802.11ah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특정 디바이스들의 양상들은 다른 무선 프로토콜들을 구현하는 디바이스들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약 1킬로미터 또는 그보다 더 먼 비교적 장거리에 걸쳐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WLAN은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컴포넌트들인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2가지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액세스 포인트("AP(access point)")들 및 (스테이션들 또는 "STA(station)들"로도 또한 지칭되는) 클라이언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P는 WLAN에 대한 허브 또는 기지국 역할을 하고, STA는 WLAN의 사용자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랩톱 컴퓨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바일 전화 등일 수 있다. 일례로, STA는 WiFi(예를 들어, 802.11ah와 같은 IEEE 802.11 프로토콜) 준수 무선 링크를 통해 AP에 접속하여, 인터넷에 대한 또는 다른 광역 네트워크들에 대한 일반적인 접속성을 획득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는 또한 AP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STA 또는 AP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노드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또한 Node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Radio Network Controller)"), eNodeB, 기지국 제어기("BSC(Base Station Controller)"), 기지국 트랜시버("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BS(Base Station)"), 트랜시버 기능("TF(Transceiver Function)"), 무선 라우터, 무선 트랜시버, 또는 다른 어떤 전문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스테이션인 "STA"는 또한, 액세스 단말("AT(access terminal)"),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이동국, 원격국,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또는 다른 어떤 전문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cordless)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어떤 적당한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교시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은 전화(예를 들어, 셀룰러폰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예를 들어, 랩톱),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헤드셋,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용 데이터 보조기기),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악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게임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글로벌 위치 결정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디바이스로 통합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들 중 특정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802.11ah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 STA로 사용되든 AP로 사용되든 아니면 다른 디바이스로 사용되든,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스마트 계량을 위해 또는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센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거나 가정 자동화에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대신에 또는 부가적으로 헬스케어 상황에, 예를 들어 개인 헬스케어에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또한 감시를 위해, (예를 들어, 핫스팟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확장된 범위의 인터넷 접속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또는 머신 간(machine-to-machine) 통신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상들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보여준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표준, 예를 들어 802.11ah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STA들(106)과 통신하는 AP(10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AP(104)와 STA들(106) 간의 전송들을 위해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FDMA 기술들에 따라 AP(104)와 STA들(106) 사이에서 신호들이 전송 및 수신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경우라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OFDM/OFDMA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으로, CDMA 기술들에 따라 AP(104)와 STA들(106) 사이에서 신호들이 전송 및 수신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경우라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CDMA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AP(104)로부터 STA들(106)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STA(106)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DL)(108)로 지칭될 수 있고, STA들(106)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STA(106)로부터 AP(104)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UL)(110)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운링크(108)는 순방향 링크 또는 순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도 있고, 업링크(110)는 역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도 있다.
AP(104)는 기본 서비스 영역(BSA: basic service area)(102)에서 기지국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무선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AP(104)는, AP(104)와 연관되며 통신을 위해 AP(104)를 사용하는 STA들(106)과 함께, 기본 서비스 세트(BSS: basic service set)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중앙 AP(104)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STA들(106) 간의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AP(104)의 기능들은 대안으로 STA들(106)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STA(106)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AP(104)는 다운링크(108)와 같은 통신 링크를 통해 시스템(100)의 다른 노드들인 STA들(106)에 비컨 신호(또는 단순히 "비컨")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노드들인 STA들(106)이 이들의 타이밍을 AP(104)에 동기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정보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컨들은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연속적인 송신들 사이의 기간은 수퍼프레임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비컨의 송신은 다수의 그룹들 또는 인터벌들로 분할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비컨은 공통 클록을 설정하기 위한 타임스탬프 정보,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 식별자, 디바이스 식별자, 성능 정보, 수퍼프레임 듀레이션, 송신 방향 정보, 수신 방향 정보, 이웃 리스트 및/또는 확장된 이웃 리스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이들 중 일부는 뒤에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다. 따라서 비컨은 여러 디바이스들 사이에 모두 공통인(예를 들어, 공유되는) 정보, 및 주어진 디바이스에 특정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STA(106)는 AP(104)로 통신들을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AP(104)로부터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AP(104)와 연관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연관하기 위한 정보는 AP(104)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비컨에 포함된다. 이러한 비컨을 수신하기 위해, STA(106)는 예를 들어,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넓은 커버리지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탐색은 또한, 예를 들어 등대 방식으로 커버리지 영역을 스위프(sweep)함으로써 STA(1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연관을 위한 정보를 수신한 후, STA(106)는 연관 프로브 또는 요청과 같은 기준 신호를 AP(104)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AP(104)는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공중 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더 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데 백홀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를 보여준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2)는 STA들(106) 중 하나 또는 AP(10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이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또한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206)는 프로세서(204)에 명령들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06)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4)는 일반적으로 메모리(2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을 기초로 논리 및 산술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206) 내의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 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로 구현된 처리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은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들,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gated)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용 하드웨어 유한 상태 머신들, 또는 정보의 계산들이나 다른 조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엔티티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처리 시스템은 또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식으로 지칭되든지 간에, 임의의 타입의 명령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될 것이다. 명령들은 (예를 들어, 소스 코드 포맷, 2진 코드 포맷, 실행 가능한 코드 포맷,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코드 포맷으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처리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02)와 원격 위치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기(210) 및/또는 수신기(21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20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210)와 수신기(212)는 트랜시버(214)로 결합될 수도 있다. 안테나(216)가 하우징(208)에 부착되고 트랜시버(2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200)는, 무선 디바이스(200)가 정보를 적극적으로 전송/수신하지 않는 저전력 또는 "선잠" 상태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214)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이 차단될 수 있다.
송신기(210)는 뒤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들이 선잠 상태에서 깨어나서 각성 상태로 들어갈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페이징 메시지들"로 지칭될 수 있는 메시지들을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210)는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04)에 의해 생성된 페이징 메시지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가 STA(106)로서 구현되거나 사용될 때, 프로세서(204)는 페이징 메시지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가 AP(104)로서 구현되거나 사용될 때, 프로세서(204)는 또한 페이징 메시지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신기(212)는 페이징 메시지들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트랜시버(214)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하여 정량화(quantify)하기 위한 노력에 사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218)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218)는 이러한 신호들을 총 에너지, 심벌당 부반송파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로서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20)를 포함할 수 있다. DSP(220)는 전송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패킷은 물리 계층 데이터 유닛(PPDU: physical layer data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일부 양상들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는 키패드, 마이크로폰,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임의의 엘리먼트 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226)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 시스템(226)은 예를 들어, 데이터 버스뿐만 아니라, 데이터 버스 외에도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무선 디바이스(202)의 컴포넌트들이 다른 어떤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에 대해 입력들을 받아들이거나 제공할 수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도 2에는 다수의 개별 컴포넌트들이 예시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컴포넌트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4)는 프로세서(204)에 관해 앞서 설명한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신호 검출기(218) 및/또는 DSP(220)에 관해 앞서 설명한 기능을 구현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예시된 컴포넌트들 각각은 복수의 개별 엘리먼트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AP(104) 또는 STA(106)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페이징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통신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AP(104) 또는 STA(106)는 페이징 메시지들의 송신기 또는 수신기 디바이스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은 송신기 또는 수신기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메모리(206) 및 프로세서(204)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용되는 신호 검출기(218)를 고려한다.
STA(106)는 복수의 동작 모드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06)는 액티브 모드로 지칭되는 제 1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액티브 모드에서, STA(106)는 항상 "각성"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AP(104)와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전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STA(106)는 절전 모드로 지칭되는 제 2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절전 모드에서, STA(106)는 "각성" 상태일 수도 있고, 또는 STA(106)가 AP(104)와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전송/수신하지 않는 "선잠" 또는 "수면" 상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106)의 수신기(212) 및 가능하게는 DSP(220)와 신호 검출기(218)는 감소된 전력 소비를 사용하여 선잠 상태로 동작할 수도 있다. STA(106)는 선잠 상태에서 트랜시버의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에서는, STA(106)가 AP(104)와 데이터를 전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특정 시점에 "깨어날"(예를 들어, 각성 상태로 들어갈)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STA(106)에 표시하는, AP(104)로부터의 메시지들(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들)을 청취하기 위해 간혹 STA(106)는 각성 상태로 들어갈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무선 통신 시스템들(100)에서, AP(104)는 AP(104)와 동일한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인 복수의 STA들(106)에 페이징 메시지들을 전송하여, STA들(106)에 대해 AP(104)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STA들(106)은 또한 이 정보를 사용하여, 자신들이 각성 상태일 필요가 있는지 아니면 선잠 상태일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06)가 자신이 페이징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한다면, STA(106)는 선잠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대안으로, STA(106)가 자신이 페이징될 수 있다고 결정한다면, STA(106)는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각성 상태에 들어가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고, 추가로 페이지를 기초로 언제 각성 상태에 있을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STA(106)는 페이지를 수신한 후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각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STA(106)는 페이징되고 있을 때나 페이징되고 있지 않을 때, 본 개시와 일치하는 다른 방식들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페이징 메시지들은 트래픽 식별 맵(TIM: traffic identification map)과 같은 (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양상들에서, 비트맵은 다수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징 메시지들은 비컨 또는 TIM 프레임에서 AP(104)로부터 STA들(106)로 전송될 수 있다. 비트맵 내의 각각의 비트는 복수의 STA들(106) 중 특정 STA(106)에 대응할 수 있으며, 각각의 비트의 값(예를 들어, 0 또는 1)은 대응하는 STA(106)가 취하고 있어야 하는 상태(예를 들어, 선잠 상태 또는 각성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트맵의 크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 STA들(106)의 수에 직접적으로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 상당수의 STA들(106)은 대형 비트맵을 야기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AP(104)에 의해 STA들(106)로 전송되는 복수의 분할된 페이징 메시지들(302)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축(304) 위에서 수평으로 페이지에 걸쳐 시간이 증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AP(104)는 복수의 페이징 메시지들(302)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페이징 메시지들(302)은 TIM 프레임, 비컨에서, 또는 다른 어떤 적절한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STA들(106)은 페이징 메시지들(302)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페이징 메시지들(302)에 따라, STA들(106)은 AP(104)에 요청들을 전송하고 AP(104)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페이징 프로세스는 상당수의 STA들(106)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페이징 메시지들(302)을 수신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TIM 내의 상당수의 STA들(106)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페이징 메시지들(302)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이는 TIM 뒤에 매체를 통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STA들(106)이 AP(104)에 요청들을 전송하려고 경쟁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2개의 STA들(106)이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AP(104)에 요청들을 전송하려고 시도하는 상황들에서는 AP(104)에 의해 손상된(corrupted) 데이터가 수신되는 결과를 야기하는 충돌들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폴링 요청 메커니즘(400)을 나타낸다. 도시된 폴링 요청 메커니즘(400)은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의 AP(104) 및 STA들(10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시간(424)에서부터 슬롯 시간(440)까지 수평으로 페이지에 걸쳐 시간이 증가한다. 도 4로 도시된 구현은 서로 다른 STA들이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얻기 위해 경쟁할 수 있는 경쟁 기반 시스템을 보여준다. 반면, 뒤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도 5 - 도 8은 뒤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도 4의 구현에 대해 다양한 양상들에서 개선점들을 가질 수 있는 대안적인 구현들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TIM(410)과 같은 페이징 메시지의 송신 이후, 페이징된 STA들(106)에 대해 시간 인터벌이 확보될 수 있다. 페이징되지 않은 STA들이 확보된 기간의 듀레이션 동안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연기하게 하도록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추가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페이징되지 않은 STA들이 자신들의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 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설정할 수 있도록 확보 프레임의 듀레이션 필드 값을 설정함으로써, 연기되는 액세스가 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페이징 프레임에 선행하거나 뒤따르는 추가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연기된 액세스가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프레임은 확보된 기간의 듀레이션을 표시한다.
확보된 시간 인터벌 동안, 페이징된 STA들(106)은 AP(104)에 요청들(예를 들어, 절전 폴(PS-POLL: Power Saving polls) 요청들(412, 416, 420))을 전송하고 AP(104)로부터 응답(예를 들어, 응답(414, 418, 422))을 수신할 수 있다. 다수의 페이징된 STA들(106)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보된 시간 인터벌 동안 다양한 방법들에 따라 경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페이징되지 않은 STA들(106)은 확보된 시간 인터벌 동안 경쟁할 수 없다. 확보된 시간 인터벌이 끝난다면, STA들(106)은 AP(104)에 요청들을 전송하기 위해 경쟁하기 시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AP(104)는 확보된 시간 인터벌의 듀레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확보된 시간 인터벌은 페이징된 모든 STA들(106)이 AP(104)에 요청들을 전송하고 AP(104)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확보된 시간 인터벌의 듀레이션은 페이징된 STA들(106)의 수의 함수일 수 있다.
폴링 요청 메커니즘(400)은 STA들(402, 404, 406)이 충돌들을 피하는 방식으로 AP(408)에 PS-POLL들(412, 416, 420)과 같은 요청들을 전송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STA들(402, 404, 406)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STA들(106)과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STA들(402, 404, 406)은 특정 순서로 AP(408)에 요청들을 전송할 수 있다. AP(408)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AP(104)와 유사할 수 있다. TIM(410)과 같은 페이징 메시지는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STA들(402, 404, 406)에 대한 순서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IM(410) 비트맵이 STA(402)와 STA(404) 둘 다 페이징된다고 표시한다면, TIM(410) 비트맵은 또한 STA(402)가 STA(404) 앞인지 아니면 뒤인지를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표시한다. 일례로, 순서는 비트맵 표현에서 페이징된 STA들이 나타나는 순서로 결정될 수 있다. 비트맵 {0, 1, 0, 0, 1, 1}을 고려하며, 여기서 위치 2의 비트와 연관된 STA는 위치 5의 비트와 연관된 STA 앞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게 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압축된 비트맵은 STA 식별자들의 리스트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스트에 STA 식별자들이 나타나는 차례가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리스트 {13, 25, 5, 22}를 고려하며, 여기서 식별자 "13"과 연관된 STA는 "5"로 식별되는 STA 앞에 오는 것으로 가정하게 된다. 다른 양상에서, 순서는 메시지 표현과 무관하게 STA 식별자의 값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TIM(410) 비트맵 시퀀스 내에서 STA(402, 404 또는 406)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TA(402, 404 또는 406)의 위치의 함수일 수 있다. 순서는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STA들(402, 404 및/또는 406)에 알려져 있다고 가정되는 다른 표시들에 추가로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는 페이징 메시지(예를 들어 TIM(410)) 내의 타이밍 동기화 함수(TSF: Timing Synchronization Function)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첫 번째 STA는 식별자가 "1"로 설정되며 TSF의 12개의 최하위 비트(LSB: least significant bit)들과 연관된 위치 뒤에서 순서가 첫 번째인, TIM(410) 비트맵 시퀀스 내의 위치를 갖는 STA일 수 있다. TSF를 기초로 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표시들을 포함하는 다른 많은 함수들이 포함될 수 있다. 순서의 계산에 TSF를 포함한 한 가지 유익한 결과는 각각의 송신에서 사용되는 TSF 부분이 서로 다르다면, 각각의 송신에서 순서가 바뀔 수 있다는 점이다.
일부 구현들에서는, 페이징 메시지의 송신 측이 순서 정보의 사용을 포함하는 임의의 기준들에 따라, 페이징된 STA들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측인 AP(408)는 STA들(402, 404, 406)의 QoS 요건들, 절전 요건들 또는 다른 성능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이들의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어떤 구현에서는, 페이징 메시지의 송신 측이 메시지에 순서의 명시적 표시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순서의 이러한 명시적 표시는 TIM(410) 비트맵을 기초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른 인자들을 기초로 할 수도 있다.
단지 예시를 위해, 그리고 한정으로 여겨지는 것은 아니면서, 도 4는 STA(402), STA(404), 그리고 다음에는 STA(406)의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STA(402)는 AP(408)에 요청을 전송할 첫 번째 STA일 수 있지만, STA(402)는 TIM(410) 바로 뒤에 그렇게 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STA들(402, 404, 406) 각각은 IEEE 802.11 표준에 정의된 분산 조정 함수(DCF: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또는 강화된 분산 채널 액세스(EDCA: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와 같은 매체 액세스 프로시저를 기초로 충돌 회피에 의한 반송파 감지 다중 액세스(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on avoidance)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매체 액세스 메커니즘에서, 프레임의 송신을 위해 매체에 액세스하길 원하는 STA(402, 404 또는 406)는 백오프(back-off) 카운터를 초기화한다. 백오프 카운터는 적절한 인터벌로 선택된 난수로 초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인터벌은 0과 경합 윈도우(CW: contention window)의 듀레이션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송신 매체(예를 들어 채널)가 유휴 상태인 ― 즉, 송신 매체 상에서 어떠한 활동도 검출되지 않는 동안에는 백오프 카운터가 감소될 수 있다. 분산 프레임 간 간격(DIFS: distributed inter-frame space) 또는 중재 프레임 간 간격(AIFS: arbitration inter-frame space)의 인터벌 동안에 어떠한 활동도 검출되지 않는다면, 송신 매체는 유휴 상태라고 여겨질 수 있다. DIFS 또는 AIFS 인터벌의 시간 동안 매체가 유휴 상태였던 이후에, 슬롯 시간과 같은 듀레이션의 각각의 추가 연속적 유휴 인터벌마다 한 단위씩 백오프 카운터가 감소될 수 있다. 매체 상에서 활동이 검출되면, 백오프 카운트다운은 정지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체가 다시 유휴 상태가 되면 재시작될 수 있다. STA들(402, 404, 406)은 백오프 카운터가 0 또는 카운터의 최저값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정수에 도달하면, 매체를 통해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DIFS 인터벌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으며
DIFS = SIFS + (2 * 슬롯 시간) (1)
여기서 SIFS는 짧은 프레임 간 간격이다. AIFS 인터벌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으며
AIFS = SIFS + (n * 슬롯 시간) (2)
여기서 n은 2보다 크거나 같다.
STA들(402, 404, 406) 각각은 결정론적 백오프 값을 사용하여 백오프 카운터를 초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백오프 카운터의 초기값은 페이징된 STA들(402, 404, 406)의 순서를 기초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402)에 대한 백오프 카운터의 초기값은 1일 수 있고, STA(404)에 대한 백오프 카운터의 초기값은 2일 수 있으며, STA(406)에 대한 백오프 카운터의 초기값은 3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백오프 카운터의 초기값은 각각의 STA(402, 404, 406)마다 서로 달라, 각각의 STA(402, 404, 406)가 서로 다른 시간 순간들에 매체에 액세스하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들(402, 404, 406)이 AP(408)와 통신하게 하는 채널이 슬롯 시간(424, 426, 428, 430, 432, 434, 436, 438, 440)의 듀레이션 동안 유휴 상태인 경우, 각각의 STA(402, 404, 406)에 대한 백오프 카운터가 백오프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 규칙적인 슬롯 시간은 IEEE 802.11 표준 또는 유사한 CSMA/CA 프로토콜에 정의된 슬롯 시간일 수 있다. STA들(402, 404 및/또는 406)은 이들의 각각의 백오프 값이 0 또는 카운터의 최저값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정수에 도달할 때 PS-POLL 요청(412, 416 및/또는 420)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되는 구현에서, 각각의 STA(402, 404, 406)는 STA(402, 404, 406)에 대해 버퍼링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해 AP(408)에 폴링 메시지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경우들에, 이는 추가 오버헤드를 생성하며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들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STA들이 TIM 프레임과 같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매체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개선된 방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매체 점유율을 감소시키고, 각각의 페이징된 STA(402, 404, 406)가 각성 상태인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또한,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현은 또한 숨겨진 노드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숨겨진 노드는 AP(408)와 통신하지만, 다른 STA들로부터 숨겨진 노드일 수 있다(즉, 다른 STA들은 숨겨진 노드의 존재를 알지 못한다). 이 경우, 매체를 감지하는 STA들의 능력에 의존하는 충돌 회피 기술들에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커니즘은 충돌들을 감소/제거하면서 채널에 대한 액세스 지연을 또한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TIM 페이지 뒤의 액세스 방식은 또한 예를 들어, 인접한 중첩된 기본 서비스 세트(OBSS: overlapping basic service set) 송신들을 다루도록 강력(robust)할 수도 있다. STA(404)와 같은 STA가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기본 서비스 세트들로 식별된다면, OBSS 송신(516)이 일어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기본 서비스 세트는 AP 및 연관된 STA들을 포함한다. OBSS 송신은 AP(408) 이외의 AP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결국, 한 구현에 따르면, AP(408)는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된 후 페이징된 STA들(402, 404, 406)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408)는 TIM 페이지(410) 프레임에 표시된 또는 알려진 특정 시간 인터벌에 대한 TIM 페이지(410) 뒤의 페이징된 STA들에 대해 독점적으로 통신 매체를 확보할 수 있다. AP(408)는 독점적 시간 인터벌에 대한 듀레이션을, AP(408)가 이러한 시간 인터벌 동안 다양한 페이징된 STA들에 전송할 계획이었던 버퍼링된 유닛들의 수(그리고 이들의 연관된 길이)를 기초로 추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된 TIM 페이지(4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AP(408)가 어떠한 데이터도 버퍼링하지 않은 모든 STA들은 명시된 듀레이션 동안 이들의 NAV를 설정할 수 있다. 페이징된(즉, AP(408)가 STA들(402, 404, 406)에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를 버퍼링했다고 TIM 페이지가 표시하는) STA들(402, 404, 406)은 "각성" 모드로 들어가 AP(408)로부터의 제어 메시지들을 청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뒤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AP(408)는 자신이 특정한 페이징된 STA(402)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계획하고 있다고 표시하는 제 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는 AP(408)가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계획하는 특정한 페이징된 STA(402)를 표시하는 전송 요청(RTS: request to send) 메시지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페이징된 STA(402)는 자신이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하는 제 2 제어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제어 메시지는 자신이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하는 전송 준비 완료(CTS: clear to send) 메시지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른 페이징된 STA들(404, 406)은 제 1 제어 메시지에 표시된 시간 기간 동안 수면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페이징된 모든 STA들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자신들에게 의도된 제 1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예를 들어, 이들이 어쩐 일인지 아직 수면중이었거나 OBSSS 송신과 같은 다른 어떤 상충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었던) 페이징된 STA들은 이후, 확보된 또는 확보되지 않은 시간 기간 동안 PS-POLL 프레임과 같은 폴링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AP(408)에 요청할 수 있다. 이는 AP(408)가 자신이 STA들 각각에 데이터 송신들을 전송할 것임을 표시한 후의 시간 기간 이후에 일어날 수 있다.
도 5는 TIM 페이지(510) 뒤의 AP(508) 시작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낸다. TIM 페이지(510)는 제 1 메시지로 지칭될 수 있다. AP(508)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모든 STA들(즉, 노드들)에 TIM 페이지(510)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IM 페이지(510)는 기본 서비스 세트에 의해 정의된 모든 STA들에 전송될 수 있다. TIM 페이지(510)의 송신은 스케줄링된 시간 인터벌 동안 주기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내의 STA들은 이들이 데이터를 수신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 경우에 선잠 상태에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내의 이러한 STA들은 스케줄링된 시간 인터벌 동안 선잠 상태에서 깨어나 TIM 페이지(510)를 수신하고, 아니면 TIM 페이지(510)가 해당 STA에 대해 데이터가 버퍼링된다고 표시하지 않는다면 선잠 상태로 돌아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IM 페이지(510)가 전송된 후, AP(508)는 페이징된 STA들 각각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508)는 페이징된 STA들(502, 504, 506)에 버퍼링된 데이터 유닛들의 송신을 위한 듀레이션의 기간(526)을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기간(526)은 TIM 페이지(510)에 명시되거나 알려질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기간은 페이징된 STA들의 수 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어떠한 데이터도 버퍼링되지 않은 (도시되지 않은) 페이징되지 않은 다른 STA들은 적어도 이러한 시간 기간(526) 동안 선잠 상태에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도시되지 않은) 페이징되지 않은 각각의 STA는 표시된 확보된 시간 기간 동안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를 설정할 수 있다.
AP(508)에 의해 TIM 페이지(510)가 전송된 후, AP(508)는 각각의 페이징된 STA(502, 504, 506)에 제 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자신이 버퍼링된 데이터(예를 들어, 버퍼링된 유닛들)을 갖는 각각의 페이징된 STA(502, 504, 506)를 폴링할 수 있다. 각각의 제 1 제어 메시지는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계획된 특정한 페이징된 STA(502, 504, 506)를 표시할 수 있다. AP(508)가 각각의 제 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의 순서는 TIM 비트맵에서 페이징된 STA들의 순서/위치 또는 다른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QoS 등)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AP(508)는 자신이 버퍼링된 데이터를 STA 1(502)에 전송할 계획임을 표시하는 제 1 제어 메시지(512a)를 전송할 수 있다. 페이징된 모든 STA들(502, 504, 506)이 깨어나 제 1 제어 메시지(512a)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제어 메시지(512a)는 STA(502)에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계획된 시간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제어 메시지(512a)에 표시되지 않은 STA들(504, 506)은 제 1 제어 메시지(512a)에 표시된 시간 기간을 기초로 이들의 NAV를 설정하고 그리고/또는 수면할 수 있다. 제 1 제어 메시지(512a)는 전송 요청(RTS) 메시지로서 구성되거나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깨어 있다면, STA 1(502)은 어떤 프레임 간격의 양 뒤에 제 2 제어 메시지(514a)로 제 1 제어 메시지(512a)에 응답할 수 있다. 제 2 제어 메시지(514a)는 STA 1(502)이 AP(508)로부터 데이터 송신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또는 수신하려고 계획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2 제어 메시지(514a)는 전송 준비 완료(CTS) 메시지로서 구성되거나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제 2 제어 메시지(514a)의 수신에 응답하여, AP(508)는 STA 1(502)에 의도된 데이터(516a)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TA 1(502)은 확인 응답 메시지(518a)를 전송할 수 있고, AP(508)는 확인 응답 메시지(518a)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제어 메시지(512a)에 명시된 시간 기간이 종료한 후, AP(508)는 자신이 버퍼링된 데이터를 STA 2(504)에 전송하려고 계획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후속 제 1 제어 메시지(512b)를 전송할 수 있다. 후속 제 1 제어 메시지(512b)는 또한 AP(508)가 STA 2(504)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계획한 시간 기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STA들(502, 506)은 제 1 제어 메시지(512b)에 표시된 시간 기간 동안 수면 모드에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 STA 2(504)는 어떠한 이유로 제 1 제어 메시지(512b)의 수신에 실패하거나 제 2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2(504)는 (예를 들어, 시간 기간(522) 동안) 어떠한 이유로 수면 모드에 있어 제 1 제어 메시지(512b)를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STA 2(50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OBSSS 송신을 수신하고 있거나 응답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AP(508)가 STA 2(504)로부터 제 2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다면, AP(508)는 어떠한 데이터도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AP(508)는 시간 기간(528)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어 메시지(512b)에 표시된 시간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다른 어떠한 제 1 제어 메시지들도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는 이러한 시간 동안 다른 STA들(502, 506)은 수면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 기간(528) 이후, AP(508)는 AP(508)가 버퍼링된 데이터를 STA 3(506)에 전송하려고 계획/요청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후속 제 1 제어 메시지(512c)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제어 메시지(512c)는 STA 3(506)으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STA들(502, 504)은 깨어나 제 1 제어 메시지(512c)를 수신하고 응답하여 이들의 NAV를 설정하고 그리고/또는 제 1 제어 메시지(512c)에 표시된 시간 기간의 듀레이션 동안 수면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페이징된 STA가 AP(508)로부터 자신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했다면, 그 STA는 듀레이션(526)의 나머지 동안 수면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NAV를 설정할 수 있다. 제 1 제어 메시지(512c)를 수신한 후, STA 3(506)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신이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하는 제 2 제어 메시지(514c)로 응답할 수 있다. 이후, AP(508)는 STA 3(506)에 데이터(516c)를 전송할 수 있다. AP(508)는 이후,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면, STA 3(506)으로부터 확인 응답 메시지(518c)를 수신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는, 확인 응답 메시지(518c)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AP(508)는 데이터를 재전송하려는 시도로 (도시되지 않은) 제 1 제어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AP(508)가 전송할 버퍼링된 데이터를 갖는 모든 STA들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 STA 2(504)는 시간 기간(524)에 깨어 있거나, 아니면 제 1 제어 메시지(512b)를 놓치거나 이에 응답하는 것이 불가능한 이후에 AP(508)와 통신(예를 들어, 충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STA 2(504)는 AP(508)에 폴링 메시지(520)를 전송하여, STA 2(504)에 대해 버퍼링된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 2(504)는 버퍼링된 유닛들의 송신에 대해 요청하는 PS-POLL을 AP(508)에 전송할 수 있다. 응답하여, AP(508)는 STA 2(504)에 데이터(516b)를 전송하고 확인 응답(518b)을 수신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 페이징된 STA들(502, 504 또는 506) 중 하나는 숨겨진 노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3(506)은 STA들(502, 504)에 대해 숨겨질 수도 있지만, 모두 AP(508)로부터의 송신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STA(502, 504, 506)가 AP(508) 응답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응답을 기다리는 것은 STA들(502, 504, 506)이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다.
일부 구현들에서, TIM 페이지와 같은 페이징 메시지는 STA들의 순서를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508)가 각각의 제 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의 순서는 TIM 비트맵에서의 페이징된 STA들의 순서/위치를 기초로 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들은 이들이 자신들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않는 시간들 동안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TA들은 TIM 비트맵에서 자신들의 순서/위치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508)는 각각의 STA가 이에 대해 버퍼링된 데이터를 갖는다고 표시할 수 있는 TIM 비트맵을 STA 1(502), STA 2(504) 및 STA 3(506)에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STA는 TIM 비트맵에서 자신이 식별된 순서를 결정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이 정보를 사용하여, 자신이 얼마나 오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을 차단하거나 수면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 3(506)은 TIM 비트맵에서 세 번째 STA일 수 있다. STA 3(506)은 이 정보를 사용하여, STA 1(502) 및 STA 2(504)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얼마나 오래 걸릴 수 있는지와 동등한 시간 기간 동안 수면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단일 STA로의 개별적인 전달을 위해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508)는 STA 1(502)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516a)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STA 1(502)에 대해서만 의도될 수 있어, STA 1(502)로의 전달을 위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시스템은 유니캐스트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STA 1(502)과 같은 STA와 AP(508) 간의 일대일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데이터는 복수의 STA들에 대해 의도된 멀티캐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STA 1(502), STA 2(504) 및 STA 3(506)에 대해 의도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데이터는 각각의 STA에 대해 의도될 수도 있고, 또는 STA들의 서브세트에 대해 의도될 수도 있다. 각각의 STA에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STA들에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P(508)는 복수의 STA들에 동시에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는 STA들이 AP(508)에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게 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상당수의 STA들에 데이터가 멀티캐스팅되도록 의도된 경우에는 상당수의 제어 메시지들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트래픽 맵 표시자 페이지 뒤의 액세스 포인트 시작 송신들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낸다. 이 구현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608)는 현재 STA가 어떤 추가적인 짧은 시간 기간과 함께 제 2 제어 메시지의 듀레이션 동안만 대기한 후에 제 2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다면, 다음 STA에 제 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짧은 시간 기간은 앞서 정의된 것과 같은 분산 프레임 간 간격(DIFS) 듀레이션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AP(608)는 페이징된 STA들(602, 604, 606)로의 버퍼링된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시간 기간(626)을 확보할 수 있는 TIM 페이지(610)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 유사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AP(608)는 이후, 자신이 STA 1(602)에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제 1 제어 메시지(612a)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TA 1(602)은 자신이 AP(608)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하는 제 2 제어 메시지(614a)를 전송할 수 있다. AP(608)는 이후, STA 1(602)에 데이터(616a)를 전송하고 확인 응답(618a)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AP(608)는 자신이 STA 2(608)에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후속 제 1 제어 메시지(612b)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이유들로(예를 들어, 충돌 또는 수면 모드임), STA 2(608)는 제 2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계획된 듀레이션 동안 대기하기보다는, AP(608)가 STA 2(604)로부터 제 2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AP(608)는 시간 기간(628)으로 부분적으로 도시된 DIFS와 같은 어떤 추가적인 정해진 양의 시간과 함께, 자신이 제 2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시간 기간 동안 대기한 후에 다른 제 1 제어 메시지(612c)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제어 메시지(612c)는 AP(608)가 STA 3(606)에 대해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의도하고 있음을 표시할 것이다. 이 경우, 제 1 제어 메시지들(612a, 612b, 612c)은, 대응하는 제 2 제어 메시지가 전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가 전송될 어떠한 시간 기간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페이징된 모든 STA들(602, 604, 606)은 제 1 제어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에는 듀레이션(626) 동안 그대로 각성 모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현들에서, 페이징된 STA가 자신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했다면, 이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후 듀레이션(626) 동안 수면 모드에 들어갈 수 있다.
제 1 제어 메시지(612c)가 전송된 후, STA 3(606)은 자신이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하는 제 2 제어 메시지(614b)를 전송할 수 있다. AP(608)는 이후, 데이터(616c)를 전송하고 확인 응답 메시지(618c)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STA 2(604)는 자신의 대응하는 제 1 제어 메시지(612b)에 응답하지 않았지만, STA 2(604)는 이후, 어떤 시점에 AP(608)로부터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STA 2(604)가 AP(608)에 폴링 메시지(620)(예를 들어, PS-POLL)를 전송하여 데이터 송신들을 요청할 수 있는 확보된 또는 확보되지 않은 시간 기간이 있을 수 있다. 응답하여, AP(608)는 대응하는 데이터(616b)를 전송하고 확인 응답 메시지(618b)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로 위에서 설명된 구현은 페이징된 STA들이 각성 상태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페이징된 STA들 중 하나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 확보된 송신이 별로 낭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구현은 일부 양상들에서, TIM 페이징 동안 STA들 중 적어도 일부는 액티브 상태가 아닌 경우에 모든 STA들에 대한 액세스 지연을 감소시키고 매체 이용을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트래픽 맵 표시자 페이지 뒤의 액세스 포인트 시작 송신들에 대한 다른 구현을 나타낸다. 이 경우, AP(708)는 또한 AP(708)에 의해 TIM 페이지(710)가 전송된 후, 페이징된 STA들(702, 704, 706)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듀레이션(726)을 확보할 수 있다. 듀레이션(726)은 TIM 페이지(710)에 표시되어, 페이징되지 않은 STA들이 수면 모드로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이후, AP(708)는 대응하는 페이징된 STA들(702, 704, 706)로부터 어떠한 응답들(예를 들어, 제 2 제어 메시지들)도 기다리지 않으며 버퍼링된 데이터를 페이징된 STA들(702, 704, 706)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IM 페이지(710)를 전송한 후, AP(708)는 AP(708)가 STA 1(712a)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계획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제 4 제어 메시지(712a)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AP(708)는 어떠한 응답도 기다리지 않고 STA 1(702)에 버퍼링된 데이터(716a)를 전송할 수 있고, 이후 STA 1(702)이 데이터(716a)를 수신했다면, STA 1(702)로부터 확인 응답 메시지(718a)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STA들(704, 706)에 대해 반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AP(70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제어 신호들(712b, 712c)을 전송하고 이후에는 STA들(704, 706)에 버퍼링된 데이터(716b, 716b)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STA 3(706)이 데이터(716c)를 수신했다면, AP(708)는 단지 STA 3(706)으로부터 확인 응답 메시지(718c)를 수신할 수 있다. AP(708)는 또한 제 4 제어 메시지 및 임의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임의의 다른 페이징된 STA들에 전송할 수 있다. 듀레이션(726) 내의 더 나중의 시간 기간이 또한 그 각각의 송신들을 수신하지 않은 페이징된 STA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 경우, 페이징된 STA 2(704)는 AP(708)에 폴링 메시지(720)(예를 들어, PS-POLL)를 전송하여 자신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응답으로, AP(708)는 STA 2(704)에 데이터(716b)를 전송할 수 있고, 응답으로 확인 응답 메시지(718b)를 수신할 수 있다. AP(708)는 다른 페이징된 STA들로부터 폴링 메시지들을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제 4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페이징된 STA가 자신이 막 전송되려는 데이터의 수신 측이 아니라고 결정한다면, 그 STA는 제 4 제어 메시지 내의 정보를 기초로 NAV 듀레이션 동안 선잠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각각의 페이징된 STA는 계속 깨어 있어 자신의 버퍼링된 데이터가 전송되기를 기다릴 수 있는데, 이는 제 4 제어 신호에 의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자신의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면, 페이징된 STA는 나머지 듀레이션(726) 동안 선잠 상태로 진행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4 제어 메시지는 자체 전송 준비 완료(CTS-To-Self: clear-to-send to self) 메시지로서 구성되거나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8은 트래픽 맵 표시자 페이지 뒤의 액세스 포인트 시작 송신들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낸다. 도 7과 비교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제어 메시지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페이징된 STA에 데이터가 전송될 것임을 표시하는 어떠한 제어 메시지들도 전송되지 않는다. 이 경우, AP(808)는 듀레이션(826) 내의 확보된 기간 동안 페이징된 모든 STA들(802, 804, 806)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버퍼링된 데이터의 각각의 패킷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니캐스트 시스템에서는 단일 STA에 대해, 또는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STA들에 대해 의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페이징된 STA(802, 804, 806)는 각자 해당 페이징된 STA(802, 804, 806)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를 확인할 때까지 각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후, 그리고 STA에 대해 버퍼링된 데이터가 더 이상 없다면, STA는 확보된 듀레이션(826)의 나머지 동안 선잠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페이징된 STA 2(804)에 데이터가 전송되었지만, 페이징된 STA 2(804)가 수면 중이었거나 충돌이 있었다면, STA 2(804)는 이후, 확보된(예를 들어, 보호) 또는 확보되지 않은 시간 인터벌 동안 폴링 메시지(820)를 전송하여 페이징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그 다음, AP(808)는 데이터(816b)를 재전송할 수 있고 확인 응답 메시지(818b)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는 도 5 - 도 8에서 설명된 구현들 각각 또는 이들의 결합들에 대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모드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드에 따라, AP와 STA들은 서로 다르게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모드는 다양한 동작 조건들 및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도 9는 트래픽 맵 표시자 페이지 뒤의 액세스 포인트 시작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블록(902)에서, 방법은 제 1 메시지가 전송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시간 기간들 동안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노드들에 통신 매체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한다. 제 1 메시지는 TIM 페이지에 대응할 수 있다. 블록(904)에서, 방법은 제 1 메시지가 전송된 후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프로세스는 도 5 - 도 8을 참조로 앞서 설명한 임의의 구현 또는 그 임의의 결합에 대응할 수 있다. 방법(900)은 액세스 포인트에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10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디바이스(1000)는 제 1 메시지가 전송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시간 기간들 동안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노드들에 통신 매체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1002)을 포함한다.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한다. 제 1 메시지는 TIM 페이지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한 구현에서,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블록(902)을 참조로 앞서 논의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제 1 메시지가 전송된 후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10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1004)은 블록(902)을 참조로 앞서 논의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단(1002)은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단(1004)은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트래픽 맵 표시자 페이지 뒤의 액세스 포인트 시작 송신들을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블록(1102)에서, 방법은 통신 매체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시지가 전송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시간 기간들 동안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노드들에 제 1 메시지가 전송된다.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한다. 블록(1104)에서, 방법은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프로세스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에 의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시작된다.
도 12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12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디바이스(1200)는 통신 매체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1202)을 포함한다. 제 1 메시지가 전송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시간 기간들 동안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노드들에 제 1 메시지가 전송된다.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1202)은 블록(1102)에 관해 앞서 논의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200)는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1204)을 더 포함하며, 이 프로세스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에 의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시작된다. 제 1 메시지는 TIM 페이지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1204)은 블록(1104)에 관해 앞서 논의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단(1202, 1204)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결정"이라는 용어는 광범위한 동작들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결정"은 계산, 컴퓨팅, 처리, 유도, 연구, 조사(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의 조사), 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수신(예를 들어, 정보의 수신), 액세스(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해결, 선택, 선출,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채널 폭"은 대역폭을 포괄할 수 있거나, 특정 양상들에서는 또한 대역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문구는 단일 멤버들을 비롯하여 이러한 항목들의 임의의 결합을 의미한다. 일례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그리고 a-b-c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또는 모듈(들)과 같이,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예시된 임의의 동작들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기능적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 신호(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에서, 설명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따라서 일부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유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즉,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따라서 특정 양상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이 저장(및/또는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특정 양상들의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또한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전송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은 적용 가능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이와 달리 획득될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서버에 연결되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예를 들어, RAM, ROM, 콤팩트 디스크(CD)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을 디바이스에 연결 또는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얻을 수 있도록, 이러한 저장 수단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위에서 예시된 정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의 배치,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 대해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들, 변경들 및 개조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의 기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의 다른 그리고 추가 양상들이 안출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32)

  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통신 매체상에서 복수의 노드들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송신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통신 매체가 확보되는(reserved) 제 1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메시지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제 1 노드에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제 1 노드에 전송된 후 제 1 듀레이션(duration) 내에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브세트의 제 2 노드에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은 상기 제 1 메시지가 송신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시간 기간들 동안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각각의 노드로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시간 기간 내에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각각의 노드에 대한 제 2 시간 기간을 확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는 각각의 개별적인 제 2 시간 기간 내에 송신되고 상기 장치가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가 송신되는 노드에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할 것이라고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개별적인 제 2 시간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부터 제 3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3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전송될 데이터를 요청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어 메시지는 절전 폴링(PS-POLL: power save polling)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서브세트의 노드들 각각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세트의 노드들 각각에 데이터가 송신된 후 상기 서브세트의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 3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포함되지 않은 노드들은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포함되지 않은 노드들은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 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에 대한 대응하는 제 2 시간 기간 동안 상기 노드로부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대응하는 제 2 시간 내에 상기 노드에 노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노드는 대응하는 제 2 시간 기간 내에 송신된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가, 데이터가 상기 서브세트의 다른 노드에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됨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대응하는 제 2 시간 기간 내의 제 3 시간 기간 동안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레이션은 분산 프레임 간 간격(DIFS: distributed inter-frame space)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세트의 제 1 노드는 제 2 노드의 제 2 시간 기간 동안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제 1 노드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에 제 1 노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에 제 1 노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노드는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 1 시간 기간 동안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드는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트래픽 표시 맵(TIM: traffic indication map)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IEEE 802.11ah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통신 매체상에서 복수의 노드들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송신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통신 매체가 확보되는 제 1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메시지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제 1 노드에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제 1 노드에 전송된 후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브세트의 제 2 노드에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통신 매체상에서 복수의 노드들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송신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통신 매체가 확보되는 제 1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메시지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제 1 노드에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제 1 노드에 전송된 후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 내에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브세트의 제 2 노드에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통신 매체상에서 복수의 노드들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송신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통신 매체가 확보되는 제 1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메시지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제 1 노드에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제 1 노드에 전송된 후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브세트의 제 2 노드에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3.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디바이스를 통해, 통신 매체상에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메시지는 복수의 노드들에 송신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송신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통신 매체가 확보되는 제 1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메시지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제 1 노드에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제 1 노드에 전송된 후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브세트의 제 2 노드에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4.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통신 매체상에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메시지는 복수의 노드들에 송신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송신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통신 매체가 확보되는 제 1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메시지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제 1 노드에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제 1 노드에 전송된 후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브세트의 제 2 노드에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무선 디바이스를 통해, 통신 매체상에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 1 메시지는 복수의 노드들에 송신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노드들에 데이터가 송신될 시점을 추가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통신 매체가 확보되는 제 1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메시지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위한 코드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위한 코드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서브세트의 제 1 노드에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제 1 노드에 전송된 후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 내에 상기 제 2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브세트의 제 2 노드에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47024815A 2012-02-13 2013-02-13 무선 통신 KR101616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7947P 2012-02-13 2012-02-13
US61/597,947 2012-02-13
US13/720,343 US9210720B2 (en) 2012-02-13 2012-12-19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 point triggered transmissions after traffic indication map paging
US13/720,343 2012-12-19
PCT/US2013/025960 WO2013123068A1 (en) 2012-02-13 2013-02-13 Wireless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157A KR20140130157A (ko) 2014-11-07
KR101616020B1 true KR101616020B1 (ko) 2016-04-27

Family

ID=4894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815A KR101616020B1 (ko) 2012-02-13 2013-02-13 무선 통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10720B2 (ko)
EP (1) EP2815543A1 (ko)
JP (1) JP6081495B2 (ko)
KR (1) KR101616020B1 (ko)
CN (1) CN104272666B (ko)
WO (1) WO2013123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4259A2 (en) 2012-03-06 2013-09-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upporting a large number of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609665B2 (en) * 2012-03-23 2017-03-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LAN system
CN104488347B (zh) * 2012-06-18 2018-11-06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lan系统中控制信道接入的方法和设备
WO2014003463A1 (ko) 2012-06-27 201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타입 지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GB2508608B (en) * 2012-12-04 2015-06-10 Broadcom Corp Data delivery
US20150095228A1 (en) * 2013-10-01 2015-04-02 Libo Su Capturing images for financial transactions
EP3089520B1 (en) * 2014-01-28 2018-09-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rvice transfer method and device
US10327204B2 (en) * 2014-05-09 2019-06-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mode operation in wireless LAN
KR102218970B1 (ko) 2014-06-20 2021-02-2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상향 다중 사용자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
US10827484B2 (en) 2014-12-12 2020-11-03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advertisement in neighbor aware network (NAN) data path
US10820314B2 (en) 2014-12-12 2020-10-27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advertisement in neighbor aware network (NAN) data path
US9949236B2 (en) * 2014-12-12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advertisement in neighbor aware network (NAN) data path
KR102379173B1 (ko) * 2015-01-06 202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S2964310T3 (es) 2015-03-12 2024-04-05 Ademco Inc Un sistema de comunicación en una red
KR101988861B1 (ko) * 2016-03-02 2019-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TWI602459B (zh) * 2017-02-22 2017-10-11 芯光飛股份有限公司 通訊系統及物聯網系統
US11825416B2 (en) * 2019-11-25 2023-11-21 Qualcomm Incorporated Skipping downlink frequency hops in unlicensed frequency ban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3996A1 (en) 2003-06-12 2004-12-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power-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80225811A1 (en) 2007-03-12 2008-09-18 Conexa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liable Broadcast and Multicast Transmission Ov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100067505A1 (en) 2003-11-10 2010-03-18 Yaron Fein Performan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04622D0 (en) * 1993-03-06 1993-04-21 Ncr Int Inc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pparatus
US7110380B2 (en) * 2001-02-07 2006-09-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bandwidth in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1318539B1 (ko) * 2003-05-14 2013-10-16 인텔 코포레이션 표시기들의 주기적인 측정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KR100526182B1 (ko) * 2003-05-30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을 이용한 무선 랜 통신방법
JP3708095B2 (ja) * 2003-08-12 2005-10-19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7298716B2 (en) * 2003-11-06 2007-11-20 Lucent Technologies Inc. Clustering based load adaptive sleeping protocol for ad hoc networks
US20050185666A1 (en) * 2004-02-23 2005-08-25 Maxim Raya Misbehaving detection method for contention-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US7385958B2 (en) * 2004-06-30 2008-06-10 Intel Corporation Ad hoc mode of operation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US7593417B2 (en) * 2005-01-21 2009-09-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ling broadcast and multicast traffic as unicast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US7881755B1 (en) 2005-05-26 2011-02-01 Marvell International Ltd. Wireless LAN power savings
US8880104B2 (en) 2006-03-03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Standby time improvements for st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8194587B2 (en) * 2006-11-09 2012-06-05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network supporting single to concurrent interfering wireless transmissions
US8077677B2 (en) 2007-01-31 2011-12-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group handling
KR100814404B1 (ko) * 2007-02-12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채널 할당이 가능한 무선 메쉬 네트워크 시스템 및그 채널 할당 제어방법
JP5072778B2 (ja) 2008-09-02 2012-1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基地局、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US8428514B2 (en) * 2009-05-15 2013-04-23 Telcordia Applied Research Center Taiwan, Co. Asymmetric and asynchronous energy conservation protocol for vehicular networks
KR101778958B1 (ko) 2010-03-09 2017-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유저의 전력 절감을 위한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US20110286375A1 (en) 2010-05-22 2011-11-24 Stmicroelectronics, Inc. Wga sta power saving
EP3091796B1 (en) 2011-01-16 2017-12-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mmunication based on indentifying information assignment and apparatus for the same
TWI565350B (zh) * 2011-09-26 2017-01-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基於共錨之聚合
KR101642312B1 (ko) * 2012-12-19 201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의 슬롯 방식 채널 액세스에서의 백오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3996A1 (en) 2003-06-12 2004-12-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power-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100067505A1 (en) 2003-11-10 2010-03-18 Yaron Fein Performan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225811A1 (en) 2007-03-12 2008-09-18 Conexa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liable Broadcast and Multicast Transmission Ov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2204A (ja) 2015-04-23
CN104272666B (zh) 2017-10-20
WO2013123068A1 (en) 2013-08-22
JP6081495B2 (ja) 2017-02-15
KR20140130157A (ko) 2014-11-07
CN104272666A (zh) 2015-01-07
US9210720B2 (en) 2015-12-08
US20130208637A1 (en) 2013-08-15
EP2815543A1 (en)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020B1 (ko) 무선 통신
KR101531008B1 (ko) 트래픽 표시 맵 페이징 이후 충돌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9019874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solving hidden node in synchronized DCF based channel access
KR102007520B1 (ko) 협대역 채널 선택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EP2761965B1 (en) Collision reduction mechanism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P282367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collisions after traffic indication map paging
RU260349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доступа к каналу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lan
US2014007195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existence of wireless networks
KR20140108271A (ko) 발견 및 페이징 메시지들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50124677A1 (en) Definition of different ndp ps-poll types
US20150117364A1 (en) Enhancements to subchannel selective transmission procedure
EP2926616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lay indication in a wireless me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