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824B1 - spontaneousness rescue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pontaneousness rescue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824B1
KR101615824B1 KR1020140154366A KR20140154366A KR101615824B1 KR 101615824 B1 KR101615824 B1 KR 101615824B1 KR 1020140154366 A KR1020140154366 A KR 1020140154366A KR 20140154366 A KR20140154366 A KR 20140154366A KR 101615824 B1 KR101615824 B1 KR 10161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unit
sound
sign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금순
Original Assignee
(주)정우비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우비앤에스 filed Critical (주)정우비앤에스
Priority to KR102014015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8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8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5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72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sonic detecting means, e.g. a microphone operating in the audio frequency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4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CTV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event CCTV cameras (100) to take images of a certain place; and a monitor connected to the event CCTV cameras (100) through a network (N). Each event CCTV camera comprises: a body unit (10) wherein a camera (20) to take images of the surroundings is installed; a microphone unit (30) installed in the body unit (10), detecting sound from the surroundings; an event analysis unit (40) which analyzes the sound detected by the microphone unit (30) to determine if the situation is normal or if any emergency occurs, and generates an event detection signal in case of an emergency; an optical sensor (50) which senses light in the surroundings, generating a night signal at night; an event-reactive operation unit (60) which generates an event operation signal if the optical sensor (50) generates a night signal, and the event analysis unit (40) generating an event detection signal; and a light unit (70) installed in the body unit (10), and emitting light in link with the event operation signal.

Description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spontaneousness rescue apparatus for vehicle}A spontaneousness rescu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급상황시 독자적으로 작동되어 경고광 및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피해자가 위급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CCTV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CCTV monitoring system that operates independently in an emergency to generate a warning light and a warning sound to enable a victim to escape from an emergency situation.

일반적으로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이란,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 CCTV 카메라와, 그 CCTV 카메라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 설치되는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CCTV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모니터로 전송되고, 모니터를 통하여 촬영하는 장소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Generally, a CCTV monitoring system is composed of a CCTV camera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and a monitor installed at a remote place through the CCTV camera and a wired / wireless network, and images captured by a CCTV camera are transmitted to a remote monitor through a network And monitor the place where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through the monitor.

CCTV 카메라는 과거에 사무실, 주택, 병원은 물론 은행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공공건물등의 내외에 설치되어 출입관리나 방범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범죄 예방목적으로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골목길의 전주나 지하주차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등 그 사용범위가 점차로 늘어나고 있다. 이와 관련된 CCTV 카메라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등록번호 10-1321444호에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In the past, CCTV cameras we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offices, homes, hospitals, banks and public buildings requiring security, and were used for access control and crime prevention. Recently, crime prevention crime prevention It is install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d its use range is gradually increasing.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related CCTV camera is disclosed in the patent registration No. 10-1321444 under the name CCTV monitoring system.

그런데 CCTV 카메라는 네트워크에 의하여 모니터 센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을 때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모니터로 전송되지 못하게 되어 범죄 상황을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없다.However, since the CCTV camera is connected to the monitor center by the network, when the network condition is not good, the image captured by the CCTV camera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 and the crime situation can not be monitored accurately.

또한 야간에 CCTV 카메라는 잘 인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CCTV 카메라 설치지역에서 범죄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CCTV 카메라는 범죄현장을 촬영하기는 하지만 범죄를 막거나 예방할 수 없었다. 따라서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범죄발생 이후 사후 처리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Also, since CCTV cameras are difficult to recognize at night, there have been cases where crime has occurred in a CCTV camera installation area. In this case, the CCTV camera shot the crime scene but could not prevent or prevent the crime.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mages taken by CCTV cameras were mainly used for post-processing purposes after the occurrence of cr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범죄 발생 가능성이 위급한 상황시 독자적으로 판단하여 경고광 및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CCTV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or preventing a crime by generating a warning light and a warning sound independently of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crime in an emergency, The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여 모니터의 연결이 되지 않아도 범죄 발생 가능성이 있을 때 자동으로 작동되어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CCTV monitoring system which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when a crime is likely to occur even if a problem occurs in a network and a monitor is not connected, thereby preventing cri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장소를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이벤트 CCTV 카메라(100)와, 상기 다수의 이벤트 CCTV 카메라(100)와 네트워크(N)를 통하여 연결되는 모니터(M)를 포함하는 CCTV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CCTV 카메라(100)는, 주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0)가 설치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주위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부(30); 상기 마이크부(3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정상상황인지 위급한 이벤트상황인지를 분석하고, 이벤트 상황시 이벤트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분석부(40); 주위의 광을 감지함으로써 야간이 되었을 때 야간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50); 상기 광센서(50)가 야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이벤트분석부(40)에서 상기 이벤트감지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이벤트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반응작동부(60);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작동신호에 연동되어 발광하는 라이트부(7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에는 전방측으로 개구된 소정깊이의 제1방향방음관(11) 및 그 제1방향방음관(11)의 좌우측으로 개구된 소정깊이의 제2,3방향방음관(12)(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2,3마이크(31)(32)(33)는 상기 제1,2,3방향방음관(11)(12)(13)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2,3방향방음관(11)(12)(13)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10) 내측으로 갈수로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이벤트분석부(40)는, 상기 제1,2,3마이크(31)(32)(33) 각각에서 일정한 음량 이상의 소리가 감지되었을 때 정상상황으로 분석하고;
상기 이벤트분석부(40)는, 상기 제1,2,3마이크(31)(32)(33) 중 특정한 마이크에서 사람의 목소리가 감지되되, 상기 목소리의 주파수가 일상적인 대화나 발소리등에 대응되는 설정주파수영역에 있을 때 정상상황으로 분석하며;
상기 이벤트분석부(40)는, 상기 제1,2,3마이크(31)(32)(33) 중 특정한 마이크에서 사람의 목소리가 감지되되, 상기 목소리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주파수영역보다 높을 때, 위급한 상황으로 분석하여 이벤트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작동신호에 연동되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80)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mergency CCTV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vent CCTV cameras 100 for photographing a specific place, a plurality of event CCTV cameras 100, And a monitor (M) connected to the event CCTV camera (100), wherein the event CCTV camera (100) comprises: a body (10) having a camera (20)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A microphone 30 mounted on the body 10 for sensing sounds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An event analyzer 40 for analyzing the sound generated by the microphone 30 to analyze whether it is a normal or urgent event and generating an event detection signal in the event of an event; An optical sensor (50) for generating a night signal when the nighttime is detected by sensing ambient light; An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for generating an event operation signal when the light sensor (50) generates a night signal and the even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event analysis unit (40); And a light unit (70) installed in the body part (10) and emitting light in conjunction with the event operation signal;
The body 10 has a first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 11 and a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s 12 open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irst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 11, (13) is form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are installed insi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s 11, 12 and 13;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proofing pipes 11, 12, and 13 are sloped up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1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vent analyzing unit 40 analyzes a normal state when sounds of a predetermined volume or more are detec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respectively;
The event analyzer 40 detects a human voice from a specific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and determines whether the frequency of the voice corresponds to a daily conversation, Analyzes to a normal situation when in the set frequency range;
The event analyzer 40 detects a human voice in a specific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and when the frequency of the voic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And generating an event detection signal by analyz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sound generator 80 is installed in the body 10 and generates a beep in response to the event operation signal.

삭제del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작동신호가 발생될 때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 및 상기 마이크부(30)에서 감지하는 소리를 저장하는 메모리(90)를 더 포함한다.A memory 90 installed in the body 10 for stor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and a sound sensed by the microphone 30 when the event activation signal is generated, ).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2,3마이크(31)(32)(33)에서 감지하는 소리에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20)가 이벤트 발생장소를 향하도록 하는 방향전환부(14)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20 is installed on the body part 10, and the camera 20 is moved to an event occurrence place in conjunction with sounds detec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a direction changing unit 14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ligh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부(70)는, 상기 몸체부(10)의 위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스듬한 각도가 형성된 링형태의 확산브라켓(71)과, 그 확산브라켓(71)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휘도 LED 롤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unit 7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body 10 and includes a ring-shaped diffusion bracket 71 formed at an oblique angle, and a plurality Includes two high-intensity LED rolls.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N) 상태가 좋지 않더라도 위급한 상황시 CCTV 카메라가 독자적으로 판단하여 경고광 및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network N is in a bad state, the CCTV camera independently judges an emergency in case of an emergency, and generates a warning light and a warning sound, thereby preventing or preventing a crime.

또한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장소로 카메라가 방향전환하여 촬영함으로써, 범죄 발생시 사후 처리를 위한 증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moving the camera to the place where the emergency occurs, the evidence can be obtained for post-processing in case of cr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CCTV 카메라가 전주 상단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CCTV 카메라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CCTV 카메라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CCTV 카메라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의 CCTV 카메라에 있어 제1,2,3방향방음관 및 제1,2,3방음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4의 제1,2,3방향방음관에 설치되는 마이크부가 제1,2,3마이크로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4 및 도 5의 라이트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CCTV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CCTV camera of FIG. 1 is installed at the top of a pol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CTV camera of FIG. 2,
4 is a side view of the CCTV camera of FIG. 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CTV camera of FIG. 3,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proofing pipe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proofing layers in the CCTV camera of FIG.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the microphones install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s of FIG. 4 are first, seco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rite unit of Figs. 4 and 5.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ergency CCTV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CCTV 카메라가 전주 상단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3은 도 2의 CCTV 카메라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CCTV 카메라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CCTV 카메라의 분해사시도이다. 또 도 6은 도 3의 CCTV 카메라에 있어 제1,2,3방향방음관 및 제1,2,3방음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제1,2,3방향방음관에 설치되는 마이크부가 제1,2,3마이크로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4 및 도 5의 라이트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CCTV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a CCTV camera of FIG. 1 is installed at the top of a pole.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CTV camera of FIG. 2. FIG. 4 is a side view of the CCTV camera of FIG. 2,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CTV camera of FIG.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proofing pipe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proofing layers in the CCTV camera of FIG. 3, and FIG. 7 is a cross- And the microphones provided in the pipe ar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rite unit of Fig. 4 and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장소를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이벤트 CCTV 카메라(100)와, 상기 다수의 이벤트 CCTV 카메라(100)와 네트워크(N)를 통하여 연결되는 모니터(M)를 포함하며, 모니터(M)는 모니터링 센터 내에서 모니터링 요원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한 다수의 이벤트 CCTV 카메라는 동일 구성을 가지며,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1개의 CCTV 카메라를 예로들어 설명하며, CCTV카메라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P)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emergency CCTV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vent CCTV cameras 100 for capturing a specific place, and a plurality of event CCTV cameras 100, And a monitor (M), which provides visual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personnel within the monitoring center.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event CCTV cameras have the same configuration, one CCTV camera is taken as an example for easy explanation, and the CCTV camera is illustrated as installed in the pole (P) as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CCTV 카메라(100)는, 주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0)가 설치되는 몸체부(10)와; 몸체부(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주위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부(30)와; 마이크부(3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정상상황인지 위급한 이벤트 상황인지를 분석하고, 이벤트 상황시 이벤트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분석부(40)와; 주위의 광을 감지함으로써 야간이 되었을 때 야간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50)와; 상기 광센서(50)가 야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이벤트분석부(40)에서 이벤트감지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이벤트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반응작동부(60)와; 몸체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작동신호에 연동되어 발광하는 라이트부(70)와; 몸체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작동신호에 연동되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80)와; 몸체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작동신호가 발생될 때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 및 상기 마이크부(30)에서 감지하는 소리를 저장하는 메모리(9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event CCTV camera 100 includes a body portion 10 on which a camera 20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is installed; A microphone 30 mounted on the body 10 for sensing sound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An event analyzer 40 for analyzing the sound generated by the microphone 30 to analyze whether it is a normal or an urgent event and generating an event detection signal in the event of an event; An optical sensor (50) which generates a night signal when it is at night by detecting ambient light; An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for generating an event operation signal when the optical sensor 50 generates a night signal and an even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event analysis unit 40; A light unit 70 installed in the body 10 for emitting light in conjunction with the event operation signal; A warning sound generator 80 installed in the body 10 f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in conjunction with the event operation signal; And a memory 90 installed in the body 10 for stor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and a sound sensed by the microphone 30 when the event activation signal is generated.

몸체부(10)는, 범죄위험이 많은 장소, 예를 들면 골목길의 전주(P)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카메라(20), 마이크부(30), 이벤트분석부(40), 광센서(50), 이벤트반응작동부(60), 라이트부(70), 경고음발생부(80) 및 메모리(90)가 일체화되게 설치된다. 이때 몸체부(10)의 하부측에는 반구형 커버(C)가 설치됨으로써, 카메라(20)가 비나 눈 또는 먼지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amera body 20 includes a camera 20, a microphone 30, an event analysis unit 40, an optical sensor 50, An event response operation section 60, a light section 70, a warning sound generation section 80, and a memory 90 are integrally provided. At this time, the hemispherical cover C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so that the camera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rain, snow, or dust.

몸체부(10)에는 카메라(20)의 촬영 방향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향전환부(14)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향전환부(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0)를 몸체부(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14a)와, 제1회전부(14a)를 몸체부(10)에 대하여 360도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14b)로 구성된다. 방향전환부(14)는 후술할 마이크부(30)에서 감지하는 소리의 방향에 연동하여 카메라(20)가 이벤트 발생장소를 향하도록 하며, 이러한 방향전환부(14)는 당업계에서 공지 기술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direction switching portion 14 for chang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20. 5,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4 includes a first rotation unit 14a that rotates the camera 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ody 10, and a second rotation unit 14b that rotates the first rotation unit 14a to the body unit And a second rotary part 14b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10 by 360 degrees.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4 directs the camera 20 to the event occurrence place in conjunction with the sound direction detected by the microphone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4 is a well-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카메라(20)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모니터(M)와 연결되며, 모니터링 요원은 모니터(M)를 통하여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카메라(20)의 주위에는 IR LED가 다수개 설치됨으로써, 야간에도 주위를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20)는 통상의 CCTV 카메라에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amera 20 is connected to a remote monitor M via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a monitoring person monitor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via the monitor M. [ 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IR LEDs are installed around the camera 2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hotograph the surroundings even at night. Since such a camera 20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CCTV camera, a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마이크부(30)는, 주위에서 발생되는 감지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고, 더 나아가 소리가 발생하는 방향을 특정한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제1마이크(31)와, 제1마이크(31)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2,3마이크(32)(33)를 포함한다. The microphone unit 30 generates a corresponding signal sensed by the surroundings, and further specifies a direction in which sound is generated. For this, the microphone unit 30 includes a first microphone 31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7, a second microphone 31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microphone 31, , And three microphones (32) and (33).

이때 소리가 발생하는 방향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몸체부(10)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개구된 소정깊이의 제1방향방음관(11) 및 그 제1방향향방음관(11)의 좌우측으로 개구된 소정깊이의 제2,3방향방음관(12)(13)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제1,2,3방향방음관(11)(12)(13) 내측에 상기 제1,2,3마이크(31)(32)(33)가 설치된다. In order to effectively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is generated, the body 10 includes a first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 11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opened to the front side as shown in FIGS. 4, 5 and 6, And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s (12) (13) open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directionally oriented sound pipe (11).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are installed insi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s 11, 12 and 13, respectively.

이때 제1,2,3방향방음관(11)(12)(13)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10)에 내측으로 갈수록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비나 눈이 제1,2,3방향방음관(11)(12)(13) 내측으로 들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proofing pipes 11, 12, and 13 are inclined upward toward the inside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1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rain or snow from being push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s 11, 12, 13.

제1,2,3방향방음관(11)(12)(13) 각각의 내주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재질, 예를 들면 고무재질로 된 제1,2,3방응층(11a)(12a)(13a)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전방측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전방측인 제1방향방음관(11)을 통하여 제1마이크(31)로 전달되지만, 좌측 및 우측의 제2,3방향방음관(12)(13)으로는 잘 전달이 되지 않는다. 즉 소리가 발생하는 방향에 따라 제1,2,3방향방음관(11)(12)(13)으로 전달되는 소리의 음량이 달라지며, 이러한 원리에 따라 제1,2,3마이크(31)(32)(33) 각각은 소리가 발생하는 방향을 특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first, second and third anti-corrosion layers 11a, 11b, and 12c are made of a soundproof material,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12a) and (13a). Accordingly, for example,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front sid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icrophone 31 through the first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 11, but the left and right sound-absorbing pipes 12 13). In other words, the volume of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s 11, 12, and 13 vari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is generated. (32) and (33) can specify the direction in which sound is generated.

이벤트분석부(40)는, 마이크부(3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통하여 정상상황인지 위급한 상황인지를 분석하고, 위급한 이벤트 상황시 이벤트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제1,2,3마이크(31)(32)(33) 각각에서 일정한 음량 이상의 소리가 감지되면, 이벤트분석부(40)는 몸체부(10)의 전방. 좌측 및 우측, 즉 사방에 많은 사람들이 있다라는 것으로 분석하고, 이 경우 이벤트분석부(40)는 안전한 상황으로 인식한다.
The event analyzing unit 40 analyzes whether a normal situation or an urgent situation exists through the sound generated by the microphone unit 30 and generates an event detection signal in an emergency event situation.
For example, if sounds of a predetermined volume or more are detected in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It is analyzed that there are a lot of peopl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at is, in every direction. In this case, the event analyzing unit 40 recognizes it as a safe situation.

또한 제1,2,3마이크(31)(32)(33) 중 특정한 마이크에서 사람의 목소리가 감지되되, 목소리의 주파수가 일상적인 대화나 발소리등에 대응되는 설정주파수영역에 있을 때, 이벤트분석부(40)는 안전한 상황으로 분석한다. 이는 특정한 마이크에 해당하는 방향에만 사람이 있다라는 것을 의미하지만, 특정 방향의 사람이 일상적인 활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이 역시 안전한 상황임을 의미한다. When a voice of a person is detected in a specific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and the frequency of the voice is in a set frequency range corresponding to a daily conversation, (40) analyzes into a safe situation. This means that there is a person only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microphone, but it means that a person in a specific direction is doing daily activities and this is also a safe situation.

그러나 제1,2,3마이크(31)(32)(33) 중 특정한 마이크에서 사람의 목소리가 감지되도, 목소리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주파수영역보다 높을 때, 이벤트분석부(40)는 위급한 상황으로 분석한다. 예를 들면, 골목길에서 강도를 만나거나 위협적인 상황이 될 때, 순간적으로 비명을 지르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소리가 상기 설정주파수영역보다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이벤트분석부(40)는 위급한 이벤트 상황으로 인식하고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라는 이벤트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이벤트감지신호는 이벤트반응작동부(60)로 전송한다. However, when the voice of a person is detected by a specific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and the frequency of the voice is higher than the preset frequency range, . For example, when an intruder meets with a strength in an alley or when a threatening situation occurs, the sound is instantly screamed. In this case, the sound generated at this time is higher than the set frequency region. In this case, the event analysis unit 40 recognizes the event as an emergency event and generates an event detection signal indicating that an event has occurred. The event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삭제delete

즉 이벤트분석부(40)는, 제1,2,3마이크(31)(32)(33)에서 감지되는 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위급한 이벤트상황임을 분석하는 것이다. That is, the event analyzing unit 40 analyzes the frequencies of the sounds detec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to analyze the emergency event.

한편 이벤트분석부(40)는, 제1,2,3마이크(31)(32)(33)에서 감지하는 소리의 음량신호를 분석하여, 이벤트 상항이 전방측에 발생되는지 혹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서 발생하는지 방향을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방향신호를 발생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리가 발생하는 방향에 따라 제1,2,3방향방음관(11)(12)(13)으로 전달되는 소리의 음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분석이 가능한 것이며, 이벤트분석부(40)는 음량차를 분석하여 이벤트방향을 특정하는 방향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신호는 이벤트반응작동부(60)로 전송된다.On the other hand, the event analyzing unit 40 analyzes the sound volume signals detec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to determine whether the event condition is gener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nd generates a direc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is is because the volume of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s 11, 12, and 13 vari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sound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 Can generate a direction signal that specifies the event direction by analyzing the volume difference. This dir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

이와 같이 이벤트분석부(40)는 상기한 제1,2,3마이크(31)(32)(33)에서 감지되는 소리에 따라 위급한 이벤트 상황임을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벤트 상황이 발생하는 방향까지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event analyzing unit 40 can analyze that the event is an emergency according to the sounds detec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And the direction can be analyzed.

광센서(50)는 야간이 되었을 때 야간신호를 발생한다. 통상 범죄가 발생하는 위급한 이벤트 상황은 어두운 야간에 발생하므로, 야간이 되었을 때 광센서(50)는 야간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후술할 이벤트반응작동부(60)를 대기 상태가 되게 한다. The optical sensor 50 generates a night signal when it is nighttime. Since an emergency event in which a crime occurs normally occurs in a dark nighttime, when the night is over, the light sensor 50 generates a night signal so that the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ut into a standby state.

이벤트반응작동부(60)는, 이벤트분석부(40)에서 이벤트감지신호가 발생되고 광센서(50)가 야간신호를 발생하였을 때, 라이트부(70) 및 경고음발생부(80)를 작동시키는 이벤트작동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야간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주간에는, 이벤트반응작동부(60)는 라이트부(70) 및 경고음발생부(8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The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operates the light unit 70 and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80 when an even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event analysis unit 40 and the optical sensor 50 generates a night signal And generates an event activation signal. Therefore, during the day when the night signal is not generated, the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does not operate the write unit 70 and the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80.

이벤트반응작동부(60)는 이벤트분석부(40)에서 발생한 방향신호에 따라 카메라(20)가 이벤트 상황이 발생된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전환부(14)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20)는 이벤트 상황이 발생되는 위치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controls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4 so that the camera 20 fac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vent situ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event analysis unit 40. [ Accordingly, the camera 20 can photograph a location where an event situation occurs.

라이트부(70)는, 이벤트반응작동부(60)에서 이벤트작동신호가 발생할 때 작동되는 것으로서, 몸체부(10) 주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휘도 LED(71) 로 구성된다. 이러한 라이트부(70)는 넓은 공간을 조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몸체부(10)에는 그 몸체부(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비스듬한 각도, 예를 들면 45 도 각도로 형성된 링형태의 확산브라켓(71)과, 그 확산브라켓(71)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휘도 LED 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라이트부(70)는 CCTV 카메라(100)가 설치된 주위를 넓은 범위로 조명할 수 있다. The light unit 70 is operated when an event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igh brightness LEDs 71 installed around the body unit 10. [ For this purpose, the light unit 70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diffusion bracket (not shown) formed at an oblique angle, for example,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10, 71 and a plurality of high-brightness LEDs provided in the diffusion bracket 71. [ Accordingly, the light unit 70 can illuminate the surroundings where the CCTV camera 100 is installed in a wide range.

한편 이벤트반응작동부(60)는 이벤트분석부(40)에서 1차 이벤트감지신호가 전송될 때 제1이벤트작동신호를 발생하고, 이벤트분석부(40)에서 2차로 이벤트감지신호가 전송될 때 제2이벤트작동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1이벤트작동신호와 제2이벤트작동신호가 발생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데 5초 내외가 적당하다. On the other hand, the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generates a first event operation signal when the first event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event analysis unit 40, and when the second event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event analysis unit 40 A second event activation signal can be generated. At this time, the time at which the first event operation signal and the second event operation signal are generated can be set, but about five seconds is appropriate.

또한 고휘도LED(7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카메라(100)가 설치되는 주위를 조명하기 위한 다수의 화이트LED(72)와. 경고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레드LED(73) 및 블루LED(7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레드LED(73)와 블루LED(74)는 교번으로 발광하여 경고상황을 극대화한다. The high-brightness LED 72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white LEDs 72 for illuminating the surroundings where the CCTV camera 10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And a plurality of red LEDs 73 and blue LEDs 74 used for warning purposes. At this time, a plurality of red LEDs 73 and blue LEDs 74 alternately emit light to maximize the warning situa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벤트반응작동부(60)에서 제1이벤트작동신호가 발생할 때 다수의 화이트LED(72)가 발광하여 CCTV 카메라(100) 주위를 환하게 조명하게 된다. 이 경우 위험한 상황을 제공하는 잠재 범죄자는 놀라서 당황하거나 도망가게 됨으로써 위급한 상황이 해소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a first event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a plurality of white LEDs 72 emit light and brightly illuminate the surroundings of the CCTV camera 100. In this case, potential criminals who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are surprised, embarrassed or run away, thereby resolving the emergency situation.

한편, 위급한 이벤트상황이 아니더라도 서로 놀이를 함에 따라 평소와는 다른 높은 주파수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 이 경우 이벤트분석부(40)는 제1이벤트작동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데, 제1이벤트작동신호에 따라 화이트 LED(72)만 발광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람의 경우 놀라는 일은 없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not an emergency event situa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oice of a high frequency different from usual one as playing each other. In this case, the event analyzer 40 can generate the first event operation signal. Since the white LED 72 emits light only in response to the first event operation signal, the general person is not surprised.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급한 상황이 계속 진행되고 이에 따라 잠채 피해자가 2차 비명을 지름으로써 이벤트반응작동부(60)가 제2이벤트작동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다수의 레드LED(73)와 블루LED(74)가 교번으로 발광하여 경고상황을 극대화한다. 이 경우 위험한 상황을 제공하는 잠재 범죄자는 결국 도망가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에 따라 위급한 상황이 완전 해소된다. Nevertheless,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continues and thus the event responding operation unit 60 generates the second event activation signal by the second victim screaming, the plurality of red LEDs 73 and the blue LEDs 74) alternately emit light to maximize the warning situation. In this case, potential criminals who offer a dangerous situation are highly likely to run away, thus eliminating the emergency situation.

경고음발생부(80)는 이벤트반응작동부(60)에서 이벤트작동신호가 발생할 때 경고음을 발생한다. 이러한 경고음발생부(80)는 스피커 또는 알람에 경고음발생회로가 연결됨으로써 구현된다. The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80 generates a warning sound when an event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 The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80 is implemented by connecting a warning sound generating circuit to a speaker or an alarm.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위급한 이벤트상황이 아니더라도 서로 놀이를 함에 따라 평소와는 다른 높은 주파수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 이 경우 이벤트분석부(40)는 제1이벤트작동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데, 제1이벤트작동신호가 발생할 경우 경고음발생부(80)는 작동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이벤트작동신호가 연속적으로 발생할 때 경고음발생부(80)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좀더 정확하게 위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event is not an emergency, the user can play a voice of a high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usual one as he plays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event analyzer 40 can generate the first event operation signal, and when the first event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alarm sound generator 80 can be disabled. However, when the second event operation signal is continuously generated, the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80 is activated, so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more accurately coped with.

메모리(90)는, 이벤트반응작동부(60)에서 이벤트작동신호가 발생할 때,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 및 상기 마이크부(30)에서 감지하는 소리를 저장한다. 메모리(90)에 저장된 정보는 향후 사고 관련 조사 및 사고 당시 상황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범죄 발생시 사후 처리를 위한 증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The memory 90 store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0 and a sound sensed by the microphone unit 30 when an event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90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future accident investig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an accident. As a result, evidence can be obtained for post-processing in the event of a crim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CTV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네트워크(N) 상태가 좋지 않더라도 위급한 상황시 CCTV 카메라(100)는 독자적으로 판단하여 경고광 및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CTV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network N is in a bad state, the CCTV camera 100 can prevent or prevent a crime by generating a warning light and a warning sound independently.

또한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장소로 카메라(20)가 방향전환하여 촬영함으로써, 범죄 발생시 사후 처리를 위한 증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20 can be turned and photographed in a place where an emergency occurs, thereby obtaining evidence for post-processing in the event of a crim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몸체부
11, 12, 13 ... 제1,2,3방향방음관 11a, 12a, 13a ... 제1,2,3방응층
14 ... 방향전환부 14a ... 제1회전부
14b ... 제2회전부 20 ... 카메라
30 ... 마이크부 31, 32, 33 ... 제1,2,3마이크
40 ... 이벤트분석부 50 ... 광센서
60 ... 이벤트반응작동부 70 ... 라이트부
71 ... 확산브라켓 72 ... 화이트LED
73 ... 레드LED 74 ... 불루LED
80 ... 경고음발생부 90 ... 메모리
10 ... body portion
11, 12, 13 ...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s 11a, 12a, 13a ... First,
14 ... direction switching portion 14a ... first rotating portion
14b ... second rotating part 20 ... camera
30 ... Microphone unit 31, 32, 33 ...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40 ... event analysis section 50 ... light sensor
60 ... Event response operation part 70 ... Light part
71 ... Diffusion Bracket 72 ... White LED
73 ... Red LED 74 ... Blue LED
80 ... alarm sound generating section 90 ... memory

Claims (7)

특정 장소를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이벤트 CCTV 카메라(100)와, 상기 다수의 이벤트 CCTV 카메라(100)와 네트워크(N)를 통하여 연결되는 모니터(M)를 포함하는 CCTV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CCTV 카메라(100)는,
주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0)가 설치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주위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부(30);
상기 마이크부(3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정상상황인지 위급한 이벤트상황인지를 분석하고, 이벤트 상황시 이벤트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분석부(40);
주위의 광을 감지함으로써 야간이 되었을 때 야간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50);
상기 광센서(50)가 야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이벤트분석부(40)에서 상기 이벤트감지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이벤트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반응작동부(60);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작동신호에 연동되어 발광하는 라이트부(7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에는 전방측으로 개구된 소정깊이의 제1방향방음관(11) 및 그 제1방향방음관(11)의 좌우측으로 개구된 소정깊이의 제2,3방향방음관(12)(13)이 형성되며;
제1,2,3마이크(31)(32)(33)는 상기 제1,2,3방향방음관(11)(12)(13)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2,3방향방음관(11)(12)(13)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10) 내측으로 갈수로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이벤트분석부(40)는, 상기 제1,2,3마이크(31)(32)(33) 각각에서 일정한 음량 이상의 소리가 감지되었을 때 정상상황으로 분석하고;
상기 이벤트분석부(40)는, 상기 제1,2,3마이크(31)(32)(33) 중 특정한 마이크에서 사람의 목소리가 감지되되, 상기 목소리의 주파수가 일상적인 대화나 발소리등에 대응되는 설정주파수영역에 있을 때 정상상황으로 분석하며;
상기 이벤트분석부(40)는, 상기 제1,2,3마이크(31)(32)(33) 중 특정한 마이크에서 사람의 목소리가 감지되되, 상기 목소리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주파수영역보다 높을 때, 위급한 상황으로 분석하여 이벤트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1. A CCTV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event CCTV cameras 100 for capturing a specific location and a monitor M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vent CCTV cameras 100 via a network N, The camera 100,
A body portion 10 on which a camera 20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is installed;
A microphone 30 mounted on the body 10 for sensing sounds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An event analyzer 40 for analyzing the sound generated by the microphone 30 to analyze whether it is a normal or urgent event and generating an event detection signal in the event of an event;
An optical sensor (50) for generating a night signal when the nighttime is detected by sensing ambient light;
An event response operation unit (60) for generating an event operation signal when the light sensor (50) generates a night signal and the even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event analysis unit (40);
And a light unit (70) installed in the body part (10) and emitting light in conjunction with the event operation signal;
The body 10 has a first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 11 and a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s 12 open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irst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 11, (13) is form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are installed insi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absorbing pipes 11, 12 and 13;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soundproofing pipes 11, 12, and 13 are sloped up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1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vent analyzing unit 40 analyzes a normal state when sounds of a predetermined volume or more are detec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respectively;
The event analyzer 40 detects a human voice from a specific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and determines whether the frequency of the voice corresponds to a daily conversation, Analyzes to a normal situation when in the set frequency range;
The event analyzer 40 detects a human voice in a specific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and 33, and when the frequency of the voic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And an even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analyzing an emergency situ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작동신호에 연동되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arning sound generator (80) installed in the body (10) and generating a warning sound in conjunction with the event activation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작동신호가 발생될 때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 및 상기 마이크부(30)에서 감지하는 소리를 저장하는 메모리(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memory 90 installed in the body 10 for storing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20 and sounds sensed by the microphone 30 when the event activation signal is generated, An emergency CCTV monitor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2,3마이크(31)(32)(33)에서 감지하는 소리에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20)가 이벤트 발생장소를 향하도록 하는 방향전환부(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rection changing unit 32 installed in the body 10 for directing the camera 20 toward an event occurrence place in response to a sound sens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phones 31, 32, (14).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부(70)는,
상기 몸체부(10)의 주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스듬한 각도가 형성된 링형태의 확산브라켓(71)과, 그 확산브라켓(71)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휘도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unit (70)
And a plurality of high-brightness LEDs mounted on the diffuser bracket 71, the diffuser bracket 71 having a ring shape formed at an oblique angle and provided around the body portion 10, Monitoring system.
KR1020140154366A 2014-11-07 2014-11-07 spontaneousness rescue apparatus for vehicle KR1016158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66A KR101615824B1 (en) 2014-11-07 2014-11-07 spontaneousness rescue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66A KR101615824B1 (en) 2014-11-07 2014-11-07 spontaneousness rescue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824B1 true KR101615824B1 (en) 2016-05-13

Family

ID=5602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366A KR101615824B1 (en) 2014-11-07 2014-11-07 spontaneousness rescue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82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474B1 (en) * 2016-11-22 2017-03-15 (주)윈투스시스템 GIS based CCTV monitoring system
KR20230060668A (en)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아이티유 Closed circuit television selectively exposed in emergency situations
KR102631333B1 (en) * 2022-11-11 2024-01-31 주아정보 주식회사 Danger sensing apparatus of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danger sensing method
KR102637248B1 (en) * 2023-10-16 2024-02-15 박삼열 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474B1 (en) * 2016-11-22 2017-03-15 (주)윈투스시스템 GIS based CCTV monitoring system
KR20230060668A (en)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아이티유 Closed circuit television selectively exposed in emergency situations
KR102631333B1 (en) * 2022-11-11 2024-01-31 주아정보 주식회사 Danger sensing apparatus of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danger sensing method
KR102637248B1 (en) * 2023-10-16 2024-02-15 박삼열 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026B1 (en) The hybrid security streetlamp system
KR101615824B1 (en) spontaneousness rescue apparatus for vehicle
JP2012178134A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monitoring and early fire alarming
WO2017161880A1 (en) Regional monitoring and alarming system and alarming method
KR20100106049A (en) A crime prevention system
JP2013109440A (en) Security camera apparatus
JP2010282316A (en) Security light pole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JP2006331388A (en) Crime prevention system
JPWO2010024281A1 (en) Monitoring system
KR101483614B1 (en) Outdoor security apparatus using motion detection
JP2009015536A (en) Suspicious person report device, suspicious person monitoring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948195B1 (en) Image security system
KR101138212B1 (en) Fir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and motion sensor
JP2008020981A (en) Monitoring system
KR101950755B1 (en) System for Public Place Securit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8500603A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1019378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ng composite video and audio status in tetrapod
JP4516715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KR101415848B1 (en) Monitering apparatus of school-zone using detection of human body and vehicle
JP2006003941A (en) Emergency report system
ES2298446T3 (en) SIGNAL INSTALLATION WITH IMAGE FORMATION SENSOR.
CN108604401B (en) Camera device
KR101631403B1 (en) Security camera linked emergency button with passive infrared sensor
KR102197888B1 (en) Security System
KR20150012028A (en) Total alar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