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248B1 - 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 Google Patents

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248B1
KR102637248B1 KR1020230137537A KR20230137537A KR102637248B1 KR 102637248 B1 KR102637248 B1 KR 102637248B1 KR 1020230137537 A KR1020230137537 A KR 1020230137537A KR 20230137537 A KR20230137537 A KR 20230137537A KR 102637248 B1 KR102637248 B1 KR 102637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sound output
output device
soun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7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삼열
박임수
Original Assignee
박삼열
박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삼열, 박임수 filed Critical 박삼열
Priority to KR102023013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2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2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Abstract

본 발명은 CCTV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상단에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하단에 카메라부가 구비됨에 따라 주변 환경을 감시하는 것과 동시에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CTV bracket, and more specifically,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housing, and a camera uni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so that it can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utput a sound signal at the same time. This relates to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Description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본 발명은 CCTV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상단에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하단에 카메라부가 구비됨에 따라 주변 환경을 감시하는 것과 동시에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CTV bracket, and more specifically,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housing, and a camera uni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so that it can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utput a sound signal at the same time. This relates to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최근에는 공동주택 단지 내 승강기 안이나 놀이터 등에서 약자를 대상으로 추행 폭행 등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 CCTV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as safety accidents such as molestation and assault against the weak occur frequently in elevators or playgrounds in apartment complexes, the installation of CCTV is becoming mandatory in various places.

일반적으로 상가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치되는 CCTV는 방범을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일정한 위치를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안정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CCTV가 설계되어 설치되고 있다.In general, CCTVs installed for purposes such as shopping malls have the main purpose of crime prevention, so CCTVs are designed and installed to enable stable surveillance by continuously filming a certain location.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단순히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감시하는 것으로는 범죄를 미연에 예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CCTV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는 다양한 시각정보나, 소리정보가 필요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다기능 CCTV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re is a limit to preventing crimes by simply filming and monitoring through cameras, and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CCTV is installed, various visual or sound information is required, so a multi-functional CCTV with various functions is required. The need is emerging.

이때, 다기능 CCTV의 경우, CCTV에 부가되는 각종 기능에 따라 CCTV를 구성하는 하우징(케이스, 브라켓)이 일반적인 CCTV의 하우징과는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자명하며, 이러한 다기능 CCTV용 하우징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975359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multi-functional CCTV, it is obvious that the housing (case, bracket) that makes up the CCTV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housing of a general CCTV according to the various functions added to the CCTV, and one of the technologies for housing for such multi-functional CCTV is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7535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s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적외선 카메라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해충이 유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식 해충퇴치기 모듈이 설치할 수 있도록 수납함이 구비된 다기능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부재, 수납함, 전기식 해충퇴치기 모듈 등의 장치들이 부가되어 있다. The prior art is intended to prevent pests from being attracted by heat generated from an infrared camera, and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urveillance camera equipped with a storage box so that an electric pest exterminator module can be installed. This is a housing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Devices such as storage members, storage boxes, and electric pest exterminator modules are added to the interior.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다양한 음향을 출력하는 등의 기능은 부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향을 원활하게 출력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용 하우징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since the above prior art does not add functions such as outputting various sounds, a dedicated housing that can smoothly perform the function is needed in order to smoothly output sound.

등록특허공보 제10-0975359호 2010.08.0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75359 2010.08.05.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우징의 상단에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하단에 카메라부가 구비됨에 따라 주변 환경을 감시하는 것과 동시에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at the top of the housing and a camera unit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to improv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provides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as it is configured to output sound signals at the same time as monitoring.

본 발명은 상부면에 소리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소리 출력홀(121)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소리 관통홀(111)측으로 소리를 출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 상기 소리 관통홀(111)로 입력되는 소리를 상기 소리 출력홀(121)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리 전달부(300);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400); 및 상기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와 카메라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having a sound penetration hole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holes 121 formed on the side;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00 to output sound toward the sound through hole 111; A sound transmission unit 30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configured to transmit the sound input through the sound penetration hole 111 to the sound output hole 121; A camera unit 40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nd the camera unit 400.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면에 소리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상부체(110); 및 측면에 복수 개의 소리 출력홀(121)이 배열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110)의 하단에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ousing 100 includes an upper body 110 in which a sound penetration hole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body 120 that has a plurality of sound output holes 121 arranged on the side and can b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10.

한편, 상기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관 형태로 구성되는 내측 혼 챔버(210); 내측 혼 챔버(210)와의 사이에 소리가 출력되는 제 1전달통로(W1)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 혼 챔버(210)의 상단과 외측을 둘러싸게 형성되는 외측 혼 챔버(220); 및 내측 혼 챔버(210)의 내부에서 내측 혼 챔버(210)의 상방으로 소리를 출력하게 구비되는 스피커(24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includes an inner horn chamber 210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outer horn chamber 220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and outer sides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to form a first transmission passage W1 through which sound is output between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a speaker 240 provided within the inner horn chamber 210 to output sound upward from the inner horn chamber 210.

한편, 상기 내측 혼 챔버(210)와 외측 혼 챔버(220)는, 하단이 상기 내측 혼 챔버(210)의 상단과 체결되고, 상단이 외측 혼 챔버(220)의 상단측과 체결되게 구성되는 고정부재(230)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outer horn chamber 220 are fixed so that the lower end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horn chamber 220. It can be fixed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by the member 230.

한편, 상기 소리 전달부(3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이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의 하단과 체결되는 중심몸체(310); 상방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커지는 나팔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중심몸체(310)의 하단측에 체결되는 내측 전달관(320); 및 상방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커지는 나팔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내측 전달관(320)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의 외측 하단 둘레와 체결되는 외측 전달관(330);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ound transmitting unit 300 includes a central body 310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ose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n inner delivery tube (320)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op to bottom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body (310); And an outer transmission tube tha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is fastened to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while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inner transmission tube 320 ( 330); may include.

한편, 상기 외측 전달관(330)은, 상단 둘레가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의 외측 혼 챔버(220)의 하단 둘레를 밀폐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outer transmission pipe 330 may be fastened so that its upper circumference seals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horn chamber 220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한편, 상기 소리 전달부(300)는, 내측 전달관(320)과 외측 전달관(330)의 하단측 사이에 소리 출력홀(121)이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ound transmission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a sound output hole 121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inner transmission pipe 320 and the outer transmission pipe 330.

한편, 상기 내측 전달관(320)과 외측 전달관(330)의 사이 간격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게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gap between the inner delivery pipe 320 and the outer delivery pipe 330 may be configured to gradually increase downward.

한편, 상기 카메라부(400)는, 렌즈부분이 360°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하부체(120)의 카메라 설치홈(122)에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amera unit 400 has a lens portion that can rotate 360° and can be installed in the camera installation groove 122 of the lower body 120.

한편, 상기 카메라부(400)는,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amera unit 400 may be fastened to be detachable.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상단에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하단에 카메라부가 구비됨에 따라 주변 환경을 감시하는 것과 동시에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housing, and a camera uni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so that it can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utput a sound signal at the same time, allowing various functions to be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혼타입 소리출력장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1차로 증폭되고, 증폭된 소리가 소리 전달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2차로 증폭되게 구성됨에 따라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 소리를 증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is firstly amplifi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and the amplified sound is configured to be secondarily amplifi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unit, thereby maintain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mplify sou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브라켓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브라켓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브라켓의 설치 실시예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CTV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the CCTV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CTV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are diagrams of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CCTV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CCTV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CCTV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상단에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하단에 카메라부가 구비됨에 따라 주변 환경을 감시하는 것과 동시에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CTV bracket, and more specifically,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housing, and a camera uni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so that it can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utput a sound signal at the same time. This relates to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하우징(100),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 소리 전달부(300), 카메라부(40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rised of a housing 100,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 sound transmission unit 300, a camera unit 400, and a control unit.

상기 하우징(100)은 CCTV 브라켓의 몸체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면에 소리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소리 출력홀(121)이 형성된다. The housing 100 is intended to form the body of a CCTV bracket, and a sound penetration hole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holes 121 are formed on the side.

상술하면,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면에 소리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상부체(110) 및 측면에 복수 개의 소리 출력홀(121)이 배열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110)의 하단에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체(120)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housing 100 has an upper body 110 in which a sound penetration hole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holes 121 are arranged on the side, so that the housing 10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10. It includes a lower body 120 that can be fastened.

이때, 상기 상부체(110)에는 소리 관통홀(111)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112 that protrudes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ound penetration hole 111.

한편, 상기 하부체(120)의 하단에는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의 형태로 구성되는 카메라 설치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체(120)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소리 전달부(300)가 거치되는 거치대(1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camera installation groove 122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120 in the form of a groove concave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holder 123 that protrudes upward and on which the sound transmitting unit 300 is moun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체(110)와 하부체(120)는 다양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조립되어 하우징(100)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들이 구비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configured as above can be assembled by various physical or chemical methods to form the housing 100, and various parts are provided inside to protect i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는 원하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소리 관통홀(111)측으로 소리를 출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5 to 7,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is for outputting a desired sound, and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00 to output sound toward the sound through hole 111. It is provided in

여기서, 상기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는 소리가 출력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증폭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내측 혼 챔버(210), 외측 혼 챔버(220) 및 스피커(240)를 포함하는 이중 챔버의 형태로 구성된다.Here,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is configured to primarily amplify the sound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sound, and for this purpose, it includes an inner horn chamber 210, an outer horn chamber 220, and a speaker 240. It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double chamber.

상기 내측 혼 챔버(2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관 형태로 구성된다. The inner horn chamber 2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외측 혼 챔버(220)는 내측 혼 챔버(210)와의 사이에 소리가 출력되는 제 1전달통로(W1)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 혼 챔버(210)의 상단과 외측을 둘러싸게 형성된다. The outer horn chamber 220 is formed to surround the top and the outside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so that a first transmission passage (W1) through which sound is output is formed between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inner horn chamber 210.

즉, 상기 외측 혼 챔버(220)는 내부가 중공인 관 형태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는 나팔관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측이 밀폐되고, 하단측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어 내측 혼 챔버(210)가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내부에 구비된다. That is, the outer horn chamber 2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whose inside is hollow and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downward, and the upper side is sealed and the lower side is open, so that the inner horn chamber ( 210) is provided inside in a non-contact state.

이때, 상기 내측 혼 챔버(210)와 외측 혼 챔버(220)는 고정부재(230)에 의해 상호 구성의 사이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outer horn chamber 220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a fixing member 230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m.

상기 고정부재(230)는 하단이 상기 내측 혼 챔버(210)의 상단과 체결되고, 상단이 외측 혼 챔버(220)의 상단측과 체결되게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고정용 프레임(231), 내측 고정부(232), 외측 고정부(233)를 포함한다. The fixing member 230 is configured so that its lower end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its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horn chamber 220. For this purpose, a fixing frame 231, an inner high Includes the top (232) and the outer fixing portion (233).

상기 고정용 프레임(231)은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원환과 원황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31c)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내측 혼 챔버(210)와 외측 혼 챔버(220)의 사이에 구비된다. The fixing frame 231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frame 231c that connects a pair of ring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ing to form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outer horn chamber 220. ) is provided between.

상술하면, 상기 고정용 프레임(231)은 하부원환(231b)이 내측 혼 챔버(210)의 상부면과 밀착되고, 상부원환(231a)이 외측 혼 챔버(220)의 내측 하부면과 밀착됨에 따라 상호 구성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게 한다.In detail, the fixing frame 231 has the lower ring 231b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upper ring 231a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outer horn chamber 220. A gap is formed between mutual compositions.

이때, 상기 연결 프레임(231c)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의 형태로 구성되어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부원환(231a)과 하부원환(231b)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소리 출력통로가 밀폐되지 않게 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frame (231c)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illa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radially arranged to connect the upper ring (231a) and the lower ring (231b) and prevent the sound output passage from being sealed. .

한편, 상기 내측 고정부(232)는 고정용 프레임(231)의 하부원환(231b)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원환(231b)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개구된 내측 혼 챔버(210)의 상단 둘레가 억지 끼움된다.Meanwhile, the inner fixing portion 232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ring 231b of the fixing frame 231 and is dispos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ring 231b, and has an open inner horn chamber ( 210) is tightly fitted around the top.

상술하면, 상기 내측 고정부(232)는 돌출된 하부 끝단의 외측모서리에 테이퍼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 개구된 내측 혼 챔버(210)의 둘레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됨에 따라 상호 구성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inner fixing part 232 has a mutual configuration as a taper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protruding lower end, and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to which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open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is fitted. Can be fitted together.

한편, 상기 외측 고정부(233)는 상단용 고정 프레임의 상부원환(231a)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측 혼 챔버(220)의 상단에 고정 체결되게 구성된다.Meanwhile, the outer fixing part 233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ring 231a of the upper fixing frame and is fixedly fastened to the top of the outer horn chamber 220.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내측 혼 챔버(210)와 외측 혼 챔버(22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호 구성이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outer horn chamber 220 can be fixed to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at a regular interval.

한편, 상기 스피커(240)는 내측 혼 챔버(210)의 내부에서 내측 혼 챔버(210)의 상방으로 소리를 출력하게 구비된다.Meanwhile, the speaker 240 is provided to output sound from inside the inner horn chamber 210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상술하면, 상기 스피커(240)는 내측 혼 챔버(210)의 내주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리가 출력되는 출력단이 내측 혼 챔버(210)의 개구된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구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peaker 240 may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may be configur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utput end through which sound is output is the inner horn chamber 210. It is provided with the opening facing upward.

한편, 상기 내측 혼 챔버(210)의 상단 내측에는 스피커(240)의 상단측이 고정되는 스피커 안착부(211)가 형성되고, 스피커(240)의 하단에는 스피커 고정부(250)가 체결되어 스피커(240)가 내측 혼 챔버(2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speaker mounting portion 211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to which the upper side of the speaker 240 is fixed, and a speaker fixing portion 250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peaker 240 to secure the speaker. (240) may b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inner horn chamber 210.

이때, 상기 스피커 안착부(211)는 스피커(240)의 상단측 외주 둘레가 설치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구속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는 고무,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패드가 구비되어 스피커(240)의 상단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peaker seating portion 211 may be configured to restra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upper side of the speaker 240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installed posi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a cushioning pad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or elastomer. This allows the top of the speaker 240 to be fixed more stably.

한편, 상기 스피커 고정부(250)는 중심부에 스피커(240)가 관통 삽입되는 투입홀이 형성되어 내측 혼 챔버(210)의 내부에 고정 구비되는 스피커 고정 프레임(251) 및 상기 투입홀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스피커(240)의 하단측을 지지하는 스피커 커버(252)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speaker fixing part 250 is formed with an input hole through which the speaker 240 is inserted in the center, and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speaker fixing frame 251 fixed inside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input hole. It includes a speaker cover 252 that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speaker 240.

이때, 상기 스피커 고정 프레임(251)은 외주 둘레가 내측 혼 챔버(2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스피커 커버(252)의 상부면에는 스피커(240)의 하단측이 내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며, 홈에는 고무,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완충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peaker fixing frame 251 is fixed with its outer circumferen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speaker 24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peaker cover 252. A groove is formed, and the groov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ushioning pad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or elastomer.

이에 따라, 상기 스피커(240)는 투입홀을 통해 내측 혼 챔버(210)의 내부 상단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스피커(240)가 배치된 이후, 스피커 커버(252)로 투입홀을 밀폐하게 되면, 스피커 커버(252)가 스피커(240)의 하단을 상방으로 가압하면서 스피커(240)의 상단과 하단을 구속함으로써 스피커(24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peaker 240 is locat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through the input hole. After the speaker 240 is placed, the input hole is sealed with the speaker cover 252. , the speaker cover 252 presses the bottom of the speaker 240 upward and restrains the top and bottom of the speaker 240, so that the speaker 240 can be fixedly installed.

아울러, 스피커(240)가 고장나거나 점검이 필요한 경우, 투입홀을 개방하여 스피커(240)를 분리하여 다룰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speaker 240 breaks down or requires inspection, the speaker 240 can be separated and handled by opening the input hole.

상기한 구성에 따라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는 스피커(240)에서 소리가 출력되면, 제 1전달통로(W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1차로 소리가 증폭되어 소리 관통홀(111)로 전달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240,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mplifies the sound first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passage W1 and transmits it to the sound penetration hole 111. It can be.

한편, 도 2 내지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리 전달부(300)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증폭하여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소리 관통홀(111)로 입력되는 소리를 상기 소리 출력홀(121)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sound transmitting unit 300 is for amplifying and transmitting the sound output from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nd is input into the sound through hole 111.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ound to the sound output hole 121 and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0.

여기서, 상기 소리 전달부(300)는 중심몸체(310), 내측 전달관(320) 및 외측 전달관(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sound transmission unit 300 includes a central body 310, an inner transmission pipe 320, and an outer transmission pipe 330.

상기 중심몸체(3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이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의 하단과 체결된다. The central body 31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s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상술하면, 상기 중심몸체(310)는 상단측이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의 내측 혼 챔버(210)의 하단측에 삽입 체결되어 소리 전달부(300)와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In detail,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body 310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to provide the sound transmitting unit 300 and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내측 전달관(320)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커지는 나팔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중심몸체(310)의 하단측에 체결된다. Meanwhile, the inner delivery tube 3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op to bottom and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body 310.

상술하면, 상기 내측 전달관(320)은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나팔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단 둘레가 중심몸체(310)의 하단과 연결되게 구비되며, 하부체(120)의 내부에서 거치대(123)의 상부에 거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delivery tube 3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pened, and the upper circumference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body 310, and a holder ( 123).

한편, 상기 외측 전달관(330)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커지는 나팔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내측 전달관(320)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의 외측 하단 둘레와 체결된다.Meanwhile, the outer transmission tube 3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inner transmission tube 320 and is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It is fastened to the bottom circumference.

상술하면, 상기 외측 전달관(330)은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나팔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내측 전달관(320)과의 사이에 제 2전달통로(W2)가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delivery tube 3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pened, and is provided to be spaced upward so that a second delivery passage (W2) is formed between it and the inner delivery tube 320. .

또한, 상기 외측 전달관(330)은 상단 둘레가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의 외측 혼 챔버(220)의 하단 둘레를 밀폐하도록 체결되어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소리가 제 2전달통로(W2)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outer transmission pipe 330 is fastened so that its upper circumference seals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horn chamber 220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so that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is suppressed. 2 Allows it to flow into the delivery channel (W2).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리 전달부(300)는 내측 전달관(320)과 외측 전달관(330)의 하단측 사이에 소리 출력홀(121)이 배치되게 구비되어,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로부터 출력된 소리가 제 2전달통로(W2)를 통해 소리 출력홀(121)로 출력될 수 있다. The sound transmission unit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ound output hole 121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transmission pipe 320 and the outer transmission pipe 330, so that the sound output hole 121 can be transmitted from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The output sound may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hole 121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W2).

이때, 제 2전달통로(W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리가 2차로 증폭되게 하기 위해 상기 내측 전달관(320)과 외측 전달관(330)의 사이 간격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allow the sound to be amplified secondarily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passage (W2), the gap between the inner transmission pipe 320 and the outer transmission pipe 330 may be configured to gradually increase downward. .

아울러, 상기 내측 전달관(320)과 외측 전달관(330)의 사이에는 상호 구성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 1간격 유지부(340)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호 구성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inner transmission pipe 320 and the outer transmission pipe 330, a plurality of first space maintaining parts 340 are radially disposed to connect the component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omponents is constant. It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중심몸체(310)와 외측 전달관(330)의 상단 둘레 사이에는 상호 구성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 2간격 유지부(350)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호 구성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central body 310 and the upper periphery of the outer transmission pipe 330, a plurality of second space maintaining portions 350 connecting the components are radially disposed to keep the distance between the components constant. It can be maintained.

한편, 상기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가 설치된 소리 출력홀(121)에는 고정커버(130)가 구비되어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에 설치된 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Meanwhile, a fixing cover 130 is provided in the sound output hole 121 where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is installed so that it is fixed in the position installed on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상술하면, 상기 고정커버(130)는 중심부에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가 관통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소리 출력홀(121)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하부면에 구비됨에 따라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커버(130)가 소리 출력홀(121)에 결합되어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가 설치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In detail, the fixing cover 130 has a hole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which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is inserted, and a fixing protrusion that fits into the sound output hole 121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ereby forming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With the sound output device 200 coupled to the housing 100, the fixing cover 130 is coupled to the sound output hole 121 to stably fix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in the installed position.

이때, 상기 고정커버(130)의 내주둘레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의 외측 둘레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rubber packing is provid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cover 130 to elastically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한편, 상기 카메라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변 환경을 촬영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camera unit 40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0 to captu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상술하면, 상기 카메라부(400)는 외부 환경을 촬영하는 렌즈부분이 360°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하부체(120)의 카메라 설치홈(122)에 설치되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amera unit 400 is configured so that the lens part for photographing the external environment can be rotated 360°, is installed in the camera installation groove 122 of the lower body 1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take pictures. One video can be transmitted.

이때, 상기 카메라부(400)는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필요시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mera unit 400 is fastened to be detachable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when necessary.

한편,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CCTV 브라켓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와 카메라부(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for controlling the CCTV bracket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nd the camera unit 400.

상술하면,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 기기, 관리서버 등과 같은 관리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by being connected to a management device such as a smart device, a management server, etc. by wire or wirelessly, and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0.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리기기로 전달하고, 관리기기에서는 이를 화면출력장치를 통해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CCTV 브라켓이 설치된 장소를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unit 400 to the management device in real time, and the management device outputs the video through a screen output device to monitor and manage the place where the CCTV bracket is installed. .

이때, 상기 카메라부(400)는 360°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원하는 방향의 경관을 비추도록 관리기기를 통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데, 이는 관리기기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명령하거나 또는 일정 사이클에 따라 카메라부(400)가 회전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mera unit 400 is equipped to rotate 360°, and a command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management device to project the scenery in a desired direction. This can be done directly by the manager through the management device or according to a certain cycle. The camera unit 400 can be set in advance to rotate.

또한, 상기 제어부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에서 다양한 종류의 소리(음원)이 출력되게 하는데, 단순 광고, 음악, 생활정보 또는 경고음 등 다양한 소리 정보가 출력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llows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to output various types of sounds (sound sources), and can output various sound information such as simple advertisements, music, lifestyle information, or warning sounds.

상술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평상시 광고나 음악, 날씨 또는 뉴스 등의 음원을 송출하고, 상기 카메라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can normally transmit sound sources such as advertisements, music, weather, or news, and output a warning sou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in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unit 400.

이때, 상기 하우징(100)에는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설정된 범위 내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는 평상시 음원이 자동으로 송출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using 100 is equipped with a detection sensor, and when it detects that a pedestrian exists within a set range, the control unit can automatically transmit a sound source as usual.

또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소리센서(마이크)가 구비되어, 방범이나 보행자 안전에 관련된 소리가 인식되는 경우, 경보음이 자동으로 출력되게 하거나 또는 관리기기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00 is equipped with a sound sensor (microphone), so that when a sound related to crime prevention or pedestrian safety is recognized, an alarm sound is automatically output, or the manager can directly input a command through the management device. there is.

이때, 상기 제어부가 인식할 소리에 대한 정보는 특정 단어나 일정 수준을 초과한 데시벨(Db)로 관리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about the sound to be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can be set in advance by the manager to a specific word or a decibel (Db) exceeding a certain level.

한편,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CTV 브라켓은 하우징(100)과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을 둘러싸게 구비되어 구조물의 설치대(B)와 체결되는 연결용 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CCTV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urround the housing 100 and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nd is a connection cover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stand (B) of the structure. It may further include (500).

상술하면, 본 발명은 건축물이나, 상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다양한 설치물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이때, CCTV 브라켓이 직접 설치대(B)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연결용 커버(500)에 의해 CCTV 브라켓의 상단이 보호된 상태로 구조물에 설치되어 내구성을 향상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installed on the top of a building or various installation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CTV bracket can be used in direct connection with the installation stand (B), but the CCTV bracke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ver 500. Durability can also be improved by being installed on the structure with the top of the bracket protected.

상기 연결용 커버(500)는 CCTV 브라켓의 상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와 하우징(100)의 상부가 보호되게 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cover 50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CCTV bracket to protect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nd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0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이때, 상기 연결용 커버(500)의 하단 둘레에는 경사진 외측 하방으로 돌출되는 스커트부가 더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측면 둘레를 보호하는 한편, 미관적인 효과를 더 부여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skirt portion protruding slanted outwardly and downward is further provid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cover 500 to protect the side perimeter of the housing 100 and provide an additional aesthetic effect.

한편, 설치 조건이나 또는 심미적인 기준에 따라 CCTV 브라켓은 설치대(B)와의 체결방향을 수직 또는 수평 중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다.Meanwhile, depending on installation conditions or aesthetic standards, the CCTV bracket can be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stand (B) by selecting either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상술하면, 수직 방향으로 설치대(B)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연결용 커버(500)의 상단에는 결합부재(510)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대(B)와 체결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대(B)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연결용 커버(500)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는 결합부재(510)가 구비되어 설치대(B)와 체결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base (B)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oupling member 51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connection cover 500 and is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base (B), and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base (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fastened, a coupling member 5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r side of the connection cover 500 and can be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stand (B).

이때, 결합부재(510)는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도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체결하는 방향에 따라 작업자가 편리한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member 510 may be composed of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tools, which can be selected and used as convenient for the operator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fastening.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 둘레에는 조명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a lighting unit 600 may be further provid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00.

상술하면,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는 조명 설치홈이 둘레를 따라 내입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600)는 복수 개의 LED가 내장된 띠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조명 설치홈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lighting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lighting unit 6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with a plurality of LEDs embedded therein, and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lighting installation groove. You can.

한편, 상기 조명부(60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Meanwhile, the lighting unit 6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0 and can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40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에는 방범장치 또는 통신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연결용 커버(5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보조장치(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housing 10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n auxiliary device 700 that is composed of a crime prevention device or a communication device and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cover 500.

상술하면, 상기 보조장치(700)는 고정된 상태로 설정된 위치를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감시하는 고정형 감시카메라나, 방범용 레이더 장치 등의 방범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용 커버(500)의 외측에 설치되어 방범의 목적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In detail, the auxiliary device 700 consists of a crime prevention device such as a fixed surveillance camera or a crime prevention radar device that continuously photographs and monitors a fixed location, and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cover 500. It can be used for crime prevention purposes.

또는 상기 보조장치(700)는 안테나, 무선통신장치 등의 통신장치로 이루어져, CCTV 브라켓과 관리서버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auxiliary device 700 may be composed of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n antenna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ay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CCTV bracket and the management server.

물론, 상기 보조장치(700)는 방범장치와 통신장치를 혼용하여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auxiliary device 700 can add various functions by installing a combination of a crime preven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B : 설치대
W1 : 제 1전달통로 W2 : 제 2전달통로
100 : 하우징
110 : 상부체 111 : 소리 관통홀
112 : 지지부
120 : 하부체 121 : 소리 출력홀
122 : 카메라 설치홈 123 : 거치대
130 : 고정커버
200 : 혼타입 소리출력장치
210 : 내측 혼 챔버 211 : 스피커 안착부
220 : 외측 혼 챔버
230 : 고정부재 231 : 고정용 프레임
231a : 상부원환 231b : 하부원환
231c : 연결 프레임
232 : 내측 고정부 233 : 외측 고정부
240 : 스피커
250 : 스피커 고정부 251 : 스피커 고정 프레임
252 : 스피커 커버
300 : 소리 전달부
310 : 중심몸체 320 : 내측 전달관
330 : 외측 전달관 340 : 제 1간격 유지부
350 : 제 2간격 유지부
400 : 카메라부
500 : 연결용 커버 510 : 결합부재
600 : 조명부 700 : 보조장치
B: Installation stand
W1: 1st transmission channel W2: 2nd transmission channel
100: housing
110: upper body 111: sound through hole
112: support part
120: lower body 121: sound output hole
122: Camera installation groove 123: Holder
130: Fixed cover
200: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210: Inner horn chamber 211: Speaker seating portion
220: outer horn chamber
230: Fixing member 231: Fixing frame
231a: upper ring 231b: lower ring
231c: connection frame
232: inner fixing part 233: outer fixing part
240: speaker
250: Speaker fixing part 251: Speaker fixing frame
252: Speaker cover
300: Sound transmission unit
310: central body 320: inner transmission tube
330: outer transmission pipe 340: first gap maintenance part
350: 2nd gap maintenance part
400: Camera unit
500: Cover for connection 510: Coupling member
600: Lighting unit 700: Auxiliary device

Claims (10)

상부면에 소리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소리 출력홀(121)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소리 관통홀(111)측으로 소리를 출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
상기 소리 관통홀(111)로 입력되는 소리를 상기 소리 출력홀(121)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리 전달부(300);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400); 및
상기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와 카메라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관 형태로 구성되는 내측 혼 챔버(210);
내측 혼 챔버(210)와의 사이에 소리가 출력되는 제 1전달통로(W1)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 혼 챔버(210)의 상단과 외측을 둘러싸게 형성되는 외측 혼 챔버(220); 및
내측 혼 챔버(210)의 내부에서 내측 혼 챔버(210)의 상방으로 소리를 출력하게 구비되는 스피커(240);
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혼 챔버(210)와 외측 혼 챔버(220)는,
하단이 상기 내측 혼 챔버(210)의 상단과 체결되고, 상단이 외측 혼 챔버(220)의 상단측과 체결되게 구성되는 고정부재(230)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
A housing 100 having a sound penetration hole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holes 121 formed on the side;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00 to output sound toward the sound through hole 111;
A sound transmission unit 30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configured to transmit the sound input through the sound penetration hole 111 to the sound output hole 121;
A camera unit 40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nd the camera unit 400;
Includes,
The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n inner horn chamber 210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extending vertically;
an outer horn chamber 220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and outer sides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to form a first transmission passage W1 through which sound is output between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A speaker 240 provided within the inner horn chamber 210 to output sound upward from the inner horn chamber 210;
Includes,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outer horn chamber 220,
The lower end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horn chamber 210, and the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horn chamber 220 by a fixing member 230 to maintain a certain gap.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면에 소리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상부체(110); 및
측면에 복수 개의 소리 출력홀(121)이 배열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110)의 하단에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체(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
In claim 1,
The housing 100 is,
An upper body 110 in which a sound penetration hole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body 120 with a plurality of sound output holes 121 arranged on the side and provided to b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10;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부면에 소리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소리 출력홀(121)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소리 관통홀(111)측으로 소리를 출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
상기 소리 관통홀(111)로 입력되는 소리를 상기 소리 출력홀(121)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리 전달부(300);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400); 및
상기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와 카메라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소리 전달부(3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이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의 하단과 체결되는 중심몸체(310);
상방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커지는 나팔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중심몸체(310)의 하단측에 체결되는 내측 전달관(320); 및
상방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커지는 나팔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내측 전달관(320)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의 외측 하단 둘레와 체결되는 외측 전달관(3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
A housing 100 having a sound penetration hole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holes 121 formed on the side;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00 to output sound toward the sound through hole 111;
A sound transmission unit 30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configured to transmit the sound input through the sound penetration hole 111 to the sound output hole 121;
A camera unit 40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nd the camera unit 400;
Includes,
The sound transmitting unit 300,
A central body 310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os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An inner delivery tube (320)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op to bottom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body (310); and
The outer transmission tube 3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is fastened to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while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inner transmission tube 320. );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전달관(330)은,
상단 둘레가 혼타입 소리출력장치(200)의 외측 혼 챔버(220)의 하단 둘레를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
In claim 5,
The outer transmission pipe 330 is,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ircumference is fastened to seal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horn chamber 220 of the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20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전달부(300)는,
내측 전달관(320)과 외측 전달관(330)의 하단측 사이에 소리 출력홀(121)이 배치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
In claim 5,
The sound transmitting unit 300,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ound output hole 121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transmission pipe 320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transmission pipe 33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전달관(320)과 외측 전달관(330)의 사이 간격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
In claim 5,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transmission pipe 320 and the outer transmission pipe 330 is,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that gradually becomes louder as it moves down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400)는,
렌즈부분이 360°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카메라 설치홈(12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
In claim 1,
The camera unit 400,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s part is configured to rotate 360° and is installed in the camera installation groove 122 of the housing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400)는,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타입 소리출력장치가 구비된 CCTV 브라켓.
In claim 1,
The camera unit 400,
A CCTV bracket equipped with a horn-type sound output device that is detachably fastened.
KR1020230137537A 2023-10-16 2023-10-16 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KR102637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7537A KR102637248B1 (en) 2023-10-16 2023-10-16 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7537A KR102637248B1 (en) 2023-10-16 2023-10-16 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248B1 true KR102637248B1 (en) 2024-02-15

Family

ID=8989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7537A KR102637248B1 (en) 2023-10-16 2023-10-16 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24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385A (en) * 1999-04-02 2000-11-15 윤종용 Speaker system of game TV set
KR100975359B1 (en) 2008-07-14 2010-08-11 김민수 Multi purpose camera for CCTV
KR101615824B1 (en) * 2014-11-07 2016-05-13 (주)정우비앤에스 spontaneousness rescue apparatus for vehicle
KR101651877B1 (en) * 2016-03-02 2016-08-29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Integrated multi-directional and automatic monitoring camera and multi-purpose automatic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80012153A (en) * 2016-07-26 2018-02-05 이연택 Portable speaker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385A (en) * 1999-04-02 2000-11-15 윤종용 Speaker system of game TV set
KR100975359B1 (en) 2008-07-14 2010-08-11 김민수 Multi purpose camera for CCTV
KR101615824B1 (en) * 2014-11-07 2016-05-13 (주)정우비앤에스 spontaneousness rescue apparatus for vehicle
KR101651877B1 (en) * 2016-03-02 2016-08-29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Integrated multi-directional and automatic monitoring camera and multi-purpose automatic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80012153A (en) * 2016-07-26 2018-02-05 이연택 Portable speake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1862B2 (en) Security monitoring and control utilizing DECT devices
US10117309B1 (en) Internet protocol security camera with behavior detection
US20120274767A1 (en) Ceiling fan accessory unit
KR101439180B1 (en) Wireless cctv system of light integration
KR101342448B1 (en) Remote monito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JP2009282954A (en) Outdoor crime prevention device
JP2013109440A (en) Security camera apparatus
KR102637248B1 (en) CCTV bracket equipped with horn type sound output device
KR101438731B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having improved performance of waterproof and shock absorbing
GB2471784A (en) Rapid deployment security system
KR100700445B1 (en) Security cover having warning function for being installed at outer wall of apartment house
KR101042363B1 (en) Window and door system and method for having sensing function of invasion
US10777055B1 (en) Displaying event video on a device
KR101523475B1 (en) In and out sensing apparatus
KR101016726B1 (en) System for emergency integrated controlling
KR102637244B1 (en) A multifunctional integrated housing combination with CCTV camera multi-function, multi-directional sound transmission function and video output function
KR102283434B1 (en) System for Operating SOS Emergency Bell with IP Camera
KR101686857B1 (en) Home security system using interphone
JP2014229258A (en) Monito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KR20220128166A (en) Construction site smart vehicle with smart safety mobile camera
KR102641579B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capable of directional broadcasting
KR100609735B1 (en) Remote display security apparatus for using Intenet Network
JP2007074324A (en) Supervisory device and remote supervisory system using the same
JP2009123149A (en) Crime prevention device
KR20100000620A (en) Apparatus for detecting intru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