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753B1 - Wrist Type Band - Google Patents
Wrist Type B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5753B1 KR101615753B1 KR1020150058947A KR20150058947A KR101615753B1 KR 101615753 B1 KR101615753 B1 KR 101615753B1 KR 1020150058947 A KR1020150058947 A KR 1020150058947A KR 20150058947 A KR20150058947 A KR 20150058947A KR 101615753 B1 KR101615753 B1 KR 1016157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region
- sensor region
- sensing
- band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986 disperse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KKEYFWRCBNTPAC-UHFFFAOYSA-N Tere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15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description 1
- HOWDMRUDRZPKOK-UHFFFAOYSA-N 4-cyclohexyloxycarbon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O)O)=CC=C1C(=O)OC1CCCCC1 HOWDMRUDRZPK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89 Nylon 4,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2 Nylon 6,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87 azo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1 b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9 ir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74 melt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67 polyanil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47 stain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84 vat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균일한 센싱을 할 수 있는 손목형 밴드로, 네오프렌 또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센서영역; 및 상기 센서영역 일측 또는 양 끝단에 결합되는 섬유 밴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band capable of enhancing adhesion to the skin and thereby achieving uniform sensing, including a sensor region including neoprene or a sponge; And a fiber band region coupled to one or both ends of the sensor reg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균일한 센싱을 가능하게 하는 손목형 밴드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band that improves skin adhesion and enables uniform sensing.
최근들어 스마트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안경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상용하기 위한 스마트 워치가 많은 주목을 받고 실정이다.
In recent years, interest in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 watches, smart bands, and smart glasses has increased. In particular, smart watches for commercial use with smartphone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기존 상용화된 '스마트워치' 또는 '스마트밴드' 등에 적용되는 밴드는 대부분 고분자 재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고분자 재질의 밴드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긁힘 자국등이 남게되는 문제가 있으며, 신축성이 없어 온도나 압력등의 센싱 모듈의 적용시 균일한 센싱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착용 또는 탈착시 체결 도구를 필요로 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한다.
Most of the bands applied to the existing commercialized 'smart watch' or 'smart band' are made of polymer material. Such a band of polymer material has a problem that scratch marks easily remain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uniform sensing is difficult when the sensing module such as temperature or pressure is applied because there is no elasticity. Further, a fastening tool is required for wearing or detaching,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피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균일한 센싱을 가능하게 하는 손목형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st band capable of improving adhesion to skin and enabling uniform sensing.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손목형 밴드는 네오프렌 또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센서영역; 및 상기 센서영역 일측 또는 양 끝단에 결합되는 섬유 밴드영역을 포함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rist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region including neoprene or a sponge; And a fiber band region coupled to one or both ends of the sensor region.
일실시예로, 상기 센서영역 내에는 복수의 센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reg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센싱 모듈을 둘러싸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핫멜트 필름일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pacer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surrounding the sensing module, and the spacer may be rectangular and may be a hot-melt film.
또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센싱 모듈은 전도사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사는 말굽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수공정 의해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may be connected by a conductive yarn, and the conductive yar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rseshoe or a zigzag, and may be formed by an embroidery process.
또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센싱 모듈은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평면상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may b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and the protrusion may be circular or oval in plan view.
또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섬유 밴드 영역은 리브조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리브조직은 폴리에스터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 100중량부 대비 35 내지 6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ber band region may have a rib structure, wherein the rib structure includes polyester fibers and polyurethane elastic yarns, wherein the polyurethane elastic yarns have a ratio of 35 to 60 Parts by weight.
또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센서영역 및 상기 섬유 밴드영역은 2.5 내지 5kg/cm2 의 압력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region and the fiber band region may be formed at a pressure of 2.5 to 5 kg / cm < 2 >.
또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센서 영역에 박음질이 형성될 수 있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a stitch may be formed in the sensor area.
또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손목형 밴드는 스마트 워치에 포함될 수 있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wrist band may be included in a smart watch.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본 발명은, 피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착용감이 편안하고, 균일한 압력, 온도 등의 센싱을 가능하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mproves the adhesion with the skin to provide a comfortable feeling of comfort, and a uniform pressure and temperature sensing.
도 1은 본 발명의 손목형 밴드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손목형 밴드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 wrist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wrist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특징으로 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 comprising, "" comprising, "or" having ", when used in this application, specify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형 밴드는, 기재내에 복수의 센싱모듈을 포함하는 센서영역(200)과 상기 센서영역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어 연장되는 섬유밴드영역(300)및 상기 복수의 센싱모듈 중 인접하는 센싱모듈을 연결하는 전도사(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 wris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특히, 전도성을 가지는 상기 전도사는, 상호 인접하는 센싱모듈을 연결하되, 적어도 1 이상의 곡률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전도사 자체에 소정의 곡률을 형성하여, 손목형 밴드가 인장되는 경우, 이를 완충할 수 있는 완충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담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articularly, the electroconductors having conductivity are connected to adjacent sensing modules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by a structure forming at least one or more curved portions. This is to form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conductive yarn itself so that when the wrist band is stretch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ffering force for buffering the wrist band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ensured.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형 ?드(100)은 센서모듈을 커버하는 스페이서(500)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센싱모듈과 상기 전도사의 일부를 덮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센싱모듈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과 오염원에 대한 보호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형 밴드의 세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wrist b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목형 밴드(100)의 센서 영역(200)은 섬유 밴드 영역(3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센서 영역(200)의 양 끝단에 섬유 밴드 영역(300)이 결합될 수도 있지만, 센서 영역(200)의 일측 끝단에만 섬유 밴드 영역(300)이 결합될 수도 있다. 양 끝단에 섬유 밴드 영역(300)이 결합될 때에는 섬유 밴드 영역(300)이 연결되어 원형의 밴드를 형성할 수도 있고, 분리될 때에는 섬유 밴드 영역(300) 끝단에 결합 체결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센서 영역(200)은 네오프렌 또는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다. 네오프렌은 클로로프렌고무 또는 이것에 소량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시킨 합성고무를 말하며, 스펀지는 탄성이 있는 다공질 천연고무 또는 합성 수지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손목과 밀착되는 센서 영역(200)을 네오프렌이나 스펀지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플라스틱 제품에 비해 피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착용감을 우수하게 한다.
The
센서 영역(200) 내에는 복수의 센싱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모듈(400)은 온도, 압력등을 센싱하기 위한 전자적 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피부에 근접 또는 밀착 되어 인체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The
이러한 센싱 모듈(400)의 연결은 전도사(6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전도사(Electro conductive yarn)(600)는 도전성을 가지는 실로, 직물, 편물등의 종류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아닐린(polyaniline)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conductive polymer)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of the
전도사(600)는 말굽 또는 지그재그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모양에 의해 일정 길이로 가변이 가능하여 센서 영역(200)에 신축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 끊어짐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러한 전도사(600)는 자수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센싱 모듈(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500)로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스페이서는 센싱 모듈(400)을 이격시키고, 센서 영역(200)에서 전달되는 힘을 완충시켜, 균일한 센싱을 가능하게 한다. The
스페이서(50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등 제한없이 다양한 형상이 올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센싱 모듈(400)을 균일한 간격을 가지게 배치하기 위해서는 사각형 형상의 스페이서(500)가 바람직하다.
The
스페이서(500)는 센서영역(200) 또는 섬유 밴드 영역(300)에서 전달되는 힘의 완충 역활을 하면서 접착 능력을 가지는 핫멜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모듈(300)은 돌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부와의 밀착력을 저해하지 않는 돌기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기의 평면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일 때, 피부와의 감촉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돌기의 단면 형상은 볼록한 원형 또는 타원형이 피부와의 감촉 및 밀착력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 the
센서 영역(200) 또는 섬유 밴드 영역(300)은 편성물의 리브조직 또는 피케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 밴드 영역(300)은 신축성이 뛰어난 리브조직이 바람직하고, 센서 영역은 리브조직보다 신축성이 떨어지는 피케조직이 바람직하다. 이때, 센서 영역(200)의 피케조직은 네오프렌 또는 스펀지층과 별도의 층으로 형성되거나, 센서 영역(200)의 일부 영역으로 네오프렌 또는 스펀지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신축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피케조직에서, 피케는 프랑스어로 수를 놓는다는 뜻을 가진 말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중직의 일종이며 가로방향으로 표면이 아주 작은 그물모양이나,마름모 모양의 작은 무늬가 반복적으로 되는 벌집형태의 조직을 가진다. 통기성, 흠습성, 세탁성 및 변형저항성이 우수하여 여름 및 스포츠용 티셔츠 등에 주로 사용된다. In the Piqué organization, Piqué is derived from a horse with the meaning of numbering in French. It is a type of double occupation, a net with a very small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honeycomb-like structure in which small rhombic patterns are repeated I have. It is widely used for summer and sports t-shirts because of its excellent breathability, scratch resistance, washability and deformation resistance.
피케조직은 센싱 영역(200)에서 센싱 모듈(300)과 함께 형성되기 때문에 리브조직보다는 신축성이 적어야 한다. 즉, 손목 부분의 압력이나 온도등을 균일하게 센싱하기 위해서는 이를 지지 하는 센서 영역(200)의 변동이 적어야 한다.
Since the piquet structure is formed together with the
또한, 센서 영역(200)에서의 변형률을 줄이기 위해서, 센싱 모듈(400)을 감싸는 박음질을 형성될 수 있다. 박음질이란, 자수, 기계 바늘질 등의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박음질은 센서 영역(200) 또는 피케조직의 테두리 영역 뿐만 아니라, 센서 영역(200)내에 상표등의 로고를 형성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상표 등의 로고로 인해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피케조직 영역내의 신축성을 제어할 수 있다.
Further, in order to reduce strain in the
섬유 밴드 영역(300)은 피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균일한 센싱이 가능하도록 편성물의 리브조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조직이란 고무단이라고도 부르며, 양면으로 편성되는 조직으로 바늘배열에 따라 1×1, 2×1, 2×2 등으로 나뉘며 신축성이 매우 우수하여 허리, 소매단 및 신축성 T셔츠 등에 주로 사용된다.
The
상기 피케조직 또는 리브조직은 조직내의 밀도를 조절하여 신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용도 및 센싱 범위에 따라 이러한 신축성은 제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케조직 및/또는 리브조직의 조직은 2.5 내지 5kg/cm2 의 압력을 가질 수 있게 조절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목형 밴드(100)는 테스트한 결과, 최소 2.5 kg/cm2 의 압력이 손목에 전달 되어야 균일한 체온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5kg/cm2 의 압력을 초과할 경우에는 손목의 압박감이 심하게 느껴짐을 확인 하였다.
The piqué structure or the rib tissue can control the elasticity by controlling the density in the tissu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the sensing range, this stretchability can be controlled. Preferably, the texture of the piqué tissue and / or the rib tissue can be adjusted to have a pressure of 2.5 to 5 kg / cm < 2 >. The
또한, 피케조직 또는 리브조직의 원사 혼용률을 제어하여 신축성을 제어할 있다. 피케조직 또는 리브조직에 사용되는 원사는 폴리에스터 섬유일 수 있다. 폴리에테르 부분의 평균분자량은 500 ~ 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 3,000인 것이 좋다. 분자량이 500미만이면 충분한 탄성회복율을 발휘하기 어렵고 5,000을 초과하면 경질 세그먼트와의 상용성이 나쁘며 연질 세그먼트 자체의 결정화가 생기기 때문에 좋지않다
Further, the elasticity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mixing ratio of yarns in the piqué structure or the rib structure. The yarn used in the piqué structure or the rib structure may be a polyester fiber.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ether moiety is preferably 500 to 5,000, more preferably 1,000 to 3,000. If th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500, it is difficult to exhibit a sufficient elastic recovery rate. If the molecular weight exceeds 5,000, compatibility with the hard segment is poor and crystallization of the soft segment itself is not preferable
폴리에스터 섬유는 2가 알코올과 테레프탈산의 에스테르를 적어도 85% 함유하는 합성고분자로부터 제조 될 수 있다. 폴리에스터 섬유는 선상고분자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The polyester fibers may be prepared from a synthetic polymer containing at least 85% of an ester of a divalent alcohol and terephthalic acid. Polyester fibers can be made from a linear polymer, 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PET 섬유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고분자인 PET를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방사구금을 통하여 압출하여 냉각고화시킨 다음 권취하는 용융방사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이렇게 용융방사된 미연신사는 최종 섬유로서 가져야 할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배양화와 결정화를 섬유구조에 발현시키는 연신공정을 거쳐 최종 원사로 제조된다. 또한 권취속도가 커서 분자배향이 방사공정에서 다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신공정이 필요 없이 방사공정만으로 원하는 물성을 갖는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PET fibers can be subjected to a melt spinning process in which PET, which is a thermoplastic polymer, is extruded through a spinneret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cooled and solidified, and then wound. The undrawn yarn thus melt-spun is produced as a final yarn after being subjected to a stretching process in which the culture and crystallization are expressed in a fiber structure in order to impart strength as a final fiber. Further, when the spinning speed is high and the molecular orientation is completed in the spinning process, a yarn having desired physical properties can be produced only by a spinning process without a separate drawing step.
PET는 유리전이온도(Tg)가 80℃ 전후, 냉결정화온도(Tcc)가 125℃ 전후, 용융점(Tm)이 260℃ 전후이며 열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PET는 205℃에서 점착성이 생기므로 다림질 온도는 이보다 훨씬 낮은 135℃ 근처가 바람직하다.
PET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bout 80 占 폚, a col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c) of about 125 占 폚, a melting point (Tm) of about 260 占 폚 and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lso, since PET is tacky at 205 ° C, the iron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around 135 ° C which is much lower than this.
PET사는 열수축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연신공정 중에 장력하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결정화도를 증가시키고 비결정영역을 충분히 완화시켜 형태안정성을 좋게 할 수 있다. PET 직, 편물은 정련, 표백, 염색, 가공 등의 습식공정 중에 받는 기계적 힘과 열에 의한 변형이나 주름의 발생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습식공정 전에 텐터 등을 이용하여 예비열고정(preset)을 행하며, 최종 공정이 끝난 후에도 최종 열처리(final set)를 할 수 있다.
In order to suppress heat shrinkage as much as possible, PET can heat treatment under tension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to increase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and sufficiently ameliorate the amorphous region to improve the morphological stability. Preliminary thermal fixation is performed using a tenter or the like before the wet process in order to minimize the mechanical force and the generation of deformation or wrinkles due to the mechanical force and the heat received during the wet process such as refining, bleaching, dyeing, After the process is finished, final heat treatment can be done.
PET 섬유는 산성이나 염기성을 띠는 친수성 이온구조를 갖지 않고 구조가 치밀하기 때문에 주로 이온성이 없는 분산염료와 소수의 아조염료와 배트염료에 의해서 염색될 수 있다. PET 섬유를 분산염료로 염색하는 방법으로는 캐리어(carrier) 염색법, 고온고압 염색법, 서모졸(thermosol) 염색법 등이 있다. 캐리어 염색법은 PET 섬유를 가소화하시키면서 물에 대한 용해도는 작고 분산염료에 대한 용해도가 큰 유기화합물을 분산염료의 캐리어로 사용하여 80~100℃에서 염색하는 방법이며, 고온고압 염색법은 고온고압 염색기를 이용하여 125~130℃에서 염색 하는 방법이고, 서모졸 염색법은 PET 섬유를 분산염료 용액에 패딩, 건조한 후 180~220℃의 고온으로 수십초 내지는 수분간 열처리하여 염료를 섬유 내부로 확산, 고착시키는 방법이다.
Since PET fibers do not have acidic or basic hydrophilic ionic structures and are dense in structure, they can be dyed mainly by disperse dyes which are not ionic and a few azo dyes and vat dyes. Methods for dyeing PET fibers with disperse dyes include carrier staining,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staining, and thermosol staining. The carrier dye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n organic compound having a small solubility in water and a high solubility in disperse dyes is used as a carrier for disperse dyes while plasticizing PET fibers and dyes at 80 to 100 ° C.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dyeing method is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dyeing machine In the thermosol staining method, PET fibers are padded to a disperse dye solution, and then heat-treated at a high temperature of 180 to 220 DEG C for several tens of seconds to several minutes to diffuse and fix the dye into the inside of the fiber Method.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의 PET 섬유의 예는 실시의 일예일뿐, PBT(polybuthylene terephthalate), PTT(polytrimethylene terephalate), 폴리디히드록시메틸사이클로 헥실 테레프탈레이트(Kodel Type) 등의 폴리에스터 섬유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아니된다.
Examples of the PET fibers of the polyester fibers are merely examples, and the use of polyester fibers such as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and polydehydroxymethyl cyclohexyl terephthalate (Kodel Type) Shall not be construed as doing.
본 발명에서 피케조직 또는 리브조직은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이성분 복합방사법에 의해 열수축성이 다른 두 섬유를 혼합방사하여 크림프(crimp)를 부여하는 잠재권축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qué structure or the rib structure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polyurethane elastic yarn. The polyurethane elastic yarn may be formed as a pottery barrel or the like that mixes two fibers having different heat shrinkability by a bicomponent composite spinning process to give a crimp.
폴리에스터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혼용율 조절에 의해 신축성, 즉 손목용 밴드(100)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조절 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폴리에스터 섬유 100중량부 대비 35 내지 60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3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신축성이 떨어지며, 60중량부를 초과할 때에는 센싱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of the polyester fiber and the polyurethane elastic yar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lasticity, that is,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사에 더하여 폴리에스터 봉재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폴리에스터 봉재사는 폴리아미드 섬유(nylon 66, nylon 46) 봉재사 및 아라미드(p-aramid) 봉제사보다 원가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며, 원사의 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o the polyester fibers and the polyurethane elastic yarns, polyester yarns may further be included. Polyester rods are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than yarns made of polyamide fibers (nylon 66, nylon 46) and aramid (p-aramid), and have excellent stiffness and heat resistance.
폴리에스터 봉재사는 손목형 밴드(100)의 마감처리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봉재사 처리에 의해 손목형 밴드(100)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신축성의 조절 측면에서도 다양한 압력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폴리에스터 봉재사는 폴리에스터 섬유 100중량부 대비 2 내지 5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olyester bar stock may be used for finishing the
본 발명의 손목형 밴드(100)의 폭과 길이는 일반 환편기와 심리스(seamless) 아대편기를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일반 환편기 및 심리스 아대편기의 종류를 변경하여 신축성을 제어할 수도 있다.
The width and length of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손목형 밴드(100)는 스마트워치 등의 전자적 기능이 부여된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온도, 압력 등의 센싱을 목적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The
100 : 손목형 밴드
200 : 센서 영역
300 : 섬유 밴드 영역
400 : 센싱 모듈
500 : 스페이서
600 : 전도사100: Wrist band
200: sensor area
300: fiber band region
400: sensing module
500: spacer
600: Preacher
Claims (8)
상기 센서영역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어 연장되는 섬유밴드영역;및
상기 복수의 센싱모듈 중 인접하는 센싱모듈을 연결하는 전도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영역은 편직물인 피케조직이 네오프렌층과 별도의 층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 영역은 상기 센싱 모듈을 감싸는 박음질이 형성되고,
상기 섬유밴드영역은 리브조직을 가지며,
상기 센서는 체온센서로, 2.5 내지 5kg/cm2의 신축 압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형 밴드.
A sensor reg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A fiber band region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ensor region,
And an evacuator for connecting adjacent sensing modules among the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Wherein the sensor region is formed in a preexisting structure having a layer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neoprene layer,
Wherein the sensor region is formed with a thin film to surround the sensing module,
Wherein the fiber band region has a rib structure,
Wherein the sensor is a body temperature sensor and has a stretching pressure of 2.5 to 5 kg / cm < 2 >.
상기 전도사는,
상호 인접하는 센싱모듈을 연결하되,
적어도 1 이상의 곡률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연결되는 손목형 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on yarn
Connect adjacent sensing modules,
Wherein the wrist band is connected to a structure forming at least one or more curved portions.
복수의 센서모듈 각각을 커버하는 구조로 상기 센서영역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손목형 밴드.
The method of claim 2,
A spacer disposed in the sensor region to cover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Further comprising a wrist band.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센싱모듈과 상기 전도사의 일부를 덮는 구조로 배치되는 손목형 밴드.
The method of claim 3,
The spacer
And a wrist band disposed in a structure covering the sensing module and a part of the conductive yarn.
상기 리브조직은 폴리에스터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 100중량부 대비 35 내지 60중량부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손목형 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b structure includes polyester fibers and polyurethane elastic yarns,
Wherein the polyurethane elastic yarn ranges from 35 to 6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ester fib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8947A KR101615753B1 (en) | 2015-04-27 | 2015-04-27 | Wrist Type Band |
PCT/KR2016/003260 WO2016175463A1 (en) | 2015-04-27 | 2016-03-30 | Wrist-type b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8947A KR101615753B1 (en) | 2015-04-27 | 2015-04-27 | Wrist Type Ban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5753B1 true KR101615753B1 (en) | 2016-04-28 |
Family
ID=5591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8947A KR101615753B1 (en) | 2015-04-27 | 2015-04-27 | Wrist Type Band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5753B1 (en) |
WO (1) | WO2016175463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6539A (en) * | 2020-02-25 | 2022-11-01 | 그랜트 에드워드 스테이플스 | wristband voltage detec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0050A (en) * | 2003-01-29 | 2004-08-06 | 라 포인티크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 Compression brace material with spacer fabric inner layer |
KR20060019869A (en) * | 2004-08-30 | 2006-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momentum through film type pressure sensor |
KR20110054945A (en) * | 2009-11-19 | 2011-05-25 | 한국패션산업연구원 |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smart garment for measuring bio-signal having same |
JP2014018357A (en) * | 2012-07-17 | 2014-02-03 | Omron Healthcare Co Ltd | Bio-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52167A (en) * | 2002-07-22 | 2004-02-19 | Teijin Fibers Ltd | Bulky knit having sweat-absorbing property and drape |
KR101345381B1 (en) * | 2007-07-26 | 2014-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Blood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
JP2010099201A (en) * | 2008-10-22 | 2010-05-06 | Keiso:Kk | Ring-shaped elastic arm band |
-
2015
- 2015-04-27 KR KR1020150058947A patent/KR10161575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3-30 WO PCT/KR2016/003260 patent/WO201617546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0050A (en) * | 2003-01-29 | 2004-08-06 | 라 포인티크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 Compression brace material with spacer fabric inner layer |
KR20060019869A (en) * | 2004-08-30 | 2006-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momentum through film type pressure sensor |
KR20110054945A (en) * | 2009-11-19 | 2011-05-25 | 한국패션산업연구원 |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smart garment for measuring bio-signal having same |
JP2014018357A (en) * | 2012-07-17 | 2014-02-03 | Omron Healthcare Co Ltd | Bio-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6539A (en) * | 2020-02-25 | 2022-11-01 | 그랜트 에드워드 스테이플스 | wristband voltage detector |
KR102537728B1 (en) | 2020-02-25 | 2023-05-31 | 그랜트 에드워드 스테이플스 | wristband voltage det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75463A1 (en) | 2016-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22203B2 (en) | Items of clothing having shape memory | |
KR102536089B1 (en) | Easily settable stretch fabrics including low-melt fiber | |
CN100570030C (en) | The method that has the elastic fabric of sandwich construction and produce this knitted fabric | |
CN105378171A (en) | Elastic circular knitted fabric | |
KR101612121B1 (en) | Wearable band | |
JP5485687B2 (en) | Woven knitting | |
KR20220129117A (en) | upper letter | |
CN101805956A (en) | Dual-direction high-elastic warp-knitted fabric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KR101615753B1 (en) | Wrist Type Band | |
KR101612123B1 (en) | Wearable Band | |
CN111791565A (en) | Special shape memory textile fabric for shaping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method thereof | |
CN111511970A (en) | Cloth with enhanced transparency of base yarn using polyester-ether block copoly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JP6235966B2 (en) | Brushed knitted fabric | |
TW200522878A (en) | Warp knitted fabric hav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 |
CN103126081A (en) | Business shirt | |
JP5401346B2 (en) | Woven knitted fabric and clothing including the woven and knitted fabric | |
JP2004019059A (en) | Elastic knitted fabric | |
CN209537743U (en) | A kind of knitted thermal fabric | |
CN108823740B (en) | Medium-high resilience comfort fabric containing PTT fib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CN107794641A (en) | A kind of fabric with motion tracing ability | |
KR20120107376A (en) | Interacing yarn, and fabric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abric | |
CN110604362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intelligent clothes | |
JP2017160546A (en) | Plastic cloth composed of fibers having different melting points utilizing core sheath configuration | |
KR200224598Y1 (en) | Elastic cut cut warp knitted fabric | |
JP4477330B2 (en) | Tato dres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9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