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630B1 - 목공 선반 받침대 - Google Patents

목공 선반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630B1
KR101615630B1 KR1020140166302A KR20140166302A KR101615630B1 KR 101615630 B1 KR101615630 B1 KR 101615630B1 KR 1020140166302 A KR1020140166302 A KR 1020140166302A KR 20140166302 A KR20140166302 A KR 20140166302A KR 101615630 B1 KR101615630 B1 KR 101615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upport
woodworking
guide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이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복 filed Critical 이정복
Priority to KR102014016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7/00Wood-turning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27C7/06Arrangements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ol, e.g. tool re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기 제작용 공구를 거치하는 목공 선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목공 선반 받침대는 하부 지지부, 제1 수직 지지부, 상부 지지부, 제2 수직 지지부 및 높이 조절바를 포함한다. 이때, 상부 지지부는 상면에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부를 구비하며, 가이드부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목공구의 작업 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기 내경 작업 시 목기 제작 공구의 작업 반경을 제한하여 설정된 목기의 내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공 선반 받침대 {Wood-lathe support}
본 발명은 목공 선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목기 내경 작업 시 목기 제작 공구의 작업 반경을 제한하고 목공구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목공 선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목기를 제작하는 방법에는 선질기법과 눈질기법이 있다. 이러한 구분은 목재 고유의 섬유질 방향에 따라 구분되며, 반드시 정해진 방법에 따라 작업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목기제작 시 작업 칼이나 도구가 섬유질 대비 역방향으로 작업을 하는 경우, 가공 소재의 급격한 소진이 발생하거나, 매끄러운 표면작업이 곤란하거나 또는 작업 공구의 급격한 마모 및 작업자의 피로가 가중될 수 있다.
여기서, 선질기법이란 섬유질이 세로로 뻗어있는 목재를 가공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전통 앉은갈이의 가공방법과 동일하다. 선질기법은 목재의 섬유질 순방향을 따라 작업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릇 제작 시, 외경 가공은 보통 내측에서 외측으로 작업 칼을 이동하고 내경 가공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섬유질을 누르듯 작업한다.
눈질기법은 통나무의 나뭇결 방향이 가로로 누워있는 상태로 성형 작업하는 것을 말한다. 즉 쓰러져있는 통나무를 일으켜 세우지 않고 함지박이나 쟁반 같은 비교적 지름이 넓은 목물 등을 만드는 작업방법이다.
눈질기법의 작업방법은 선질기법과 작업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목재의 섬유질이 가로로 누운 방향에서 회전하는 목재가 뜯기거나 튀지 않도록 작업하는 것이 요구된다. 눈질기법의 내경 작업에 있어서는 선질작업과 반대로 목재의 바깥쪽에서부터 안쪽 방향으로 하며, 외경작업은 굽에서부터 입구까지 섬유질을 누르듯 부드럽게 가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선질기법 또는 눈질기법으로 목기를 제작할 때, 목공용 선반에 T자 형상으로 형성된 목공 받침대를 장착하고, T자 형상의 받침대에 형성된 지지면에 목공구를 거치하여 목기의 내경을 깎는 작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받침대는 목공 받침대가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목공구를 지지할 수 있는 면이 좁아서 목공구가 흔들리게 되어 정확한 내경을 깎는 작업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목기의 설정된 직경을 확인하기 위하여 목재의 표면에 표시하는 경우, 가공위치만 확인할 수 있을 뿐이며, 가공에 의해 표면에 나타낸 표시가 마모되어 사라지게 되면, 설정된 목기의 직경을 확인할 수 없다. 숙련자의 경우 경험을 바탕으로 목기 내경을 대략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정확한 작업이 어려우며, 초보자의 경우에도 정확한 목기 내공을 유지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미국등록특허 제4615365호는 공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대에 대해서 개시한 바 있으나, 설정된 목기의 내경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목기의 내경 깎기 잡업 시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목기 내경 작업 시 목공구의 작업 반경을 제한하여 설정된 목기의 내경을 유지할 수 있는 목공 선반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 목재의 크기 및 목기의 직경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목기 내경을 효과적으로 가공하고 목공용 공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목공 선반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는 하부 지지부, 상부 지지부 및 측면 지지부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부와 상부 지지부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측면 지지부는 하부 지지부와 상부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어 수직면을 이룬다. 이때, 상부 지지부는 상면에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하며, 목기 내측면에 대한 목공구의 작업 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는 측면 지지부는 제1 수직 지지부, 제2 수직 지지부 및 높이 조절바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직 지지부는 하부 지지부와 결합되며, 제1 높이 조절홀이 형성된다. 제2 수직 지지부는 상부 지지부와 결합되며, 제2 높이 조절홀이 형성된다. 높이 조절바는 제1 높이 조절홀과 상기 제2 높이 조절홀을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의 가이드 부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는 가이드 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목공구가 설정된 내경 바깥으로 벗어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의 상부 지지부는 목공의 작업 반경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목공 선반 받침대는 목기 내경 작업 시 목기 제작 공구의 작업 반경을 제한하여 설정된 목기의 내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동일한 직경의 목기의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목공 선반 받침대는 목기의 직경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목기 내경을 효과적으로 가공하고, 공용 공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용 선반에 목공 선반 받침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공용 선반에 목공 선반 받침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칼밥"은 목기 선반에 거치된 목기 제작용 칼을 이용하여 목기를 다듬을 때 발생하는 목재의 잔재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용 선반에 목공 선반 받침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1000)는 하부 지지부(1100), 상부 지지부(1200) 및 측면 지지부(1300)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부(110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위치에 목공용 선반과 연결되는 연결공(1110)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공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볼트(1500)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1200)는 하부 지지부(1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목공용 공구 받침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측면 지지부(1300)는 하부 지지부(1100)와 상부 지지부(120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목공 선반 받침대(1000)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이루는 모서리 부는 보강부(1400)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부(1400)는 목기 제작시 발생하는 목공용 선반의 흔들림 및 진동으로 인한 모서리 부의 이음부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부 지지부(1200)가 항상 일정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목공 선반 받침대(1000)의 내부에는 흡기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흡기구는 목기 제작시 발생하는 칼밥을 흡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장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목기 제작이 완료된 후에 칼밥을 처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시간을 배제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 지지부(1100), 상부 지지부(1200) 및 측면 지지부(1300)는 재질이 목재 또는 경량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재질이 목재로 형성되면, 결합면은 목재의 이음 구조로 견곤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결합 방법은 사용하는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1200)는 목공용 선반의 회전축에 인접한 종단 상측면에 가이드 레일(1210) 및 가이드 부(1220)를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1210)은 가공하는 목재와 인접한 상부 지지부(1200)의 상측면의 종단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210)은 단면이 철도 레일과 같이 I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가이드 부(1220)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가이드 부(1220)를 안내할 수 형상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이드 레일(1210)은 표면에 눈금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눈금부는 가이드 레일(1210)의 중앙을 기준점으로 한다. 여기서 기준점이라 함은 0점을 의미하며, 기준점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길이 단위의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목공용 선반은 회전하기 때문에 기준점을 중심으로 가이드 부(1210)를 위치시키면 목기의 내경의 지름을 설정할 수 있다.
가이드 부(1220)는 내주면이 가이드 레일(1210)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여 목기의 내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1220)는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바(122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1220)가 가이드 레일(121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내경의 크기를 설정한 후, 가이드 바(1221)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A 방향)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 바(1221)는 목공구가 설정된 내경 바깥으로 벗어나는 것을 제한하여 목기의 내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1220)는 목공용 선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대층으로 구비된 가이드 부(1220)는 목공구의 움직임을 좌우측으로 제한하여, 목공구가 설정된 내경 바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바(1221)의 종단에는 목공용 선반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내경 표시부(1222)를 구비할 수 있다. 내경 표시부(1222)는 가이드 부(1220)가 회동된 상태에서 B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공하려는 목재표면에 설정된 크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내경 표시부(1222)의 종단에는 먹물이 포함하거나 칼날을 구비하여 목재의 표면에 내경의 가공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내경 표시부(1222)는 설정된 내경이 유지되도록 가이드 바(1221)를 도울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부 지지부(1200)의 상면에는 목공용 공구 받침대의 작업방향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1230)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안내부(1230)는 사용자가 목기 내경에 형성되는 곡률 또는 목기의 깊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회전 경로를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 안내부(1230)는 표시된 회전 경로를 이용하여 목기 제작시 원하는 내경의 깊이 또는 곡률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도 쉽게 일정한 곡률 및 깊이를 갖는 목기를 가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공용 선반에 목공 선반 받침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공 선반 받침대는 하부 지지부(1100), 상부 지지부(1200) 및 측면 지지부(1300)를 포함한다. 이때, 측면 지지부(1300)는 제1 수직 지지부(1310), 제2 수직 지지부(1320) 및 높이 조절바(1330)를 구비한다.
하부 지지부(110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위치에 목공용 선반과 연결되는 연결공(1110)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공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볼트(1500)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100)의 양측면에는 수직면을 이루는 제1 수직 지지부(1310)가 결합된다. 제1 수직 지지부(1310)는 후술하는 제2 수직 지지부(1320)와 결합되기 위하여 제1 수직 지지부(1310)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높이 조절홀(1311)을 구비한다.
이때, 제1 높이 조절홀(1311)은 제1 수직 지지부(1310)의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슬롯 홀(1312)과 제1 슬롯 홀(131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고정 홀(131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홀(1313)은 제1 슬롯 홀(1312)에 교차하여 다수개가 형성되며, 제1 고정 홀(1313)과 제1 슬롯 홀(1312)은 십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부(1100)와 제1 수직 지지부(1310)의 모서리 면에는 보강부(1314)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부(1314)는 하부 지지부(1100)와 제1 수직 지지부(1310)를 견고하게 결합시켜 결합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부 지지부(120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하부 지지부(1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부 지지부(1200)는 목공용 공구 받침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부 지지부(1200)의 양측면에는 수직면을 이루는 제2 수직 지지부(1320)와 결합된다. 또한, 제2 수직 지지부(1320)는 제1 수직 지지부(1310)와 인접배치 되도록 제1 수직 지지부(1310)의 돌출 방향을 따라 제2 높이 조절홀(1320)을 구비한다.
제2 높이 조절홀(1321)은 제2 수직 지지부(1320)의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슬롯 홀(1322)과 제2 슬롯 홀(1323)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고정 홀(13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 홀(1322)은 제2 슬롯 홀(1321)에 교차하여 다수개가 형성되며, 제2 고정 홀(1322)과 제2 슬롯 홀(1321)은 십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부(1200)와 제2 수직 지지부(1320)의 모서리 면에는 보강부(1324)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부(13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부(1200)와 제2 수직 지지부(13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높이 조절바(133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높이 조절홀(1311)과 제2 높이 조절홀(1321)에 삽입되어 하부 지지부(1100)에 결합된 제1 수직 지지부(1310)와 상부 지지부(1200)에 결합된 제2 수직 지지부(1320)가 직육면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높이 조절바(1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I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바(1330)는 상부와 하부의 양단의 단면이 넓게 형성되어 제1, 2 고정홀(1312, 132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1331)와 제1, 2 슬롯 홀(1312, 1322)의 일영역에 삽입되며 고정구(1331)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구(133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 조절바(1330)는 제1 수직 지지부(1310)와 제2 수직 지지부(1320)를 서로 연결하여 직육면 형상의 프레임 구조가 유지되도록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바(1330)는 두 개의 고정구(1331)를 구비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정구(1331)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지지부(1200)는 목공용 선반의 회전축에 인접한 종단 상측면에 가이드 레일(1210) 및 가이드 부(1220)을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1210) 및 가이드 부(1220)는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지지부(1200)의 상면에는 회전 안내부(12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목공용 공구 받침대의 회전 경로를 안내하는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높이 조절바(1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 지지부(1310)와 제2 수직 지지부(1320)를 결합하여 거리 "D "만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목공 받침 거치대(1000)는 목기의 크기 또는 목기의 내경에 따라 상부 지지부(1200)의 높이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목기의 내경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1220)이 목공구의 작업 반경을 제한하여 목기의 내경을 설정된 값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목기의 내경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목공 받침 거치대 1100 : 하부 지지부
1200 : 상부 지지부 1210 : 가이드 레일
1220 : 가이드 부 1310: 제1 수직 지지부
1320 : 제2 수직 지지부 1330 : 높이 조절바

Claims (4)

  1. 하부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부와 마주보는 상부 지지부; 및
    상기 하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면에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하며, 목기 내측면에 대한 목공구의 작업 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와 결합되며, 제1 높이 조절홀이 형성된 제1 수직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와 결합되며, 제2 높이 조절홀이 형성된 제2 수직 지지부; 및
    상기 제1 높이 조절홀과 상기 제2 높이 조절홀을 연결하는 높이 조절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선반 받침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가이드 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상기 목공구가 설정된 내경 바깥으로 벗어나는 것을 제한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선반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목공의 작업 반경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 선반 받침대.
KR1020140166302A 2014-11-26 2014-11-26 목공 선반 받침대 KR101615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302A KR101615630B1 (ko) 2014-11-26 2014-11-26 목공 선반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302A KR101615630B1 (ko) 2014-11-26 2014-11-26 목공 선반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630B1 true KR101615630B1 (ko) 2016-04-26

Family

ID=5591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302A KR101615630B1 (ko) 2014-11-26 2014-11-26 목공 선반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6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87Y1 (ko) * 2001-04-11 2001-10-11 김강섭 목공용 내경가공기
KR200274626Y1 (ko) * 2002-01-03 2002-05-08 오윤봉 목공용 선반의 공작물 곡면가공용 가이드장치
US20120291600A1 (en) 2011-05-19 2012-11-22 Perez Leland T Hollow form turn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87Y1 (ko) * 2001-04-11 2001-10-11 김강섭 목공용 내경가공기
KR200274626Y1 (ko) * 2002-01-03 2002-05-08 오윤봉 목공용 선반의 공작물 곡면가공용 가이드장치
US20120291600A1 (en) 2011-05-19 2012-11-22 Perez Leland T Hollow form tur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7642B2 (ja) 木工作業テーブル及び多目的木工装置
US6599064B1 (en) Combined dowel-hole and pocket-hole drilling apparatus
US20170043496A1 (en) Robotic Apparatus for Processing Timber Used in Construction of a Log Home
US20130081526A1 (en) Pivoting saw system
KR101615630B1 (ko) 목공 선반 받침대
US9707700B2 (en) Tile saw
WO2002022330A1 (en) Means for making mitre joints
US20160332242A1 (en) Flip-down table-saw fence
KR101181739B1 (ko) 스크라이브 기구
KR101370685B1 (ko) 각도 절단기
GB2367264A (en) Apparatus suitable for machining dovetail joints
US6315017B1 (en) Joint jig for use with either a table-mounted or a hand-held router
KR200492798Y1 (ko) 프로파일 홀 가공기
US6286405B1 (en) Workbench
CN203665650U (zh) 斜角榫榫槽模治具
KR20180125203A (ko) 수직거치형 패널재단기
US20150298345A1 (en) Dovetail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for horizontally loading wood plate
JP3158755U (ja) 切断機取り付け架台
JP5180028B2 (ja) 工具用定規
CN206999134U (zh) 一种木材切角定位装置
KR101243462B1 (ko) 보드 재단 및 면치 장치
US20070161331A1 (en) Stone fabrication positioning system
US20090019982A1 (en) Cutting Tool for Hobbyists
CN204585579U (zh) 微型多功能切割机
JP7159023B2 (ja) 切削範囲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