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367B1 - Conveyer belt recovery tool - Google Patents

Conveyer belt recovery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367B1
KR101615367B1 KR1020140071497A KR20140071497A KR101615367B1 KR 101615367 B1 KR101615367 B1 KR 101615367B1 KR 1020140071497 A KR1020140071497 A KR 1020140071497A KR 20140071497 A KR20140071497 A KR 20140071497A KR 101615367 B1 KR101615367 B1 KR 10161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
body frame
lower guide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2491A (en
Inventor
김승수
전제범
김정호
조이현
김성진
Original Assignee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367B1/en
Publication of KR2015014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4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에 관한 것으로, 교체를 필요로 하는 벨트를 용이하게 인출하고 또한 최대한 길게 벨트를 인출하여 포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는, 앵커수단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는 바디 프레임(10)과; 상기 바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벨트의 이송 경로를 전환하면서 상기 벨트를 이송하는 방향전환 롤러(20)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전환 롤러는 상기 바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벨트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벨트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봉(21), 상기 롤러봉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상기 롤러봉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상하부 가이드판(22,23)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부 가이드판의 일측 이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벨트를 지지 및 꼬임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25)를 포함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belt craw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or belt crawler which is capable of easily pulling out a belt requiring replacement and also allowing a belt to be drawn out for as long as possible to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do.
A conveyor belt ob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frame (10) supported on a ground via an anchor means; And a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dy frame for feeding the belt while switching a conveying path of the belt.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is rotatably shaft-coupled to the body frame, (21) for guiding the conveyance of the belt while rotating, and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22, 23)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er bar and each having a larg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roller bar. And a guide roller 25 rotatably moun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to prevent the belt from being supported and twisted while being rotated by friction with the belt.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CONVEYER BELT RECOVERY TOOL}{CONVEYER BELT RECOVERY TOOL}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체를 필요로 하는 벨트를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인출하고 또한 최대한 길게 벨트를 인출하여 포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belt craw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or belt crawler which can easily take out a belt requiring replacement even in a narrow space, and can take out the belt as long as possible, there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To a conveyor belt suspend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conveyor belt from being unfolded.

화력발전소의 연료 운영 취급설비 중 컨베이어 벨트는 연료를 이송하는 설비로서 하역, 저탄, 상탄을 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석탄 이외에 곡물 등 다양한 제품을 이송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Among the fuel operation handling facilities of the thermal power plant, the conveyor belt is used to transport fuel, to be used for unloading, low carbon, and charcoal. Conveyor belts are also widely used for conveying various products such as grain as well as coal.

석탄 등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 수 만개의 아이들러가 벨트를 지지하고 회전하면서 피로 및 노후화로 벨트의 상하부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고, 연료를 이송하면서 이물질에 의한 벨트 손상으로 주기적인 교체작업을 하게 된다. In order to transport coal, tens of thousands of idlers under the conveyor belt support and rotate the belt, causing crack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elt due to fatigue and aging, periodic replacement work due to belt damage caused by foreign matter while transferring the fuel .

종래 컨베이어 벨트의 교체를 위하여 인출하는 방법으로는 도르래와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중장비로 당겨 인출하는 방법이 있다.Conventionally, as a method of withdrawing for replacing a conveyor belt, there is a method of pulling out a heavy equipment by using a pulley and a wire rope.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벨트(1)에 와이어로프(2)의 끝단을 클램프(3) 등으로 연결하고 벨트(1)의 진행방향이 바뀔 경우 선회 포인트에 도르래(4)를 설치한다. As shown in FIG. 1, the end of the wire rope 2 is connected to the belt 1 by a clamp 3, and a pulley 4 is provided at a turning point whe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elt 1 is changed.

이와 같은 종래 벨트(1) 인출 방식에 따르면 와이어 로프(2)가 연결된 중장비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2)를 감는 방식에 의해 벨트(1)를 인출 회수하는 것이며, 이때, 벨트(1)의 이동 거리는 도르래(4)까지 오는 거리로 제한되고 도르래(4)에 벨트(1)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좁기 때문에 벨트(1)를 길게 인출할 수 없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pulling out the belt 1, the belt 1 is pulled out and collected by a method of winding the wire rope 2 by using the heavy equipment to which the wire rope 2 is connected. At this time, The distance is limited to the distance to the pulley 4 and the space through which the belt 1 can pass through the pulley 4 is narrow and the belt 1 can not be drawn out long.

따라서, 교체하고자 하는 벨트(1)를 전량 인출하려면 수십 번의 인출 작업이 반복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벨트(1)는 도르래(4)를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도르래(4)까지 대략 50[와이어로프(2)의 길이, 도르래(4)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짐] 정까지만 인출 가능하고 따라서, 50m 만큼의 벨트(1)를 인출하고 다시 안쪽에서부터 50m 만큼의 벨트(1)를 인출[전 공정을 통해 인출된 부분은 중장비에 의해 회수]하여야 하며 결과적으로 1km 이상 길이의 벨트(1)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20번 이상의 인출 작업을 하여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take out the entire amount of the belt 1 to be replaced, several tens of drawing operations must be repeated. Specifically, since the belt 1 can not pass through the pulley 4, it can be pulled out only to the pulley 4 by approximately 50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wire rope 2,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ulley 4, etc.] The belt 1 pulled out by 50 m from the inside is withdrawn (the portion withdrawn through the previous process must be recovered by the heavy equipment), and as a result, the belt 1 ) In order to withdraw more than 20 times should be done.

또한, 와이어로프(2)를 좁은 공간에서 짧게 반복적으로 당김으로서 작업시간이 길어진다. Further, by repeatedly pulling the wire rope 2 in a short space repeatedly, work time is increased.

또한, 이러한 인출 과정에서 정비요원이 다수 필요했으며, 중장비로 와이어로프(2)를 견인 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로프(2)가 탈선과 절손되어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높았으며, 와이어로프(2)가 도르래(4)의 틈에 끼어 작업 지연을 초래하기도 한다.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maintenance personnel were needed during the drawing process. In the course of pulling the wire rope 2 with heavy equipment, the wire rope 2 was derailed and damaged, the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was high, (4), thereby causing a delay in operation.

참고로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 컨베이어(특허문헌 1)가 있으나, 이는 벨트를 롤러 등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분리된 벨트를 인출 및 이송하기 위한 기술이 없다.
For reference, there is a belt conveyor (Patent Document 1) that facilitates the replacement of the belt. However, this is merely for separating the belt easily from the roller or the like, and there is no technique for withdrawing and transporting the separated belt.

등록특허 제10-0592566호Registration No. 10-0592566 등록특허 제10-1053757호Registration No. 10-105375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체를 필요로 하는 벨트를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인출하고 또한 최대한 길게 벨트를 인출하여 포설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veyor belt slinger capable of easily pulling out a belt requiring replacement even in a narrow space, have.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는, 앵커수단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는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벨트의 이송 경로를 전환하면서 상기 벨트를 이송하는 방향전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전환 롤러는 상기 바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벨트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벨트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봉, 상기 롤러봉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상기 롤러봉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상하부 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veyor belt obliqu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frame supported on a ground via an anchor means; And a direction changing roller that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dy frame and feeds the belt while switching a conveying path of the belt.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is rotatably shaft-coupled to the body frame, A roller bar for guiding the conveyance of the belt, and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er bar, each having a larg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roller bar.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부 가이드판의 일측 이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벨트를 지지 및 꼬임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다.
And a guide roller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and rotates by friction with the belt to prevent the belt from being supported and twisted.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onveyor belt squeez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포설기의 부피가 작아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벨트의 인출을 위한 최적의 위치에 설치되어 협소한 공간에서 쉽게 인출을 할 수 있다. First, it can be used in a narrow space due to its small volume, and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space by being installed at an optimum position for drawing out a belt.

둘째, 컨베이어 벨트를 협소한 공간에서도 한 번에 길게 인출하여 바로 포설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다.Second, since the conveyor belt can be drawn out at a time in a narrow space, it is possible to directly lay the conveyor belt, thereby reducing the work process time.

셋째, 컨베이어 벨트 인출시 와이어로프의 탈선 및 절손으로 인한 안전사고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Thir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derailment and damage of the wire rope can be prevented when the conveyor belt is taken out.

또한, 본 발명 장비는 벨트가 통과되기 때문에 2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지장물들의 간섭을 받지 않는 경로에 장비를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경로로 벨트를 인출 회수하는 이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elt is passed through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wo or more, and the apparatus is installed in a path which is not subject to interference from obstacles, whereby the belt is taken out and recovered by various route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에 적용된 방향전환 롤러의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hows a conveyor belt sling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yor belt sli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yor belt sludg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conveyor belt sli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conveyor belt sli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rection switching roller applied to a conveyor belt sli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100)는, 지면 등에 고정되는 바디 프레임(10), 바디 프레임(10)에 장착되며 벨트(1)의 방향 전환을 안내하는 방향전환 롤러(20)로 구성된다.2 to 6, the conveyor belt s throw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rame 10 fixed to a ground or the like, And a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for changing the direction.

바디 프레임(10)은 예컨대 사각 틀 형태의 바닥부(11), 바닥부(11)의 일측에 세워지는 한 쌍의 기둥부(12), 기둥부(12)의 상부에 바닥부(11)와 동일한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되는 천정부(13)에 의해 벨트(1)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3차원의 입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앵커수단을 통해 지면 등에 고정된다.The body frame 10 includes a bottom 11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a pair of pillars 12 which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11, a bottom 11 on the top of the pillars 12, Dimensional shape of a size that allows the belt 1 to pass by the ceiling portion 13 formed in the same rectangular frame form and is fixed to the ground or the like through the anchor means.

바닥부(11)와 기둥부(12) 및 천정부(13)는 각관, 원형관, 앵글 등으로 구성 가능하며 연결부에 보강리브(14)가 적용된다.The bottom part 11, the column part 12 and the ceiling part 13 can be constituted by a pipe, a circular pipe, an angle and the like, and a reinforcing rib 14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part.

이와 같은 구성의 바디 프레임(10)은 바닥부(11)와 천정부(12) 사이에 방향전환 롤러(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 기둥부(12)가 없는 곳에 방향전환 롤러(20)가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body frame 10 having such a structure provides a space for installing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between the bottom portion 11 and the ceiling portion 12 and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pillar portion 12 is not provided, 20 are installed so as to have a stable structure as a whole.

바디 프레임(10)은 앵커수단을 통해 지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앵커수단은 바디 프레임(10)의 바닥부(11)에 고정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앵커소켓(15), 지면에 앵커링되며 앵커소켓(15)이 결합되는 앵커축(16), 앵커축(16)과 앵커소켓(15)에 결합되는 코터(17)로 구성된다.The body frame 1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ground via anchor means. The anchor means includes at least one anchor socket 15 fixed to the bottom portion 11 of the body frame 10, an anchor shaft 16 anchored to the ground and coupled to the anchor socket 15, an anchor shaft 16, And an anchor socket (15).

물론, 상기 앵커수단은 전술한 구성[앵커소켓(15), 앵커축(16) 및 코터(17)]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 프레임(10)을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Of course, the anchor mean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chor socket 15, anchor shaft 16 and coater 17), and includes all the configurations that can fix the body frame 10 to the ground .

바디 프레임(10)은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닥부(11)에 바퀴가 구성될 수도 있다.The body frame 10 may be formed of a wheel at the bottom portion 11 to facilitate movement.

도면에 도시된 바디 프레임(10)은 구조 상 방향전환 롤러(20)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만 한 쌍의 기둥부를 더 형성하고, 기둥부에 방향전환 롤러(20)가 횡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ody frame 10 shown in the figure is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is vertically installed, but a pair of pillar portions are further formed, and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is installed in the pillar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do.

방향전환 롤러(20)는 벨트(1)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벨트(1)의 인출과 방향 전환을 안내하는 것이며, 롤러봉(21), 롤러봉(21)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롤러봉(21)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상하부 가이드판(22,23)으로 구성되어 장구형태로 이루어진다. 롤러봉(21)과 상하부 가이드판(22,23)은 일체형으로 벨트(1)의 이송시 벨트(1)와의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guides the belt 1 and the belt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er bar 21 and the roller bar 21, And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22 and 23 formed in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guide plates 22 and 23.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er bar 21 and the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22 and 23 integrally rotate together by friction force with the belt 1 when the belt 1 is fed.

롤러봉(21)은 상하부의 롤러축(21a)이 베어링블록(24)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벨트(1)의 인출을 부드럽게 안내한다.The roller rods 21 are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roller shafts 21a rotatably mounted on the bearing block 24 to smoothly guide the drawing of the belt 1. [

롤러봉(21)은 원통형이며 내부에 하중에 의한 변형 방지를 위하여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복수의 디스크(21b)가 결합된다.The roller bar (21) is cylindrical, and one or more, preferably a plurality of disks (21b) are combined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a load.

상하부 가이드판(22,23)은 각각 벨트(1)가 안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즉 벨트(1)가 이탈되지 않도록 안쪽을 향해 경사진 안내면으로 구성된다.The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22 and 23 are each composed of a guiding surface inclined inward so that the belt 1 can be gathered inwardly, that is, the belt 1 is not released.

또한, 바람직하게 하부 가이드판(23)의 안쪽면에는 벨트(1)의 처짐으로 인한 끼임 방지를 위하여 다수의 가이드 롤러(2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하부 가이드판(23)의 표면에는 대략 반원형의 롤러홈(23a)이 형성되며 가이드 롤러(25)는 롤러홈(23a)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25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plate 23 for preventing the belt 1 from being caught by sagging. To this end,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roller groove 23a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ower guide plate 23, and the guide roller 2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oller groove 23a.

가이드 롤러(25)는 하부 가이드판(23)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벨트(1)와 하부 가이드판(23)의 마찰저항을 줄이고 벨트(1)의 꼬임을 방지한다. 또한 가이드 롤러(25)는 일렬 이상(도면에는 2열)으로 설치 가능하다.The guide roller 25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lower guide plate 23 to reduc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belt 1 and the lower guide plate 23 and prevent the belt 1 from being twisted. The guide rollers 25 can be installed in a row or more (two rows in the drawing).

베어링 블록(24)은 바닥부(11)와 천정부(13)에 각각 장착되며, 축방향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스러스트 베어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earing block 24 is mounted on the bottom part 11 and the ceiling part 13, respectively, and a thrust bearing is preferably applied to bear the axial load.

베어링 블록(24)은 방향전환 롤러(20)의 롤러축(21a)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따라서 베어링 블록(24)의 위치 변경을 통해 벨트(1)의 이송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바디 프레임(10)의 바닥부(11)와 천정부(12)에는 베어링 블록(24)이 장착되는 다수의 장착부(볼트 체결공)가 구성된다.
The bearing block 24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ller shaft 21a of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and thus can change the conveying path of the belt 1 through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bearing block 24. [ To this end,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bolt fastening holes) for mounting the bearing block 24 are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1 and the ceiling portion 12 of the body frame 10.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belt squee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벨트(1)의 교체가 필요한 곳에 본 발명 포설기(100)에 설치하여 사용하며, 바디 프레임(10)의 위치를 결정한 후 앵커축(16)을 지면에 정착하고 바디 프레임(10)의 앵커소켓(15)을 앵커축(16)에 맞춰 결합하며 코터(17)를 앵커축(16)에 결합하여 앵커링한다. 본 발명의 포설기(100)는 벨트(1)의 이송 경로를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이송 방향의 전환 포인트는 물론 직선 구간에도 설치 가능하다.The anchor shaft 16 is fixed on the ground after the position of the body frame 10 is determined and the anchor socket 16 of the body frame 10 is fixed to the anchor socket 16. [ (15) is aligned with the anchor shaft (16), and the coater (17) is anchored to the anchor shaft (16). One or more of the extru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long the conveying path of the belt 1 and may be installed in the straight section as well as the point of switching of the conveying direction.

벨트(1)를 벨트 프레임에서 분리한 후 방향전환 롤러(20)에 돌려 방향을 전환하며, 벨트(1)를 당기거나 와이어로프를 벨트(1)에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로프를 감아 벨트(1)를 상기 벨트 프레임에서 인출한다.After separating the belt 1 from the belt frame, the belt 1 is turned by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and the belt 1 is pulled or the wire rope is fixed to the belt 1, Is withdrawn from the belt frame.

이와 같이 벨트(1)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방향전환 롤러(20)는 벨트(1)와의 마찰력에 의해 롤러축의 안내를 받아 회전함으로써 벨트(1)의 이송시 벨트(1)와의 마찰저항을 극소화하고 따라서 벨트(1)를 신속하게 인출할 수 있고 벨트(1)의 마모와 소음을 줄일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belt 1,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0 is guided by the roller shaft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belt 1, thereby minimiz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belt 1 when the belt 1 is fed Therefore, the belt 1 can be quickly drawn out and the wear and noise of the belt 1 can be reduced.

벨트(1)가 방향전환 롤러(20)를 따라 방향 전환할 때 벨트(1)가 롤러봉(21)의 중앙에서 상부나 하부로 치우칠 수 있으며, 상하부 가이드판(22,23)은 각각의 경사형 안내면을 통해 벨트(1)를 롤러봉(21)의 중앙으로 유도하므로 벨트(1)는 방향전환 롤러(2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바디 프레임(10)과 방향전환 롤러(20) 사이에도 끼지 않게 된다.The belt 1 can be offset from the center of the roller bar 21 to the upper or lower side when the belt 1 is changed in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and the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22, Shaped guide surface to guide the belt 1 to the center of the roller bar 21 so that the belt 1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but also between the body frame 10 and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

한편, 벨트(1)를 인출하는 중에 벨트(1)가 하중에 의해 하부 가이드판(23)이 처질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25)는 벨트(1) 저부에서 회전하면서 벨트(1)가 이송되도록 하여 벨트(1)와 하부 가이드판(23)의 마찰저항을 줄임으로써 벨트(1)를 원활하게 이송한다.The lower guide plate 23 can be deformed by the load while the belt 1 is pulled out and the guide roller 25 is rotated at the bottom of the belt 1 so that the belt 1 is fed Thereby smoothly transferring the belt 1 by reduc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belt 1 and the lower guide plate 23.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1)의 인출시 벨트(1)와 바디 프레임(10) 및 방향전환 롤러(20) 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벨트(1)를 신속하게 인출하고 또한 불필요한 작업없이 벨트(1)를 포설 위치까지 한 번에 인출하여 후속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벨트(1)의 회수 시간을 단축하고 결국 새로운 벨트의 교체 시간을 단축하여 석탄 등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belt 1 and the body frame 10 and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0 when the belt 1 is pulled out, so that the belt 1 is quickly drawn out, Since the subsequent operation is performed quickly, the recovery time of the belt 1 is shortened, and eventually the replacement time of the new belt is shortened and the coal or the like is stably supplied.

1 : 벨트, 10 : 바디 프레임
11 : 바닥부, 12 : 기둥부
13 : 천정부, 14 : 보강리브
15 : 앵커소켓, 16 : 앵커축
17 : 코터, 20 : 방향전환 롤러
21 : 롤러봉, 22,23 : 상하부 가이드판
24 : 베어링 블록, 25 : 가이드 롤러
1: Belt, 10: Body frame
11: bottom portion, 12:
13: ceiling, 14: reinforcing rib
15: anchor socket, 16: anchor shaft
17: Coater, 20: Direction changing roller
21: roller bar, 22,23: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24: bearing block, 25: guide roller

Claims (3)

앵커수단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는 바디 프레임(10)과;
상기 바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벨트의 이송 경로를 전환하면서 상기 벨트를 이송하는 방향전환 롤러(20)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전환 롤러는 상기 바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벨트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벨트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봉(21), 상기 롤러봉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상기 롤러봉보다 큰 단면적으로 이루어지며 마주하는 안쪽면에 각각 상기 벨트를 상기 롤러봉쪽으로 안내하는 경사형 안내면이 형성된 상하부 가이드판(22,23), 상기 상하부 가이드판의 경사형 안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벨트를 지지 및 꼬임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
A body frame (10) supported on the ground via an anchor means;
And a direction changing roller (20)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dy frame for feeding the belt while switching a conveying path of the belt,
Wherein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comprises a roller bar (21) rotatably and axially coupled to the body frame and guiding the belt conveyance while being rotated by the belt,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22, 23), each having an inclined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belt to the roller bar, the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being rotatably mounted on an inclined guid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And a guide roller (25) for preventing the belt from being supported and twisted while being rotated by the guide roller (25).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은 바닥부, 상기 바닥부 위에 세워지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 위에 상기 바닥부와 동일방향으로 형성되는 천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향전환 롤러는 길이방향 양측의 롤러축이 상기 바디 프레임의 천정부와 바닥부에 장착되는 베어링 블록(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frame comprises a bottom portion, a column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and a ceiling portion formed on the column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ottom portion, Is rotatably supported by a bearing block (24) mounted on a ceiling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of the body frame.
KR1020140071497A 2014-06-12 2014-06-12 Conveyer belt recovery tool KR101615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497A KR101615367B1 (en) 2014-06-12 2014-06-12 Conveyer belt recovery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497A KR101615367B1 (en) 2014-06-12 2014-06-12 Conveyer belt recovery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91A KR20150142491A (en) 2015-12-22
KR101615367B1 true KR101615367B1 (en) 2016-04-25

Family

ID=5508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497A KR101615367B1 (en) 2014-06-12 2014-06-12 Conveyer belt recovery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3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L2017002598A1 (en) * 2017-10-13 2018-05-25 Valencia Marcelo Nicolas Riquelme Pulling system for conveyor belts with steel cable co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566B1 (en) 2003-10-21 2006-06-26 지성한 A belt conveyer replacing a belt easily
KR101053757B1 (en) 2011-01-20 2011-08-02 주식회사 한발 Belt conveyor rollers prevent shaft damage and facilitate bearing repla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91A (en)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51650B (en) A kind of plate chain type conveyer
US5370218A (en) Apparatus for hauling coal through a mine
EP0277258B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nd accumulating pallets
US6237753B1 (en)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US5645158A (en) Extensible continuous haulage system
KR101615367B1 (en) Conveyer belt recovery tool
DE102018009134B4 (en) Telescopic conveyor with integrated timing and measuring conveyor
DE202014101217U1 (en) Conveyor belt, and thus equipped vehicle
KR100763550B1 (en) The intermittence transfer and stop type pallet transportation equipment
CN210084223U (en) Special support for replacing belt conveyor roller
EP2484607B1 (en) Conveyor and conveying equipment with such conveyor
KR101000352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terpillar roller
KR101157624B1 (en) Device for preventing back slip of belt in belt conveyor
KR20090010863A (en) Bearing unit for a conveying installation for the transport of goods by way of a conveyor belt
KR101007557B1 (en) Conveyor that repair is possible during drivings
CN210311144U (en) Transverse conveying guide mechanism
CN203638631U (en) V-shaped extensible-type bracket
CN111936399B (en) Vertical conveyor
CN207844189U (en) A kind of turning machine easy to assemble
CN201109622Y (en) Guiding belt type conveyer
US8028814B1 (en)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JP5114266B2 (en) Conveyor
EP3466265A1 (en) Overhead conveyor for slaughter animals
CN211077292U (en) Steady turn conveyer of transition
CN211109420U (en) External scraper feeder of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