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065B1 -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065B1
KR101615065B1 KR1020150013329A KR20150013329A KR101615065B1 KR 101615065 B1 KR101615065 B1 KR 101615065B1 KR 1020150013329 A KR1020150013329 A KR 1020150013329A KR 20150013329 A KR20150013329 A KR 20150013329A KR 101615065 B1 KR101615065 B1 KR 10161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pipe
ground
carbonate
calc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3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compacting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37Clays
    • E02D2300/0039Clays mixed with addi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는,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되고, 제1 용액이 주입될 수 있는 제1 유공관; 및 상기 제1 유공관에 이격되게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되고, 제2 용액이 주입될 수 있는 제2 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침전물이 상기 제1 유공관 및 제2 유공관 주변 지반을 고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GROUND USING SEDIMENT}
본 발명은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유공관 내에 주입된 용액이 서로 반응하여 침전물을 형성함으로써 지반을 고결시키는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적인 흙의 고결화(cementation) 현상은 모래나 점토와 같은 흙 입자 사이에 유기물질이나 칼슘염이 침전되면서 흙 입자가 고결되어 강도를 발휘하는 과정이다.
인위적인 흙의 고결화는 공학적으로 불량한 흙을 시멘트와 같은 고결제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흙 입자 사이에 고결물질을 생성시켜 흙 입자를 고결시키는 것이다.
인위적으로 토사나 암반을 고결시키는 공법은 지반 내에 시멘트계나 약액을 주입함과 동시에 교반하여 지반을 고화 처리하는 공법(예: 교반처리공법)과 단순 주입하여 지반 내의 균열이나 공극을 충전하여 지반을 보강하거나 차수하는 공법(예: 약액주입공법, 그라우팅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반 보강 및 차수공법에는 대부분 시멘트를 사용하고 있다.
시멘트의 원료는 국내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나, 1톤의 시멘트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약 0.9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될 뿐 아니라 석회석 채광으로 자연환경을 훼손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고결제에 의한 지반의 고결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KR2010-0134604호에서는 연약지반 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강화 공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절리면에 탄산칼슘과 같은 침전물을 생성시켜 절리면 사이를 충전 또는 고결시킬 수 있는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절리 또는 공극이 발달한 퇴적암 비탈면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점토 또는 미생물을 매개체로 하여, 점토 입자 또는 미생물의 표면은 음전하를 띠므로 양전하인 칼슘 이온이 보다 강한 결합을 형성하면 여기에 탄산 이온이 결합하여 탄산칼슘이 생성되므로, 고결된 지반이 다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유공관 내 주입된 용액이 비탈면 내 여러 방향으로 발달한 절리 사이로 흘러 들어가서 서로 반응하여 침전물을 생성시켜 절리 사이의 고결과 지반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특정한 조건에서 배양된 미생물뿐만 아니라 지반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토착 미생물이 주입된 요소를 분해하거나 탄산칼슘이 형성되는 매개체 역할을 할 경우에 비용 절감 및 효과적인 지반 보강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유공관 내에 용액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주입함으로써 지반 보강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는,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되고, 제1 용액이 주입될 수 있는 제1 유공관; 및 상기 제1 유공관에 이격되게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되고, 제2 용액이 주입될 수 있는 제2 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침전물이 상기 제1 유공관 및 제2 유공관 주변 지반을 고결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용액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용액에는 상기 요소를 분해하여 탄산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콩추출액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2 용액은 염화칼슘 수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액에는 칼슘 이온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2 용액에는 점토 또는 미생물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점토 또는 미생물의 표면은 음전하를 띠고, 상기 점토 또는 미생물의 표면에는 상기 칼슘 이온이 결합하게 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유공관 및 상기 제2 유공관에는 복수 개의 유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공을 통해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이 유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은, 지반에 복수 개의 천공이 형성되는 단계; 각각의 천공에 유공관이 삽입되는 단계; 상기 유공관에 서로 다른 용액이 각각 주입되는 단계; 상기 서로 다른 용액이 상기 유공관의 유공을 통해 유출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다른 용액이 반응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용액이 반응되는 단계에서, 생성된 탄산칼슘이 상기 유공관 주변 지반을 고결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유공관에 서로 다른 용액이 각각 주입되는 단계에서, 하나의 유공관에는 콩추출액 및 요소가 주입되고, 다른 하나의 유공관에는 염화칼슘 수용액이 주입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다른 하나의 유공관에는 점토 또는 미생물이 더 주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에 의하면, 절리면에 탄산칼슘과 같은 침전물을 생성시켜 절리면 사이를 충전 또는 고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에 의하면, 절리 또는 공극이 발달한 퇴적암 비탈면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에 의하면, 점토 또는 미생물을 매개체로 하여, 점토 입자 또는 미생물의 표면은 음전하를 띠므로 양이온인 칼슘 이온이 보다 강한 결합을 형성하면 여기에 탄산 이온이 결합하여 탄산칼슘이 생성되므로, 고결된 지반이 다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에 의하면, 유공관 내 주입된 용액이 비탈면 내 여러 방향으로 발달한 절리 사이로 흘러 들어가서 서로 반응하여 침전물을 생성시켜 절리 사이의 고결과 지반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에 의하면, 특정한 조건에서 배양된 미생물뿐만 아니라 지반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토착 미생물이 주입된 요소를 분해하거나 탄산칼슘이 형성되는 매개체 역할을 할 경우에 비용 절감 및 효과적인 지반 보강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에 의하면, 유공관 내에 용액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주입함으로써 지반 보강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를 통해 지반 내에 침전물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에서 미생물이 주입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를 통해 지반 내에 침전물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3(a) 내지 (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에서 미생물이 주입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10)는 제1 유공관(100) 및 제2 유공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공관(100) 및 제2 유공관(200)은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반에는 제1 유공관(100) 및 제2 유공관(200)이 나란히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은 제1 유공관(100) 및 제2 유공관(200)의 크기 및 배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공관(100) 및 제2 유공관(200)에는 복수 개의 유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공을 통해 제1 유공관(100) 및 제2 유공관(200) 내에 주입된 용액들이 유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유공관(100) 및 제2 유공관(200) 내에 주입된 용액들이 제1 유공관(100) 및 제2 유공관(200) 주변 지반 내에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1 유공관(100) 내에는 제1 용액(L1)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액(L1)은 요소(CO(NH2)2) 및 콩추출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콩추출액은 상기 요소를 분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 용액(L1)에 요소와 함께 포함되는 물질은 콩추출액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SP(Sporosarcina pasteurii)와 같은 미생물이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1 용액(L1) 내에서는 요소 및 콩추출액의 반응에 의해 탄산 이온(CO3 2 -)이 생성될 수 있다.
제1 유공관(100) 내에서 생성된 탄산 이온은 제1 유공관(100)의 유공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다만, 제1 유공관(100) 내에서 생성물 물질 중 유공을 통과할 수 있는 물질은 모두 유공을 통해 유출될 수 있고, 유공의 크기가 탄산 이온만이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제2 유공관(200) 내에는 제2 용액(L2)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용액(L2)은 염화칼슘 수용액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염화칼슘 수용액 내에는 칼슘 이온(Ca2 +) 및 염화 이온(2Cl-)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2 용액(L2)에는 점토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토의 입자 표면이 음전하를 띠기 때문에 칼슘 이온과 점토가 결합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칼슘 이온은 점토 입자 표면에 결합되어 제2 유공관(200)의 유공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제1 유공관(100)의 유공을 통해 유출된 탄산 이온 및 제2 유공관(200)의 유공을 통해 유출된 칼슘 이온이 반응을 하게 되면 탄산칼슘(CaCO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점토가 매개체가 되어, 칼슘 이온과 탄산 이온의 결합이 보다 강하게 결합하게 될 수 있고, 추후 칼슘 이온과 탄산 이온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10)에서는 제1 용액(L1)과 제2 용액(L2)의 반응을 통해 생성된 침전물이 탄산칼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침전물을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지반 보강에 효과적인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탄산칼슘 층(S)은 제1 유공관(100) 및 제2 유공관(200) 주위 지반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탄산칼슘으로 형성된 층이 평행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탄산칼슘 층(S)은 제1 유공관(100) 및 제2 유공관(200)의 유공으로부터 여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탈면 내 여러 방향으로 발달한 절리 사이로 제1 용액(L1) 및 제2 용액(L2)이 흘러 들어가서 서로 반응하여 탄산칼슘이 생성되므로, 절리 또는 공극이 발달한 부분에 탄산칼슘 층(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탄산칼슘 층(S)은 절리 사이의 고결과 지반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제2 용액(L2)에 점토가 더 포함되어, 점토가 응고되면서 탄산칼슘 층(S)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도 3(a) 내지 (d)를 참조하여, 점토 대신 미생물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전술된 SP(Sporosarcina pasteurii)와 같은 특정 미생물뿐만 아니라, 지반 내에 존재하는 토착 미생물이 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생물은 제1 유공관(100) 내에서 요소를 분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요소를 암모니아 및 이산화탄소를 분해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공관(100) 내에는 탄산 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은 제2 유공관(100) 내에서 칼슘 이온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의 표면은 음전하를 띠어, 미생물 표면에 칼슘 이온이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 주변에서 칼슘 이온과 탄산 이온의 반응에 의해서 탄산칼슘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미생물에 의해서 탄산칼슘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며, 탄산칼슘이 분해되는 것이 미생물에 의해서 예방될 수 있다.
도 3(d)는 미생물 주변에 탄산칼슘이 생성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미생물은 요소를 분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토와 마찬가지로 매개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지반에 복수 개의 천공이 형성된다(S10)
예를 들어, 지반에는 두 개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천공은 지면으로부터 지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각각의 천공에 유공관이 삽입된다(S20).
예를 들어, 두 개의 천공이 형성된 경우, 하나의 천공에는 하나의 유공관 또는 제1 유공관이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천공에는 다른 하나의 유공관 또는 제2 유공관이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각각의 유광관에는 서로 다른 용액이 각각 주입된다(S30).
예를 들어, 제1 유공관에는 콩추출액 및 요소가 주입되고, 제2 유공관에는 염화칼슘 수용액이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공관에는 콩추출액 대신 미생물이 주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콩추출액 또는 미생물에 요소가 분해될 수 있다.
이때, 요소가 분해되어 제1 유공관 내에 탄산 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공관에는 염화칼슘 수용액과 함께 점토 또는 미생물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점토는 입자 표면에 음전하를 띠어, 칼슘 이온과 결합될 수 있다.
미생물 또한 표면에 음전하를 띠어, 칼슘 이온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미생물은 전술된 특정 미생물뿐만 아니라, 지반 내에 존재하는 토속 미생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유공관 내에는 탄산 이온이 생성되고, 제2 유공관 내에는 칼슘 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이어서, 서로 다른 용액이 유공관의 유공을 통해 유출된다(S40).
예를 들어, 제1 유공관에서는 탄산 이온, 암모니아 및 분해되지 않은 요소가 유출되고, 제2 유공관에서는 칼슘 이온, 염화 이온, 점토 또는 미생물이 유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로 다른 용액이 반응된다(S50).
이때, 제1 유공관으로부터 유출된 탄산 이온과 칼슘 이온이 반응하여 탄산칼슘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용액들이 지반 내에 스며들어가는 곳에 생성되어 탄산칼슘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지반을 고결시키고, 지반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은 절리면에 탄산칼슘과 같은 침전물을 생성시켜 절리면 사이를 충전 또는 고결시킬 수 있고, 절리 또는 공극이 발달한 퇴적암 비탈면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점토를 매개체로 하여, 점토 입자와 칼슘 이온이 보다 강한 결합을 형성하여, 고결된 지반이 다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공관 내 주입된 용액이 비탈면 내 여러 방향으로 발달한 절리 사이로 흘러 들어가서 서로 반응하여 침전물을 생성시켜 절리 사이의 고결과 지반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게다가, 특정한 조건에서 배양된 미생물뿐만 아니라 지반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토착 미생물을 이용하여 비용 절감 및 효과적인 지반 보강 효과를 획득할 수 있고, 유공관 내에 용액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주입함으로써 지반 보강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지반 보강 장치
100: 제1 유공관
200: 제2 유공관
L1: 제1 용액
L2: 제2 용액
S: 탄산칼슘 층

Claims (9)

  1.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되고, 콩추출액 및 요소가 포함된 제1 용액이 주입될 수 있는 제1 유공관; 및
    상기 제1 유공관에 이격되게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되고, 염화칼슘 수용액 및 점토가 포함된 제2 용액이 주입될 수 있는 제2 유공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침전물이 상기 제1 유공관 및 제2 유공관 주변 지반을 고결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유공관에서는 상기 콩추출액이 상기 요소를 분해하는 반응에 의해 탄산 이온을 발생되고, 상기 제2 유공관에서는 상기 점토의 표면에 상기 염화칼슘 수용액의 칼슘 이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유공관을 통해 상기 탄산 이온이 유출되고 상기 제2 유공관을 통해 음전하를 띠는 상기 점토의 표면에 양전하를 띠는 상기 칼슘 이온이 결합된 채로 유출되며,
    상기 탄산 이온과 상기 칼슘 이온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제1 유공관 및 상기 제2 유공관 주변 지반 내에 탄산칼슘이 생성되고,
    상기 제2 유공관에 주입된 점토가 매개체가 되어 상기 탄산 이온과 상기 칼슘 이온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유공관 및 제2 유공관에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을 주기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상기 제1 유공관 및 상기 제2 유공관 주변 지반 내에 생성된 탄산칼슘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점토가 응고되면서 상기 생성된 탄산칼슘이 견고하게 되는,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공관 및 상기 제2 유공관에는 복수 개의 유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공을 통해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이 유출될 수 있는,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7. 지반에 복수 개의 천공이 형성되는 단계;
    각각의 천공에 유공관이 삽입되는 단계;
    상기 유공관에 서로 다른 용액이 각각 주입되는 단계;
    상기 서로 다른 용액이 상기 유공관의 유공을 통해 유출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다른 용액이 반응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용액이 반응되는 단계에서 생성된 탄산칼슘이 상기 유공관 주변 지반을 고결시킬 수 있고,
    상기 유공관에 서로 다른 용액이 각각 주입되는 단계에서, 하나의 유공관에는 콩추출액 및 요소가 주입되고, 다른 하나의 유공관에는 염화칼슘 수용액 및 점토가 주입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유공관에서는 상기 콩추출액이 상기 요소를 분해하는 반응에 의해 탄산 이온이 발생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유공관에서는 상기 점토의 표면에 상기 염화칼슘 수용액의 칼슘 이온이 결합되고,
    상기 하나의 유공관의 유공을 통해 상기 탄산 이온이 유출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유공관의 유공을 통해 음전하를 띠는 상기 점토의 표면에 양전하를 띠는 상기 칼슘 이온이 결합된 채로 유출되며,
    상기 서로 다른 용액이 반응되는 단계에서, 상기 탄산 이온 및 상기 칼슘 이온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탄산칼슘이 생성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유공관에 주입된 점토가 매개체가 되어, 상기 탄산 이온과 상기 칼슘 이온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유공관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유공관에 상기 서로 다른 용액을 주기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유공관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유공관 주변 지반 내에 생성된 탄산칼슘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점토가 응고되면서 상기 생성된 탄산칼슘이 견고하게 되는,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50013329A 2015-01-28 2015-01-28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 KR101615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329A KR101615065B1 (ko) 2015-01-28 2015-01-28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329A KR101615065B1 (ko) 2015-01-28 2015-01-28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065B1 true KR101615065B1 (ko) 2016-04-22

Family

ID=5591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329A KR101615065B1 (ko) 2015-01-28 2015-01-28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799B1 (ko) * 2021-10-01 2022-04-18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폐기물 매립시설의 친환경 차수층의 조성방법
KR20230055107A (ko) 2021-10-18 2023-04-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콘크리트 궤도용 성토체 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761B1 (ko) * 2010-11-24 2011-04-2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미생물을 이용한 연약 지반의 고결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761B1 (ko) * 2010-11-24 2011-04-2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미생물을 이용한 연약 지반의 고결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799B1 (ko) * 2021-10-01 2022-04-18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폐기물 매립시설의 친환경 차수층의 조성방법
KR20230055107A (ko) 2021-10-18 2023-04-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콘크리트 궤도용 성토체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5964B (zh) 硅酸盐基井眼液和用于稳定未加固地层的方法
CN104858048B (zh) 土压平衡盾构渣土环保再生处理方法和设备
JP5599032B2 (ja) 地盤改良方法
US9739129B2 (en) Methods for increased hydrocarbon recovery through mineralization sealing of hydraulically fractured rock followed by refracturing
CN108049409A (zh) 一种微生物结合酶抑制剂压力注浆固土的方法
JP6974050B2 (ja) 粘性土地盤改良方法
KR101615065B1 (ko) 침전물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지반 보강 방법
CN106906821A (zh) 一种微生物砂桩成桩装置及方法
KR101380354B1 (ko) 연약 지반 개량용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바이오 그라우트 방법
KR20130127539A (ko) 저류 물질의 저류 장치 및 저류 방법
JP2016222776A (ja) 重金属不溶化処理組成物及び重金属汚染土壌の修復方法
JP6647164B2 (ja) 地盤改良工法及び地盤改良用プレキャスト地盤の製造方法
CN107119670A (zh) 一种微生物负压表面固土方法
Kim et al. Injection effect of bio-grout for soft ground
KR101141978B1 (ko) 콩을 이용한 지반의 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고결화 방법
CN110983075B (zh) 离子型稀土原地浸矿场封场的注液孔的封孔方法
CN107366552A (zh) 硫酸钠型岩盐溶腔固结式填充方法
US9771284B2 (en) Situ chemical fixaton of metal contaminants
JP2020204214A (ja) 泥岩集合体の処理方法、スレーキング防止方法及び残土の重金属浸出防止方法
Shu et al. Modelling microbially induced carbonate precipitation (MICP) in microfluidic porous chips
JPWO2020003551A1 (ja) 地層改良を用いたメタンハイドレートの生産方法。
RU2310711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противофильтрационных завес
CN106409371B (zh) 一种羟基磷灰石包覆prb填充材料及其制备方法和地下水除铀应用方法
JP2019163644A (ja) 地盤改質方法
CN104452741A (zh) 一种沿海软土地基加筋布袋注浆桩施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