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352B1 - 틸팅부를 구비하는 전신운동 실내스키 - Google Patents

틸팅부를 구비하는 전신운동 실내스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352B1
KR101614352B1 KR1020140179837A KR20140179837A KR101614352B1 KR 101614352 B1 KR101614352 B1 KR 101614352B1 KR 1020140179837 A KR1020140179837 A KR 1020140179837A KR 20140179837 A KR20140179837 A KR 20140179837A KR 101614352 B1 KR101614352 B1 KR 10161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tilting shaft
handle
shaf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018A (ko
Inventor
오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아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아이씨
Priority to KR1020140179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3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체 다리의 스테퍼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체 특히 허리, 팔 운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틸팅부를 구비하는 전신운동 실내스키{Indoor Ski}
본 발명은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체 다리의 스테퍼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체 특히 허리, 팔 운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 운동기구는, 헬스장 등에서 사용되는 고가의 헬스기구나 가정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운동기구가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가정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운동기구로서, 기존에는 스테퍼,트위스트런, 바디슬렌더, X바이크 등이 있었다.
상기 스테퍼 및 바디슬렌더는 다리교차운동, 상기 트위스터런은 다리 굽힘 및 허리비틀기, 상기 X바이크는 다리회전운동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든 운동을 포함하여 팔운동까지 포함하는 전신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허리, 다리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체 근육의 강화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내스키 형태를 취하는 전신운동기구는,
전방부, 후방부, 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는 핸들; 핸들스트럿; 구름부;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부는 발판; 발판스트럿; 구름부;으로 구성되고,
상기 틸팅부는 제1틸팅축 내지 제3틸팅축을 포함하여서 상기 핸들스트럿의 기울임에 맞추어 상기 발판의 기울임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허리를 틀고, 팔을 단련하며, 다리 운동을 수행함으로서 전신의 근육 강화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기술
도 2은 뒤에서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는 A 뒤에서 보인 사시도; B사시도
도 4은 측면도
도 5은 정면도
도 6는 A 사시도로 보인 부분 확대도; B 위에서 내려다 보인 부분 확대도
도 7는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서, 좌하측은 절단(cut)된 면을 보인 정면도; 중상측은 측면도; 우하측은 절단(cut)된 면을 보인 배면도
도 8은 상기 도 7 부분의 동작에 의한 변형된 모양을 보인 상태도
도 9는 A 및 B 상기 도 8과 관련하여 본 발명 전체의 동작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발판, 구름부의 연결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은 다른 여러 실시의 예시도 A 뒷 부분만 구름부을 구비한 사시도; B 앞부부만 구름부을 구비한 사시도; C 타원형 구름부 예시도; D 스토퍼를 형성한 구름부 예시도
도 12 A는 휴대, 운송시에 부피를 줄이기 위해 구름부을 탈부착하는 예시를 보인 상태도; B는 구름부 탈부착수단의 부분 확대도; C는 구름부에 보강부재를 형성한 예시도; D 및 E는 상기 보강부재에 핸들스트럿을 고정하기위한 예시도;
도 13내지 도 17의 도시는 사용, 보관, 이동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른 발명으로부터 인용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설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서,
본 발명의 실내스키 형태의 전신운동기구는, 크게 전방부(100), 후방부(200), 틸팅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부는,
위쪽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110),
아래쪽에 배치되어 바닥에서 좌우로 왕복하여 구름운동 하는 아치형태의 전방 구름부(130),
상기 핸들과 상기 구름부을 연결하도록 세워지는 핸들스트럿(1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름부의 가운데에 상기 핸들스트럿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핸들스트럿의 상단에 상기 핸들이 고정된다.
상기 구름부은 도 9 A, B의 예시와 같이 상기 핸들을 좌우로 미는 방법으로 상기 핸들스트럿을 좌우로 기울이면 그에따라 상기 구름부이 좌우로 왕복 구름운동을 하는 것이다. 이에따라 전방부는 좌우로 위치변위가 일어난다.
상기 핸들스트럿은 핸들스트럿관(122) 및 상기 핸들스트럿관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핸들스트럿축(121)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핸들의 좌우 회전을 상기 구름부에 전달하여 방향 바꿀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기 구성은 본 발명 운동기구를 사용 중에 핸들을 좌우 회전시켜(st) 본 발명의 운동기구 위치를 바로잡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좌우측으로 구름운동과 상기 조향작용에 의하여 위치변위는 모든 방향으로 가능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예시처럼, 전방부의 핸들스트럿 하단에 구비될 구름부(130)는 생략될 수 있다. 그 대신에 후방 구름부의 좌우 진동 회전폭의 축이 될 고정체(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최하단이 바닥의 긁힘을 방지할 고무, 천, 우레탄 등의 부드러운 소재(130`p)가 가능하고 또한, 바닥에 대하여 베어링 역할을 하도록 구름 가능한 부재를 덧대어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경우, 후방의 구름부 만으로 스텝에 의해 좌우로 진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느끼는 좌우 회전폭은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기구를 간단하게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작은 폭의 좌우 진동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좌우 왕복 회전폭 혹은 진동폭은 전,후방 구름부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후방부는,
사용자의 양 발을 얹도록 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발판(210)(210l, 210r),
상기 좌우 각 발판으로부터 후단이 고정되어 전방을 향하여 놓이는 좌우 발판스트럿(220)(220l, 220r),
바닥에서 좌우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아치형태를 취하며 상기 좌우 발판에 좌우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후방 구름부(230)을 포함한다.
*도 10의 예시에는 상기 발판의 저면에 상기 구름부의 단부가 고정(230p)되어 있다. 상기 고정은 도 10 A2의 예시처럼 상기 구름부이 좌우로 구를 때 상기 발판에 대하여 좌우로 꺽일 수 있도록 힌지결합을 시키도록 한다. 상기 힌지결합은 좌우 뿐만 아니라 도 10 B2, B3의 예시처럼 전후로 기울임에도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도록 다축관절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축관절로는 스피어조인트, 십자조인트, 다방향으로 꺽일 수 있는 고무힌지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이용하여 도 9 A, B의 도시에서와 같이 발판을 상하(up, down)로 구르면서 스텝운동과 동시에 사용자의 몸이 좌우로 위치이동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전방부의 위치이동과 반대방향으로 위치이동을 하게되면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제자리 회전 운동을 왕복하면서 사용자는 트위스트 운동의 기분을 느끼게 된다.
상기 틸팅부는,
상기 핸들스트럿관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제1틸팅축받이관(311),
상기 제1틸팅축관에 끼워지거나 상기 제1틸팅축관으로부터 옆으로 연장되는 제1틸팅축(312),
상기 제1틸팅축에 끼워져서 전후방향의 디멘션상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틸팅축관(313),
상기 핸들스트럿관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2틸팅축(314),
상기 제2틸팅축에 끼워져서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회전결합(315p)되는 제2틸팅축관(315),
상기 제2틸팅축관의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3틸팅축(316),
상기 제3틸팅축에 끼워져서 전후방향 회전하도록 결합하는 제3틸팅축관(318),
이때 상기 제3틸팅축의 외경과 상기 제3틸팅축의 내경은 서로 이격되도록 되어서 공간이 생기고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링 형태로 끼워지는 고무와 같은 토션부재(317),
상기 제1틸팅축관과 상기 제3틸팅축관을 연결하여 한 뭉치로 만드는 틸팅축관연결부(313p)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핸들의 좌우 방향전환이 불요한 경우에는 상기 핸들스트럿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핸들스트럿축에 상기 틸팅부의 구성을 할 수 있다.
도 8의 도시는 상기 발판을 좌우로 굴리거나, 상기 핸들부를 좌우로 기울일 때 상기 틸팅부의 형태변화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틸팅부에서 상기 토션부재가 상기 제3틸팅축에 압력(press)을 가하는 방법으로 도 7의 도시와 같은 원형복원이 이루어진다.
상기 틸팅부의 작용에 의하여 후방부의 발판은 사용자가 좌우로 스텝 운동을 실시하더라도 핸들스트럿의 기울기에 맞추어 수평을 유지하거나 사용자가 수인할 수 있는 범위까지만 발판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좌우 스테핑 운동시에 후방 구름부의 기울기에 따라서 발판이 심하게 좌우 어느 측으로 기울어지게 되어서 사용자가 중심을 잃거나 사용자의 발이 발판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상기 구름부(130, 230)는, 파이프를 밴딩하여 만들어질 수 있고; 금속판, 합성수지 부재를 밴딩하거나 다이케스팅, 사출 등 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닥에서 마찰을 줄이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우레탄, 합성수지제 등으로 된 것을 덧대거나 자바라를 끼울 수 있다. 만일, 바닥을 청소하는 부직포, 천과 같은 걸레의 부재를 사용한다면 바닥의 긁힘을 방지함은 물론 운동 중 청소의 효과도 노려볼 수 있다. 상기 걸레의 부재는 깔갈이, 벨크로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핸들을 좌우로 틀어거나 발판의 뛰듯이 움직여서 장소를 이동하면서 구름부가 좌우로 구르는 운동중에 바닥을 닦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름부(130, 230)는 운동기구가 좌우로 넘어지지 않기 위해서, 도 11 C의 예시처럼 계란과 같은 타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계란처럼 타원형을 취하면 넘어질 수 없다. 하지만, 구름부의 외형이 원형(반원형)이라고 할지라도 좌우로 기울이는 틸팅(tilting)의 회전 중심이 상기 원형의 중심측 보다 아래에 있어도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더하여, 좌우로 넘어짐을 방지하고 좌우 기울임의 한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도 11 D의 예시처럼 구름부의 위쪽에 외부로 돌출하는 기울임스토퍼(130st)를 형성하거나 덧대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 A의 예시처럼 뒷 부분 후방부(200)만 구름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전방부의 하단 바닥접촉부(130`p)를 회전축으로 후방부 만이 좌우로 왕복하게되므로 하체 집중적인 운동이 된다. 반대로 도 11 B의 도시와 같이 앞부부 전방부(100)만 구름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에는 후방부를 축으로 전방부만이 좌우로 왕복하므로 상체 중심적인 운동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다음, 본 실내스키를 사용자의 체격에 맞추고, 휴대, 보관, 운송 및 이동 시에 편리를 주기 위한 편의사항을 알아본다. 이에는 탈부착 하기 위한 탈부착장치(sk)와, 길이를 맞추기 위한 슬라이딩 길이조절장치(sl)와, 접기위한 절첩장치(sm) 등이 있다.
도 2; 도 4; 도 11 A 및 B; 도 12 A 및 E; 등은, 핸들스트럿(120)에 길이조절장치(sl)가 그리고 발판스트럿(220)(220l, 220r)에는 절첩장치(sm)가 위치하는 예시를 보여준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도 3의 예시와 같이 핸들스트럿(120)에도 절첩장치(sm)의 설치가 단독으로 혹은, 상기 길이조절장치와 병행하여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발판스트럿에도 상기 길이조절장치(sl)가 단독으로 혹은, 상기 절첩장치와 병행하여 설치 가능하다.
한편, 도 12의 A 및 B는 탈부착장치(sk)를 사용하여 구름부을 탈부착하는 것을 보이는 예시로서,
전방부의 경우 핸들스트럿(120)의 하단에, 후방부의 경우 발판(210) 또는 발판스트럿(220)의 하단(혹은 측단)에 각각 끼움받이부(at2)를 구성한다. 그리고 전방 구름부(130)에는 상기 핸들스트럿의 하단에 접촉할 구름부의 중간 위치에, 후방 구름부(230)에는 상기 발판(또는 발판스트럿)에 접촉할 좌우 양측 위치에 끼움부(at1)을 구성한다. 상기 끼움부 및 상기 끼움받이부는 돌기 및 홈 형태로 되어 있어서 서로 끼울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도면의 예시와는 반대로 상기 끼움부 및 상기 끼움받이부는 그 형태를 서로 바꾸거나, 그 장착되는 위치를 서로 바꿀 수 있다. 상기 끼움부 및 끼움받이부는 서로 끼워져 결합된 후 끼움고정공(ath)의 위치를 맞추어서 고정나사(atn)로 조여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 12 E의 예시와 같이 다수의 끼움고정공(ath)을 형성하여 두고 서로 위치를 바꾸면서 고정하면 이를 통하여 바닥으로부터 본 운동기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길이조절장치(sl)까지 겸할 수 있다.
또, 도 12 C는 가해지는 하중에 보다 잘 대처하여 파손을 막기 위하여 구름부(130, 230)에 ㅅ형태의 보강부재(bt)를 구비한 것을 보여준다. 보다 강한 하중에 대처하기 위하여 추가 보강부재(bt`)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2 D의 예시처럼 전방부(100)에 구비되는 구름부(130)의 경우 상기 보강부재(bt)에 끼움부(at1)(혹은, 끼움받이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2 E의 예시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bt)에 설치되는 끼움부(at1)에 핸들스트럿(120)의 끼움받이부(at2)(혹은, 끼움부)를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키)에 맞추어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고정나사(atn)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체결은 아동용 킥보드, 자전거 등에서 사용되는 클램프체결장치로 대체될 수 있고 기타 공지의 것을 인용할 수 있다. 도 12의 D 및 E는 상기 보강부재(bt)의 몸체에 핸들스트럿(12)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3 내지 도 17의 예시는 기존의 길이조절장치(sl) 및 절첩장치(sm)를 예시한 것이며 이를 인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핸들스트럿(120)은 착탈가능하도록 제작되거나 그 길이를 운송, 보관상에 있어서는 물론 사용자의 키, 체격에 맞추는 수단과 함께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해서는 기존의 킥보드(혹은 아동용 킥스쿠터), 자전거 등에 사용되는 것을 인용할 수 있다.
도 13과 관련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67644호(2002.02.27)는,
"보드(1)의 축관(3)에 전방 바퀴(2)와 결합된 조정간(4)과, 상단에 핸들(5)이 형성되고 수개의 조절공(10,10')이 상하로 수개 형성되어 상기 조정간(4)에 슬라이드삽입결합되는 핸들대(6)와, 조정간(4)에 형성되는 고정공(8)과, 조정간(4) 상단 외측에서 조립공(9,9')이 고정공(8)과 일치되게 결합되는 고정캡(7)과, 고정캡(7)의 조립공(9,9')과 핸들대(6)의 조절공(10,10'), 조정간(4)의 고정공(8)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11)와 고정너트(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씽씽카의 핸들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4와 관련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31983호(2003.10.23)는,
"상단부에 한 쌍의 핸들이 마련되고 그 하단부에 전륜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중공축과, 상기 제2중공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중공축과, 상기 제2중공축에 대해 상기 핸들축의 위치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록킹/해제수단과, 상기 제1중공축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양단에 각각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회동링크와, 양단부에 상기 제1,2회동링크의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중간부분에서 상기 고정블럭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블럭과, 상기 제1,2회동링크의 각 타단에 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단부에 발판 및 후륜이 마련되는 제1,2발판링크와, 상기 제1,2회동링크에 대해 상기 제1,2발판링크를 수평 및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클램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축의 상단부에 상기 핸들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핸들고정대가 고정되고, 상기 각 핸들은 절곡형성되어서 일단이 상기 핸들고정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핸들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의 결합부에 상기 핸들고정대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록킹돌기가 출몰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도 15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7548호(2000.10.09)는,
"핸들축(3)의 일측면 전면부에 일렬로 여러 개의 구멍(8)을 뚫어두고, 앞바퀴축(2) 상단부 안쪽에는 탄성스프링볼(11)을 장치할 수 있는 2개의 구멍(14)을 마주하여 타공하고 여기에 탄성스프링볼(11)을 장치한 후 장치된 탄성스프링볼(1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바퀴축(2)의 상단 부에 플라스틱 캡(Cap)(10)을 씌우고 양 축을 삽입 결합하여 핸들축(3)에 뚫어둔 구멍(8)의 수만큼 핸들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후방부(200) 또는 틸팅부(300)에 있어서, 절첩이 가능한 수단을 마련하여 운반, 보관시에 그 부피를 최소화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록 타분야이지만 야외에서 타는 세바퀴의 트라이크와 같은 승용물에서 사용되는 것을 인용할 수 있다.
가령, 도 16와 관련하는 등록특허 제10-0928688호(2009.11.19)의 것은,
"한 쌍의 연결 링크와 작동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 프레임을 수직 프레임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이부는 상기 연결 링크의 내측에 형성되며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90°간격으로 멈춤 홈이 배열되며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고정 환체; 상기 작동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내측에상기 축공과 공유하는 위치 고정홈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 환체; 상기 회전 환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버; 일단부는 상기 회전 환체를 관통하며 상기 레버의 양측에 스프링이 끼워지고 타측은 상기 멈춤 홈에 끼워지는 스토퍼; 및 상기 고정 환체와 상기 회전 환체의 축공을 통하여 관통하며 상기 스토퍼를 관통하는 한 쌍의 회전 축으로 구비된 접이장치"이다.
또, 도 17의 도시와 관련하는 등록특허 제10-0969706호(2010.07.05)는,
"조향부의 메인 조향파이프(112)와 서브조향파이프의 연결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조향파이프(112)의 하단에는 가이드공(115b)을 수직으로 형성시킨 직립블럭(115)을 고정하고, 상기 전방캐스터의 상부에 결합시킨 서브조향파이프의 상단에는 고정블럭(116)을 결합한다. 직립블럭(115)은 양측면을 평면(115a)이 형성시킨 한 다음 포크 형태로 한 쌍의 지지턱(116a)이 마련된 고정블럭(116) 지지턱(116a)의 사이 공간에 직립블럭(115)을 내입시킨 다음 고정수단(117)을 통하여 상기 지지턱(116a) 외주연과 가이드공(115b)을 관통되게 결합시켜 서브조향파이프에서 메인 조향파이프(112)가 샤프트(130) 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인라인 보드식 롤키(100)의 사용 여부에 따라 메인 조향파이프(112)를 샤프트(130) 측으로 접철시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전방부(100), 후방부(200), 틸팅부(300)

Claims (1)

  1. 전방부; 후방부; 틸팅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몸을 전방향으로 흔들 수 있는 실내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는,
    위쪽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 아래쪽에 배치되어 바닥에서 좌우로 구름운동 하는 아치형태의 전방 구름부; 상기 핸들과 상기 구름부를 연결하도록 세워지는 핸들스트럿;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부는,
    사용자의 양 발을 얹도록 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발판; 상기 좌우 각 발판으로부터, 후단이 고정되어 전방을 향하여 놓이는 좌우 발판스트럿; 바닥에서 좌우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아치형태를 취하며, 상기 좌우 발판에 좌우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후방 구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핸들스트럿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제1틸팅축받이관(311); 상기 제1틸팅축받이관에 끼워지거나 상기 제1틸팅축받이관으로부터 옆으로 연장되는 제1틸팅축(312); 상기 제1틸팅축에 끼워져서 전후방향의 디멘션상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틸팅축관(313); 상기 핸들스트럿의 후방에,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고정되는 제2틸팅축(314); 상기 제2틸팅축에 끼워져서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회전결합(315p)되는 제2틸팅축관(315); 상기 제2틸팅축관의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3틸팅축(316); 상기 제3틸팅축에 끼워져서 전후방향 회전하도록 결합하는 제3틸팅축관(318); 상기 제3틸팅축의 외경과 상기 제3틸팅축관의 내경은 서로 이격되도록 되어서 공간이 생기고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링 형태로 끼워지는 토션부재(317); 상기 제1틸팅축관과 상기 제3틸팅축관을 연결하여 한 뭉치로 만드는 틸팅축관연결부(313p);를 포함하고, 좌우의 상기 제3틸팅축관과 각각 연결된 양쪽의 발판스트럿이 상기 제3틸팅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부를 구비하는 전신운동 실내스키.
KR1020140179837A 2014-12-12 2014-12-12 틸팅부를 구비하는 전신운동 실내스키 KR101614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837A KR101614352B1 (ko) 2014-12-12 2014-12-12 틸팅부를 구비하는 전신운동 실내스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837A KR101614352B1 (ko) 2014-12-12 2014-12-12 틸팅부를 구비하는 전신운동 실내스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256U Division KR20130005505U (ko) 2013-08-29 2013-08-29 전신운동 실내스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018A KR20150027018A (ko) 2015-03-11
KR101614352B1 true KR101614352B1 (ko) 2016-04-29

Family

ID=5302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837A KR101614352B1 (ko) 2014-12-12 2014-12-12 틸팅부를 구비하는 전신운동 실내스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3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598U (ko) * 1990-02-28 1991-11-14
JPH09225062A (ja) * 1996-02-26 1997-09-02 Toyoda Raideingu Sukuule:Kk バランス器具
KR100893678B1 (ko) * 2007-05-10 2009-04-17 주식회사 하이트라이더 인라인 보드식 롤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018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212B2 (en) Omni-directional abdominal exerciser
KR101748958B1 (ko) 다기능 운동기구
US5913752A (en) Total body exercise machine
US7311319B1 (en) Therapeutic scooter system
US20130045838A1 (en) Compact stepping and swinging fitness machine
US10022588B1 (en) Body exerciser
US20090011906A1 (en) Rebounding exerciser
US20030127822A1 (en) Transportation device
US20040147375A1 (en) Elliptical exerciser
KR101610370B1 (ko) 인도어스키
KR101614352B1 (ko) 틸팅부를 구비하는 전신운동 실내스키
KR101270470B1 (ko) 그네
WO2013086784A1 (zh) 一种脚踏式跳舞健身机
KR101739685B1 (ko) 복합운동 헬스자전거
KR20130005505U (ko) 전신운동 실내스키
CN206938952U (zh) 一种双驱动健身三轮车
JP2022553691A (ja) ペダル駆動デバイスのための背部支持具
KR101610369B1 (ko) 전신운동 실내스키
US10486046B2 (en) Hockey training apparatus
KR101321957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0451925Y1 (ko) 로윙 운동기구
JP6670018B2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ン
KR102554462B1 (ko) 실내용 자전거
TWM465941U (zh) 肢體復健器
TWM513711U (zh) 踏步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