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268B1 -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268B1
KR101613268B1 KR1020140061215A KR20140061215A KR101613268B1 KR 101613268 B1 KR101613268 B1 KR 101613268B1 KR 1020140061215 A KR1020140061215 A KR 1020140061215A KR 20140061215 A KR20140061215 A KR 20140061215A KR 101613268 B1 KR101613268 B1 KR 101613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ance
blood vessel
guide wire
lesion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1222A (ko
Inventor
이덕희
황선문
김태일
임옥균
김한기
조재화
송석범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ublication of KR2015008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8Inflatable balloon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는 유연성(Flexible)있는 외피 및 내부 철망(Wire Mesh)으로 구성되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하여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튜브 형태를 가지며, 가이드 와이어의 출구 단부로부터 직경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진입조정부,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하는 튜브 형태로 진입조정부 출구의 반대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는 입구를 포함하는 내관 및 내관을 둘러싸고 진입조정부 출구의 반대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병변에서 확장되어 혈관을 확장하며, 내관 및 진입조정부에서 분리되는 혈관처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DELIVERY APPARATUS FOR MED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의료용 부재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용 부재를 혈관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인체 내부의 혈관에 협착이 발생하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혈관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풍선(Balloon) 및 스텐트(Stent)를 포함하는 혈관 확장을 위한 의료용 부재를 문제가 발생한 혈관 내의 위치에 이동 및 설치하여 시술하게 된다. 특히, 혈관이 좁아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중재시술(Intervention)로서 혈관확장술 (Angioplasty)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혈관확장술은 가이드 와이어와 도관을 통해 풍선이나 스텐트 또는 풍선과 스텐트 모두를 문제가 발생한 지점까지 전달한 후, 풍선 또는 스텐트를 팽창시켜 혈관을 확장한다.
두개저(Base of Skull)를 지나 두개강내(Intracranium)에 위치하는 뇌동맥은 다른 부위의 혈관에 비해서 굴곡이 많고 형태가 복잡하다. 이러 같이 복잡한 굴곡을 가지는 뇌동맥에 혈관확장술을 시술하는 경우, 혈관의 굴곡 및 복잡한 형상으로 인해 풍선 또는 스텐트를 한번에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복잡한 굴곡을 가지는 혈관의 경우, 혈관 확장을 위한 풍선 및 스텐트를 한번에 문제가 발생한 위치(병변)까지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1차적으로 미세 도관을 이용하여 경로를 확보한 후, 2차적으로 미세 도관을 제거하고 풍선 및 스텐트를 전달하는 교체 과정(Exchange)을 필요로 한다. 일례로서, 중대뇌동맥에 협착이 발생하여 혈관확장술을 시행하는 경우, 복잡한 굴곡을 통과하기 위해 먼저 미세 도관의 내부를 관통하는 미세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미세 도관을 이동시켜 미세 도관 및 미세 가이드 와이어를 문제가 발생한 위치(병변)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미세 가이드 와이어만 남기고 미세 도관을 제거한다. 미세 도관이 제거되면, 남아있는 미세 가이드 와이어를 통해 풍선 및 스텐트를 병변까지 전달한 후, 풍선 및 스텐트를 확장하여 혈관을 확장한다.
이와 같이, 중대뇌동맥과 같이 굴곡이 매우 심한 혈관에 병변이 발생한 경우에는 풍선 및 스텐트를 바로 삽입하지 못하고 미세 도관을 먼저 삽입하여 병변까지의 진입 경로를 확보한 후, 미세 도관을 제거하고 풍선 및 스텐트를 삽입하는 교체 과정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미세 도관을 제거하고 다시 풍선 및 스텐트를 삽입하는 교체 과정에서 미세 도관, 풍선 또는 스텐트에 의해 혈관이 파손되거나 상처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중대뇌동맥과 같이 두개강내 위치하는 뇌동맥의 경우 혈관 파손은 환자의 안전에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과 같이 복잡한 굴곡을 가지는 혈관의 혈관확장술에 있어서, 삽입된 미세 도관을 제거하고 풍선 또는 스텐트를 다시 삽입하는 교체 과정에 따른 혈관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는 유연성(Flexible)있는 외피 및 내부 철망(Wire Mesh)으로 구성되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하여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튜브 형태를 가지며, 가이드 와이어의 출구 단부로부터 직경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진입조정부,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하는 튜브 형태로 진입조정부 출구의 반대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는 입구를 포함하는 내관 및 내관을 둘러싸고 진입조정부 출구의 반대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병변에서 확장되어 혈관을 확장하며, 내관 및 진입조정부에서 분리되는 혈관처치부를 포함한다.
진입조정부는 출구 단부에 진입부를 포함하며, 진입부는 진입조정부의 출구로 배출되는 가이드 와이어와 진입부 사이의 빈틈을 수축하여 메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입부는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철망의 밀도를 조절하여 진입조정부의 유연성을 조절하여, 진입조정부의 입구 단부가 반대 방향 단부보다 내부 철망의 밀도가 높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혈관처치부는 스텐트(Stent) 및 풍선(Balloo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진입조정부는 가이드 와이어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소재로 구성된 내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는 미세 도관을 제거하고 풍선 또는 스텐트를 삽입하는 교체 과정이 없이 혈관확장술을 시술할 수 있어, 시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혈관 파손과 같은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재 장치는 교체 과정이 없어 시술 시간을 단축시켜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의 진입조정부(11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조정부(110)의 AA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BB선 단면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이동 장치를 이용한 혈관확장술의 시술 과정을 나태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100)는 진입조정부(110), 혈관처치부(130) 및 내관(150)을 포함한다. 혈관처치부(130)는 진입조정부(110)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관(150)은 혈관처치부(130)의 내측에 삽입되어 진입조정부(11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100)는 진입조정부(110), 혈관처치부(130) 및 내관(150)을 관통하는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 10)를 따라 혈관 내의 문제가 발생한 위치(이하 병변이라고 칭함)로 이동한다.
진입조정부(110)는 복잡한 굴곡을 가지는 혈관 내에서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연성(Flexible)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입 조정부(110)는 내부에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튜브 형태(관형)로 구성된다. 진입조정부(110)는 내부를 관통하여 혈관을 따라 진입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 와이어(10)를 따라 이동한 진입조정부(110)는 병변을 지나쳐 연결된 혈관처치부(130)가 병변에 도달하도록 한다.
진입조정부(110)는 병변 통과를 쉽게 하기 위해 가이드 와이어(10)가 내부를 관통하여 배출되는 출구방향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진입조정부(110)의 출구 방향은 혈관처치부(130)와 연결된 부분 및 혈관처치부(130)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병변을 통과하기에 유리하다. 진입조정부(110)는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병변 위치를 통과하여 연결된 혈관처치부(130)가 병변 위치에 도달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혈관확장술을 시술하는 병변 위치는 주변 혈관보다 내경이 좁아져 있기 때문에, 진입조정부(110)를 원추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진입조정부(110)가 병변을 쉽게 통과하도록 한다. 진입조정부(110)의 외경은 최소 1.7Fr(French)에서 최대 2.4Fr를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진입조정부(110)는 유연성 있는 외피(Outer Jacket) 및 내부 철망(Wire Mesh)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 내부의 내부 철망은 굴곡진 혈관에서 진입조정부(110)의 원형을 유지하고 꺾임을 방지한다. 진입조정부(110)는 유연성 있는 소재의 튜브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혈관 내의 복잡한 굴곡을 통과하는 경우 과도한 꺾임에 의해 내경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의 내경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경우, 가이드 와이어가 병변으로 이동하는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내부 철망은 혈관 내의 복잡한 굴곡에서도 진입조정부(110)의 원형을 유지시켜 꺽임에 의해 내경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내부 철망은 철망 구조의 밀도(가닥 개수)를 조절해 유연성을 조절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의 입구 쪽의 내부 철망은 철망 구조의 밀도를 반대 방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좁게 하여 철망이 촘촘하도록 구성하고, 출구의 반대 방향 단부로 이동할수록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게 하여 유연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가 가이드 와이어(10)를 따라 혈관 내부를 이동할 때, 진입조정부(110)의 입구 방향의 유연성이 높다면, 진입조정부(110)의 입구 쪽에 힘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진입조정부(110)의 입구 쪽 내부 철망의 밀도를 높게 하여 진입조정부(110)가 효과적으로 혈관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진입조정부(110)의 내측에 가이드 와이어(10)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마찰계수가 적은 소재로 내피를 한층 더 형성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의 내측에 테프론(Teflon)과 같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내피를 구성하여 가이드 와이어가 보다 쉽게 병변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진입조정부(110)의 출구 방향 단부에는 진입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입부(120)를 가이드와이어(10)가 관통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진입부(120)는 진입조정부(110)의 다른 구성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구성하여, 진입조정부(110)가 혈관 내부로 진입하여 이동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진입부(120)를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하여 진입조정부(110)를 관통하여 진입부(1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가이드 와이어(10)와 진입부(120) 사이의 틈을 막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10)가 진입부(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면, 진입부(120)가 신축성에 의해 수축하여 가이드 와이어와 진입부(120)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진입부(120)를 백금 또는 금과 같은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진입부(120)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100)가 혈관 내에 진입하여 이동할 때,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100)의 위치 및 움직임을 X??선과 같은 방사선 관찰 장치를 통해 보다 확실하게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혈관확장술을 시술할 때 보다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진입조정부(110)는 후술하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혈관처치부(130)는 진입조정부(110)의 출구 반대 방향 단부에 연결된다. 혈관처치부(130)는 진입조정부(110)를 따라 혈관을 이동하여 병변 위치에 도달한다. 그리고, 병변 위치에 도달한 혈관처치부(130)는 확장하여 혈관을 확장한다.
혈관처치부(130)는 혈관 확장을 위한 시술에 사용되는 풍선(Balloon) 또는 스텐트(Stent)를 포함하는 의료용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혈관처치부(130)는 병변의 위치 또는 시술 방법/종류에 따라 풍선 또는 스텐트 중에서 어느 하나 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풍선 및 스텐트를 동시에 포함하는 풍선확장형 스텐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혈관처치부(130)는 진입조정부(110)와 일체형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
풍선으로 구성된 혈관처치부(130)는 진입조정부(110)를 따라 혈관을 이동하여 병변 위치에 도달한 후,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풍선이 팽창(inflation)하여 혈관을 확장한다. 풍선확장형 스텐트로 구성된 혈관처치부(130)는 진입조정부(110)를 따라 혈관을 이동하여 병변 위치에 도달한 후,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풍선이 팽창하고, 팽창된 풍선에 의해 스텐트가 팽창하여 병변 부위에 안착하여 혈관 내벽을 지지한다. 또한, 자가팽창형 스텐트로 구성된 혈관처치부(130)는 진입조정부(110)를 따라 혈관을 이동하여 병변 위치에 도달한 후, 자가팽창형 스텐트가 진입조정부(110) 밖으로 밀어내지며 스텐트가 팽창하여 병변 부위에 안착하여 혈관 내벽을 지지한다. 스텐트로 구성된 혈관처치부(130)는 혈관확장술 시술에 의해 병변 위치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진입조정부(110) 및 내관(1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내관(150)은 혈관처치부(130)의 내측에 삽입되어 진입조정부(110)에 연결되어 있다. 내관(150)은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100)가 혈관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신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내관(150)은 말단부의 입구 이외에 가이드 와이어(10)를 삽입할 수 있는 별도의 입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혈관처치부(130)의 풍선을 확장시키는 풍선 확장 포트(Balloon Inflation Port) 및 스텐트를 조작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부학적으로 상행대동맥에서 분지되어 대뇌 쪽으로 올라오는 뇌동맥이 두개저(Base of Skull)를 지나 두개강내(Intracranium)에 위치하는 내경동맥, 추골동맥 그리고, 두개강내를 지나 대뇌를 감싸고 있는 경막내의 내경동맥 원위부, 중 대뇌동맥, 기저동맥과 같은 뇌혈관은 혈관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좁을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한 굴곡을 가진다. 카테타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혈관 내에 발생한 병변의 경우, 혈관의 굴곡 때문에, 스텐트 또는 풍선과 같은 혈관 확장 기구를 한번에 혈관 내의 병변으로 이동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1차적으로 가이드 와이어 및 미세 카테타를 통해 병변 위치에 도달한 후, 미세 카테타를 제거한 후 2차로 스텐트나 풍선을 삽입하는 교체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술에는 복잡하고 굴곡이 심한 뇌혈관을 이동하기 위해서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는데 가이드 와이어는 유연하기는 하지만 얇은 직경을 가지고 있어 임상의의 손으로 밀었을 경우 전진하지 못하고 꼬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미세 카테타를 사용해 와이어의 전달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 경우, 가이드 와이어와 미세 카테타를 사용해 병변까지 위치 시킨 후 미세 카테타를 제거하게 된다. 이 때, 혈관 내 남아있는 와이어가 혈관을 찔러 혈관을 손상시키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시술 과정에서 미세 카테타를 제거하는 이유는 풍선카테타의 외경이 아무리 작아도 미세 카테터 내경에 들어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풍선카테타를 병변까지 접근시키기 위해서는 미세 카테타를 제거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100)는 유연성이 있는 진입조정부(110)를 통해 혈관처치부(130)를 병변에 위치시킴으로써, 교체 과정 없이 혈관확장술 시술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의 진입조정부(11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100)의 진입조정부(110)는 방향조정부(111), 굴곡유지부(112) 및 진입유도부(113)를 포함한다. 진입조정부(110)를 구성하는 방향조정부(111), 굴곡유지부(112) 및 진입유도부(113)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였으나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방향조정부(111)는 진입조정부(110)의 입구방향에 해당하며, 굴곡 유지부(112)는 방향조정부(111)의 입구 반대 방향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진입유도부(113)는 굴곡유지부(112)에 연결되어 있으며, 혈관처치부(130)와 연결되어 진입조정부(110)와 혈관처치부(130)를 연결한다.
그리고, 방향조정부(111)의 출구 방향 단부에는 진입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입부(120)는 가이드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진입부(120)는 진입조정부(110)의 다른 구성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구성하여, 진입조정부(110)가 혈관 내부로 진입하여 이동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진입부(120)를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가이드 와이어와 진입부(120) 사이의 틈을 막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가 진입부(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면, 진입부(120)가 신축성에 의해 수축하여 가이드 와이어와 진입부(120)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진입부(120)는 백금 또는 금과 같은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하는 진입부(120)는 방사선 불투과성 표시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100)가 혈관 내에 진입하여 이동할 때,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100)의 위치 및 움직임을 X??선과 같은 방사선 관찰 장치를 통해 보다 확실하게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혈관확장술을 시술할 때 정확한 관찰을 통해 보다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진입부(120)는 진입부(120) 전체를 방사선불투과성 물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진입부(120)의 일부만을 방사선불투과성 물질로 구성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를 구성하는 방향조정부(111), 굴곡유지부(112) 및 진입유도부(113)는 모두 유연성(Flexible)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방향조정부(111), 굴곡유지부(112) 및 진입유도부(113)는 외피, 내부 철망 및 내피로 구성될 수 있다. 방향조정부(111), 굴곡유지부(112) 및 진입유도부(113)를 포함하는 진입조정부(110)는 두개저(Base of Skull)를 지나 두개강내(Intracranium)에 위치하는 내경동맥, 추골동맥 그리고, 두개강내를 지나 대뇌를 감싸고 있는 경막내의 내경동맥 원위부, 중 대뇌동맥, 기저동맥과 같은 뇌혈관과 같이 내경이 좁고 복잡한 굴곡을 가지는 혈관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가진다. 특히, 기존의 미세 카테타 만큼의 유연성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외피는 방향조정부(111), 굴곡유지부(112) 및 진입유도부(113)의 표면으로, 마찰력을 줄여 혈관에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친수성 코팅을 할 수 있다. 내부 철망은 외피와 내피 사이에 위치하며, 굴곡진 혈관에서 진입조정부(110)의 원형을 유지하고 꺾임을 방지한다. 진입조정부(110)는 유연성 있는 소재의 튜브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혈관 내의 복잡한 굴곡을 통과하는 경우 과도한 꺾임에 의해 내경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의 내경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경우, 가이드 와이어가 병변으로 이동하는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내부 철망은 혈관 내의 복잡한 굴곡에서도 진입조정부(110)의 원형을 유지시켜 내경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내피는 진입조정부(110)의 내측면에 가이드 와이어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부가된 마찰계수가 적은 소재이다. 진입조정부(110)의 내측에 테프론(Teflon)과 같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내피를 구성하여 가이드 와이어가 보다 쉽게 병변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방향조정부(111), 굴곡유지부(112) 및 진입유도부(113)는 외피의 경도, 외경 및 내부 철망의 브래이딩(Braiding) 처리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는 병변을 통과하여 혈관처치부(130)가 병변 위치에 도달하도록 한다. 하지만, 혈관확장술을 시술하는 병변은 주변 혈관보다 내경이 좁기 때문에, 진입조정부(110)가 통과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진입조정부(110)가 병변을 보다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방향조정부(111), 굴곡유지부(112) 및 진입유도부(113)의 외피 경도, 외경 및 내부 철망의 브래이딩(Braiding) 정도를 다르게 하여 구분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가 보다 효과적으로 혈관을 이동하여 병변을 통과할 수 있도록 외경을 방향조정부(111), 굴곡유지부(112) 및 진입유도부(113) 순으로 커지도록 하거나, 진입부(120)이 연결된 진입조정부(110)의 출구 단부로부터 혈관처치부(130)와 연결된 진입유도부(113)의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넓어지는 원추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방향조정부(111), 굴곡유지부(112) 및 진입유도부(113)의 내부 철망의 밀도를 서로 달리 할 수 있다. 내부 철망은 철망 간격의 밀도를 조절하여 유연한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복잡한 굴곡의 혈관에서 효과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이 높은 것이 유리할 수 있으나, 유연성이 높을 경우 힘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혈관 내의 이동에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맨 앞에서 이동하는 방향조정부(111) 내부 철망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굴곡유지부(112)는 내부 철망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하여 복잡한 혈관 굴곡에도 혈관에 손상을 주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조정부(110)의 AA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BB선 단면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조정부(110)는 외피(301), 내부 철망(302) 및 내피(303)로 구성될 수 있다.
외피(301)는 진입조정부(110)의 표면을 구성하며, 나일론(Nylon)과 같은 유연성이 좋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외피(301)의 유연성은 재료의 경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진입조정부(110)의 각 구간마다 서로 다른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피(301)는 마찰력을 줄여 혈관에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친수성 코팅을 할 수 있다.
내부 철망(302)은 외피(301)와 내피(303) 사이에 위치하며, 굴곡진 혈관에서 진입조정부(110)의 원형을 유지하고 꺾임을 방지한다. 진입조정부(110)는 유연성 있는 소재의 튜브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혈관 내의 복잡한 굴곡을 통과하는 경우 과도한 꺾임에 의해 내경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의 내경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경우, 가이드 와이어가 병변으로 이동하는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내부 철망(302)은 혈관 내의 복잡한 굴곡에서도 진입조정부(110)의 원형을 유지시켜 내경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내부 철망(302)은 철망 구조의 가닥 개수 및 밀도를 조절해 유연성을 조절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의 출구 단부 방향의 내부 철망(302)은 철망 구조의 밀도를 반대 방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망이 촘촘하도록 구성하고, 출구의 반대 방향 단부로 이동할수록 밀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하여 유연성의 정도를 반대 쪽보다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진입조정부(110)가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혈관 내부를 이동할 때, 진입조정부(110)의 입구 방향의 유연성이 높다면, 진입조정부(110)의 입구 쪽에 힘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진입조정부(110)의 입구 쪽 내부 철망(302)의 밀도를 높게 하여 진입조정부(110)가 효과적으로 혈관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내피(303)는 진입조정부(110)의 내 측면에 위치하며, 가이드 와이어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부가된 마찰계수가 적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내피(303)는 테프론(Teflon)과 같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내피를 구성하여 가이드 와이어가 보다 쉽게 병변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이동 장치를 이용한 혈관확장술의 시술 과정을 나태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이동 장치를 이용한 혈관확장술의 일례로서, 중대뇌동맥에 협착이 발생한 환자에 대한 혈관확장술의 시술 과정을 나타낸다. 중대뇌동맥은 뇌혈관 질환에 의해서 가장 흔하게 폐색되는 동맥으로, 내의 외측면 대부분 기저핵과 내낭의 많은 부분에 혈액을 공급한다. 중대뇌동맥은 상행대동맥에서 분지되어 대뇌쪽으로 올라오는 뇌동맥이 두개저를 지나 대뇌를 감싸고 있는 경막 내에 위치한다. 중대뇌동맥 협착 발생 단계(41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잡한 굴곡을 가지며, 협착 병변(411)에 카테타를 진입하기 위한 이동 거리가 멀기 때문에 종래의 혈관확장술은 복잡한 시술 과정을 가진다. 이와 같이 복잡한 굴곡을 가지는 혈관의 경우, 치료를 위한 풍선 및 스텐트를 포함하는 의료용 부재를 병변(411)까지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미세 도관을 이용하여 경로를 확보한 후, 미세 도관을 제거하고 풍선 및 스텐트를 확보하는 교체 과정(Excahange)을 필요로 한다. 일례로서, 중대뇌동맥에 협착이 발생하여 혈관확장술을 시행하는 경우, 복잡한 굴곡을 통과하기 위해 먼저 미세 도관의 내부를 관통하는 미세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미세 도관을 이동시켜 미세 도관 및 미세 가이드 와이어를 병변(411)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미세 가이드 와이어만 남기고 미세 도관을 제거한다. 미세 도관이 제거되면, 남아있는 미세 가이드 와이어를 통해 풍선 및 스텐트를 병변까지 전달한 후, 풍선 및 스텐트를 확장하여 병변을 치료한다. 하지만, 미세 도관을 제거하고 다시 풍선 및 스텐트를 삽입하는 교체 과정에서 미세 도관, 풍선 또는 스텐트에 의해 혈관이 파손되거나 상처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중대뇌동맥과 같이 두개강내 위치하는 뇌동맥의 경우 혈관 파손은 환자의 안전에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이동 장치는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병변 위치까지 이동하는 진입조정부(110)와 혈관을 확장하는 혈관처치부(13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미세 도관을 이용하여 경로를 확보한 후, 미세 도관을 제거하고 풍선 및 스텐트를 확보하는 교체 과정(Exchange) 없이 한번에 스텐트를 병변에 전달하여 설치할 수 있다. 스텐트 이동 장치(100)를 이동시켜 병변에 전달하는 단계(420)에서 중대뇌동맥을 따라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10)를 따라 스텐트 이동 장치(100)가 이동하면서, 풍선 및 스텐트를 포함하는 혈관처치부(130)가 병변(411)에 전달된다. 스텐트 이동 장치(100)의 이동에 의해 혈관처치부(130)가 병변(411)에 위치하면, 압력을 가해 풍선을 팽창시켜 풍선을 둘러싸고 있는 스텐트(431)를 팽창시킨다. 이 과정을 통해 팽찬된 스텐트(431)는 병변(411)에 설치가 되어 협착이 발생한 혈관 내벽을 지지하고, 설치된 스텐트(431)를 제외한 스텐트 이동 장치를 제거하여 스텐트 설치 단계(430)를 수행한다. 최종적으로 가이드 와이어(10)를 제거하여 병변을 치료한다(440).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를 이용한 혈관확장술 시술 과정은 420 단계 430 단계를 통해 종래의 교체 과정 없이 병변(411)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병변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가이드 와이어
100: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110: 진입조정부
111: 방향조정부
112: 굴곡유지부
113: 진입유도부
120: 진입부
130: 혈관처리부
150: 내관
301: 외피
302: 내부 철망
303: 내피

Claims (7)

  1. 내부를 관통하는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에 의해 의료용 부재를 병변에 전달하는 전달 장치에 있어서,
    유연성(Flexible)있는 외피 및 내부 철망(Wire Mesh)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하여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튜브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출구 단부로부터 외경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출구 단부에 진입부를 포함하는 진입조정부;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하는 튜브 형태로 상기 진입조정부 출구의 반대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는 입구를 포함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을 둘러싸고 상기 진입조정부 출구의 반대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병변에서 확장되어 혈관을 확장하며, 상기 내관 및 상기 진입조정부에서 분리되는 혈관처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는 상기 진입조정부의 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상기 진입부 사이의 빈틈을 수축하여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는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조정부는 상기 내부 철망의 밀도를 입구 단부 방향이 반대 단부 방향보다 높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처치부는 스텐트(Stent) 및 풍선(Balloo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조정부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소재로 구성된 내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조정부는 내부 철망의 밀도를 조절하여 유연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KR1020140061215A 2014-01-02 2014-05-21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KR101613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326 2014-01-02
KR20140000326 2014-0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222A KR20150081222A (ko) 2015-07-13
KR101613268B1 true KR101613268B1 (ko) 2016-04-18

Family

ID=5379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215A KR101613268B1 (ko) 2014-01-02 2014-05-21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468B1 (ko) * 2021-02-08 2023-06-22 (주)시지바이오 의료용 부재 삽입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6570A (ja) 2006-02-13 2009-07-23 レトロヴァスキュラ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artを用いた閉塞した血管の再疎通
JP2013208489A (ja) 2007-10-19 2013-10-10 Cordis Corp 僧帽弁逆流の直接的弁輪縫縮術処置で用いるための押し込み式リテーナシステム
JP2014509526A (ja) 2011-02-01 2014-04-21 エイジーエイ メデ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脈管送達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5508673A (ja) 2012-01-26 2015-03-23 エンドシェイ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遠位および/または近位制御を用いて管腔閉塞デバイスを送達する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6570A (ja) 2006-02-13 2009-07-23 レトロヴァスキュラ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artを用いた閉塞した血管の再疎通
JP2013208489A (ja) 2007-10-19 2013-10-10 Cordis Corp 僧帽弁逆流の直接的弁輪縫縮術処置で用いるための押し込み式リテーナシステム
JP2014509526A (ja) 2011-02-01 2014-04-21 エイジーエイ メデ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脈管送達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5508673A (ja) 2012-01-26 2015-03-23 エンドシェイ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遠位および/または近位制御を用いて管腔閉塞デバイスを送達する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222A (ko)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6611B2 (en) Clot remov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70028170A1 (en) Guide catheter extens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for cardiology procedures
US9956384B2 (en) Articulating balloon cathete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5733759B2 (ja) 方向性のある拡張をする脈管内器具
US200602711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deploying an occluding device within a vessel
US7806837B2 (en) Guide wire for catheter
US10456554B2 (en) Device delivery catheter having a curved distal tip
EP3560462B1 (en) Delivery device
US20150245933A1 (en) System for the intravascular placement of a medical device
JP7056935B2 (ja) 血管痙縮の治療
EP2244775B1 (en) Deployment catheter and delivery system thereof
US20150272757A1 (en) Sheathless predilatation angioplasty and stent deployment catheter
KR101613268B1 (ko) 의료용 부재 전달 장치
US20170197063A1 (en) Balloon Inside a Guide Catheter
KR20170112977A (ko) 의료용 디바이스
JP2018528811A (ja) 分岐部での血管の処置のための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101613269B1 (ko) 혈관내 의료용 부재 이송 장치
US10123893B2 (en) Prewire channel stent
CN110072587A (zh) 捕获导管和用于制备捕获导管的套件和方法
EP3047819A1 (en) Self-expanding stent transfer device
JP7403617B1 (ja) カテーテル
EP4252719A1 (en) Controlled and precise stent placement at a coronary ostium in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EP2889021B1 (en) Prewire channel stent
US20220233821A1 (en) Distal stabilizer for use for catheter delivery in biological lumen, delivery system for delivering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device
CN110251284B (zh) 扩张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