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919B1 -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919B1
KR101612919B1 KR1020150002116A KR20150002116A KR101612919B1 KR 101612919 B1 KR101612919 B1 KR 101612919B1 KR 1020150002116 A KR1020150002116 A KR 1020150002116A KR 20150002116 A KR20150002116 A KR 20150002116A KR 101612919 B1 KR101612919 B1 KR 101612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eat insulating
frame
vertical fram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부돈
조동우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Priority to KR102015000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에 브래킷 및 앵커볼트에 의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결합되어 격자모양을 이루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의 간격에 설치되고 건축물의 새로운 외벽을 이루며 건축물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기능을 행하고 프린트되는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단열패널; 및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단열패널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EXTERIOR INSULA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고 건축물의 외벽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난방 또는 냉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에너지의 급격한 소비증가에 따라 에너지의 효과적인 관리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의 공통된 현안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전체 에너지 소비량 중에 많은 양의 에너지가 건물의 열관리 및 에너지 보존 방법상의 문제와 대체 에너지 이용기술 부족 등으로 건물부분에 소비되고 있는데, 건물부문에서 외벽체 단열을 통해 에너지를 절약한다면 효율적인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건물의 외피는 건물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가장 큰 에너지 손실경로 중의 하나이며, 건물외피를 통한 열손실 저감을 위하여 선진 각국은 물론 우리나라도 지역별, 건물의 부위별 시공을 의무화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건물의 단열을 통한 에너지 절약은 단지 법적 단열 기준치만으로는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건물 구조별 단열설계, 시공기술 및 단열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수행되어 오고 있다.
현재 건물 벽체에 사용되고 있는 단열재로는 폴리스틸렌계 발포체, 유리면, 암면, 우레탄 발포체, 퍼라이트, 질석 및 발포 콘크리트 등과 같은 많은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단열재료를 이용한 보편적인 시공방법으로는 외벽과 내벽과의 사이의 공동에 글래스울 등의 단열재를 충진하는 내단열공법을 들 수 있다.
종래 대부분의 건축물은 상기와 같은 내단열 방법으로 건축물 벽체에 단열성을 부여하고 있는데, 내단열의 경우 외단열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며, 공사비가 저렴하다는 장점 외에 단열재가 외부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받기 쉬운 장점이 있다.
반면에, 외피를 둘러쌓는 외단열의 형태보다 단열적인 측면에서 효과가 적으며, 열교(Thermal Bridge)가 발생할 경우 내부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외단열공법의 경우 드라이비트라고 불리는 공법으로서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단열재(스티로폼 등)를 넣고 외부에 약 5mm 내외의 박판형 외장을 도포하고 건조후 경화시켜 사용하는 방법이다.
상기한 외단열공법은 열적인 성능이 좋은 반면에, 시공성 저하, 공사비 증가, 단열재가 외부에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파손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기존의 내단열 공법에 비해 외단열공법의 단열성이 우수하며, 외단열 공법은 단열재 외부의 얇은 층이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고, 단열재 유닛과 유닛간의 마감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이 단열재 위에 도포된 박판형 외장이 유닛 사이에서 크랙이 발생하기도 하며, 누수, 결로, 보수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라이비트 자체의 강성이 작기 때문에 별도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세워 벽체를 구성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벽체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어 내부면적이 감소되는 다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4925호(2011년 08월 05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건식 외단열 벽체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는, 단열패널 외벽에 박판보드가 설치되기 때문에 외단열 패널 조립체의 외벽을 미려하게 마감하기 어렵고, 이물질이 누적되기 쉽기 때문에 외단열 패널 조립체를 시공한 후에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건축물의 외벽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박판보드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없으며, 박판보드는 다양한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연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을 건축주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고 건축물의 외벽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난방 또는 냉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에 브래킷 및 앵커볼트에 의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결합되어 격자모양을 이루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의 간격에 설치되고 건축물의 새로운 외벽을 이루며 건축물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기능을 행하고 프린트되는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단열패널; 및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단열패널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평프레임은, 건축물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패널의 단부가 지지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는 단부프레임; 및 상기 단부프레임 사이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상기 단열패널이 지지되는 제1고정패널부를 구비하는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단부프레임에 상단 또는 하단이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중간프레임과 교차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단열패널이 지지되는 제2고정패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열패널의 일측부에 연결되는 상기 수직프레임은, 후크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패널의 타측부에 연결되는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끼움결함되도록 제2연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가 결합된 후에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에 체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로부터 상기 제2고정패널부가 상기 투명패널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열패널은,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고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부재;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단열부재의 외벽을 커버하는 투명패널;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투명패널 사이에 개재되고 색상 또는 디자인이 상기 투명패널과 대향되는 면에 프린트되는 외장패널;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투명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외장패널이 설치되는 간격을 확보하는 간봉; 및 상기 간봉에 삽입되고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투명패널 사이에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열부재에는 건축물로부터 배출되는 열에너지 또는 빛에너지를 건축물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열부재에는 상기 투평패널 및 상기 간봉이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이 밀착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투명패널은, 강화유리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장패널은, 목재 또는 수지재질을 발포시켜 패널모양으로 형성하는 패널본체; 및 상기 패널본체를 감싸도록 접착되고 색상 또는 디자인이 프린트되는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단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도포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단열패널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제1연결부재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제2연결부재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을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으로 연결하여 수직방향을 복수 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조립하는 단계; (b) 단열부재와 투명패널 사이에 색상 또는 디자인이 프린트되는 외장패널이 개재되도록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투명패널 사이의 간격에 외장패널 및 간봉을 삽입하여 서로 접착시켜 단열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모양의 공간에 상기 단열패널을 삽입하고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단열패널 사이에 고정부를 설치하여 마감하는 단계; (d) 건축물의 외벽에 복수 개의 앵커볼트 및 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에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은,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격자모양의 프레임을 제작하여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여 조립하며 시공을 행하므로 시공현장에서의 작업이 간단하여 외단열 패널 조립체를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다양한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연출되는 외장패널이 투명패널에 의해 커버되도록 설치되어 외단열 패널 조립체의 외벽을 형성하므로 건축주의 취향에 따라 외장패널을 연출하여 다양한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건축물의 외벽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은, 외장패널의 외벽을 유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명패널이 커버하도록 설치되므로 건축물의 외벽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외단열 패널 조립체의 외벽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을 미려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C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C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가 도시된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는, 건축물 외벽에 브래킷(37) 및 앵커볼트(38)에 의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30)과, 수직프레임(30)과 결합되어 격자모양을 이루는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 및 수평프레임(10) 사이의 간격에 설치되고 건축물의 새로운 외벽을 이루며 건축물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기능을 행하고 프린트되는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단열패널(50)과, 수직프레임(30) 또는 수평프레임(10)과 단열패널(50)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고정부(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수직프레임(30) 및 수평프레임(10)에 의해 격자모양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공간부에 단열패널(50)이 설치되어 건축물의 새로운 외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직프레임(30) 및 수평프레임(10)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으로 옮긴 후에 프레임을 조립하면서 단열패널(50)의 설치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출물의 외벽에 서로 조립되지 않은 프레임을 조립하면서 단열패널(50)을 시공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외단열 패널 조립체의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현장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단열패널(50)은 프린트되는 다양한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연출될 수 있으므로 건축주의 취향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수평프레임(10)은, 건축물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고 단열패널(50)의 단부가 지지되는 고정돌출부(12a)를 구비하는 단부프레임(12)과, 단부프레임(12) 사이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단열패널(50)이 지지되는 제1고정패널부(14a)를 구비하는 중간프레임(14)을 포함한다.
건축물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는 단부프레임(12)은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12a)가 형성되고, 건축물의 상단에 배치되는 단부프레임(12)은 상부에 고정돌출부(12a)가 형성되어 단열패널(50)의 상단을 지지하게 되고, 건축물의 하단에 배치되는 단부프레임(12)은 하부에 고정돌출부(12a)가 형성되어 단열패널(50)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상단에 배치되는 단부프레임(12)과 중간프레임(14) 사이에 단열패널(50)이 삽입되고, 단열패널(50)의 상단은 고정돌출부(12a)에 지지되며 단열패널(50)의 하단은 제1고정패널부(14a)에 의해 지지된다.
수직프레임(30)은, 단부프레임(12)에 상단 또는 하단이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중간프레임(14)과 교차되도록 연결되며 단열패널(50)이 지지되는 제2고정패널부(39)를 구비한다.
한 쌍의 수직프레임(30) 사이에는 다수 개의 중간프레임(14)이 설치되어 한 줄의 프레임을 형성하게 되고, 한 쌍의 수직프레임(30)의 상단 및 하단에는 단부프레임(12)이 연결된다.
단열패널(50)의 일측부에 연결되는 수직프레임(30)은, 후크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32)가 형성되고, 단열패널(50)의 타측부에 연결되는 수직프레임(30)은, 제1연결부재(32)와 끼움결함되도록 제2연결부재(34)가 형성된다.
따라서 한 줄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0)은 일측부에 제1연결부재(32)가 형성되고 한 쌍의 수직프레임(30) 타측부에는 제2연결부재(34)가 형성되므로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4)를 서로 걸림결합되도록 연결하여 다수 중의 프레임을 측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4)가 결합된 후에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4)에 체결부재(36)가 결합되고, 제1연결부재(32)로부터 제2고정패널부(39)가 투명패널(58)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4)를 걸림결합한 후에는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4)가 서로 겹치는 부위가 관통되도록 체결부재(36)를 조립하여 다수 줄의 프레임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조립하여 건축물 외벽을 커버하는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단열패널(50)은, 수직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고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부재(52)와, 수직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고 단열부재(52)의 외벽을 커버하는 투명패널(58)과, 단열부재(52)와 투명패널(58) 사이에 개재되고 색상 또는 디자인이 투명패널(58)과 대향되는 면에 프린트되는 외장패널(54)과, 단열부재(52)와 투명패널(58) 사이에 개재되어 외장패널(54)이 설치되는 간격을 확보하는 간봉(56)과, 간봉(56)에 삽입되고 단열부재(52)와 투명패널(58) 사이에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56a)를 포함한다.
우레탄폼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열부재(52)는 전면에 외장패널(54) 및 간봉(56)이 접착되고, 외장패널(54) 및 간봉(56)의 전면에는 투명패널(58)이 접착되어 하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단열패널(50)이 형성된다.
단열부재(52)에는 건축물로부터 배출되는 열에너지 또는 빛에너지를 건축물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52b)가 접착되는데, 반사부재(52b)는 알루미늄재질을 포함하는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건축물로부터 유실되는 열에너지 또는 빛에너지를 건축물 내부로 다시 반사시키므로 외단열 패널 조립체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열부재(52)에는 투면패널(58) 및 간봉(56)이 안착되는 안착홈부(52c)가 형성되고 수평프레임(10)이 밀착되는 걸림턱부(52a)가 형성된다.
따라서 단열부재(52)의 전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52c)에 간봉(56) 및 투명패널(58)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어 접착될 수 있게 되고, 걸림턱부(52a)에 고정돌출부(12a) 또는 수직프레임(30)의 모서리부가 안착되면서 프레임과 단열패널(50) 사이의 정확한 조립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투명패널(58)은, 강화유리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건축물 외벽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외단열 패널이 조립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을 미려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청소작업 중에 투명패널(58)에 접촉되는 세척수가 쉽게 배수되므로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외장패널(54)은, 목재 또는 수지재질을 발포시켜 패널모양으로 형성하는 패널본체(54a)와, 패널본체(54a)를 감싸도록 접착되고 다양한 색상 또는 디자인이 프린트되는 필름부재(54b)를 포함한다.
따라서 필름부재(54b)에 프린트되는 다양한 색상 또는 디자인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70)는, 수직프레임(30) 또는 수평프레임(10)과 단열패널(50)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부재(72)와, 지지부재(72)에 도포되고 수직프레임(30) 또는 수평프레임(10)과 단열패널(50)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실링부재(74)를 포함한다.
지지부재(72)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쉽게 굴곡될 수 있는 발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단열패널(50)과 프레임을 조립한 후에 제1고정패널부(14a) 또는 제2고정패널부(39)와 단열패널(50) 사이의 간격에 지지부재(72)를 삽입한 후에 실링부재(74)를 지지부재(72)에 도포하여 경화시키면 단열패널(50)과 단열패널(50) 사이의 간격 또는 단열패널(50)과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마감되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의 시공방법은, 제1연결부재(32)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30)과, 제2연결부재(34)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30)을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0)으로 연결하여 수직방향을 복수 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수직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10)을 조립하는 단계와, 단열부재(52)와 투명패널(58) 사이에 색상 또는 디자인이 프린트되는 외장패널(54)이 개재되도록 단열부재(52)와 투명패널(58) 사이의 간격에 외장패널(54) 및 간봉(56)을 삽입하여 서로 접착시켜 단열패널(50)을 제조하는 단계와, 수직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모양의 공간에 단열패널(50)을 삽입하고 수직프레임(30) 또는 수평프레임(10)과 단열패널(50) 사이에 고정부(70)를 설치하여 마감하는 단계와, 건축물의 외벽에 복수 개의 앵커볼트(38) 및 브래킷(37)을 설치하고 브래킷(37)에 수직프레임(30) 또는 수평프레임(10)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한 쌍의 수직프레임(30) 사이에 다수 개의 중간프레임(14) 또는 단부프레임(12)을 연결하여 한 줄의 프레임을 제작하고, 중간프레임(14)과 단부프레임(12) 사이의 공간 또는 중간프레임(14)과 중간프레임(14) 사이의 공간에 단열패널(50)을 조립한다.
이때, 단열부재(52), 외장패널(54), 간봉(56) 및 투명패널(58)이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단열패널(50)이 하나의 격자모양 공간에 삽입되도록 설치하고, 제1고정패널부(14a) 또는 제2고정패널부(39)와 단열패널(50) 사이의 간격에 지지부재(72)의 삽입하고 지지부재(72)에 실링부재(74)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면 단열패널(50)의 테두리를 전체 감싸는 고정부(70)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연속하게 행하여 한 줄의 프레임에 다수 개의 단열패널(50)이 연속되게 배치되도록 조립을 완료하고, 현장으로 이송하여 시공을 행하게 된다.
건축물의 외벽에는 다수 개의 앵커볼트(38) 및 브래킷(37)을 설치하여 한 줄의 프레임을 단계적으로 설치하는데, 다수 줄의 프레임은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4)의 끼움결합에 의해 연결되고,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4)가 겹쳐지는 부위에 체결부재(36)를 결합시켜 다수 줄의 프레임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조립하게 된다.
이후에, 체결부재(36)가 조립되는 간격에 지지부재(72)와 실링부재(74)를 설치하여 프레임들 사이의 연결부위를 마감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공방법을 연속하게 행하여 건축물 외벽 전체를 프레임 및 단열패널(50)로 감싸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의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패널 조립체의 단열패널(50) 사이의 간격에 별도의 마감부재(8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실시예의 마감부재는 단면형상이'T'모양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단열패널(5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마감부재(80)의 양단부와 투명패널(58) 사이의 간격에는 별도의 실링부재(74)가 개재되어 마감부재(80)와 투명패널(58) 사이의 간격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건축물의 외벽을 건축주의 취향에 따라 보다 고급스럽게 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건물의 외벽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고 건축물의 외벽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난방 또는 냉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수평프레임 12 : 단부프레임
12a : 고정돌출부 14 : 중간프레임
14a : 제1고정패널부 30 : 수직프레임
32 : 제1연결부재 34 : 제2연결부재
36 : 체결부재 37 : 브래킷
38 : 앵커볼트 39 : 제2고정패널부
50 : 단열패널 52 : 단열부재
52a : 걸림턱부 52b : 반사부재
52c : 안착홈부 54 : 외장패널
54a : 패널본체 54b : 필름부재
56 : 간봉 56a : 흡습제
58 : 투명패널 70 : 고정부
72 : 지지부재 74 : 실링부재

Claims (12)

  1. 건축물 외벽에 브래킷 및 앵커볼트에 의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결합되어 격자모양을 이루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의 간격에 설치되고 건축물의 새로운 외벽을 이루며 건축물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기능을 행하고 프린트되는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단열패널; 및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단열패널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패널은,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고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부재;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단열부재의 외벽을 커버하는 투명패널;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투명패널 사이에 개재되고 색상 또는 디자인이 상기 투명패널과 대향되는 면에 프린트되는 외장패널;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투명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외장패널이 설치되는 간격을 확보하는 간봉; 및
    상기 간봉에 삽입되고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투명패널 사이에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건축물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패널의 단부가 지지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는 단부프레임; 및
    상기 단부프레임 사이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상기 단열패널이 지지되는 제1고정패널부를 구비하는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단부프레임에 상단 또는 하단이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중간프레임과 교차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단열패널이 지지되는 제2고정패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의 일측부에 연결되는 상기 수직프레임은, 후크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패널의 타측부에 연결되는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끼움결함되도록 제2연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외단열 패널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가 결합된 후에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에 체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로부터 상기 제2고정패널부가 상기 투명패널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에는 건축물로부터 배출되는 열에너지 또는 빛에너지를 건축물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에는 상기 투평패널 및 상기 간봉이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이 밀착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패널은, 강화유리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은,
    목재 또는 수지재질을 발포시켜 패널모양으로 형성하는 패널본체; 및
    상기 패널본체를 감싸도록 접착되고 색상 또는 디자인이 프린트되는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단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도포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단열패널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
  12. (a) 제1연결부재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제2연결부재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을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으로 연결하여 수직방향을 복수 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조립하는 단계;
    (b) 단열부재와 투명패널 사이에 색상 또는 디자인이 프린트되는 외장패널이 개재되도록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투명패널 사이의 간격에 외장패널 및 간봉을 삽입하여 서로 접착시켜 단열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모양의 공간에 상기 단열패널을 삽입하고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단열패널 사이에 고정부를 설치하여 마감하는 단계;
    (d) 건축물의 외벽에 복수 개의 앵커볼트 및 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에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패널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0150002116A 2015-01-07 2015-01-07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12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116A KR101612919B1 (ko) 2015-01-07 2015-01-07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116A KR101612919B1 (ko) 2015-01-07 2015-01-07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919B1 true KR101612919B1 (ko) 2016-04-18

Family

ID=5591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116A KR101612919B1 (ko) 2015-01-07 2015-01-07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9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936B1 (ko) 2016-03-22 2018-03-09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KR102233242B1 (ko) * 2020-08-04 2021-03-29 주식회사 미다스엔지니어링 장식판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936B1 (ko) 2016-03-22 2018-03-09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KR102233242B1 (ko) * 2020-08-04 2021-03-29 주식회사 미다스엔지니어링 장식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315B1 (ko) 단열창호
KR101892667B1 (ko)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848850B1 (ko) 방음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534320B1 (ko) 건축물용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외단열 시공방법
KR20120048465A (ko) 단열성 벽체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커튼월
KR20120006963U (ko) 커튼월 시스템 창호
KR101612919B1 (ko)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81884B1 (ko) 장식판 단열패널을 이용한 커튼월시스템
KR101848856B1 (ko)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20170141433A (ko) 탈부착이 용이한 단열커튼월
KR101142111B1 (ko)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KR102010521B1 (ko) 단열 커튼월
KR101929513B1 (ko)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KR102151961B1 (ko) 커튼월
KR101141576B1 (ko) 외장단열구조를 가진 커튼월 바
KR102451442B1 (ko) 노출 및 히든타입 겸용 커튼월 조립체
KR101792059B1 (ko) 복층 창호 및 그의 유리 추가 시공방법
KR20100114250A (ko) 건축물의 벽체단열 시공방법
KR102057850B1 (ko) 브래킷을 이용한 창틀떨림 방지시스템
CN211114527U (zh) 建筑用外饰面板及其安装结构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KR101533077B1 (ko) 벽체용 샌드위치 패널의 조립구조
KR101623939B1 (ko)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커튼월 창
KR101993905B1 (ko) 외장 일체형 구조 패널
KR101325925B1 (ko) 사춤재가 구비된 창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