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795B1 -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 - Google Patents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795B1
KR101611795B1 KR1020150062898A KR20150062898A KR101611795B1 KR 101611795 B1 KR101611795 B1 KR 101611795B1 KR 1020150062898 A KR1020150062898 A KR 1020150062898A KR 20150062898 A KR20150062898 A KR 20150062898A KR 101611795 B1 KR101611795 B1 KR 101611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silo
main body
foam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만
Original Assignee
비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62C3/065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for containers filled with inflamma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을 저장 보관하기 위한 사일로(Silo)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일로 내부에서 온도의 감지와 산소, 탄소, 메탄가스 등의 휘발요인이 감지시 신속히 대응하여 휘발요인을 제거하며, 부득이 화재가 발생시 신속한 소화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Coal silo having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석탄을 저장 보관하기 위한 사일로(Silo)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일로 내에 석탄을 저장 보관하는 과정에서 석탄들의 마찰이나 내부 온도의 상승, 산소, 탄소 및 메탄가스 등의 휘발요인으로 인한 자연발화 위험이 고조될 시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휘발요인을 제거하여 안전한 석탄의 저장 보관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구나 기차역 부근에는 배나 기차로 운반되어진 석탄을 국내 화력 발전소 등에서 사용하기 앞서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보관하도록 하기 위한 장소인 야적장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야적장에 보관된 석탄은 우기시에 붕괴되거나 건기에 바람에 의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경화제 살포차를 이용하거나 큰 포장지를 이용하여 덮어서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들에서, 경화제를 살포하여 보관할 경우에는 석탄 파일 표면에 살포된 경화제가 건조됨에 따라 균열 현상이 발생되기 쉽고, 우기 시에 빗물이 이 균열부에 쉽게 파일 내부로 침투되고, 이에 따라 균열부가 박리됨으로써 심하게 붕괴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포장지를 덮어서 보관할 경우에는 심한 바람이 불어올 경우 포장지가 들썩거리면서 그 틈사이로 바람이 들어가 석탄분진을 비산시킬 염려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국내 화력 발전소에 사용되는 석탄은 동남아시아에서 수입되는 다량의 휘발분을 함유하고 있는 유연탄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유연탄은 무연탄에 비해 발열량이 높기 때문에 화력 발전용으로 사용이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석탄은 다량의 주변 휘발요인 때문에 자연 발화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통상의 석탄 저장 과정에서의 휘발요인으로는,
- 석탄이 공기중의 산소를 흡수하여 서서히 열이 발생하는 것으로, 쌓인 석탄의 내부온도가 10℃ 상승하면 석탄의 산소 흡수율은 약 2배로 많아진다.
- 석탄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마찰에 의한 자연발화 발생율이 높다.
- 석탄의 탄화도, 휘발분, 수분, 유화, 철광 및 불순물에 의한 산화와 산소 흡수량 등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되어 발생한다.
- 석탄수분이 12% 전후에서 자연발화가 잘 일어난다.
- 장기간 저장하면 내부온도가 약 79℃가 되어 자연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
- 석탄층 상부의 온도가 40~50℃가 되면 경계온도, 80~100℃가 되면 위험온도, 그 이상이면 착화온도로 본다.
- 발생되는 가스중에 탄소, 산소, 메탄가스가 적정치 이상 발생되면 발화상태로 본다.
이에, 상기와 같은 휘발요인을 인해 국내의 대부분 발존소는 저탄장(Open stock yard)을 운영하며 지속적으로 물을 분사하여 자연 발화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발전소 입지 여건상 저탄장이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는 것인바,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석탄을 저장 보관하고 사용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특허출원등록 제10-1270533호와 같은 저장장치인 사일로를 사용함으로 저탄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을 차지하면서도 저탄장에 저장되는 석탄과 동일량의 저장 보관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일로는 밀폐된 공간에서의 상기와 같은 휘발요인으로 인해 사일로에 저장시 자연발화가 쉽게 발생하였다.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2705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사일로 내부에서 온도의 감지와 산소, 탄소, 메탄가스 등의 휘발요인이 감지시 신속히 대응하여 휘발요인을 제거하며, 부득이 화재가 발생시 신속한 소화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석탄 저장공간을 이루어 석탄의 투입 및 저장 배출 구조를 갖는 사일로 본체로 된 사일로에 있어서,
사일로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석탄 저장공간에 저장된 석탄의 저장량을 측정하는 저장량 측정수단;
사일로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저장된 석탄 주변에서 석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와, 공기중에 포함된 산소와 탄소 및 메탄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감지부로 된 휘발요인 감지수단;
휘발요인 감지수단의 온도감지부와 가스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휘발요인 또는 화재발생시 이에 대응하여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소화수단; 및
사일로 본체의 석탄 투입 및 배출에 따른 투입구 및 배출구의 개폐와, 저장량 측정수단과 휘발요인 감지수단을 통해 측정된 신호에 따라 석탄 저장상태의 단속과 소화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통제실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는, 사일로 내부에서 다수의 센서를 통해 항시 온도의 감지와 산소, 탄소, 메탄가스 등 휘발요인의 감지가 가능하며, 센서의 감지로 인한 기준수치 이상으로 상승시 물의 분사와 공기의 차단을 위한 질소의 공급으로 휘발요인의 제거가 가능하여, 항시 안정적인 석탄의 저장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화재 발생시에도 물과 폼의 분사로 인한 신속한 소화가 가능하여 석탄의 보호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의 저장량 측정수단을 나타낸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의 휘발요인 감지수단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의 소화수단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의 통제실 제어상태를 나타낸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의 석탄 저장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의 온도감지시 화재예방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의 가스감지시 화재예방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의 화재발생시 작동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의 전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1)는, 사일로 본체(10)와, 저장량 측정수단(100)과, 휘발요인 감지수단(200)과, 소화수단(300)과, 통제실(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일로 본체(10)는, 통상의 사일로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어 석탄이 저장될 수 있도록 석탄 저장공간(13)이 형성된 통체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일로 본체(10)의 상부에는 석탄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되어 별도의 컨베이어 등을 통해 석탄의 투입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하부에는 저장된 석탄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석탄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11) 및 배출구(12)는 별도의 도어 또는 밸브(도면중 미도시함)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저장량 측정수단(10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사일로 본체(10)의 내측에 저장되는 석탄의 저장량을 측정하여 저장상태의 확인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제1 센싱부(110)와 제2 센싱부(120)와 제3 센싱부(1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센싱부(110)는, 사일로 본체(10) 내부 벽면에 수직상으로 다수단의 제1 레벨센서(111)가 형성되어, 석탄 저장공간(13)에 저장되는 석탄이 상기 제1 레벨센서(111) 중 어느 한 단에 접촉시 이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저장된 석탄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저장높이의 측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 센싱부(120)는, 사일로 본체(10)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초음파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2 레벨센서(121)로 구성되어 초음파의 송신 및 석탄에 부딪혀 반사되는 수신에 의해 감지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초음파의 송수신 거리에 따라 저장된 석탄의 중심에 해당하는 저장높이의 측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3 센싱부(130)는, 사일로 본체(10) 내측 상부에 와이어(136)가 권취 및 권해되는 하나 이상의 드럼윈치(135)를 형성하되, 그 드럼위치(135)의 와이어(136)에 제3 레벨센서(131)가 형성되어 드럼윈치(135)의 작동에 따른 와이어(136)의 권해시 하강하여 석탄의 표면을 접촉 감지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측정은 와이어(136)의 권해 길이에 따라 그 측정이 가능하며, 저장된 석탄의 중심과 가장자리 사이에 해당하는 저장높이의 측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저장량 측정수단(100)은, 통상 사일로 본체(10) 내측에서 석탄 저장공간(13)에 저장되는 석탄은 상부로부터 낙하시 중심은 높고 양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를 이루게 쌓이게 되는 것인바, 그 저장량을 측정시 제1 레벨센서(111)를 통해 가장자리의 저장높이와 제2 레벨센서(121)를 통해 중심의 저장높이와 제3 레벨센서(131)에 의해 쌓여진 석탄의 중심과 가장자리 사이 저장높이의 측정이 가능하여 석탄 저장상태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휘발요인 감지수단(200)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사일로 본체(10) 내부에서 저장된 석탄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휘발요인의 감지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온도에 의한 요인을 감지하는 온도감지부(210)와, 공기중의 산소와 탄소 및 메탄가스의 농도에 의한 요인을 감지하는 가스감지부(220)로 구성된다.
이때, 온도감지부(210)는, 석탄 저장공간(13)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11)로 구성된다.
또한, 가스감지부(220)는, 석탄 저장공간(13) 내부 공기중의 산소 농도를 감지하는 산소센서(221a)와, 탄소를 감지하는 탄소센서(221b)와, 메탄가스를 감지하는 메탄가스센서(221c)로 된 가스센서유닛(22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센서(211)와 가스센서유닛(221)은, 저장된 석탄과 근접 위치된 상태에서 그 온도 및 공기의 가스 측정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사일로 본체(10) 내측 상부에는 와이어(226)가 권취 및 권해되는 하나 이상의 드럼윈치(225)가 구비되며, 그 드럼윈치(225)의 와이어(226)에 온도감지센서(211)와 가스센서유닛(221)이 형성되어 드럼윈치(225)의 작동에 따른 와이어(226)의 권해에 의해 온도감지센서(211)와 가스센서유닛(221)이 하강하며, 이에 석탄 근접부에서 주변 온도 및 공기의 가스 측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소화수단(30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휘발요인 감지수단(200)의 온도감지부(210)와 가스감지부(220)에 의해 측정된 휘발요인 또는 화재발생시 이에 대응하여 소화물질의 분사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물 분사부(310)와, 질소 공급부(320)와, 폼 분사부(330)로 구성된다.
이때, 물 분사부(310)는, 사일로 본체(10)와 별도로 물 저장탱크(311)가 구성된 것으로, 물 저장탱크(311)에는 소화용 물이 저장되게 구성되며, 사일로 본체(10) 내측 상부에는 상기 물 저장탱크(311)와 연결되어 그 물 저장탱크(31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석탄의 상부로 분사하는 물 분사노즐(312)이 구성되어 사일로 본체(10)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물을 공급하여 온도를 낮추어주게 되고, 화재발생시 물을 분사하여 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질소 공급부(320)는, 사일로 본체(10)와 별도로 질소 저장탱크(321)가 구성된 것으로, 질소 저장탱크(321)에는 산소의 농도를 낮추는 소화용 질소가스가 저장되게 구성되며, 그 질소 저장탱크(321)는 질소 공급관(322)을 통해 사일로 본체(10) 하부와 연결되게 구성되어 산소와 탄소 및 메탄가스의 농도가 일정 이상 감지시 질소가스를 공급시켜 산소의 농도를 낮춰 화재를 예방하게 된다.
또한, 폼 분사부(330)는, 사일로 본체(10)와 별도로 폼 저장탱크(331)가 구성된 것으로, 폼 저장탱크(331)에는 통상의 소화 기능을 갖는 거픔 형태의 소화용 "폼"이 저장되게 구성되며, 사일로 본체(10) 내측 상부에는 상기 폼 저장탱크(331)와 연결되어 그 폼 저장탱크(331)로부터 폼을 공급받아 석탄의 상부로 분사하는 폼 분사노즐(332)이 구성되어 화재 발생시 폼을 분사하여 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통제실(400)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사일로 본체(10)에 석탄을 투입 및 배출하기 위한 투입구(11)와 배출구(12)의 개폐와, 저장량 측정수단(100)과 휘발요인 감지수단(200)과 소화수단(300)의 작동을 제거하게 구성된다.
즉, 통제실(400)에서는, 상기 저장량 측정수단(100)을 통해 사일로 본체(10)내부의 석탄 저장공간(13)에 저장되는 석탄의 저장량을 측정 모니터링하여 석탄의 투입 및 배출을 단속하게 된다.
또한, 통제실(400)에서는, 상기 휘발요인 감지수단(200)을 통해 사일로 본체(10) 내부의 휘발요인을 측정 모니터링하게 된다.
또한, 통제실(400)에서는, 상기 소화수단(300)을 통해 휘발요인 감지수단(200)에 의해 사일로 본체(10) 내부에서 휘발요인의 감지나 화재가 발생시 휘발요인의 제거와 화재를 신속히 소화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1)는, 도 6을 참조하여 통상의 사일로와 같이 그 내부 석탄 저장공간(13)에 일정량의 석탄을 보관하게 되는 것으로 석탄을 투입시에는 상부의 투입구(11)를 통해 통상의 컨베이어(도면중 미도시함)를 이용하여 투입 가능하며, 이때 투입구(11) 및 배출구(12)의 단속은 통제실(400)에서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저장되는 석탄은 그 사일로 본체(10)의 용량에 맞는 저장이 중요한 것인바, 이는 본 발명의 저장량 측정수단(100)에 의해 가능하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저장량 측정수단(1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레벨센서(111)를 통해 저장된 석탄의 가장자리의 높이 측정이 가능하고, 제2 레벨센서(121)를 통해 저장된 석탄의 중심부의 높이 측정이 가능하며, 제3 레벨센서(131)를 통해 가장자리와 중심부의 사이 높이 측정이 가능하여 통제실(400)에서 이를 산출하여 석탄 저장량의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제실(400)에서 모니터링하여 석탄 저장량의 산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저장된 석탄의 배출시에는 그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2)의 개방을 통해 필요 석탄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일로 본체(10)에 석탄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석탄들간의 마찰이나 내부 온도의 상승 또는 산소나 탄소 및 메탄가스 등의 증가에 따른 휘발요인의 발생 및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이를 신속히 대응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휘발요인 및 화재발생시 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먼저, 휘발요인의 감지는 휘발요인 감지수단(200)에 의해 가능하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휘발요인 감지수단(2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감지부(210)와 가스감지부(220)를 통해 가능한 것으로, 그 온도감지부(210)와 가스감지부(220)는 저장된 석탄의 근접부로 이동하여 온도감지센서(211)를 통해 석탄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고, 산소센서(221a)와 탄소센서(221b)와 메탄가스센서(221c)로 된 가스센서유닛(221)을 통해 석탄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산소나 탄소 및 메탄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에, 측정된 측정값은 통제실(400)로 전송되어 측정치가 위험수치 이상으로 상승하여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는 휘발요인이 발생시, 이에 대응하여 휘발요인의 제거함으로 화제를 예방하게 된다.
이때, 휘발요인의 제거는 소화수단(300)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온도 감지에 따른 화재 예방시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7의 도시와 같이 온도감지부(210)의 온도감지센서(211)를 통해 석탄 주변의 온도를 수시로 측정하되, 일예로 통상 석탄의 투입 및 배출 과정이나 밀폐된 공간에서 석탄을 저장시 화재 위험 온도인 40℃ 이상으로 감지되게 되면 통제실(400)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석탄의 투입 및 배출 등의 작업을 중지시키고 화재예방 작동을 수행하되, 통제실(400) 에서는 물 분사부(310)를 통해 물 탱크(311)로부터 물을 배출 및 물 분사노즐(312)을 통해 사일로 본체(10) 내측 상부에서 석탄에 물을 분사시켜줌으로 그 온도를 안전수치 이하로 낮추어 휘발요인을 제거하여 온도 상승에 따른 화재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스 감지에 따른 화재 예방시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가스감지부(220)의 가스센서유닛(221)을 이루는 산소센서(221a)와 탄소센서(221b)와 메탄가스센서(221c)를 통해 석탄 주변의 공기를 수시로 측정하되, 일예로 통상 밀폐된 공간에서 석탄을 보관시 산소의 농도가 15% 이상으로 감지시나 탄소 및 메탄가스가 감지되게 되면 통제실(400)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석탄의 투입 및 배출 등의 작업을 중시키시고 화재 예방 작동을 수행하되, 통제실(400) 에서는 질소 공급부(320)를 통해 질소 저장탱크(321)로부터 질소가스를 배출 및 질소 공급관(322)을 통해 사일로 본체(10) 하부로 질소가스를 공급시켜줌으로 질소가스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저장된 석탄의 사이사이를 통과하며 공기에 포함된 산소의 농도를 안전수치 이하로 낮추어줌과 동시에 탄소 및 메탄가스의 제거에 따른 휘발요인을 제거하여 산소 농도의 상승이나 탄소 및 메탄가스의 발생으로 인한 화재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득이한 경우 화재가 발생시에는 도 4를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그 화재의 소화가 가능한 것으로, 통제실(400) 에서는 물 분사부(310)를 통해 물 저장탱크(311)로부터 물을 배출 및 물 분사노즐(312)을 통해 사일로 본체(10) 내측 상부에서 석탄에 물을 분사시켜줌으로 화재의 소화가 가능하게 되며, 또한, 폼 분사부(330)를 통해 폼 저장탱크(331)로부터 거품 형태의 폼을 배출 및 폼 분사노즐(332)을 통해 사일로 본체(10) 내측 상부에서 석탄에 폼을 분사시켜 줌으로 화재의 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는, 사일로 본체 내부에서 석탄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화재를 발생시키는 휘발요인이 발생시 신속한 대응으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부득이하게 화재가 발생시 신속한 소화에 따른 석탄의 보호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10 : 사일로 본체 11 : 투입구
12 : 배출구 13 : 석탄 저장공간
100 : 저장량 측정수단 110 : 제1 센싱부
111 : 제1 레벨센서 120 : 제2 센싱부
121 : 제2 레벨센서 130 : 제3 센싱부
131 : 제3 레벨센서 135 : 드럼윈치
136 : 와이어
200 : 휘발요인 감지수단 210 : 온도감지부
211 : 온도감지센서 220 : 가스감지부
221 : 가스센서유닛 221a : 산소센서
221b : 탄소센서 221c : 메탄가스센서
225 : 드럼윈치 226 : 와이어
300 : 소화수단 310 : 물 분사부
311 : 물 저장탱크 312 : 물 분사노즐
320 : 질소 공급부 321 : 질소 저장탱크
322 : 질소 공급관 330 : 폼 분사부
331 : 폼 저장탱크 332 : 폼 분사노즐
400 : 통제실

Claims (4)

  1. 상부에 투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12)가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형성된 사일로 본체(10) 내부에 형성되어 석탄 저장공간(13)에 저장된 석탄의 저장량을 측정하는 저장량 측정수단(100);
    사일로 본체(10) 내부에 형성되어 저장된 석탄 주변에서 석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210)와, 공기중에 포함된 산소와 탄소 및 메탄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감지부(220)로 된 휘발요인 감지수단(200);
    휘발요인 감지수단(200)의 온도감지부(210)와 가스감지부(220)에 의해 측정된 휘발요인 또는 화재발생시 이에 대응하여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소화수단(300); 및
    사일로 본체(10)의 석탄 투입 및 배출에 따른 투입구(11) 및 배출구(12)의 개폐와, 저장량 측정수단(100)과 휘발요인 감지수단(200)을 통해 측정된 신호에 따라 석탄 저장상태의 단속과 소화수단(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통제실(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에 있어서,
    휘발요인 감지수단(200)의,
    온도감지부(210)는, 온도감지센서(211)로 구성하고,
    가스감지부(220)는, 산소센서(221a)와 탄소센서(221b)와 메탄가스센서(221c)로 구성된 가스센서유닛(221)로 구성하되,
    온도감지센서(211)와 가스센서유닛(221)은, 사일로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와이어(226)가 권취 및 권해되는 드럼윈치(225)의 와이어(226)에 형성되어 드럼윈치(225)의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되어 석탄과 근접한 위치에서 저장된 석탄 주변의 온도 또는 공기중에 포함된 산소와 탄소 및 메탄가스의 농도 측정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소화수단(300)은,
    사일로 본체(10)와 별도로 구비되는 물 저장탱크(311)와, 사일로 본체(10)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물 저장탱크(31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석탄의 상부로 분사하는 물 분사노즐(312)로 된 물 분사부(310);
    사일로 본체(10)와 별도로 구비되는 질소 저장탱크(321)로 구성되어 질소 공급관(322)을 통해 사일로 본체(10) 하부로 질소가스를 투입시키는 질소 공급부(320); 및
    사일로 본체(10)와 별도로 구비되는 거품 형태의 "폼"을 저장하는 폼 저장탱크(331)와, 사일로 본체(10)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폼 저장탱크(331)로부터 폼을 공급받아 석탄의 상부로 분사하는 폼 분사노즐(332)로 된 폼 분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
  2. 제 1항에 있어서,
    저장량 측정수단(100)은,
    사일로 본체(10)의 내부 벽면에 다수단 형성되는 제1 레벨센서(111)를 형성하여 석탄 저장량을 측정하는 제1 센싱부(110);
    사일로 본체(10) 상부에 초음파 측정이 가능한 제2 레벨센서(121)를 형성하여 석탄 저장량을 측정하는 제2 센싱부(120); 및
    사일로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와이어(136)가 권취 및 권해되는 드럼윈치(135)를 형성 및 그 와이어(136)에 제3 레벨센서(131)를 형성하여 드럼윈치(135)의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되어 석탄 저장량을 측정하는 제3 센싱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62898A 2015-05-06 2015-05-06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 KR101611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98A KR101611795B1 (ko) 2015-05-06 2015-05-06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98A KR101611795B1 (ko) 2015-05-06 2015-05-06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795B1 true KR101611795B1 (ko) 2016-04-11

Family

ID=5580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898A KR101611795B1 (ko) 2015-05-06 2015-05-06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795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9459A (zh) * 2019-04-12 2019-07-02 枣庄矿业集团新安煤业有限公司 可伸缩性温度测量装置
KR101960866B1 (ko) * 2017-12-11 2019-07-17 홍성일 분체 레벨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008411B1 (ko) 2018-09-12 2019-08-09 주식회사 영국전자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CN110314315A (zh) * 2019-07-08 2019-10-11 黑龙江科技大学 一种悬挂轨道式移动灭火防爆装置
KR102132620B1 (ko) 2020-01-03 2020-07-10 이정우 석탄사일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WO2020201075A1 (de) * 2019-04-04 2020-10-08 Thyssenkrupp Industrial Solutions Ag Homogenisierter materialeintrag für ein silo
KR20210099792A (ko) * 2020-02-05 2021-08-13 김상일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
KR102297979B1 (ko) * 2021-01-20 2021-09-03 엘케이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신재생 발전용 다종 고형연료 이송 시스템
RU2755366C1 (ru) * 2020-12-30 2021-09-15 Наталья Борисовна Худолий Склад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KR20220050292A (ko) 2020-10-15 2022-04-25 유진기업 주식회사 재고량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콘크리트 분체 원료 입고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20220050291A (ko) 2020-10-15 2022-04-25 유진기업 주식회사 자동 개폐기능을 가진 콘크리트 분체 원료 입고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20220050294A (ko) 2020-10-15 2022-04-25 유진기업 주식회사 자동 개폐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분체 원료 입고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20220050293A (ko) 2020-10-15 2022-04-25 유진기업 주식회사 정보인식코드를 이용한 콘크리트 분체 원료 입고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20220078157A (ko) * 2020-12-03 2022-06-10 한국석유관리원 석탄 저장시설로부터 메탄가스의 회수 및 자원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09812A (ko) 2021-07-09 2023-01-17 유진기업 주식회사 레미콘 차량 배정 자동화 시스템
KR20230009814A (ko) 2021-07-09 2023-01-17 유진기업 주식회사 레미콘 송장 자동화 시스템
KR20230009813A (ko) 2021-07-09 2023-01-17 유진기업 주식회사 레미콘 적재 자동화 시스템
KR20230013709A (ko) * 2021-07-19 2023-01-27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석탄 저장소에 설치되는 석탄 자연발화 방지 시스템
KR102501231B1 (ko) * 2022-01-19 2023-02-21 노명국 폐기물 저장조 화재 억제용 질소 퍼지 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저장 시스템
KR102614866B1 (ko) * 2022-12-06 2023-12-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기 비저항 탐사방법을 이용한 석탄 더미의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250A (ja) * 2002-07-08 2004-02-05 Ngk Insulators Ltd サイロの運転方法
JP2013060235A (ja) * 2011-08-22 2013-04-04 Chiba Flour Milling Co Ltd アーチング防止用貯蔵容器、アーチング防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貯蔵物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250A (ja) * 2002-07-08 2004-02-05 Ngk Insulators Ltd サイロの運転方法
JP2013060235A (ja) * 2011-08-22 2013-04-04 Chiba Flour Milling Co Ltd アーチング防止用貯蔵容器、アーチング防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貯蔵物の処理方法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866B1 (ko) * 2017-12-11 2019-07-17 홍성일 분체 레벨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008411B1 (ko) 2018-09-12 2019-08-09 주식회사 영국전자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WO2020201075A1 (de) * 2019-04-04 2020-10-08 Thyssenkrupp Industrial Solutions Ag Homogenisierter materialeintrag für ein silo
CN109959459A (zh) * 2019-04-12 2019-07-02 枣庄矿业集团新安煤业有限公司 可伸缩性温度测量装置
CN110314315A (zh) * 2019-07-08 2019-10-11 黑龙江科技大学 一种悬挂轨道式移动灭火防爆装置
KR102132620B1 (ko) 2020-01-03 2020-07-10 이정우 석탄사일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2385825B1 (ko) * 2020-02-05 2022-04-11 김상일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
KR20210099792A (ko) * 2020-02-05 2021-08-13 김상일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
KR20220050294A (ko) 2020-10-15 2022-04-25 유진기업 주식회사 자동 개폐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분체 원료 입고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20220050293A (ko) 2020-10-15 2022-04-25 유진기업 주식회사 정보인식코드를 이용한 콘크리트 분체 원료 입고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20220050292A (ko) 2020-10-15 2022-04-25 유진기업 주식회사 재고량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콘크리트 분체 원료 입고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20220050291A (ko) 2020-10-15 2022-04-25 유진기업 주식회사 자동 개폐기능을 가진 콘크리트 분체 원료 입고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2445678B1 (ko) 2020-12-03 2022-09-23 한국석유관리원 석탄 저장시설로부터 메탄가스의 회수 및 자원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8157A (ko) * 2020-12-03 2022-06-10 한국석유관리원 석탄 저장시설로부터 메탄가스의 회수 및 자원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19588A (ko) * 2020-12-03 2022-08-30 한국석유관리원 석탄 저장시설로부터 메탄가스의 회수 및 자원화 방법 및 시스템
KR102445677B1 (ko) 2020-12-03 2022-09-23 한국석유관리원 석탄 저장시설로부터 메탄가스의 회수 및 자원화 방법 및 시스템
RU2755366C1 (ru) * 2020-12-30 2021-09-15 Наталья Борисовна Худолий Склад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KR102297979B1 (ko) * 2021-01-20 2021-09-03 엘케이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신재생 발전용 다종 고형연료 이송 시스템
KR20230009812A (ko) 2021-07-09 2023-01-17 유진기업 주식회사 레미콘 차량 배정 자동화 시스템
KR20230009814A (ko) 2021-07-09 2023-01-17 유진기업 주식회사 레미콘 송장 자동화 시스템
KR20230009813A (ko) 2021-07-09 2023-01-17 유진기업 주식회사 레미콘 적재 자동화 시스템
KR20230013709A (ko) * 2021-07-19 2023-01-27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석탄 저장소에 설치되는 석탄 자연발화 방지 시스템
KR102496665B1 (ko) * 2021-07-19 2023-02-07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석탄 저장소에 설치되는 석탄 자연발화 방지 시스템
KR102501231B1 (ko) * 2022-01-19 2023-02-21 노명국 폐기물 저장조 화재 억제용 질소 퍼지 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저장 시스템
KR102614866B1 (ko) * 2022-12-06 2023-12-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기 비저항 탐사방법을 이용한 석탄 더미의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795B1 (ko)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
CN106185384A (zh) 封闭式煤仓全方位惰化安全保护装置
CN204034115U (zh) 一种探火管自动灭火装置
CN204324092U (zh) 一种集自动检测、预防和报警于一体的地面储煤仓
CN205525986U (zh) 一种外浮顶石油储罐抑燃装置
US9220937B2 (en) Inerting method and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JP4654249B2 (ja) 火災防止のための不活性化方法
CA2862517A1 (en) A method for fighting a fire or a temperature rise in a material stored in a large storage facility, a fire fighting system and uses hereof
US9757602B2 (en) Flame mitigation device and system
US10099077B2 (en) Installed fire fighting apparatus for flammable objects
CN104797303B (zh) 通过化学抑制减轻蒸气云爆炸
EP2674197B1 (en) Fire prevention in storage silos
GB2493460A (en) Fire Prevention in Storage Silos
CN110681090A (zh) 自动灭火式油浸式变压器
KR102598851B1 (ko) 건조사 제조 및 분사 방법
CN204891010U (zh) 一种散料堆场火灾抑制装置
CN206249996U (zh) 一种变压器防护装置
CN203183548U (zh) 磨煤机惰化灭火保护系统
KR102385825B1 (ko)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
CN108386866B (zh) 煤粉锅炉供粉系统自惰化并稳定供粉系统
CN107860270A (zh) 一种危爆粉末药物安全防爆系统
CN211575167U (zh) 一种具有自动消防装置的原煤仓系统
KR102598850B1 (ko) 다중 모래 건조 및 건조사 분사 방법
KR102598849B1 (ko) 건조사 제조 및 분사 장치
CN220294041U (zh) 一种原煤仓智能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