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411B1 -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411B1
KR102008411B1 KR1020180108726A KR20180108726A KR102008411B1 KR 102008411 B1 KR102008411 B1 KR 102008411B1 KR 1020180108726 A KR1020180108726 A KR 1020180108726A KR 20180108726 A KR20180108726 A KR 20180108726A KR 102008411 B1 KR102008411 B1 KR 10200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imaging
unit
coal
imaging camera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국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국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국전자
Priority to KR102018010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센서를 통해 소정구역을 스캔하고, 스캔한 데이터를 3D로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탄적재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모니터링된 탄적재량을 기초로 하여 열화상 카메라 등을 통한 화재 위험성 및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 위험성 또는 화재 발생이 감지될 경우, 살수부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화재를 진압 가능한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험성 또는 화재 발생이 감지될 경우,

Description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Fire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 with coal loading monitoring}
본 발명은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센서를 통해 소정구역을 스캔하고, 스캔한 데이터를 3D로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탄적재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모니터링된 탄적재량을 기초로 하여 열화상 카메라 등을 통한 화재 위험성 및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 위험성 또는 화재 발생이 감지될 경우, 살수부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화재를 진압 가능한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 공장 또는 화력발전소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석탄 등의 분진 형태의 원료는 야외 적재장에 파일 형태로 적재하거나, 밀폐된 저장고 내부에서 거대한 파일 형태로 적재하여 보관하고 있다.
이러한 석탄 등의 분진 원료를 야외 적재장에 적재할 경우에는 분진 가루가 날려 작업장의 환경을 오염시키고, 바람에 의해 원료가 일부 손실되는 문제점 등이 있어 최근에는 주로 밀폐된 저장고에 파일 형태로 적재하여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석탄 또는 무연탄 등은 가연성 물질이며, 석탄의 구성 분자가 공기 중의 산소를 흡착하여 국소 부분에서 발열 산화반응을 일으키고, 이때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충분히 방출되지 않으면 온도의 상승과 함께 산소가 계속 공급될 경우 반응이 점차 가속되면서 자연 발화될 가능성이 크다.
자연 발화의 원인과 영향 인자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사전에 예방하기가 쉽지 않으며 일단 발생하면 소화하기도 어렵다.
또한, 석탄은 다공성 물질이기 때문에 단위 무게당 산소의 흡착량이 많아 산화 반응에 유리한 반면 열전도도가 낮아서 발생열의 방출이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연 발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스는 외부로 방출되지 않을 경우 가스 폭발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즉, 석탄 저장고 내의 자연 발화는 분진 폭발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연 발화 가능성을 추정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특성치는 자연발화온도(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SIT)이며 이는 자연 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최저의 온도를 말한다.
여기서, 자연발화온도는 물질 계수가 아니며 실험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다양한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자세히는 자연발화온도는 저장 파일의 모양이나 크기(체적에 대한 표면적, 높이, 압착정도 등), 석탄의 종류와 품질(탄소 함량, 휘발분, 탄화기간 등), 석탄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화학적 성분, 발열량, 열 전도성, 입자 분포, 수분 함량, 충진밀도 등), 공기의 유동, 기후 조건(습도, 온도 등), 저장 기간 등 다양한 인자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예를 들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분탄은 600 정도의 고온에서 착화되지만, 이것이 퇴적되어 쌓여있는 경우에는 200 정도의 저온에서 자연 발화된다.
또한, 퇴적분진의 경우에 있어서도 분진의 퇴적층이 두꺼울수록 착화 온도는 급격히 저하되는 특성이 있다. 즉, 석탄 저장고 내 적재된 석탄의 양(높이)에 따라 자연발화온도가 변화하여 적재된 석탄간 마찰 압력에 의해 자연 발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석탄 중에서 무연탄(Anthracite)은 자연 발화 가능성이 거의 없고, 역청탄(Bituminous)은 장기 저장 시 자연 발화 가능성이 높으며, 유연탄(Lignite)은 자연 발화 되기 가장 쉽다.
따라서 석탄의 적재 높이는 저휘발분 석탄의 경우는 제한이 없고, 휘발분 석탄(15~40%)의 경우는 8m가 최대 적재 높이이다. 적재된 석탄의 온도가 10 상승하면 산화 반응성은 두배 높아지고 반응 속도는 50% 이상 상승하게 되므로 여름철엔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11795
본 발명은 다수개의 센서를 통해 소정구역을 스캔하고, 스캔한 데이터를 3D로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탄적재량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모니터링된 탄적재량을 기초로 하여 열화상 카메라 등을 통한 화재 위험성 및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 위험성 또는 화재 발생이 감지될 경우, 살수부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화재를 진압 가능한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을 통해 탄의 적재에 따른 자연발화의 위험성을 현저하게 낮추고, 실시간으로 적재량, 적재형상 및 적재온도를 파악하여 발화가능성을 낮추며, 발화 시 자동살수장치를 통해 화재를 진압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은 탄을 저장하는 저장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센서, 탄을 저장하는 저장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열화상 카메라, 상기 저장부에 각각의 저장공간이 분할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의 상부 수평면상에서 이동하며, 저장공간으로 탄을 분배하여 적재저장하는 이동식 탄 적재장치, 상기 다수개의 센서 및 다수개의 열화상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센서 및 열화상 카메라가 획득한 정보를 수신받아 가공하여 저장하는 정보 서버, 상기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저장공간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발화점의 좌표를 산출하며, 상기 센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 및 진압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 및 패닝 및 틸팅 작동 가능하고 상기 저장공간에 대하여 살수를 행하는 살수부, 및 상기 살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살수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압 장치를 포함하는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다수개의 센서는 탄을 저장하는 상기 저장공간을 입체적으로 센싱할 수 있도록, 상기 탄 저장공간의 상부 일측면에 적어도 한개 이상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서버는 상기 다수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토대로 3D 스캔데이터로 변환하여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탄 적재장치는 상기 정보 서버를 통해 도출된 각 저장공간별 탄 적재량의 3D 스캔데이터상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탄 적재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상 화재 감지 시, 상기 제어 서버의 명령 및 상기 구동 제어부를 통해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발화점을 향하여 패닝 또는 틸팅 작동하고, 상기 센서는 레이저 센서로서, 레이저 센서가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발화점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패닝각 또는 틸팅각으로부터 상기 발화점의 평면 이차원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상기 발화점까지의 거리를 획득하며,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평면 이차원 좌표와 상기 거리로부터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 서버 및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줌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살수부 제어부는 상기 살수부를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에 배향되도록 작동시키고, 상기 살수부의 살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 열상은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열 영상로부터 상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온도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의 값을 갖는 온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점을 발화점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온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발화점의 평면 이차원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상기 발화점까지의 거리를 획득하며,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평면 이차원 좌표와 상기 거리로부터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를 상기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살수부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에 배향되도록 작동시키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줌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살수부 제어부는 상기 살수부를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에 배향되도록 작동시키고, 상기 살수부의 살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센서를 통해 소정구역을 스캔하고, 스캔한 데이터를 3D로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탄적재량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모니터링된 탄적재량을 기초로 하여 열화상 카메라 등을 통한 화재 위험성 및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 위험성 또는 화재 발생이 감지될 경우, 살수부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화재를 진압 가능한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을 통해 탄의 적재에 따른 자연발화의 위험성을 현저하게 낮추고, 실시간으로 적재량, 적재형상 및 적재온도를 파악하여 발화가능성을 낮추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장부에 설치된 센서, 열화상 카메라 및 살수부를 표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장부 각 저장공간에 적재된 탄의 적재량과 적재형상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장부 각 저장공간에 적재된 탄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 영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센서, 열화상 카메라 및 살수부의 관계를 표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센서, 열화상 카메라 및 살수부가 저장공간에 적재된 탄에 대해 각 구성의 설치태양을 표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장부에 설치된 센서, 열화상 카메라 및 살수부의 설치태양을 표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발화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과정 및 해당 발화점을 표시한 모니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발사체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장부 각 저장공간에 적재된 탄의 적재량과 적재형상을 표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장부 각 저장공간에 적재된 탄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 영상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탄 저장부(100) 및 상기 저장부(100)에 분할된 각각의 저장공간(110)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110)의 상부 수평면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저장공간(110)으로 탄을 분배하여 적재저장하는 이동식 탄 적재장치에 의해 탄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며, 상기 저장공간()을 채우게 되며, 결과적으로 탄은 꼭지점 및 경사면을 가지는 반구형 또는 원뿔형 등의 형상을 가지고 적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것이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적재된 탄(저장 파일)의 모양이나 크기(체적에 대한 표면적, 높이, 압착정도 등), 석탄의 종류와 품질(탄소 함량, 휘발분, 탄화기간 등), 석탄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화학적 성분, 발열량, 열 전도성, 입자 분포, 수분 함량, 충진밀도 등), 공기의 유동, 기후 조건(습도, 온도 등), 저장 기간 등 다양한 인자에 따라 상이하나, 일반적인 탄은 600 정도의 고온에서 착화되지만, 이것이 퇴적되어 쌓여있는 경우에는 200 정도의 저온에서 자연 발화된다.
또한, 퇴적분진의 경우에 있어서도 분진의 퇴적층이 두꺼울수록 착화 온도는 급격히 저하되는 특성이 있다. 즉, 석탄 저장고 내 적재된 석탄의 양(높이)에 따라 자연발화온도가 변화하여 적재된 석탄간 마찰 압력에 의해 자연 발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석탄 중에서 무연탄(Anthracite)은 자연 발화 가능성이 거의 없고, 역청탄(Bituminous)은 장기 저장 시 자연 발화 가능성이 높으며, 유연탄(Lignite)은 자연 발화 되기 가장 쉽다.
따라서 석탄의 적재 높이는 저휘발분 석탄의 경우는 제한이 없고, 휘발분 석탄(15~40%)의 경우는 8m가 최대 적재 높이인 점을 고려하여 상기 저장공간(110)에 대한 실시간의 적재량 및 적재형상에 대한 모니터링이 요구되며, 적재된 탄의 높이가 높은 적재공간에는 탄은 적재하지 않고, 여유높이가 존재하는 다른 적재공간에 탄을 적재하도록 상기 이동식 탄 적재장치를 이동시키며 탄을 수직낙하시켜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113) 등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발화점에 가까운 탄 저장공간(110)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며,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살수를 수시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장부에 설치된 센서, 열화상 카메라 및 살수부를 표현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센서, 열화상 카메라 및 살수부의 관계를 표현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열화상 카메라(113), 센서(120), 제어 서버(150), 진압 장치(130)를 포함한다. 추가로 서버를 통해 가공되어 ㅈjw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열화상 카메라(113)는 감시 구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구성으로서, 감시 구역의 열 영상을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113) 외에도 광학 영상을 획득하는 광학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 카메라는 감시 구역의 광학 영상을 획득하는 비주얼 카메라로서, 감시 구역의 좌우 방향으로 패닝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며, 줌인(Zoom-in)-줌아웃(Zoom-out) 작동이 가능한 PTZ 카메라일 수 있다.
이 경우, PTZ 카메라는 2 메가 픽셀 이상, 20배 줌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화상 카메라(113) 및 광학 카메라의 패닝 및 틸팅 각도는 후술하는 제어 서버(150)가 발화점의 좌표를 특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열화상 카메라(113)는 640×480 픽셀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 현장 상태에 따라 고정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열화상 카메라(113)의 열 영상에는 감시 구역의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화상 카메라(113)에서 획득한 열 영상의 온도 데이터는 후술하는 제어 서버(150)가 발화 지점의 좌표(발화점 좌표)를 특정하는데 이용된다.
발화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서, 열화상 카메라(113)와 광학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17)를 포함한다. 구동 제어부(117)는 후술하는 제어 서버(150)로부터 카메라 작동 명령, 예컨대 패닝 명령, 틸팅 명령 또는 줌 명령을 인가받고, 이러한 명령에 따라 센서(120), 열화상 카메라(113) 또는 광학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120), 광학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113) 및 구동 제어부(117)는 하나의 하우징에 탑재된 일체형 구조가 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는 분진이 하우징 내에 침입하지 않고 하우징 내의 스파크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분진 방폭형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센서(120)의 일 실시예로 사용 가능한 레이저 센서(120)는 표적을 향하여 레이저를 발사한 뒤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를 검출하여 표적까지의 거리를 측거나, 상기 측정된 거리를 다방향에서 종합하여 하나의 3D스캔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비로서,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 또는 적재된 탄의 적재형상 및 적재량을 파악하고, 발화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센서(120)는 발화점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해, 전술한 열화상 카메라(113) 등과 일체로 설치되어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어 서버(150)는 열 영상 또는 광학 영상에 기초하여 감시 구역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발화점의 좌표를 산출하며, 열화상 카메라(113) 및 진압 장치(130)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탄을 저장하는 저장부(10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센서(120), 탄을 저장하는 저장부(10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열화상 카메라(113), 상기 저장부(100)에 각각의 저장공간(110)이 분할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110)의 상부 수평면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저장공간(110)으로 탄을 분배하여 적재저장하는 이동식 탄 적재장치, 상기 다수개의 센서(120) 및 다수개의 열화상 카메라(113)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17), 상기 센서(120) 및 열화상 카메라(113)가 획득한 정보를 수신받아 가공하여 저장하는 정보 서버(140), 상기 정보 서버(14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110)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발화점의 좌표를 산출하며, 상기 센서(120), 상기 열화상 카메라(113) 및 진압 장치(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150) 및 패닝 및 틸팅 작동 가능하고 상기 저장공간(110)에 대하여 살수를 행하는 살수부(133), 및 상기 살수부(1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살수부 제어부(135)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압 장치(130)를 포함하는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이 일 실시예로써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센서(120)는 탄을 저장하는 상기 저장공간(110)을 입체적으로 센싱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공간(110)의 상부 일측면에 적어도 한개 이상이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정보 서버(140)는 상기 다수개의 센서(12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토대로 3D 스캔데이터로 변환하여 가공하고 서버 내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식 탄 적재장치는 상기 정보 서버(140)를 통해 도출된 각 저장공간(110)별 탄 적재량의 3D 스캔데이터상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탄 적재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센서, 열화상 카메라 및 살수부가 저장공간에 적재된 탄에 대해 각 구성의 설치태양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장부에 설치된 센서, 열화상 카메라 및 살수부의 설치태양을 표현한 개략도이다.
도 5 (a) 및 (b)를 확인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에서 열화상 카메라(113) 및 진압 장치(130)는 감시 구역의 전방에서 감시 구역의 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감시 구역은 상기 저장공간(110)의 좌벽과 우벽을 포함할 수 있고, 센서(120) 또는 열화상 카메라 등은 좌벽과 우벽의 중앙 전방(도 5 참조), 중앙 상방(도 6(a) 참조), 좌벽 상방(도 6(b) 참조), 또는 우벽 상방(도 6(c)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진압 장치(130)는 좌벽과 우벽의 중앙 전방에서 감시 구역의 폭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감시 구역 내에서도 센서(120)나 열화상 카메라(113)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사각 지대(a)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또는 열화상 카메라 등을 도 6(b)와 같이 감시 구역의 상방에 설치함으로써, 촬영의 사각지대 없이 모든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한편, 감시 구역은 좌벽 및 우벽 사이에, 해당 감시 구역을 적어도 2 이상의 단위 블록으로 구분하는 중간벽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또는 열화상 카메라 등은 좌벽 및 우벽 사이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간벽의 상부에 배치되어 양 단위 블록을 모두 스캔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각각의 단위 블록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압 장치(130)를 배치함으로써, 진압 장치(130)에 의한 화재의 진압은 단위 블록마다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에 따르면, 진압 장치(130)를 화재 감시 중에 센서 또는 열화상 카메라(113)와 함께 패닝 또는 틸팅 작동하여 감시 구역을 스캔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어 서버(150)에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진압 장치(130)가 발화점 좌표를 향해 배향 이동되는 시간을 줄이고, 신속한 화재 진압을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재가 감지되지 않는 평시에도 진압 장치(130)가 센서 또는 열화상 카메라(113)와 함께 회전 작동되므로, 진압 장치(130)의 패닝과 틸팅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진압 장치(130)에 대한 오작동 발견 및 수리가 화재 발생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화재 시에 고장난 진압 장치(130)가 화재 진압에 투입되어 화재를 확산시키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발화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과정 및 해당 발화점을 표시한 모니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 7 (a) 및 (b))에 따르면, 제어 서버(150)는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화점의 공간상 삼차원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재 감지 시, 제어 서버(150)는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가 발화점을 향하여 배향되도록 구동 제어부(117)에 대하여 패닝 또는 틸팅 명령을 인가하고,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는 패닝 또는 틸팅 작동하여 발화점을 타겟팅한다. 이때, 레이저 센서(120)는 광학 카메라(115)와 일체로 설치되어 광학 카메라(115)와 함께 회동할 수 있으므로, 레이저 센서(120)도 함께 발화점을 타겟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레이저 센서(120)는 제어 서버(150)의 명령을 받아 발화점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한다.
레이저 센서(120)에 따르면 발화점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를 검출함으로써 발화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서버(150)는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의 패닝각 또는 틸팅각으로부터 발화점의 평면 이차원 좌표를 산출하고, 레이저 센서(120)로부터 측정된 거리를 더 활용하여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까지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컨대 도 7(a)를 참조하면,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가 감시 영역의 전방에 배치된 경우, 발화점을 향하여 x축 방향으로 패닝하고 y축 방향으로 틸팅하여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가 발화점을 향하여 배향하게 되고, 패닝 각도와 틸팅 각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발화점의 좌표는 x-y 평면 상에 존재하는 좌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도 7(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도 발화점의 x축상 위치와 y축상 위치만 파악될 뿐, 실제 발화 지점이 도 7(a)의 A 내지 D 중 어느 위치인지는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는다.
그러나, 레이저 센서(120)를 사용하여 발화점의 평면 이차원 좌표(x, y)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면 발화점까지의 거리, 즉, z좌표까지 획득할 수 있는바,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x, y, z)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어 서버(150)는 발화점 좌표의 정보를 구동 제어부(117)와 살수부 구동부에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서버(150)는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화점의 공간상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113)에서 획득된 열 영상은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어 서버(150)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13)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제어 서버(150)에는 "발화"로 인식되는 기준 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열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한 온도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며, 온도 데이터 중 기준 온도 이상의 값을 갖는 온도 데이터가 특정되면, 그 온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점을 발화점으로 인식하고, 이 온도 데이터로부터 발화점의 평면 이차원 좌표를 획득한다.
이후, 레이저 센서(120)로부터 측정된 거리를 더 활용하여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까지 산출한다. 레이저 센서(120)를 활용하여 삼차원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후, 제어 서버(150)는 발화점 좌표의 정보를 카메라 구동부와 살수부 구동부에 송신한다.
한편, 제어 서버(150)는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 및 후술하는 진압 장치(130)에 대하여 작동 명령을 인가하여 이들 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 서버(150)의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 및 진압 장치(130) 제어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제어 서버(150)에 의한 시스템 제어 메커니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 서버(150)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가 감시 구역을 스캔하도록 구동 제어부(117)에 패닝 명령 또는 틸팅 명령을 인가한다.
제어 서버(150)에는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의 촬영 경로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광학 카메라 또는 열화상 카메라(113)가 촬영 경로를 따라 배향되면서 감시 구역을 스캔한다.
스캔 방식으로는 수평 회전 스캔, 애플 스캔(Apple Scan), 프리셋 스캔(Pre-set Scan, 200 point 이상), 4각 구역 스캔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재 감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에서는 제어 서버(150)가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뿐만 아니라 진압 장치(130)에 대해서도 패닝 명령 또는 틸팅 명령을 인가한다.
제어 서버(150)에는 진압 장치(130)의 배향 경로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패닝 명령 또는 틸팅 명령은 이 배향 경로를 따라 진압 장치(130)의 살수부(133)가 배향되도록 한다.
진압 장치(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살수부(1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살수부 제어부(135)를 포함하며, 살수부 제어부(135)는 제어 서버(150)로부터 작동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살수부(133)의 배향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 서버(150)는 촬상 장치와 진압 장치(130)에 대하여 동일한 작동 명령을 인가함으로써, 진압 장치(130)의 배향이 촬상 장치의 배향에 대응하도록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념은 진압 장치(130)의 배향을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의 배향에 종속시켜 진압 장치(130)와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를 연동하는 것에 해당한다.
한편, 제어 서버(150)가 감지 구역에서 화재를 감지하고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를 산출하면,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 및 진압 장치(130)가 발화점 좌표로 배향되도록 하기 위하여, 촬상 장치의 구동 제어부(117)와 진압 장치(130)의 살수부 제어부(135)에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를 송신한다.
구동 제어부(117)는 발화점 좌표를 수신하고,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가 발화점 좌표에 배향되도록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를 패닝 또는 틸팅 작동시킨다.
광학 카메라가 발화점 좌표에 배향된 이후에는 줌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광학 카메라는 발화 위치의 확대된 광학 영상을 촬상 가능하다. 한편, 살수부 제어부(135)도 발화점 좌표를 수신하고, 살수부(133)가 발화점 좌표에 배향되도록 살수부(133)를 패닝 또는 틸팅 작동시킨다. 살수부(133)가 발화점 좌표에 배향된 이후에는 살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진압 장치(130)는 발화 위치에 대하여 살수 가능하다.
한편, 제어 서버(150)는 그 밖에,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와 진압 장치(130)의 패닝 속도를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감시 구역에 대한 스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 또는 진압 장치(130)의 배향 이동을 정지시킬 경우(Pre-set 스캔), 정지 상태의 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한 온도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의 값을 갖는 온도 데이터가 감지될 경우, 경보음을 울리도록 별도의 경보 장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진압 장치(130)는 촬영 장치와 함께 감시 구역을 소정의 경로를 따라 배향되면서 화재 발생시 특정 발화점 좌표를 향해 배향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구성으로서, 진압 장치(130)는 패닝 또는 틸팅 작동이 가능하고 감시 구역에 대하여 살수를 행하는 살수부(133)와, 살수부(133)와 구조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살수부(1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살수부 제어부(135)를 포함한다. 살수부(133)는 분진이 살수부(133)의 하우징 내에 침입하지 않고 하우징 내의 스파크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분진 방폭형 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가변 노즐을 채용함으로써 살수 압력이나 살수 속력을 조절할 수 있다.
살수부 제어부(135)는 제어 서버(150)로부터 발화점 좌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살수부(133)의 현 배향 위치와 수신한 발화점 좌표를 비교하여, 살수부(133)가 발화점 좌표를 향하여 배향되기 위하여 필요한 회전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살수부(133)에 패닝 또는 틸팅 작동시켜 살수부(133)의 배향을 제어한다. 또한, 진압 장치(130)의 배치 위치로부터 발화점 좌표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살수부(133)의 살수량과 살수압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는 화재 발생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감시 구역 스캔시에, 진압 장치(130)에 대해서도 패닝 및 틸팅 명령을 인가함으로써, 진압 장치(130)의 배향을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의 배향에 연동시키는 것이다.
즉, 진압 장치(130)는 기본적으로 화재 발생 지점이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 발화점 좌표로 배향 이동하나, 화재 감지 이전에 감시 구역을 스캔하는 과정에서도 제어 서버(150)로부터 명령에 따라 감시 구역을 스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진압 장치(130)가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와 연동하여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의 배향에 대응하도록 위치 이동하기 때문에, 화재의 발생 시에 신속하게 발화점 좌표로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즉각적인 살수로 화재의 진압을 신속히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진압 장치(130)가 평시에도 감시 구역을 스캔하므로, 진압 장치(130)의 패닝과 틸팅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진압 장치(130)가 회전하지 않는 고착 상태, 즉, 오작동하는 진압 장치(130)에 대해서는 화재 발생 이전에 미리 진단할 수 있고, 수리가 가능하다.
한편, 모니터를 통해 열화상 카메라(113), 광학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120)의 광학 영상 및 열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감시 구역 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에는 감시 구역의 스캔 중의 실시간 영상과 함께, 화재 감지시 발화점 좌표에 해당하는 특정 구역의 확대된 광학 영상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저장부
110 : 저장공간
113 : 열화상 카메라
117 : 구동 제어부
120 : 센서
130 : 진압 장치
133 : 살수부
135 : 살수부 제어부
140 : 정보 서버
150 : 제어 서버

Claims (9)

  1. 탄을 저장하는 저장부(10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센서(120);
    탄을 저장하는 저장부(10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열화상 카메라(113);
    상기 저장부(100)에 각각의 저장공간(110)이 분할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110)의 상부 수평면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저장공간(110)으로 탄을 분배하여 적재저장하는 이동식 탄 적재장치;
    상기 다수개의 센서(120) 및 다수개의 열화상 카메라(113)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17);
    상기 센서(120) 및 열화상 카메라(113)가 획득한 정보를 수신받아 가공하여 저장하는 정보 서버(140);
    상기 정보 서버(14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110)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발화점의 좌표를 산출하며, 상기 센서(120), 상기 열화상 카메라(113) 및 진압 장치(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150); 및
    패닝 및 틸팅 작동 가능하고 상기 저장공간(110)에 대하여 살수를 행하는 살수부(133), 및 상기 살수부(1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살수부 제어부(135)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압 장치(130);를 포함하되,
    화재 감지 시, 상기 제어 서버(150)의 명령 및 상기 구동 제어부(117)를 통해 상기 열화상 카메라(113)가 발화점을 향하여 패닝 또는 틸팅 작동하고,
    상기 센서(120)는 레이저 센서로서, 상기 레이저 센서가 상기 열화상 카메라(113)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발화점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3)의 패닝각 또는 틸팅각으로부터 상기 발화점의 평면 이차원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상기 발화점까지의 거리를 획득하며, 상기 제어 서버(150)는 상기 평면 이차원 좌표와 상기 거리로부터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센서(120)는,
    탄을 저장하는 상기 저장공간(110)을 입체적으로 센싱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공간(110)의 상부 일측면에 적어도 한개 이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140)는,
    상기 다수개의 센서(12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토대로 3D 스캔데이터로 변환하여 가공하고 서버 내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탄 적재장치는,
    상기 정보 서버(140)를 통해 도출된 각 저장공간(110)별 탄 적재량의 3D 스캔데이터상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탄 적재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150) 및 상기 구동 제어부(117)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13)의 줌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살수부 제어부(135)는 상기 살수부(133)를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에 배향되도록 작동시키고, 상기 살수부(133)의 살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3)가 촬영한 열 열상은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서버(150)는 열 영상로부터 상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온도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의 값을 갖는 온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점을 발화점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발화점의 평면 이차원 좌표를 획득하고, 레이저 센서에 의해 상기 발화점까지의 거리를 획득하며, 상기 제어 서버(150)는 상기 평면 이차원 좌표와 상기 거리로부터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150)는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를 상기 구동 제어부(117) 및 상기 살수부 제어부(135)에 송신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117)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13)를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에 배향되도록 작동시키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113)의 줌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살수부 제어부(135)는 상기 살수부(133)를 상기 발화점의 공간 삼차원 좌표에 배향되도록 작동시키고, 상기 살수부(133)의 살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KR1020180108726A 2018-09-12 2018-09-12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KR10200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726A KR102008411B1 (ko) 2018-09-12 2018-09-12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726A KR102008411B1 (ko) 2018-09-12 2018-09-12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411B1 true KR102008411B1 (ko) 2019-08-09

Family

ID=6761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726A KR102008411B1 (ko) 2018-09-12 2018-09-12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4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988A (ko) * 2020-03-04 2021-09-14 김영도 가연성, 반응성 물질의 화재 및 폭발 제어 시스템 및 장치
KR102368908B1 (ko) * 2021-06-03 2022-03-02 주식회사 스카이텍 석탄의 발화와 저탄량을 감시하는 저탄 감시시스템
KR20220134395A (ko) * 2021-03-26 2022-10-05 한국전력공사 옥내 저탄장 자연발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5024A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옥내 저탄장의 발화 감시장치 및 발화 감시방법
KR20220147925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낙탄을 검출할 수 있는 영상감지시스템
KR20220160339A (ko) *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벌크 머테리얼과 함께 적재된 무선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방법 및 장치,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838A (ko) * 2011-11-10 2013-05-21 하나에버텍 주식회사 융합기술 기반의 저탄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11795B1 (ko) 2015-05-06 2016-04-11 비디아이 주식회사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
KR101656714B1 (ko) * 2016-02-25 2016-09-12 윤용수 화재 감지 및 방재 시스템
KR101717579B1 (ko) * 2016-04-04 2017-03-17 주식회사 영국전자 화재 감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
KR20170107242A (ko) * 2016-03-15 2017-09-25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특수환경 에서의 지능형 발화위치 추적 화재진압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7633A (ko) * 2016-05-12 2017-11-22 현대로템 주식회사 저탄장 화재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838A (ko) * 2011-11-10 2013-05-21 하나에버텍 주식회사 융합기술 기반의 저탄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11795B1 (ko) 2015-05-06 2016-04-11 비디아이 주식회사 소화설비 시스템을 구비한 석탄 사일로
KR101656714B1 (ko) * 2016-02-25 2016-09-12 윤용수 화재 감지 및 방재 시스템
KR20170107242A (ko) * 2016-03-15 2017-09-25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특수환경 에서의 지능형 발화위치 추적 화재진압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7579B1 (ko) * 2016-04-04 2017-03-17 주식회사 영국전자 화재 감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
KR20170127633A (ko) * 2016-05-12 2017-11-22 현대로템 주식회사 저탄장 화재방지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575B1 (ko) * 2020-03-04 2022-08-02 김영도 가연성, 반응성 물질의 화재 및 폭발 제어 시스템 및 장치
KR20210111988A (ko) * 2020-03-04 2021-09-14 김영도 가연성, 반응성 물질의 화재 및 폭발 제어 시스템 및 장치
KR20230098118A (ko) * 2021-03-26 2023-07-03 한국전력공사 옥내 저탄장 자연발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4395A (ko) * 2021-03-26 2022-10-05 한국전력공사 옥내 저탄장 자연발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550017B1 (ko) * 2021-03-26 2023-07-03 한국전력공사 옥내 저탄장 자연발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632078B1 (ko) 2021-03-26 2024-02-02 한국전력공사 옥내 저탄장 자연발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5024A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옥내 저탄장의 발화 감시장치 및 발화 감시방법
KR102517190B1 (ko) * 2021-03-29 2023-03-3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옥내 저탄장의 발화 감시장치 및 발화 감시방법
KR20220147925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낙탄을 검출할 수 있는 영상감지시스템
KR102555291B1 (ko) 2021-04-28 2023-07-13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낙탄을 검출할 수 있는 영상감지시스템
KR20220160339A (ko) *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벌크 머테리얼과 함께 적재된 무선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방법 및 장치, 시스템
KR102523341B1 (ko) * 2021-05-27 2023-04-20 (주)포스코이앤씨 벌크 머테리얼과 함께 적재된 무선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방법 및 장치, 시스템
KR102368908B1 (ko) * 2021-06-03 2022-03-02 주식회사 스카이텍 석탄의 발화와 저탄량을 감시하는 저탄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411B1 (ko) 석탄 적재량 모니터링을 동반한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KR101717579B1 (ko) 화재 감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
US11027162B2 (en) Method for improving the hit accuracy of fire-fighting systems controlled by infrared and video fire detection
JP3994355B2 (ja) 火災自動検出方法及び火災自動検出装置
US201603219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suppressing fire
US6975225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KR20080013088A (ko) 산불 감시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KR20210018602A (ko)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4337B1 (ko) 화재 감지 및 진화 장치
Chen et al. An automatic fire searching and suppression system for large spaces
KR101653518B1 (ko) 석탄 저장고 내 자연 발화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JP6311039B1 (ja) レーザ加工機の火災検出方法及びレーザ加工機
KR102226057B1 (ko)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Jayasuriya et al. An automated water dispensing system for controlling fires in coal yards
JP5757808B2 (ja) 浮屋根タンク用消火設備
JP6900005B2 (ja) 消火設備
JP2019032165A (ja) 温度監視システム及び温度監視方法
KR102027322B1 (ko) 가연물 저장설비의 화재 감시장치 및 화재 감시방법
CN108837350B (zh) 一种精准灭火系统
CN216211444U (zh) 一种火灾烟雾探测装置
CN113450613B (zh) 模拟高温导热构件对灭火影响的装置及模拟方法
KR100638336B1 (ko) 야적장 석탄 화재 예방 및 온도 감지 시스템
KR20220135024A (ko) 옥내 저탄장의 발화 감시장치 및 발화 감시방법
JP3123904B2 (ja) 火災覚知センサ
JP4652740B2 (ja) ごみ処理工場用自動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