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122B1 - Tie bar and method for inspecting nondestructiv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ie bar and method for inspecting nondestructiv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122B1
KR101611122B1 KR1020150021032A KR20150021032A KR101611122B1 KR 101611122 B1 KR101611122 B1 KR 101611122B1 KR 1020150021032 A KR1020150021032 A KR 1020150021032A KR 20150021032 A KR20150021032 A KR 20150021032A KR 101611122 B1 KR101611122 B1 KR 10161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air
concrete
fastening
steel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상훈
임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1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1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2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4Cores for anchor holes or the like around anchors embedded in the concre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비파괴 검사가 가능하게 하는 타이바 및 이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바는 한 쌍의 강판과 상기 한 쌍의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구조체에 마련되는 타이바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봉 및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체결봉 사이에서 상기 체결봉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조체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콘크리트에 대한 검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체결봉이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구조체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상기 구조체로부터 이탈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e bar and a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tie bar to enable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A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ie bar provided on a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steel plates and a concret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teel plates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structure, And a sleeve disposed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coupling rod so as to surround the coupling rod and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to form an inspection hole for the concrete, wherein the sleeve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And then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tructure.

Description

타이바 및 이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TIE BAR AND METHOD FOR INSPECTING NONDESTRUCTIVE USING THE SAME}TIE BAR AND METHOD FOR INSPECTING NONDESTRUCTIVE US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타이바 및 이를 이용한 비파기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타이바 및 이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bar and a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tie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e bar applied to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and a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tie bar.

일반적으로 강판 콘크리트 구조(Steel Plate Concrete) 공법은 양면 강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채워 넣은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강판 사이에는 타이바가 연결되고, 강판에 스터드를 부착하여 콘크리트와 강판의 부착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러한 강판 콘크리트 구조 공법은 철근 및 거프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Reinforced Concrete) 공법과 비교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Generally, Steel Plate Concrete method is for constructing a structure filled with concrete between two-sided steel plates. Here, a tie bar is connected between the steel plates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stud is attached to the steel plat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steel plate. This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method can shorten the processing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method in which concrete is installed by installing reinforcing bars and gouges.

다만, 강판 콘크리트 구조 공법에 의해 완성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은 용접, 스터드 및 타이바 등의 연결에 의해 콘크리트 외부에 강판이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 내부 충진성, 콘크리트 면에서의 균열 발생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한 비파괴검사가 어려워 시공 중이거나 시공 후 또는 시설 사용 중인 구조물에 대한 건전성을 검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completed by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method is provided in the form that the steel plate surrounds the concrete by the connection of welding, stud and tie ba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spect the integrity of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after construction, or during use of the facility due to difficulty in nondestructive inspection to confirm the filling property of the concrete and the occurrence of cracks on the concrete surface.

특히, 자기장, 전기장, 초음파 등 다양한 신호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의 경우, 강판의 임피던스와 콘크리트의 임피던스의 차이로 인한 신호 산란으로 인해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건정성을 검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Especially, in case of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various signals such as magnetic field, electric field and ultrasonic wav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dryness of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due to the signal scattering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edance of the steel plate and the impedance of the concret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9-0017769호(콘크리트 포장의 비파괴검사 방법, 2009.02.1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17769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for concrete pavement, Feb. 19,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비파괴 검사가 가능하게 하는 타이바 및 이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e bar and a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tie bar which enable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바는 한 쌍의 강판과 상기 한 쌍의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구조체에 마련되는 타이바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봉 및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체결봉 사이에서 상기 체결봉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조체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콘크리트에 대한 검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체결봉이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구조체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상기 구조체로부터 이탈된다.A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ie bar provided on a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steel plates and a concret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teel plates, and a connecting ro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teel plates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structure And a sleeve disposed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connecting rod so as to surround the connecting rod to form an inspection hole for the concrete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And is released from the structur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tructure.

상기 타이바는 상기 체결봉이 상기 구조체에 지지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강판 외측에서 상기 체결봉의 양단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ie bar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mber which i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 outside the pair of steel plates so that the fastening rod is supported by the structure.

상기 타이바는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ie bar may further include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teel plate.

상기 타이바는 상기 한 쌍의 강판의 마주하는 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슬리브가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형 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ie bars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fixed sleeve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acing surfaces of the pair of steel plates to support the sleeves.

상기 슬리브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형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양단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leeve may be hollo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air of fixed sleeves may be inserted at both ends of the sleeve.

상기 슬리브는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The sleev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The sleeve may be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상기 타이바는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슬리브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서 상기 슬리브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ie bar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the sleev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sleeve so that the concrete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sleeve.

상기 슬링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sl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상기 검사홀은 상기 콘크리트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비파괴 검사유닛이 출입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inspection hole may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unit performi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for the concrete enters and exit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파괴 검사방법은 한 쌍의 강판과 상기 한 쌍의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를 관통하는 체결봉 및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체결봉 사이에서 상기 체결봉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타이바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로부터 상기 체결봉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봉이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구조체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상기 슬리브를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하여 검사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홀로 비파괴 검사유닛을 유입하여 상기 콘크리트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comprises a coupling rod passing through a pair of steel plates and a structure made of concret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teel plates, and a coupling rod arranged to surround the coupling rod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coupling rod A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a tie bar including a sleeve, the method comprising: separating the fastening rod from the structure; separating the sleeve from the structure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structure as the fastening rod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Forming a hole and introduci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unit into the inspection hole to perform nondestructive inspection on the concrete.

상기 타이바는 상기 체결봉이 상기 구조체에 지지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강판 외측에서 상기 체결봉의 양단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봉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봉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와셔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tie bar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 outside the pair of steel plates so that the fastening rod is supported by the structure, and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teel plate, The separating step may include separat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washer from the fastening rod.

상기 타이바는 상기 한 쌍의 강판의 마주하는 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슬리브가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형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형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양단에 삽입될 수 있다.The tie bars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fixed sleeve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acing surfaces of the pair of steel plates to support the sleeves, and the pair of fixed sleeves may be inserted at both ends of the sleeve .

상기 슬리브는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검사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슬리브를 상기 홀을 통해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eev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the forming of the inspection holes may include separating the plurality of sleeves from the structure through the holes.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The sleeve may be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상기 타이바는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슬리브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서 상기 슬리브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구조체로부터 상기 실링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tie bar further comprises a sealing portion disposed to enclose the sleev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sleeve such that the concrete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the sleeve, wherein prior to performi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And separating the parts.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바 및 이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은 시공 중이거나 시공 후 또는 시설 사용 중인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ie bar and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est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after construction or during use, and thu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ntegrity of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가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가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를 도 1에 표지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와 타이바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로부터 타이바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to which a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to which a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aken along the line I-I '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and a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tie bar is removed from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a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completely. The shape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가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가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를 도 1에 표지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to which a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to which a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100)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를 생성하기 위한 강판 콘크리트 구조(Steel Plate Concrete) 공법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 타이바(100)의 적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타이바(100)는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체 생성 공법에 적용 실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ie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steel plate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for producing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pplication of the tie bar 100, and the tie bar 100 may be applied to various concrete structure producing methods.

한편, 타이바(100)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의 생성 시 콘크리트(210) 타설 이전에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는 강판들(22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타이바(10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강판들(220)에 각각 마련되는 체결홀(211)을 통해 강판들(220)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The tie bar 10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teel plates 220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before the concrete 210 is inserted when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is formed. At this time, the tie bars 10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the steel plates 22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11 provided in the pair of steel plates 220.

이러한 타이바(100)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의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이후에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다. 이에, 검사자는 타이바(100)가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에 형성되는 검사홀(230)을 통해 콘크리트(210)에 대한 건전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tie bar 100 is provided in a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during or after completion of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Accordingly, the inspector can perform the integrity test on the concrete 210 through the inspection hole 230 formed in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as the tie bar 100 is separated from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타이바(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tie ba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실시예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와 타이바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로부터 타이바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and a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5 is a cross- And the tie bar is removed.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100)는 체결부(110), 슬리브(130) 및 실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3 to 5, the tie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110, a sleeve 130, and a sealing portion 150.

먼저, 체결부(110)는 한 쌍의 강판(220)이 연결되도록 하여 강판 콘크리트 구조 공법이 수행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체결부(110)는 체결봉(111) 및 체결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coupling part 110 connects the pair of steel plates 220 to allow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method to be performed. The fastening portion 110 may include a fastening rod 111 and a fastening member 113.

체결봉(111)은 한 쌍의 강판(22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봉(111)은 강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체결봉(111)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체결부재(113)는 한 쌍의 강판(220) 외측에서 체결봉(111)의 양단에 체결되어 강판들(22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한 쌍의 강판(220)과 한 쌍의 체결부재(113) 사이에는 와셔(115)가 각각 마련되어 체결부(110)의 체결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봉(111)과 체결부재(113)는 일반적인 볼트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The fastening rods 111 may b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pair of steel plates 220. Here, the connecting rod 111 may be made of a rigid material, but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rod 111 is not limited. The fastening member 113 i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fastening bar 111 outside the pair of steel plates 22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steel plates 220 is maintained. At this time, washers 115 ar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teel plates 220 and the pair of fastening members 113, respectively, so that the fastening effect of the fastening portions 110 can be improved. Here, the fastening rod 111 and the fastening member 113 may be provided with a common bolt.

그리고 슬리브(130)는 한 쌍의 강판(2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슬리브(13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정형 슬리브(131) 및 분리형 슬리브(133)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sleeve 130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teel plates 220. Such a sleeve 1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fixed sleeve 131 and a detachable sleeve 133.

먼저, 고정형 슬리브(131)는 복수 개로 마련된다. First, a plurality of fixed sleeves 131 are provided.

예를 들어, 제 1고정형 슬리브(131a)는 제 2강판(222)에 마주하는 제 1강판(221)의 체결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 1고정형 슬리브(131a)는 제 1강판(221)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고정형 슬리브(131b)는 제 1강판(221)에 마주하는 제 2강판(222)의 체결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 2고정형 슬리브(131b)는 제 2강판(222)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정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fixed sleeve 131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irst steel plate 221 facing the second steel plate 222. Here, the first fixed sleeve 131a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steel plate 221, and may be fixedly installed as required. The second fixed sleeve 131b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second steel plate 222 facing the first steel plate 221. Here, the second fixed sleeve 131b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steel plate 222, and may be fixedly installed as required.

이러한 제 1 및 제 2고정형 슬리브(131a, 131b)에는 체결봉(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봉(111)이 제 1 및 제 2고정형 슬리브(131a, 131b) 각각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fixed sleeves 131a and 131b are formed with threads corresponding to thread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rod 111 so that the coupling rod 111 is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ed sleeves 131a and 131b As shown in Fig.

그리고 분리형 슬리브(133)는 제 1 및 제 2강판(221, 222)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분리형 슬리브(133)는 중공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분리형 슬리브(133)의 일단에는 제 1고정형 슬리브(131a)가 삽입되고, 타단에는 제 2고정형 슬리브(131b)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분리형 슬리브(133)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And the separable sleeve 13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eel plates 221 and 222. Here, the separable sleeve 133 is formed to have a hollow. The first fixed sleeve 131a may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detachable sleeve 133 and the second fixed sleeve 131b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end thereof. In addition, the detachable sleeve 133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divided portions.

다만, 도 4에는 분리형 슬리브(133)가 4개로 분할 형성된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분리형 슬리브(133)의 분리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분리형 슬리브(133)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분리형 슬리브(133)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4 illustrates that the separable sleeve 133 is divided into four parts. However, the number of separated parts of the separate sleeve 133 is not limited. The detachable sleeve 133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but the material of the detachable sleeve 133 is not limited.

이러한 분리형 슬리브(133)는 체결부(110)가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로부터 분리되었을 경우, 체결부(110)가 분리됨에 의해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검사홀(230)을 통해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When the coupling part 110 is separated from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the detachable sleeve 133 is separated from the inspection hole 230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by separating the coupling part 110,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can be detached from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through the through-hole.

즉, 분리형 슬리브(133)는 검사자가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에 대한 건전성 검사를 원할 경우, 검사자에 의해 검사홀(230)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검사자는 분리형 슬리브(133)가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어 있는 바, 복수 개의 분리형 슬리브(133)를 검사홀(230)을 통해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That is, the detachable sleeve 133 may be detached by the inspector to the inspection hole 230 when the inspector wants to check the integrity of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At this time, since the inspector has a plurality of detachable sleeves 133, the plurality of detachable sleeves 133 can be easily detached through the inspection holes 230.

한편, 실링부(150)는 슬리브(130)와 콘크리트(210) 사이에 배치된다. 실링부(150)는 슬리브(130)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며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 생성에서 슬리브(130)와 콘크리트(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portion 150 is disposed between the sleeve 130 and the concrete 210. The sealing part 150 is formed to surround the sleeve 130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leeve 130 and the concrete 210 in the production of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이러한 실링부(150)는 콘크리트(210)의 타설 및 양생에서 슬리브(130)를 실링한다. 특히, 실링부(150)는 복수 개로 분할된 분리형 슬리브(133)의 사이로 물 및 그라우트 등 콘크리트(210) 재료가 침투하는 것을 저지하여 체결봉(111), 고정형 슬리브(131) 및 분리형 슬리브(133)의 거동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실링부(150)는 고무 및 우레탄 등과 같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실링부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The sealing portion 150 seals the sleeve 130 in the pouring and curing of the concrete 210. Particularly, the sealing part 150 prevents penetration of the concrete 210 material such as water and grout through the plurality of split type separating sleeves 133, so that the connecting rod 111, the fixed type sleeve 131 and the detachable type sleeve 133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from occurring in the behavior. The sealing portion 15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uch as rubber and urethane, but the material of the sealing portion is not limited.

이러한 실링부(150)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의 건전성 검사에서 체결봉(111)이 이탈됨에 따라 발생되는 검사홀(230)을 통해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로부터 이탈되며 콘크리트(210)가 검사홀(230)을 통해 노출되도록 한다. The sealing part 150 is detached from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through the inspection hole 230 generated when the fastening bar 111 is detached from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As a result, Hole 230 in order to be exposed.

따라서 검사자는 검사홀(230)를 통해 비파괴 검사를 위한 비파괴 검사 유닛을 삽입하여 콘크리트(210)에 대한 건전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inspector can inspect the integrity of the concrete 210 by inserti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unit for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through the inspection hole 230.

한편,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a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바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a ti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 따른 비파괴 검사방법은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에 대한 건전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erform the integrity test on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먼저,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은 강판 콘크리트 구조(Steel Plate Concrete) 공법에 의해 생성되며 한 쌍의 강판(220) 사이에는 복수 개의 타이바(100)가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may be formed by a steel plate concrete method and a plurality of tie bars 1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teel plates 220.

한편,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에 대한 건전성 검사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의 생성 중 또는 생성이 완료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에 대한 건전성 검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integrity check of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can be performed during o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More specifically, a method for inspecting the integrity of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검사자는 체결봉(111)의 양단에 체결된 체결부재(113) 및 와셔(115)를 체결봉(111)으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검사자는 체결봉(111)을 회전시켜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에 지지된 체결봉(111)을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에,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에는 두께 방향으로 검사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검사홀(230) 내측으로는 고정형 슬리브(131)와 분리형 슬리브(133)가 노출될 수 있다.First, the inspector separates the fastening member 113 and the washer 115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 111 from the fastening rod 111. Then, the inspector rotates the connecting rod 111 to disengage the connecting rod 111 supported by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from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Therefore,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may be provided with an inspection hole 2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xed sleeve 131 and the detachable sleeve 133 may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inspection hole 230.

이후, 검사자는 검사홀(230)을 통해 분리형 슬리브(133)가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분리형 슬리브(133)가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어 있는 바, 검사자는 검사홀(230)을 통해 복수 개의 분리형 슬리브(133)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Thereafter, the inspector allows the detachable sleeve 133 to be detached from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through the inspection hole 230. At this time, since the detachable sleeve 133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etachable sleeves 133, the inspecting person can easily detach the detachable sleeves 133 through the inspection hole 230.

이후, 검사자는 검사홀(230)을 통해 실링부(150)를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200)로부터 이탈시킨다. 따라서 검사홀(230) 내측으로는 콘크리트(210)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검사자는 검사홀(230)로 비파괴 검사 유닛을 삽입하여 콘크리트(210)에 대한 건전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inspector separates the sealing part 150 from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00 through the inspection hole 230. Therefore, the concrete 210 may be exposed inside the inspection hole 230. Accordingly, the inspector can inspect the integrity of the concrete 210 by inserti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unit into the inspection hole 230.

이와 같이, 타이바 및 이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은 시공 중이거나 시공 후 또는 시설 사용 중인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ie bar and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tie bar can perform the inspection on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during the construction, after the construction, or during the use of the facility, so that the integrity of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can be confirmed.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타이바 110 : 체결부
111 : 체결봉 113 : 체결부재
115 : 와셔 130 : 슬리브
131 : 고정형 슬리브 133 : 분리형 슬리브
150 : 실링부 200 : 강판 콘크리트 구조체
210 : 콘크리트 220 : 강판
230 : 검사홀
100: tie bar 110: fastening part
111: fastening rod 113: fastening member
115: Washer 130: Sleeve
131: fixed sleeve 133: detachable sleeve
150: sealing part 200: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210: concrete 220: steel plate
230: inspection hole

Claims (16)

한 쌍의 강판과 상기 한 쌍의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구조체에 마련되는 타이바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봉; 및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체결봉 사이에서 상기 체결봉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조체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콘크리트에 대한 검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플렉시블 재질의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체결봉이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구조체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상기 구조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
A tie bar provided on a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steel plates and a concret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teel plates,
A fastening ro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teel plates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structure; And
And a flexible sleeve disposed to surround the connecting rod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connecting rod to form an inspection hole for detaching the concrete from the structure,
Wherein the sleev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tructure as the fastening rods are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이 상기 구조체에 지지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강판 외측에서 상기 체결봉의 양단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 outside the pair of steel plates so that the fastening rod is supported by the struc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teel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강판의 마주하는 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슬리브가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형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fixed sleeves which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acing surfaces of the pair of steel plates to support the sleev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형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양단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leeve is hollo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pair of fixed sleeves are inserted at both ends of the sleev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eeve
Wherein the sleeve i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슬리브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서 상기 슬리브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the sleev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sleeve so that the concrete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sleev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aling portion
Wherein the tie bar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홀은
상기 콘크리트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비파괴 검사유닛이 출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pection hole
And a non-destructive inspection unit for performing a non-destructive inspection on the concrete is formed.
한 쌍의 강판과 상기 한 쌍의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를 관통하는 체결봉 및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체결봉 사이에서 상기 체결봉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타이바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로부터 상기 체결봉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체결봉이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구조체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상기 슬리브를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하여 검사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홀로 비파괴 검사유닛을 유입하여 상기 콘크리트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플렉시블 재질로 마련되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검사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슬리브를 상기 홀을 통해 상기 구조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방법.
1. A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using a tie bar comprising a fastening rod passing through a structure composed of a pair of steel plates and a concret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teel plates and a sleeve disposed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fastening rods so as to surround the fastening rods In this case,
Separating the fastening rods from the structure;
Separating the sleeve from the structur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tructure as the fastening bar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to form an inspection hole; And
And performing nondestructive inspection on the concrete by introduci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unit into the inspection hole,
The sleev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Wherein the forming of the inspection holes comprises separating the plurality of sleeves from the structure through the hole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는
상기 체결봉이 상기 구조체에 지지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강판 외측에서 상기 체결봉의 양단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강판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봉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봉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와셔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검사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ie bars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 outside the pair of steel plates so that the fastening rod is supported by the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teel plate,
The step of separating the fastening rods
And separat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washer from the fastening rod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는
상기 한 쌍의 강판의 마주하는 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슬리브가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형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형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양단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검사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ie bars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fixed sleeve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acing surfaces of the pair of steel plates to support the sleeves,
Wherein the pair of fixed sleeves are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sleeve.
삭제delet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leeve
Wherein the sleeve is divided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는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슬리브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서 상기 슬리브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구조체로부터 상기 실링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검사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ie bars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the sleev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sleeve so that the concrete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sleeve,
Before performi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sealing portion from the structure.






KR1020150021032A 2015-02-11 2015-02-11 Tie bar and method for inspecting nondestructive using the same KR1016111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32A KR101611122B1 (en) 2015-02-11 2015-02-11 Tie bar and method for inspecting nondestructiv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32A KR101611122B1 (en) 2015-02-11 2015-02-11 Tie bar and method for inspecting nondestructiv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122B1 true KR101611122B1 (en) 2016-04-20

Family

ID=5591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032A KR101611122B1 (en) 2015-02-11 2015-02-11 Tie bar and method for inspecting nondestructiv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1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5725A (en) * 2019-09-06 2019-11-22 深圳市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Based on carbon fiber Screw arbor with nut at both-ends to draw fixed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19B1 (en) * 2005-03-03 2006-03-06 정혜영 Concrete Formwork For Apartment Building spac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19B1 (en) * 2005-03-03 2006-03-06 정혜영 Concrete Formwork For Apartment Building spac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5725A (en) * 2019-09-06 2019-11-22 深圳市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Based on carbon fiber Screw arbor with nut at both-ends to draw fixed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8321A (en) Segments for building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gments
KR101676597B1 (en) Pre-Stressed Structure For Monitoring A Stress Statu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JP2011179269A (en) Method of construction of steel brace for aseismatic reinforcement
CN104500095B (en) Class rectangular shield duct piece connector structure
KR101611122B1 (en) Tie bar and method for inspecting nondestructive using the same
JP4802166B2 (en) Synthetic segment manufacturing method
KR101509480B1 (en) Coupler protecting cap for connecting steeel reinforcement and coupler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52793B1 (en) PSC Anchorage For Monitoring A Status Change of PS Steel Member and PSC Girder Using the Same
JP6770783B2 (en) How to attach the intermediate fixing tool and the intermediate fixing tool
KR101606101B1 (en) Steel composite hollow rc submerged floating tunnels using prestressed method and method thereof
US20150355146A1 (en) Ultrasonic flaw detection jig, ultrasonic flaw detection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ltrasonic flaw detection jig
KR101496413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KR101642049B1 (en) Member for connecting sheath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90292785A1 (en)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segments tendon ducts and resulting structure
KR101488503B1 (en) Manufacturing methods of concrete block having embedded steel piece for connecting blocks
JP6116997B2 (en) Method for joining bag body and precast member
KR20160087108A (en) Steel concrete structure withe detachable connections between steel plate and concrete
JP2014092005A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perforated beam
KR20090092975A (en) Concrete structure's pull-out testing apparatus, undergrounding structure of connector for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oncrete structure
JP6838908B2 (en) How to introduce tension force of tension material
CN106012738A (en) Geogrid
JP6782887B2 (en) Aperture reinforcement unit
KR20170016058A (en) Pier Repairing Method
KR20160014309A (en) Connecting Method of Pretension Precast Concrete Structure
JP6289230B2 (en) Temporary jack fix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