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881B1 - 보청기 보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보청기 보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881B1
KR101610881B1 KR1020140042723A KR20140042723A KR101610881B1 KR 101610881 B1 KR101610881 B1 KR 101610881B1 KR 1020140042723 A KR1020140042723 A KR 1020140042723A KR 20140042723 A KR20140042723 A KR 20140042723A KR 101610881 B1 KR101610881 B1 KR 101610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parameter
measurement
output
correction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379A (ko
Inventor
방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to KR1020140042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88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 보청기 및 측정 보청기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각각의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로부터 기준 파라미터 및 측정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기준 파라미터와 측정 파라미터 간 차이 값에 따른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 기준 음향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신호발생순서에 따라 스피커를 통하여 기준 보청기와 측정 보청기의 각각의 마이크로폰에 기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원 발생부 및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측정 보청기의 보정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피팅부를 포함하는 보청기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청기 양산시에 보청기 간 기준 음향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출력을 갖도록 보정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통하여 보청기 출력특성을 간편하게 변경함으로써 보청기 불량률을 낮추어 보청기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청기 보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HEARING AID}
본 발명은 보청기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양산되는 보청기 간 미리 설정된 출력범위 내에서 보청기가 출하되도록 보청기의 출력특성을 보정할 수 있는 보청기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시각과 함께 청력은 중요한 인지수단으로 정보화 사회인 현대에 정보를 얻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러나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작업장이나 거주지 주변의 소음이 증가함에 따라 소음성 난청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난청은 급격히 청력이 손상되는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서히 진행되는 것으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난청이 발생하게 된다. 난청의 여러 가지 유형 중 하나가 감각신경성 난청인데 이 경우에는 청각세포의 손실에 의해서 발생하므로 보청기를 이용하여 청력을 보정해 주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보청기란 일종의 확성장치로서 난청을 보충하기 위해 귀에 착용하는 기구이다. 보청기의 원리는 음파를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기신호로 바꾸어 각 개인의 청력도에 맞도록 피팅하여 리시버를 이용하여 음파로 변환한 다음 귀에 음향신호를 전달한다.
디지털 보청기는 마이크로폰, 전-증폭기(Pre-Amplifier), A/D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er),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저장부, D/A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er), 후-증폭기(Final-Amplifier) 및 리시버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예를 들어, 음향 등)를 입력받아 전-증폭기로 전달하고, 전-증폭기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받은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를 미리 지정된 크기로 증폭시킨다. 그 다음, 증폭된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는 A/D 컨버터로 전달되고, A/D 컨버터는 전달받은 증폭된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를 디지털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디지털 사운드 신호는 신호 처리부로 전달되며, 신호 처리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 처리 알고리즘(즉, 시그널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D/A 컨버터로 전달한다. D/A 컨버터는 전달받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후-증폭기로 전달한다. 후-증폭기는 전달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미리 지정된 크기로 증폭한 후, 증폭된 신호를 리시버로 전달한다. 리시버는 아날로그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보청기를 착용한 청각 환자에게 음향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보청기의 피팅(fitting)이란 난청인의 청력도에 따라 적절한 보청기를 선택하고 보청기 주파수 대역별 증폭도와 최대출력 범위를 정확하게 맞추어 보청기를 착용한 난청자가 잘 들을 수 있도록 조치하여 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디지털 보청기 피팅은 보청기의 신호처리칩(DSP 칩)의 피팅 파라미터를 설정, 변경하는 것으로 디지털 보청기를 출시하는 보청기 제조사는 난청인의 청력검사결과에 따라 최초 피팅 파리미터(주파수별 이득조절 등)를 설정할 수 있는 피팅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따라서 난청자가 보청기를 최초 구입시 자신의 청력역치에 따라 보청기 센터에서는 보청기에서 제공하는 피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초 보청기 피팅 값을 설정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1382호의 "디지털 보청기"에서는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는 둘 이상의 마이크, 마이크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를 디지털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는 둘 이상의 A/D 컨버터, 상기 둘 이상의 A/D 컨버터로부터 상기 디지털 사운드 신호를 전달받아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와 디지털 잡음 신호를 분리하는 음성 신호 분리부,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파수별 증폭 조건에 따라 증폭하는 특성 주파수 증폭부, 상기 증폭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 및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보청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보청기 양산시 마이크로폰, 신호처리부 및 리시버 각각의 부품들의 오차로 인하여 동일하게 입력된 기준 음향신호에 대하여 서로 다른 출력특성을 갖는 보청기를 보정할 수 있는 보청기 보정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 않는다. 즉, 보청기 양산시에 기준 음향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출력을 갖도록 출하시 보청기를 보정함으로써 보청기의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청기 보정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138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되는 기준 음향신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출력범위 내에서 동일한 출력을 갖도록 보청기를 보정함으로써 보청기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청기 보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청기 보정장치는 기준 보청기 및 측정 보청기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각각의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로부터 기준 파라미터 및 측정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기준 파라미터와 측정 파라미터 간 차이 값에 따른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 기준 음향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신호발생순서에 따라 스피커를 통하여 기준 보청기와 측정 보청기의 각각의 마이크로폰에 기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원 발생부 및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측정 보청기의 보정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피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피팅부는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측정 보청기의 파라미터 저장부의 제2 메모리 영역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보청기 보정장치 제어방법은 기준 음향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신호발생순서에 따른 음원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음향신호를 각각의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받은 기준 보청기 및 측정 보청기 각각으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 및 WDRC 출력특성을 나타내는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는 상기 획득된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보청기로부터 기준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측정 보청기로부터 측정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기준 파라미터와 측정파라미터의 차이 값을 계산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피팅부는 상기 생성된 보정 파라미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측정 보청기의 파라미터 저장부의 제2 메모리 영역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보청기 양산시에 보청기 간 기준 음향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출력을 갖도록 보정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통하여 보청기 출력특성을 간편하게 변경함으로써 보청기 불량률을 낮추어 보청기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청기 동일 모델 간 출력 오차 범위를 최소화함에 따라 난청자가 보청기 분실 후 동일 모델의 보청기를 착용하고자 하거나 양이에 동일 모델의 보청기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 다시 복잡한 청력검사를 수행함이 없이 이전에 착용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난청자에 맞는 정확한 피팅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보정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보청기와 측정 보청기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보청기와 측정 보청기로부터 출력되는 WDRC 출력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보정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보정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청기 보정장치(100)는 기준 보청기(30) 및 측정 보청기(4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110), 상기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로부터 기준 파라미터 및 측정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기준 파라미터와 측정 파라미터 간 차이 값에 따른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120), 기준 음향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신호발생순서에 따라 스피커를 통하여 기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원 발생부(130) 및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인터페이스(20, 'HI-PRO',TM)를 통하여 측정 보청기(40)의 보정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피팅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기준 보청기(30) 및 측정 보청기(40)는 각각 기준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31,41), 상기 입력받은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피팅 파라미터에 의하여 주파수 대역별 이득 및 WDRC(wide dynamic range compression)에 따라 신호를 처리한 후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32,42) 및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리시버(3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팅 파라미터는 난청자의 청력도에 따라 결정되어지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대역별 이득, WDRC(wide dynamic range compression)의 압축 시작점(TK, Threshold Knee Point) 또는 압축비(CR, Compression Ratio) 및 최대 출력 값(MPO, Maximum Power Output) 등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신호처리부의 파라미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보청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신호 처리부 및 리시버를 포함하는 보청기들은 양산시 각각의 하드웨어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각 부품들의 출력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되는 기준 음향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피팅 파라미터가 적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보청기들 간 각 주파수 대역별 이득 특성 및 WDRC 특성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음으로 미리 설정된 출력범위를 벗어나는 보청기가 양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청기 각 부품들의 특성에 영향을 받아 양산되어진 각각의 보청기들의 출력 특성을 동일(미리 설정된 출력범위 내)하게 함으로써 보청기 품질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각각의 보청기들 간의 동일한 출력(미리 설정된 출력범위 내)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준 보청기(30)를 미리 설정한 후 측정 보청기(40)의 출력을 기준 보청기(30)의 출력과 비교하여 이에 대한 차이 값(보정값)을 획득한 후, 상기 보정값에 대한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측정 보청기(40)의 신호처리부(42)에 보정 파리미터를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기준 보청기(30) 및 측정 보청기(40)는 출력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각각의 신호처리부는 동일한 제1 피팅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피팅 파라미터는 보청기 보정장치(150)의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피팅부(150)에 의하여 기준 보청기(30) 및 측정 보청기(40)의 파라미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 보청기(40)의 신호처리부(42)에 설정되는 피팅 파라미터는 보청기 보정장치(100)의 피팅부(150)에 의하여 인터페이스(20)를 통하여 설정되는 보정 파라미터와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측정 보청기(40)의 신호처리부(42)는 보청기의 출력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파라미터 저장부(42a, 예를 들어 플래시롬 또는 EEPROM 등)를 포함한다. 상기 파라미터 저장부(42a)는 난청자의 청력특성에 따른 피팅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제1 메모리 영역과 보청기 보정장치(100)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보정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제2 메모리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보청기 보정장치(100)에 의하여 생성되는 보정 파라미터는 피팅부(150)에 의하여 측정 보청기(42)의 파라미터 저장부(42a)의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스피커(10)를 통하여 출력되는 기준 음향신호에 대하여 기준 보청기와 동일한 출력특성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보청기(30)는 신호처리부(32)의 파라미터 저장부(미도시)에 제1 피팅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제1 피팅 파라미터에 의하여 기준 보청기(30)의 출력이 제어된다. 이와 대응적으로 측정 보청기(40)는 신호처리부(42)의 파라미터 저장부(42a)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준 보청기에 설정된 동일한 제1 피팅 파라미터가 저장되고, 보청기 보정장치(100)에 의하여 생성된 보정 파라미터가 측정 보청기(40)의 신호처리부(42)의 파라미터 저장부(42a)의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측정 보청기(40)의 출력이 제1 피팅 파라미터 및 보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써 기준 보청기(30)와 측정 보청기(40)는 동일한 출력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보청기 보정장치(100)에 의하여 생성된 보정 파라미터는 기준 보청기와 측정 보청기 간 하드웨어적인 부품특성의 차이에 따른 측정 보청기의 출력특성을 변경하도록 측정 보청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기준 보청기(30)와 측정 보청기(40)에 저장되는 난청자의 청력도에 따른 피팅 파라미터가 동일하게 설정되기만 하면, 측정 보청기(40)의 파라미터 저장부(42a)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 파라미터는 피팅 파라미터의 변경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 측정 보청기는 기준 보청기와 동일한 출력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음원발생부(130)는 보청기 출력특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 음향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신호발생 순서에 따라 스피커(10)를 통하여 기준 보청기(30)와 측정 보청기(40)의 각각의 마이크로폰(31,41)에 입력되는 기준 음향신호를 발생시킨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기준 보청기 및 측정 보청기의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 및 WDRC(wide dynamic range compression) 출력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을 비교하여 계산되는 보정 파라미터 생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보청기와 측정 보청기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보청기와 측정 보청기로부터 출력되는 WDRC 출력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데이터 획득부(110)는 먼저 기준 보청기(30) 및 측정 보청기(40) 각각의 리시버를 통하여 출력되는 출력음향신호를 2cc 커플러(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받은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 획득부(110)는 미리 설정되어진 기준 보청기(3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음향신호를 처리하여 각각의 이득대비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A) 및 WDRC 출력특성(C)의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획득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획득부(110)는 측정 보청기로(4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음향신호를 처리하여 각각의 이득대비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B) 및 WDRC 출력특성(D)의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음향신호 데이터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120)는 기준 보청기(30)의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A) 및 WDRC 출력특성(C)의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마찬가지로 측정 보청기(40)의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B) 및 WDRC 출력특성(D)의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파라미터 및 측정 파라미터는 각각의 출력 음향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파라미터 생성 알고리즘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보정 파라미터는 측정 보청기의 신호처리부의 파라미터 저장부(42a)에 저장되어 보청기의 출력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언어로 표시될 수 있다.
계속적으로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120)는 보청기의 출력특성들 예를 들어 각각의 이득에 따른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 WDRC(wide dynamic range compression)의 압축 시작점(TK, Threshold Knee Point) 또는 압축비(Compression Ratio) 및 최대 출력 값(MPO, Maximum Power Output) 등에 대하여 상기 추출된 기준 파라미터와 각각 대응되는 측정 파라미터 상호 간을 비교하여 각각의 차이 값을 계산하고, 그 차이 값에 따른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120)는 기준 보청기의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A, 도 2의 (a)참조)을 참조하면, 이득이 50인 경우, 2KHz에서 출력 음압이 약 80dBSPL일때 기준 파라미터(P1)를 추출한다. 마찬가지로 측정 보청기의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B, 도 2의 (b)참조)을 참조하면, 이득이 50인 경우, 2KHz에서 출력 음압이 약 85dBSPL이므로 측정 파라미터(P2)를 추출한다. 이후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120)는 추출된 기준 파라미터(P1)에서 측정 파라미터(P2)를 뺀 차이 값을 계산하고 차이 값에 따른 보정 파라미터(P3)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을 참조하면,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120)는 각 채널별 입력 음압의 증가율 대비 출력 음압의 증가율에 따른 기준 보청기로부터 기준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측정 보청기로부터 측정 파라미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기준 파라미터와 측정 파라미터 간의 차이 값에 따른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120)는 각각의 기준 파라미터와 출력 파라미터를 비교한 각각의 차이 값에 따라 보청기 전체 출력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보정 파라미터는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피팅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보정 파라미터를 인터페이스(20)를 통하여 측정 보청기(40)의 신호처리부(42)의 파라미터 저장부(42a)의 제2 메모리 영역에 설정함으로써 기준 보청기(30)와 동일한 출력특성을 갖도록 측정 보청기(40)의 출력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보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보청기 보정장치의 데이터 획득부는 음원발생부로 출력되는 기준 음향신호를 입력받은 기준 보청기 및 측정 보청기 각각으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 및 WDRC 출력특성을 나타내는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획득한다(S41). 다음으로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는 상기 획득된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보청기로부터 기준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측정 보청기로부터 측정 파라미터를 추출한다(S42).
계속적으로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는 상기 추출된 기준 파라미터와 측정파라미터 상호 간을 비교하여 그 차이 값을 계산하고(S43), 그 차이 값에 따른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한다(S44). 마지막으로 피팅부는 상기 생성된 보정 파라미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측정 보청기의 신호처리부에 파라미터 저장부의 제2 메모리 영역에 설정함으로써 측정 보청기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제1 피팅 파라미터 및 상기 보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써 보청기 양산시에 보청기 간 기준 음향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출력을 갖도록 측정 보청기의 출력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S45).
따라서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통하여 보청기 출력특성을 간편하게 변경함으로써 보청기 불량률을 낮추어 보청기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보청기 동일 모델 간 출력 오차 범위를 최소화함에 따라 동일하게 입력되는 기준 음향에 대하여 동일한 출력특성을 가짐으로 보청기의 하드웨어적인 부품특성에 기인한 출력특성의 변화에 따른 난청자의 피팅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스피커 20: 인터페이스
30: 기준 보청기 31,41: 마이크로폰
32,42: 신호 처리부 42a:파라미터 저장부
33,43: 리시버 40: 측정 보청기
100: 보청기 보정장치 110: 데이터 획득부
120: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 130: 음원 발생부
140: 저장부 150: 피팅부

Claims (4)

  1. 삭제
  2. 기준 보청기 및 측정 보청기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각각의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로부터 기준 파라미터 및 측정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기준 파라미터와 측정 파라미터 간 차이 값에 따른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
    기준 음향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신호발생순서에 따라 스피커를 통하여 기준 보청기와 측정 보청기의 각각의 마이크로폰에 기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원 발생부 및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측정 보청기의 보정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피팅부를 포함하는 보청기 보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부는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측정 보청기의 파라미터 저장부의 제2 메모리 영역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보정장치.
  4. 기준 음향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신호발생순서에 따른 음원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음향신호를 각각의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받은 기준 보청기 및 측정 보청기 각각으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출력특성 및 WDRC 출력특성을 나타내는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보정 파라미터 생성부는 상기 획득된 출력음향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보청기로부터 기준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측정 보청기로부터 측정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기준 파라미터와 측정파라미터의 차이 값을 계산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피팅부는 상기 생성된 보정 파라미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측정 보청기의 파라미터 저장부의 제2 메모리 영역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청기 보정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042723A 2014-04-10 2014-04-10 보청기 보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10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23A KR101610881B1 (ko) 2014-04-10 2014-04-10 보청기 보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23A KR101610881B1 (ko) 2014-04-10 2014-04-10 보청기 보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379A KR20150117379A (ko) 2015-10-20
KR101610881B1 true KR101610881B1 (ko) 2016-04-08

Family

ID=5439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723A KR101610881B1 (ko) 2014-04-10 2014-04-10 보청기 보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2931A1 (en) * 2016-04-22 2017-10-26 Cochlear Limited Electrocochleography testing in hearing prosthes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6994A1 (en) * 2003-04-03 2004-10-07 Gn Resound A/S Binaural signal enhanc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6994A1 (en) * 2003-04-03 2004-10-07 Gn Resound A/S Binaural signal enhanc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379A (ko)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7015B2 (en) System for automatic fitting using real ear measurement
US89484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itu testing, fitting and verification of hearing and hearing aids
US77562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vent effects in a hearing aid
US7650005B2 (en) Automatic gain adjustment for a hearing aid device
EP2846559B1 (en) A method of performing an RECD measurement using a hearing assistance device
AU2015201124B2 (en) Transmission of a wind-reduced signal with reduced latency
US80363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 effective vent
US99490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the spectral clues of an audio signal altered by the physical presence of a digital hearing aid and tuning thereafter
US10009695B2 (en) Hearing system for estimating a feedback path of a hearing device
KR101175724B1 (ko)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US10277990B2 (en) Adaptive level estimator, a hearing device, a method and a binaural hearing system
KR101600426B1 (ko) 보청기 잡음 제거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보청기 잡음 제거장치
US923232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compression characteristic, method for determining a knee point and method for adjusting a hearing aid
KR101610881B1 (ko) 보청기 보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DK3113519T3 (en) PROCEDURES AND DEVICES FOR CORRECT AND SECURE PLACEMENT OF AN I-EAR COMMUNICATION DEVICE IN A USER'S EARNINGS
US10841715B2 (en) Method of adapting a hearing apparatus
US20220264232A1 (en) A hearing aid comprising an open loop gain estimator
US8929576B2 (en) Method for tuning a hearing device using a percentile analysis, and tuning device
US8948429B2 (en) Amplification of a speech signal in dependence on the input level
KR101442797B1 (ko) 보청기 교정장치
US201600890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nnitus evaluation with test sound automatically adjusted for loudness
US8467554B2 (en) Method, hearing device and configuration for calibrating an acoustic tuning system
Sørensen et al. For hearing aid noise reduction, babble is not just babble
CN117156365A (zh) 验配听力装置的方法
KR20170047928A (ko) 청력도 기반의 청력 보정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