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700B1 -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700B1
KR101610700B1 KR1020150125140A KR20150125140A KR101610700B1 KR 101610700 B1 KR101610700 B1 KR 101610700B1 KR 1020150125140 A KR1020150125140 A KR 1020150125140A KR 20150125140 A KR20150125140 A KR 20150125140A KR 101610700 B1 KR101610700 B1 KR 101610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culpture
molding
data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에어바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바이블 filed Critical (주)에어바이블
Priority to KR102015012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6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eroplanes, airships, balloons, or kites
    • B29C67/005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8Dolls, faces, or other representations of living forms with mov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섬세한 표현이 불가능한 공기조형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형재질의 조각부를 통해 섬세하게 성형을 하고 이를 공기조형물과 결합시켜 공기투여를 통해 기립시킴으로서, 전체적으로 공기조형물의 느낌을 살린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Air sculpture that combines Piece sculp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섬세한 표현이 불가능한 공기조형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형재질의 조각부를 통해 섬세하게 성형을 하고 이를 공기조형물과 결합시켜 공기투여를 통해 기립시킴으로서, 전체적으로 공기조형물의 느낌을 살린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형물이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조섬유나, PVC, 우레탄 같은 합성필름을 봉제하거나 고주파 접착 또는 각종 접착제에 의한 본딩방법에 의하여 공기막을 제작한 후에 공기막 내부에 공기압을 발생시켜 형태를 유지시키는 조형물을 말한다.
그런데, 공기조형물이 조각 조형물에 비해 제작 공정이 간소하고, 단가가 낮으며, 10m 이상의 커다란 조형물도 비교적 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조형적 표현의 한계로 인해 디테일한 작업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으며, 이는 공기 조형물 업체들이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즉, 공기조형물을 통해 작은 형태를 조형하려면 공기막 패턴(공기조형물의 전체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각으로서, 이들을 접착 및 봉제하여 전체형상이 만들어짐)도 작아져 봉제나 접착이 어렵고, 제작이 되어도 주름이 많이 생기거나, 공기압이 유지되지 않아서 원하는 형상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작고 세밀한 표현을 하기 위해선 불가피하게 조형물의 크기를 키워야 하는데 사람 얼굴을 실제 크기로 제작할 경우 눈꺼풀, 귓바퀴, 입술 등의 세밀한 표현이 불가능하다. 가령, 얼굴을 1m~2m로 크기를 키우면 각 부위를 작은 덩어리로 잘게 잘라 표현할 때 잘게 잘린 덩어리 자체의 크기도 커지게 되어 어느 정도의 세밀한 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얼굴이 1~2m의 크기로 커지게 되면 비율상 전신은 8~20m의 크기로 형성해야하기 때문에 얼굴의 디테일한 표현은 가능하나 전체적으로 크기가 커짐에 따라 크기만큼 단가가 매우 높아지거나, 설치가 장소에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완전한 정육면체, 삼각뿔, 모자 챙 등 각진 모서리, 평평한 형태, 얇고 가느다란 형태의 구현에도 어려움이 있는데, 이는 조형물 형상을 정육면체로 만들어도 공기가 들어가면 부풀어서 동그란 형태가 되며,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조형물 내부에 면과 면을 잡아주는 "칸막이" 설비를 해야 하지만 이 경우 공정이 복잡하여 제작 단가가 상승하고 칸막이를 형성한다 하더라도 완벽한 평면의 표현은 불가능하다.
이는 고무장갑이 손 모양 형태로 제작이 되어도, 입으로 바람을 불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도 1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3916에서도 나타나는데, 상기 공보는 광고를 하기 위한 면이 평면을 이루는 광고용 애드벌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광고용 애드벌룬 장치에서, 제1의 면을 이루는 제1표피와 제2의 면을 이루는 제2표피를 구비하고, 제1표피와 제2표피는 각 면들의 외곽에서 연결되는 애드벌룬 본체와, 제1표피와 제2표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1표피와 제2표피를 있는 인장수단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나, 결국 평면의 표현을 위해 에드벌룬 칸막이가 형성된 본체 표면에 외피를 씌우는 한계를 갖고 있다.
또한, 사람 형상과 같은 복잡한 공기조형물일 경우, 손등과 손바닥을 잡아주는 칸막이 설비가 들어가면 올록볼록하지만 어느 정도 형태유지가 가능할 것이나, 모자챙이나 꽃 수술처럼 얇고 가느다란 형태는 칸막이 설비가 어렵고 공기막의 공기압이 약해 형태가 유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크기나 비율을 변경해야 되며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가 왜곡되는 문제가 있다.
가령, 얇은 다리를 가진 캐릭터를 자립시키기 위해서는 조형할 때는 다리 부피를 키워야 하고, 또한 길고 얇은 막대기는 공기압이 약해 세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등이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3916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2017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은 공기조형물에 조각조형물을 결합함으로써 공기막만으로는 표현 불가능한 형태를 조각조형물로 표현하고, 이를 공기조형물과 결합시킴으로서 조각조형물의 디테일함과 공기조형물의 낮은 제작단가를 갖는 공기조형물을 공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각조형물(30) 및 이와 결합되는 공기조형물(40)을 포함하되, 상기 조각조형물(30)은 조각부(10) 및 조각부 외피에 밀착된 공기막(2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막(20)은 공기조형물(40)과 결합되고, 상기 조각조형물(30) 또는 공기조형물(40)에는 공기흡입구((31, 4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31, 41)에 공기공급모터(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형물의 공기흡입구(41)에는 베이스판(42)이 공기조형물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공급모터(50)는 상기 베이스판에 부착되어 공기조형물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각조형물(30) 및 공기조형물(40) 내부에는 조명장치(70)가 거치되고, 상기 조각조형물(30)은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조명장치는 엘이디조명(71), 엘이디조명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72), 엘이디조명 또는 전원선이 거치될 수 있도록 조각조형물 또는 공기조형물 내부에 형성된 고리(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각부를 제작하는 단계(S100); 3D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조각부 제작단계(S100)에서 생성된 3D데이터에 채색하는 단계(S200); 상기 채색된 3D데이터를 패턴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패턴화시키는 단계(S300); 패턴화된 공기막원단을 인쇄 및 재단한 후, 재봉 또는 접착하여 공기막을 제작하는 단계 (S400); 조각부와 공기막을 결합시켜 조각조형물을 완성하는 단계(S500); 및 조각조형물을 공기조형물에 결합시키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각부를 제작하는 단계(S100)는 수작업으로 조각부를 조각하는 단계(S110a), 및 조각부 또는 조각부의 몰딩을 3D스캔하여 3D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S12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각부를 제작하는 단계(S100)는 3D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각부의 형상을 구현한 3D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10b), 및 3D데이터를 이용하여 조각부를 제작하는 단계(S1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막원단을 패턴화시켜 재단하는 단계 (S300)는 3차원의 3D데이터로 구현된 형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310), 패턴을 2차원으로 평면화하는 단계(S320), 및 패턴을 정리해서 공기막원단을 생성하는 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막을 제작하는 단계(S400)는 공기막의 일부분을 접착 또는 봉제하지 않은 절개면을 유지한 채, 절개면에 봉합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각물 또는 몰딩과 공기막을 결합시키는 단계(S500)는 공기막의 절개면을 봉합하지 않은 채로 조각물에 씌우는 단계(S510), 공기막의 패턴과 조각물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단계(S520) 및 절개면을 결합시키는 단계(5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딩은 빛이 투과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 부양 입체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은 공기 조형물에 이형재의 조각조형물을 결합함으로써 공기조형물만으로는 표현이 불가능한 형태를 이형의 조각조형물을 통해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조각조형물의 디테일과 공기조형물의 낮은 제작 단가의 장점만을 채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각부를 수작업으로 제작한 후 이를 3D데이터(3D모델링)를 추출하고, 추출한 3D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기막을 패턴화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정교한 공기막의 제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3D프로그램을 이용해 설계하고, 그 3D데이터를 이용해 3D조각기, 3D프린터 또는 공작기계로 조각부를 제작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기막을 패턴화함으로써 조각부와 공기막이 동일한 데이터로 제작되어 공기막의 정교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광고용 애드벌룬 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의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의 패턴화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각조형물을 형성하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의 조명장치의 설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을 제작하는 방법은 조각부를 제작하는 단계(S100), 3D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조각부 제작단계(S100)에서 생성된 3D데이터에 채색하는 단계(S200), 상기 채색된 3D데이터를 패턴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패턴화시키는 단계(S300), 패턴화된 공기막원단을 인쇄 및 재단한 후, 재봉 또는 접착하여 공기막을 제작하는 단계 (S400), 조각부와 공기막을 결합시켜 조각조형물을 완성하는 단계(S500) 및 조각조형물을 공기조형물에 결합시키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조각부를 제작하는 단계(S100)는, 도 2를 참조하면, 수작업으로 조각부(10)를 조각하는 단계(S110a), 및 조각부 또는 조각부의 몰딩을 3D스캔하여 3D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S120a)를 포함하거나, 또는 3D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각부의 형상을 구현한 3D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10b), 및 3D데이터를 이용하여 조각부를 제작하는 단계(S12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3D데이터를 이용하여 조각부를 제작하는 단계(S120b)는 3D프린터 등을 통하여 실현 가능하다.
이로서, 조각부를 제작하는데 활용된 3D 데이터는 향후 공기막(20)을 제작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3D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업을 하게 됨에 따라 조각부와 공기막의 형상이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조각성형물의 완성도가 높아짐은 물론 제작의 효율성까지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조각부는 점토, 목재, 합성수지(스티로폼, 우레탄 등), 금속재 등을 이용하여 만든 조각물, 또는 상기 조각물을 진공성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석고나 FRP, FRC 등으로 만든 몰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각조형물(30)이 결합된 공기조형물(40)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각조형물이 공기조형물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게 되는데, 이때, 조각조형물이 공기조형물의 상부에 결합될 경우(a, b), 즉, 머리는 조각부를 사용해 세밀하게 표현하고 목 아래부터는 공기조형물로만 표현하는 경우, 상기 조각부는 스티로폼 등의 가벼운 소재를 채택한다.
이는 공기조형물에 주입되는 공기압의 힘만으로 머리부분을 지탱해야하기 때문으로서, 스티로폼의 가벼운 소재를 채택함에 따라 공기압에 의해 조형물 전체가 용이하게 기립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티로폼을 채택함으로서, 수작업에 의한 세밀한 표현이 가능하여, 사람의 얼굴과 갖은 복잡한 형상의 조형물을 쉽고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스티로폼과 같이 경도가 약한 재료는 제작할 조형물의 특징에 따라 우레아 코팅, 핸디코트, FRP 등으로 경화작업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각조형물이 공기조형물의 하부에 결합될 경우(b, c, d), 가령, 얇은 다리부분을 표현하려 할 때, 허리부터 다리까지 이형의 재료를 사용하고, 허리 윗부분은 공기조형물로 표현하는 경우, 상기 조각부는 FRP 등과 같이 무거운 소재를 채택하여 조각부에 무게중심을 둠으로써, 공기조형물이 용이하게 기립되게 한다.
아울러, 위에서 살펴본 실시예에서 조각조형물을 조각부에 공기막을 결합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조각부의 몰딩에 공기막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각부의 몰딩은 점토, 목재, 합성수지(스티로폼, 우레탄 등), 금속재 등을 이용하여 만든 조각물을 원본으로 하여 석고나 FRP, FRC 등을 원본의 표면에 얇게 도포한 후 내부에 원본을 제거하므로써 생성된 내부가 빈 중공의 형상이다.
또한, 몰딩을 형성하는 것은 진공성형을 이용하여 앞판과 뒷판을 찍어낸 후 이들을 서로 접합하여 완전한 중공의 3차원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서 얇고 투명한 외형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몰딩은 중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벼울 뿐만 이니라 몰딩을 투명재질로 제작할 경우 공기조형물의 큰 장점 중 하나인 내부에 조명 설비가 가능하게 된다.
내부 조명설비는 외부에서 쏘는 조명과는 다르게 은은하고 따듯한 느낌을 주며 대중들의 눈을 즐겁게 해주는 요소 중 하나이다.
상기 3D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조각부 제작단계(S100)에서 생성된 3D데이터에 채색하는 단계(S200)는 작업자가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조각부의 형상에 적합한 색채를 입히는 과정으로서, 통상의 상용 3D소프트웨어 상에서 이루어진다.
즉, 색채를 입히는 채색작업이란 사람의 얼굴일 경우 눈썹, 입술 피부 귀 등을 채색하는 것으로서 향후 프린팅을 위한 기조작업을 의미한다.
상기 채색된 3D데이터를 패턴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기막 원단을 패턴화시키는 단계(S300)는, 도 5를 참조하면, 3D의 입체형상을 평면화시키는 과정으로서, 3차원의 3D데이터로 구현된 형상(60)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310), 패턴을 2차원으로 평면화하는 단계(S320), 및 패턴을 정리해서 공기막원단을 생성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3차원의 3D데이터로 구현된 형상(60)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310)에서 3차원 형상에 패턴화를 위한 구획선(61)을 형성하여 각각의 구획을 나누어 패턴(62)을 형성하고, 패턴을 2차원으로 평면화하는 단계(S320)에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형성된 구획선을 기준으로 각각의 패턴(62)을 분리하여 평면상에 전개시키고, 이어지는 패턴을 정리해서 공기막원단(63)을 생성하는 단계(S330)에서 공기막원단의 면적활용 등을 위하여 패턴을 원단에 빈 공백이 없도록 효율적으로 배치한다.
여기서, 패턴화 시킬 3D데이터의 크기는 작업할 원단의 성질에 따라 달리하는데 잘 늘어나는 원단의 경우엔 10~15% 축소하고, 늘어남이 덜한 원단은 조각부의 크기와 일치시킨다. 이로서, 공기막부와 조각부 결합 시 여백을 최소한으로 줄여 접합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지털 패턴화 작업은 작업 방식이나 사용하는 상용 패턴프로그램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조각부를 기반으로 또는 3D모델링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3D데이터를 이용해서 조각부와 공기막의 형태와 크기를 일치시키도록 한다.
상기 패턴화된 공기막원단을 인쇄 및 재단한 후, 재봉 또는 접착하여 공기막을 제작하는 단계 (S400)는, 패턴화된 원단를 인쇄 혹은 전사한 후에 각 패턴별로 재단을 한다. 이어서 봉제나 본드, 고주파로 접착하여 조각부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재현한다.
여기서, 공기막을 제작하는 과정은 종래의 공기조형물을 제작하는 과정과 동일하나, 다만 전체 형상을 잡아주기 위한 칸막이 설비를 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조각부에 쉽게 결합시키기 위해 완성된 공기막의 한 부분을 봉제하지 않고 절개된 상태를 유지하는 절개면(11)을 형성하고, 이에 지퍼나 벨크로 등의 봉합수단(12)을 형성하여 절개면을 봉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절개면은 조각부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공기막원단은 통상적으로 공기조형물에서 채택되는 천 또는 pvc 등을 채택한다.
이로서, 조각에 직접 수자업으로 도색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원단에 인쇄하는 디지털작업으로 대체하여 재료와 제작시간을 줄일 수 있어 단가 절감에 효과적이고, 유해물질 발생할 여지가 없어 작업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각부와 공기막을 결합시켜 조각조형물을 완성하는 단계(S500)는, 도 6을 참조하면, 3차원으로 형성된 공기막을 공기막의 절개면을 결합하지 않은 채로 조각부의 전면부부터 씌워서 결합시킨 후, 공기막의 위치와 조각부의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키고, 조각부 후면에 위치하는 절개면을 봉합수단(12)으로 봉합한다.
이어서, 조각부의 형상을 이루는 요철부분(가령 얼굴의 코, 눈, 입술 및 귀 등)의 요부에 핀 또는 호침 등을 꽂아 공기막이 조각부에 들뜨지 않고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이때 핸드타카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조각조형물을 공기조형물에 결합시키는 단계(S600)는 조각조형물의 공기막을 공기조형물의 공기막과 봉제이나 본드, 고주파로 접착하여 완전한 조형물을 완성한다.
상기 언급한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을 제작하는 방법을 통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입체조형물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각조형물(30) 및 이와 결합되는 공기조형물(40)을 포함하되, 상기 조각조형물(30)은 조각부(10) 및 조각부 외피에 밀착된 공기막(2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막(20)은 공기조형물(40)과 결합되고, 상기 조각조형물(30) 또는 공기조형물(40)에는 공기흡입구(31, 4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31, 41)에 공기공급모터(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조각조형물이 공기조형물의 결합위치는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데, 사람의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3의 a는 사람의 얼굴과 같이 복잡한 형상을 이루는 부분을 조각조형물로 형성하고 이를 공기조형물보다 상부에 위치시키는 경우이고, 도 3의 b는 얼굴부분과 다리부분을 조각조형물로 형성하고 몸통을 공기조형물로 형성한 후 이들을 서로 결합시킨 경우이고, 도 3의 c 및 d는 조형물의 상부를 공기조형물로 형성하고 하부는 조각조형물로 형성하여 이들을 연결한 경우의 도면이다.
이처럼 다양한 실시예를 실시하더라도, 조각조형물이 공기조형물의 상부에 결합될 경우(a, b), 즉, 머리는 조각부를 사용해 세밀하게 표현하고 목 아래부터는 공기조형물로만 표현하는 경우, 상기 조각부는 스티로폼 등의 가벼운 소재를 채택하여 공기조형물에 주입되는 공기압의 힘만으로 머리부분을 지탱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각조형물이 공기조형물의 하부에 결합될 경우(b, c, d), 가령, 얇은 다리부분을 표현하려 할 때, 허리부터 다리까지 이형의 재료를 사용하고, 허리 윗부분은 공기조형물로 표현하는 경우, 상기 조각부는 FRP 등과 같이 무거운 소재를 채택하여 조각부에 무게중심을 둠으로써, 공기조형물이 용이하게 기립되게 한다.
이때, 공기조형물이 전체적으로 완성된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조형물을 기립시키는 공기공급모터(50)가 설치되는데, 공기공급모터(50)는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하여 상기 조각조형물(30) 또는 공기조형물(40)에는 각각 공기흡입구(31, 41)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그리고, 공기공급모터(50)는 상기 공기흡입구(31, 41)에 연결되어 조각조형물(30) 또는 공기조형물(40)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외부에서는 공기공급모터(50)가 식별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공기조형물에 공기공급모터가 형성되는 경우, 공기조형물의 공기막은 천 또는 pvc로된 ?은 소재여서 자체적으로 공기공급모터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이 없으므로 공기흡입구(41)와 연통되는 베이스판(41)을 공기조형물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공기공급모터(50)를 상기 베이스판에 부착하여 공기조형물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41)과 공기조형물의 결합은 통상의 핸드타카기를 사용하면 족하다.
또한, 공기조형물의 큰 장점 중 하나인 내부에 조명 설비의 구현을 위하여 조각부를 빛이 투과되면서 조형이 가능한 재료를 이용해 얇은 가면처럼 몰딩을 형성하고, 조각부에 공기막을 씌워 조각조형물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몰딩을 형성하는 방법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진공성형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이로서, 조각조형물을 투명하게 제작하여 조각조형물 또는 공기조형물 내부에 조명장치(60)를 설치한다.
상기 조명장치(70)는, 도 7을 참조하면, 통상의 엘이디조명(71), 엘이디조명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72), 엘이디조명 또는 전원선이 거치될 수 있도록 조각조형물 또는 공기조형물 내부에 형성된 고리(73)을 포함한다.
엘이디조명 또는 전원선이 조각조형물 또는 공기조형물 내부에 형성된 고리(73)에 거치되어 있으므로 인해 공기공급모터의 해 공급되는 압력으로 조형물이 기립할 때 동시에 기립할 수 있게 되어 조형물 전체를 고르게 비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선은 공기공급모타에 제공되는 전원에 연결되어 공기공급모터의 전원을 이용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조각부 20: 공기막
30: 조각조형물 40: 공기조형물
50: 공기공급모터 60: 3차원형상
70: 조명장치

Claims (10)

  1.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조각부를 제작하는 단계(S100);
    3D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조각부 제작단계(S100)에서 생성된 3D데이터에 채색하는 단계(S200);
    상기 채색된 3D데이터를 패턴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기막 원단을 패턴화시키는 단계(S300);
    패턴화된 공기막원단을 인쇄 및 재단한 후, 재봉 또는 접착하여 공기막을 제작하는 단계 (S400);
    조각부와 공기막을 결합시켜 조각조형물을 완성하는 단계(S500); 및
    조각조형물을 공기조형물에 결합시키는 단계(S600)를 포함하되,
    상기 조각부를 제작하는 단계(S100)는 수작업으로 조각부를 조각하는 단계(S110a); 및 조각부를 3D스캔하여 3D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S120a);를 포함하거나, 또는 3D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각부의 형상을 구현한 3D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10b); 및 3D데이터를 이용하여 조각부를 제작하는 단계(S120b);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막원단을 패턴화시키는 단계(S300)는 3차원의 3D데이터로 구현된 형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310);, 패턴을 2차원으로 평면화하는 단계(S320);, 및 패턴을 정리해서 공기막원단을 생성하는 단계(S33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막을 제작하는 단계(S400)는 공기막의 일부분을 접착 또는 봉제하지 않은 절개면을 유지한 채, 절개면에 봉합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조각부와 공기막을 결합시켜 조각조형물을 완성하는 단계(S500)는 공기막의 절개면을 봉합하지 않은 채로 조각부에 씌우는 단계(S510);, 공기막의 패턴과 조각부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단계(S520); 및 절개면을 결합시키는 단계(530);를 포함하고,
    상기 조각부는 빛이 투과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을 제작하는 방법.
  2. 청구항 1의 방법에 의해 제작된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25140A 2015-09-03 2015-09-03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101610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140A KR101610700B1 (ko) 2015-09-03 2015-09-03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140A KR101610700B1 (ko) 2015-09-03 2015-09-03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700B1 true KR101610700B1 (ko) 2016-04-08

Family

ID=5590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140A KR101610700B1 (ko) 2015-09-03 2015-09-03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7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674Y1 (ko) * 2007-07-03 2008-04-28 박관용 광고용 회전식 에어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674Y1 (ko) * 2007-07-03 2008-04-28 박관용 광고용 회전식 에어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09447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3407317A (zh) 瓷砖彩雕喷绘工艺及其制品
KR101610700B1 (ko) 조각조형물이 결합된 공기조형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JP4946533B2 (ja) 人形製造方法
US6050875A (en) Method of making a doll face
JP2012024382A (ja) 人形用眼球の製造方法および人形体
CN101712255A (zh) 一种泡沫画的制作方法
KR101029213B1 (ko)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한 작동모형 제작방법
CN209199377U (zh) 普通静物透明模型
JP2002035440A (ja) 人形型ロボット、及びその製作方法
JP3222223U (ja) リュックサック
JP5039234B1 (ja) 大型の空気膜造形物用の生地及びそれを用いた造形方法
KR101491299B1 (ko) 실사프린팅 기법으로 제조되는 악세사리의 장식부
JP7049029B1 (ja) 着ぐるみ用の枠体、着ぐるみ、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201157677Y (zh) 毛绒仿真动物玩具
JP3144905U (ja) 和紙成形品
CN103253068A (zh) 一种具有5d效果的炫彩油画钻饰画及其制作方法
CN207489299U (zh) 一种立体剪裁教学展示台
JP7053736B2 (ja) 造形物とその製造方法
CN103120433A (zh) 一种变脸面具
KR100936088B1 (ko) 디스플레이용 음각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CN207984428U (zh) 一种狮头
KR200468844Y1 (ko) 평면 마네킹
TWI253356B (en) Fast forming method of figuline puppet head and its head skull endocast
CN206269046U (zh) 新型装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