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489B1 -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489B1
KR101610489B1 KR1020140105617A KR20140105617A KR101610489B1 KR 101610489 B1 KR101610489 B1 KR 101610489B1 KR 1020140105617 A KR1020140105617 A KR 1020140105617A KR 20140105617 A KR20140105617 A KR 20140105617A KR 101610489 B1 KR101610489 B1 KR 10161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air
ejector
driving fluid
fue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670A (ko
Inventor
정세권
노용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4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68Pressure; Flow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의 유로에 냉각수 주입 시 기포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냉각수를 효과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압공기를 동력으로 하여 진공(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노즐, 벤튜리 또는 노즐, 벤튜리 디퓨저 등으로 구성되는 이젝터 구조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유로에 냉각수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기포를 최소화하면서 냉각수 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취급이 용이하여 일반 정비업소 등에서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Cooling water injection auxiliary device for fuel cell car}
본 발명은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스택의 유로에 냉각수 주입 시 기포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냉각수를 효과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차량의 스택은 1 또는 2셀당 하나의 냉각수 층을 가지고 있고, 하나의 냉각수 층은 다시 수십 개의 냉각유로를 포함하게 된다.
보통 스택이 100∼500개의 셀로 구성되므로 스택 내부에는 매우 많은 냉각유로가 존재한다.
이러한 냉각유로는 그 단면적이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2㎟ 이하의 크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점도를 가지는 냉각수를 스택 내부의 냉각유로에 모두 주입하는 것은 단순히 중력을 이용한 주입으로는 매우 어렵고, 유로(채널) 내부에 많은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원활하고 빠른 냉각수 주입을 위해 별도의 장치가 요구된다.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시 냉각유로에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 냉각수 부족 현상, 국부적인 과열발생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택 내부에 기포가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 기포 내부의 공기로 인해 냉각수가 정량보다 적게 주입된다.
이로 인해 냉각수 주입 후 스택 운전 중에 냉각수의 흐름 및 진동 등으로 인해 기포가 빠져나오면 냉각수가 부족해지게 되고, 스택이 과열될 수 있으며, 공기주입으로 인해 냉각수 펌프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기포가 남아 있는 부분은 냉각수에 의한 열전달이 되지 않아 해당 부위에 과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MEA 또는 분리판에 핀홀이 발생하여 스택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 주입 과정에서 스택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입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서, 스택에 냉각수를 주입할 때, 냉각수 주입구 외 다른 포트에서 진공 또는 음압을 발생시켜 스택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며 냉각수를 주입하는 경우 냉각유로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해당 작업에서 진공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냉각수 주입이 용이하나, 진공(음압) 발생장치의 부피가 매우 크고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어 공장단위에서는 적용이 가능하나, 일반 정비소에서 해당 장치를 갖추기는 매우 어렵다.
도 7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루프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스택(100)과 라디에이터(110) 사이에 냉각수 유로(120)가 연결되고, 이러한 냉각수 유로(120)상에는 이온제거기(130), 냉각수 펌프(140) 등이 설치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50은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시스템(PEMF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냉각유로는 매우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수많은 채널들(1000∼10000 단위 이상)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로 사용되는 에틸렌 글리콜이나 프로필렌 글리콜의 경우 물에 비해 동점도가 높아 단순 중력을 통해 해단 채널들 내부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채널 내부에 기포 및 국부적으로 냉각수가 주입되지 않은 부위가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통상적으로는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주입포트를 통해 냉각수를 주입하는 경우가 많다.
도 8은 종래의 진공펌프를 이용한 냉각수 주입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110)의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150)의 일측에 냉각수 리저버(160)가 연결되어 냉각수 주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150)의 다른 일측에는 진공펌프(170)가 연결되어 스택 유로 내의 공기(가스)를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진공펌프를 가동시켜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에서 음압(진공)을 발생시켜 스택 내부 잔존 공기를 최소화하고, 이렇게 진공을 유지한 상태에서 냉각수를 주입한다.
그러나, 진공펌프를 갖추어야 하는 비용이 높아 시설 구축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보통 필드에서 냉각수 주입 및 보충 방법의 경우, 드레인 홀을 이용하여 냉각수를 제거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냉각수를 주입하며, 냉각수 펌프를 구동시켜 연료전지 스택 내 기포를 제거하면서 냉각수를 추가 주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스택 내 기포 제거가 충분히 되지 않으며, 냉각수 정량 주입이 되지 않을 우려가 많고, 냉각수 주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10-2009-0020172호와 한국공개특허 10-2012-0063918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압공기를 동력으로 하여 진공(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노즐, 벤튜리 또는 노즐, 벤튜리 디퓨저 등으로 구성되는 이젝터 구조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유로에 냉각수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기포를 최소화하면서 냉각수 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취급이 용이하여 일반 정비업소 등에서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상기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는 스택 유로 내에 냉각수 주입 시 구동유체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시스템 냉각유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수단으로서,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유로측 또는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측과 연결되는 아래쪽의 공기 흡입구와 대기 중으로 통하는 앞쪽의 공기 배출구를 가지면서 내부에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수직의 흡입측 유로와 수평의 배출측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의 뒷쪽에서 배출측 유로의 내부에 구동유체를 공급하는 구동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에 의해 구동유체 공급과 함께 연료전지 시스템 내부에 음압 또는 진공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냉각수 주입장치에 의해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냉각수 주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기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젝터의 배출측 유로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벤튜리부와 디퓨저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체 공급부의 일 예로서는 구동유체 공급기 또는 시설공기 라인을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이젝터 뒷쪽의 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이젝터의 뒷쪽에 공기 배출구와 동축선상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구동유체 공급기 또는 시설공기 라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이젝터의 공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라인이 연장 형성되는 동시에 이때의 배출라인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고, 또 상기 이젝터의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에는 연료전지 시스템측과 환기구측에 각각 연결가능한 어댑터를 각각 가지는 플렉시블관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수 주입작업을 원활하게 하며, 쉽고 빠르게 정량의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다.
둘째, 구조가 단순하여 가격이 저렴하며 고장이 적다.
셋째, 크기가 작아 장치의 설치 및 제거작업이 용이하며 휴대와 보관이 간편하다.
넷째, 구동유체로 일반적인 정비소에서 보유한 가압공기, 가압/고압가스 등을 구동유체로 사용하여 보급이 용이하다(캔형 압축공기 등을 사용할 경우 보급 및 휴대가 매우 용이하다).
다섯째, 작동 과정에서 연료전지 시스템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아 냉각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의 설치상태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의 설치상태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루프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종래의 진공펌프를 이용한 냉각수 주입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는 노즐, 벤튜리 또는 노즐, 벤튜리, 디퓨저 등으로 구성된 이젝터 구조를 가지는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로서, 이러한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는 일반 차량 및 연료전지 시스템 A/S 센터 내에 비치된 가압공기 또는 가압가스를 구동유체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의 구동유체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시스템 냉각유로 내부의 공기를 흡입(석션)하고, 계속해서 연료전지 시스템 내부에 음압 또는 진공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냉각수 주입장치에 의해 냉각수를 주입하여 냉각수 주입과정에서 냉각채널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는 아래쪽의 공기 흡입구(10)와 앞쪽의 공기 배출구(11)를 가지는 이젝터(14)를 포함하며, 이러한 이젝터(14)의 공기 흡입구(10)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유로측이나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측에 연결될 수 있게 되는 한편, 공기 배출구(11)는 배출라인 등을 통해 환기구로 연결되거나 대기 중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14)의 내부에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수직의 흡입측 유로(12)와 수평의 배출측 유로(13)가 형성되고, 이때의 흡입측 유로(12)는 공기 흡입구(10)와, 배출측 유로(13)는 공기 배출구(11)와 각각 연통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 흡입구(10)로 들어온 연료전지 시스템 내의 공기는 흡입측 유로(12)와 배출측 유로(13)를 경유한 후에 공기 배출구(11)를 통해 이젝터를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이젝터(14)의 공기 배출구(11)는 단면이 축소되다가 확장되는 구조를 이루는 안쪽의 벤튜리부(13a)와 뒷쪽의 디퓨저부(13b)가 차례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벤튜리부(13a)와 디퓨저부(13b)를 흐르는 구동유체의 흐름에 의해 흡입측 유로(12)로부터의 공기가 벤튜리부(13a)와 디퓨저부(13b)로 유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젝터(14)의 공기 배출구(11)는 제조원가를 낮추기 위하여 디퓨저 등을 삭제할 수 있으며, 노즐 대신 배관(일반배관, 상용 에어건 팁 또는 캔형 압축공기의 분사 팁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젝터(14)의 뒷쪽에서 배출측 유로(13)의 내부에 구동유체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구동유체 공급부(15)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구동유체 공급부(15)는 홀 구조와 노즐 방식의 두가지 타입을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유체 공급부(15)는 이젝터(14)의 후단쪽에 연결 설치되는 노즐(19)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렇게 설치되는 노즐(19)은 이젝터(14)에 있는 공기 배출구(11)와 동축선상으로 연통될 수 있게 된다.
즉, 노즐(19)로부터 분사되는 구동유체가 곧바로 공기 배출구(11)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노즐(19)에는 A/S 센터 등에 비치된 에어건(24)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에어건(24)의 팁을 노즐 뒷쪽에 연결한 다음에 에어건 조작을 통해 가압공기 또는 가스 등의 구동유체를 노즐(19)을 통해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건(24)의 팁이 연결되는 노즐(19)의 후단부 내경에는 기밀을 위한 고무패킹 등의 탄성부재(25)가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19)에는 일반 정비소 등의 시설공기 라인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때에는 노즐측과 피팅, 커넥터 등을 통해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유체 공급부(15)는 이젝터(14)의 후단쪽에 형성되는 홀(18)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되는 홀(18)은 이젝터(14)에 있는 공기 배출구(11)와 동축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홀(18)에는 A/S 센터 등에 비치된 에어건(24)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에어건(24)의 팁을 홀(18)에 연결한 다음에 에어건 조작을 통해 가압공기 또는 가스 등의 구동유체를 공기 배출구(11) 내부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건(24)의 팁이 연결되는 홀(18)의 내경에는 기밀을 위한 고무패킹 등의 탄성부재(25)가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홀(18)에는 일반 정비소 등의 시설공기 라인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때에는 홀측과 피팅, 커넥터 등을 통해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의 설치상태에 대한 여러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의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150)를 통한 냉각수 주입 시 이젝터(14)의 공기 흡입구(10)를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유로,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에 있는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150)에 연결하고, 이젝터(14)의 뒷쪽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19)을 통해 가압된 구동유체를 공급한다.
물론, 상기 이젝터(14)의 공기 흡입구(10)와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150) 간의 연결부위는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에 의해 발생한 진공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밀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에 기밀유지용 캡을 적용하는 등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노즐(19)을 통해 분사되는 구동유체는 이젝터(14)의 공기 배출구(11)로 빠르게 흐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젝터(14)의 공기 흡입구(10)를 통해 스택 내에서 배출되는 잔류가스가 흡입측 유로(12)와 배출측 유로(13)를 거쳐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젝터(14)의 공기 흡입구(10)는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150)의 캡 부분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고, 커넥터, 피팅 등을 통해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젝터(14)로부터 연장되는 배출라인(20)에는 밸브(미도시)나 체크밸브(21)를 설치하여, 구동유체 공급 중단 시에 외부 가스나 공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가스나 공기가 이젝터를 통해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노즐 입구에도 체크밸브(미도시)를 설치하여 구동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젝터(14)의 공기 흡입구(10)와 공기 배출구(11)에는 연료전지 시스템측과 환기구측에 각각 연결가능한 어댑터(22a,22b)를 각각 가지는 플렉시블관(23a,23b)이 각각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이젝터 공기 흡입구와 같은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의 흡입유체 입구(연료전지 시스템측과의 연결부)는 작업의 편의와 냉각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수 서비스 포트와의 연결에 적합한 어댑터(22a)와 직접 또는 플렉시블관(23a)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냉각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배관과 피팅이나 어댑터와 직접 또는 플렉시블과(23b)을 통해 직접 또는 어댑터(22b)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여러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150)의 캡을 탈거하고,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즉 이젝터(14)를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150)에 연결한다.
다음, 상기 이젝터(14)의 노즐에 시설공기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가압공기, 즉 구동유체를 주입하고, 이를 통해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수 주입라인에는 진공(음압)이 발생한다.
다음, 가압공기 주입을 멈추었을 때 체크밸브(21)로 인해 외부 공기는 연료전지 시스템 냉각유로 및 라디에이터(110)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이젝터 내부에는 진공(음압)이 유지된 상태가 되면서 냉각수 주입 시에 발생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유로 내의 공기를 빨아들여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냉각수 주입라인을 통해 냉각수를 주입하고, 정량의 냉각수가 주입되면 라디에이터 캡을 닫는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냉각수 주입을 돕기 위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수 펌프(1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이젝터(14)의 공기 흡입구로부터 연장되는 플렉시블관(23a)을 어댑터(미도시)를 이용하여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15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이렇게 플렉시블관(23a)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냉각수가 주입되는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150) 이외의 다른 곳에 이젝터(14)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즉, 이젝터(14)의 공기 흡입구로부터 연장되는 플렉시블관(23a)을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수 유로, 예를 들면 스택(100) 후단에서 연장되는 배기측 냉각수 유로(120)에 설치된 포트(180)에 연결하고, 냉각유로에 잔류하는 공기나 냉각수 주입작업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냉각수 증기를 외부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는 스택에 냉각수를 주입할 때,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주입구 포트(150) 또는 다른 냉각수 유로(120)의 포트에서 진공 또는 음압을 발생시켜서 스택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종래의 복잡한 구조 및 고가의 진공(음압) 발생장치를 대신하여, 간단하고 경제적인 이젝터 구조의 진공(음압) 발생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냉각수 주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최소화하면서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수 주입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쉽고 빠르게 정량의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다.
10 : 공기 흡입구 11 : 공기 배출구
12 : 흡입측 유로 13 : 배출측 유로
13a : 벤튜리부 13b : 디퓨저부
14 : 이젝터 15 : 공급유체 공급부
16 : 구동유체 공급기
18 : 홀 19 : 노즐
20 : 배출라인 21 : 체크밸브
22a,22b : 어댑터 23a,23b : 플렉시블관
24 : 에어건 25 : 탄성부재
100 : 스택 110 : 라디에이터
120 : 냉각수 유로 130 : 이온제거기
140 : 냉각수 펌프 150 :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
160 : 냉각수 리저버 170 : 진공펌프
180 : 포트

Claims (6)

  1. 스택 유로 내에 냉각수 주입 시 구동유체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시스템 냉각유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수단으로서,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유로측 또는 라디에이터 서비스 포트측과 연결되는 아래쪽의 공기 흡입구와 대기 중으로 통하는 앞쪽의 공기 배출구를 가지면서 내부에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수직의 흡입측 유로와 수평의 배출측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뒷쪽에서 배출측 유로의 내부에 구동유체를 공급하는 구동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며,
    구동유체 공급과 함께 연료전지 시스템 내부에 음압 또는 진공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이젝터의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에는 연료전지 시스템측과 환기구측에 각각 연결가능한 어댑터를 각각 가지는 플렉시블관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구동유체 공급부는 이젝터 뒤쪽에서 공기 배출구와 동축선상으로 형성되고 구동유체 공급기나 시설공기 라인으로 부터의 구동유체를 공기배출구로 분사하여 이젝터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스택내에서 배출되는 잔류가스가 흡입측 유로와 배출측 유로를 거쳐 배출되어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수 주입라인에 음압이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의 배출측 유로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벤튜리부와 디퓨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체 공급부는 구동유체 공급기나 시설공기 라인을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이젝터 뒷쪽의 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체 공급부는 구동유체 공급기 또는 시설공기 라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의 공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라인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출라인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6. 삭제
KR1020140105617A 2014-08-14 2014-08-14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KR10161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617A KR101610489B1 (ko) 2014-08-14 2014-08-14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617A KR101610489B1 (ko) 2014-08-14 2014-08-14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670A KR20160020670A (ko) 2016-02-24
KR101610489B1 true KR101610489B1 (ko) 2016-04-07

Family

ID=5544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617A KR101610489B1 (ko) 2014-08-14 2014-08-14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1604B1 (fr) * 2016-05-20 2018-06-15 Safran Aircraft Engines Systeme de regulation thermique pour pile a combusti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9844A (ja) 2007-04-17 2008-11-06 Denso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9844A (ja) 2007-04-17 2008-11-06 Denso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670A (ko)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4599B2 (ja) 燃料電池整備用残存水素除去装置
KR101610457B1 (ko) 이젝터 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매니폴드
CN103380526B (zh) 燃料电池系统、燃料电池系统的用途以及具有燃料电池系统的飞行器
CN103099582A (zh) 一种玻璃表面清洁装置
CN112452959A (zh) 一种管路清洗装置及清洗方法
KR101610489B1 (ko)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 주입 보조장치
JP2009019835A (ja) 廃蒸気回収装置
CN115301620B (zh) 一种电池化成用负压组件的清洗方法及清洗工装
JP3238690U (ja) 緊急装置
JP2012037207A (ja) 廃蒸気回収装置
CN112452908B (zh) 一种清洗设备以及清洗电池化成设备的方法
CN213793277U (zh) 一种流体管路清洗装置
CN202040129U (zh) 一种汽轮机射水抽气器空气吸入装置
JP2010167742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4628933B2 (ja) 廃蒸気回収装置
KR101792785B1 (ko) 특장차용 물 저장 및 공급장치
JP2011131547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5180105B2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CN105329968B (zh) 一种多级溶气罐
CN211954568U (zh) 一种用于汽车水箱的漏气检测设备
CN215951107U (zh) 一种小瓶口快速进水排水装置
CN219920976U (zh) 清洁设备
CN210699442U (zh) 一种氯气吸收装置
CN107237756A (zh) 一种双止回阀螺杆自吸泵系统
CN220531239U (zh) 一种膜组件清洗枪及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