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407B1 -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 - Google Patents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407B1
KR101610407B1 KR1020100111233A KR20100111233A KR101610407B1 KR 101610407 B1 KR101610407 B1 KR 101610407B1 KR 1020100111233 A KR1020100111233 A KR 1020100111233A KR 20100111233 A KR20100111233 A KR 20100111233A KR 101610407 B1 KR101610407 B1 KR 101610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control valve
stack
hydrogen
ej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969A (ko
Inventor
정세권
반현석
이현준
노용규
심효섭
권부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4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99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or computational algorithms, e.g. feedback control loops, fuzzy logic, neural networks or artificial intellig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출력 이젝터와 고출력 이젝터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고 각각의 이젝터를 독립된 컨트롤 밸브로 제어함으로, 블로어 없이 이젝터만으로 연료전지의 수소 재순환을 수행할 수 있는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에 있어서, 스택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연료 탱크에서 유입되는 순수 수소와 혼합하여 상기 스택에 다시 주입하며, 서로 다른 크기의 노즐을 구비하고 병렬 연결되는 제 1 이젝터 및 제 2 이젝터; 상기 제 1 이젝터 및 제 2 이젝터 각각의 노즐에 유입되는 상기 순수 수소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 1 컨트롤 밸브 및 제 2 컨트롤 밸브;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 및 제 2 컨트롤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저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가 개방 작동하고 고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 2 컨트롤 밸브가 개방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Recirculation Structure of Hydrogen for Fuel Cell using Multistage Ejector}
본 발명은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출력 이젝터와 고출력 이젝터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고 각각의 이젝터를 독립된 컨트롤 밸브로 제어함으로, 블로어 없이 이젝터만으로 연료전지의 수소 재순환을 수행할 수 있는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에너지 자원의 고갈과 함께 찾아온 고유가 시대에 대체 에너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연료전지 차량이 주목받고 있다.
연료전지 차량은 수소를 연료로 하여 연료전지 스택(Stack)에서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차량이다. 연료전지 차량의 연료인 수소는 가스 상태에서 그 부피가 매우 크므로, 한번 충전하여 충분한 주행거리를 달성하기 위해서 고압 가스나 액체 수소 또는 금속수소화물 형태로 저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연료전지 시스템은 미반응 수소를 수소 재순환 블로어를 통해 스택 입구 쪽으로 재순환하여 재사용한다. 이렇게 할 경우 스택 내 수소 유량의 증가로 인해 스택 내 반응물의 분포가 균일해져 균일한 셀 전압분포를 얻을 수 있고, 결국 안정적으로 스택을 운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 전지의 수소 재순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수소 재순환 구조는, 수소 재순환 블로어(20)와 이젝터(10, 12)가 직렬로 연결되어 블로어(20)와 이젝터(10, 12)가 동시에 스택(1) 배출 가스를 재순환 시키는 구조이다.
스택(1)에서 배출된 가스(H2, N2, H2O 혼합 가스)는 블로어(20)를 지나며 가속되어 이젝터(10, 12)로 들어간다. 이때, 이젝터(10, 12)는 하나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 2개 이상의 이젝터를 동시에 사용하며, 모든 이젝터(10, 12)는 하나의 컨트롤 밸브(24)에 의해 유량이 제어된다. 상기 스택 배출 가스는 연료 탱크(2)로 부터 주입되는 순수 수소와 이젝터(10, 12)에서 혼합되며 가속되어 스택(1)으로 다시 주입됨으로 재순환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이젝터(10, 12)로 주입되는 순수 수소의 유량은 컨트롤 밸브(24)에 의하여 제어되며, 제어 방식은 이젝터 후단의 압력계(22)에 의해 측정된 압력 P1에 기반하여 P1이 특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수소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때, 제어부(30)는 상기 압력계(22)에서 측정된 압력을 입력으로 받으며, 컨트롤 밸브(24) 및 블로어(20)를 포함한 각 밸브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저출력 영역에서는 블로어(20)가 스택(1) 배출 가스를 재순환시키고, 고출력 영역에서는 이젝터(10, 12)가 스택(1) 배출 가스를 재순환 시키는 방법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수소 재순환 구조는, 블로어(20)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력이 전체 연료전지 시스템상에서 기생전력으로 작용하며, 고출력(고유량) 영역에서 재순환 가스의 양이 많은 경우 블로어(20)의 회전수가 과도하게 올라가므로 높은 성능의 블로어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스택 출구에서 배출된 가스가 이젝터 만에 의하여 가속되어 스택 입구로 재공급되는 재순환방식을 취함으로 블로어 없이 연료전지의 수소 재순환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는,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에 있어서, 스택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연료 탱크에서 유입되는 순수 수소와 혼합하여 상기 스택에 다시 주입하며, 서로 다른 크기의 노즐을 구비하고 병렬 또는 직렬 연결되는 제 1 이젝터 및 제 2 이젝터; 상기 제 1 이젝터 및 제 2 이젝터 각각의 노즐에 유입되는 상기 순수 수소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 1 컨트롤 밸브 및 제 2 컨트롤 밸브;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 및 제 2 컨트롤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저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가 개방 작동하고 고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 2 컨트롤 밸브가 개방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택의 출구와 이젝터 입구 사이에서 스택 배출 가스의 역류 방지를 위해 구비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젝터의 출구와 스택 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계의 압력 측정치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 및 제 2 컨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고출력 모드에서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와 상기 제 2 컨트롤 밸브를 함께 개방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에 의하면, 저출력 이젝터와 고출력 이젝터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이젝터만으로 연료전지의 수소 재순환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블로어 없이 연료전지의 수소 가스 재순환이 가능하게 되어 기생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재순환 가스의 유량에 관계없이 블로어를 생략하고도 수소 가스의 재순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체 시스템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재순환 구조에 있어서 직렬 연결된 이젝터의 재순환 가스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는 서로 다른 크기의 노즐을 구비하고 병렬 연결되는 제 1 이젝터(100) 및 제 2 이젝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이젝터(11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이젝터(100)에 구비된 노즐보다 더 큰 노즐을 구비함으로, 상기 제 2 이젝터(110)는 제 1 이젝터(100)보다 더 큰 순수 수소 유입 유량을 갖는다. 상기 2개의 이젝터(100, 110)는 하나의 하우징 안에서 같이 사출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노즐 사이즈에 따라 다른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1 이젝터(100) 및 제 2 이젝터(110)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컨트롤 밸브(102) 및 제 2 컨트롤 밸브(112)는 연료 탱크(2)에서 공급되는 순수 수소의 각 이젝터(100, 110)에 대한 유입 유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 밸브(102, 112)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On/Off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료 탱크(2)에서 공급되는 순수 수소는 각 이젝터(100, 110)에 구비된 노즐을 통해 상기 이젝터(100, 110) 내부로 분사되어, 스택(1)에서 배출된 배출 가스(H2, N2, H2O 혼합 가스)와 혼합된다.
상기 노즐에 의해 분사된 순수 수소는 이젝터(100, 110) 내부에서 벤추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이젝터(100, 110) 전단에서 후단으로 펌핑 작용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이젝터(100, 110)는 저압의 수소 가스를 연료전지 스택(1)으로 공급하는 기능 외에, 고압의 수소 가스가 노즐을 통과함에 따른 고속의 수소 제트(jet)가 만드는 저압을 이용하여 스택(1) 내의 미반응 수소 가스를 흡입하여 재순환 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택(1)에서 배출된 배출 가스는 이젝터(100, 110) 전단으로 흡입되어 상기 이젝터(100, 110)의 펌핑 작용을 통해 순수 수소와 섞이게 되며, 스택(1) 입구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102) 및 제 2 컨트롤 밸브(112)는 제어부(120)에 연결되어 개폐 동작을 제어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순수 수소의 유입 유량이 적은 저출력 영역에서는 제 1 컨트롤 밸브(102) 만을 개방할 수 있으며, 순수 수소의 유입 유량이 많은 고출력 영역에서는 제 2 컨트롤 밸브(112)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출력 영역에서는 제 1 이젝터(100)를 통해 순수 수소가 유입되어 스택 배출 가스의 재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출력 영역에서는 제 2 이젝터(110)를 통해 상기 스택 배출 가스의 재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고출력 영역에서 제 1 컨트롤 밸브(102)와 제 2 컨트롤 밸브(112)를 모두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병렬 연결된 상기 제 1 이젝터(100)와 제 2 이젝터(110)를 통해 순수 수소의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택 배출 가스의 재순환이 상기 제 1 이젝터(100) 및 제 2 이젝터(110)를 통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102)를 항상 개방상태에 두고, 고출력 영역에서만 상기 제 2 컨트롤 밸브(112)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102) 및 제 2 컨트롤 밸브(112)의 제어는 이젝터(100, 110) 출구와 스택(1) 입구 사이의 압력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젝터(100, 110) 출구와 스택(1) 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계(130)는 이젝터(100, 110) 출구와 스택(1) 입구 사이의 압력(P1)을 측정하여 제어부(120)로 입력하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압력(P1) 값이 설정 범위 이내에 있도록 컨트롤 밸브(102, 112)를 제어하여 순수 수소의 유량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택(1) 출구와 이젝터(100, 110) 입구 사이에는 스택 배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104, 11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젝터(100, 110) 중 순수 수소가 유입되지 않는 이젝터의 경우 흡입력이 발생하지 않아 스택(1) 출구와 해당 이젝터 입구 사이에서 스택 배출 가스의 역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크 밸브(104, 114)는 상기 스택(1) 출구와 이젝터(100, 110) 입구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류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102)가 항상 개방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 1 이젝터(100)에는 항상 순수 수소가 유입되므로 스택(1) 출구와 제 1 이젝터(100) 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체크 밸브(104)를 생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는 서로 다른 크기의 노즐을 구비하고 직렬 연결되는 제 1 이젝터(200) 및 제 2 이젝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이젝터(21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이젝터(200)에 구비된 노즐보다 더 큰 노즐을 구비함으로, 상기 제 2 이젝터(210)는 제 1 이젝터(200)보다 더 큰 순수 수소 유입 유량을 갖는다. 상기 2개의 이젝터(200, 210)는 하나의 하우징 안에서 같이 사출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젝터(200) 및 제 2 이젝터(210)는 각각 제 1 컨트롤 밸브(202) 및 제 2 컨트롤 밸브(212)와 연결되어 연료 탱크(2)로부터 순수 수소를 공급받는다. 이때, 상기 순수 수소는 각 이젝터(200, 210)에 구비된 노즐을 통해 상기 이젝터(200, 210) 내부로 분사되어, 스택(1)에서 배출된 배출 가스와 혼합된다.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202) 및 제 2 컨트롤 밸브(212)는 제어부(120)에 의해 개폐 동작이 제어되는데, 상기 제어부(120)는 순수 수소의 유입 유량이 적은 저출력 영역에서는 제 1 컨트롤 밸브(202)만을 개방할 수 있으며, 순수 수소의 유입 유량이 많은 고출력 영역에서는 제 2 컨트롤 밸브(212)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출력 영역에서는 제 1 이젝터(200)를 통해 순수 수소가 유입되어 스택 배출 가스의 재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출력 영역에서는 제 2 이젝터(210)를 통해 상기 스택 배출 가스의 재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저출력 영역에서 제 1 이젝터(200)를 통해 순수 수소가 유입될 경우, 순수 수소가 유입되지 않는 제 2 이젝터(210)는 상기 제 1 이젝터(200)를 통과한 기체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직렬 연결된 상기 제 1 이젝터(200)와 제 2 이젝터(210)의 배치 순서는 서로 바뀌어도 무관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고출력 영역에서 제 1 컨트롤 밸브(202)와 제 2 컨트롤 밸브(212)를 모두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직렬 연결된 상기 제 1 이젝터(200)와 제 2 이젝터(210)를 통해 순수 수소의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택 배출 가스의 재순환 과정에서 상기 제 1 이젝터(200) 및 제 2 이젝터(210)가 함께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202)를 항상 개방상태에 두고, 고출력 영역에서만 상기 제 2 컨트롤 밸브(212)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택(1) 출구와 이젝터(200, 210) 입구 사이에는 스택 배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204, 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204, 214)는 흡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이젝터가 있을 경우 해당 이젝터 입구와 스택(1) 출구 사이에서 스택 배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202)가 항상 개방상태에 있을 경우, 스택(1) 출구와 제 1 이젝터(200) 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체크 밸브(204)를 생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 따라 직렬 연결된 이젝터(200, 210)에 의한 재순환 가스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출력용 제 1 이젝터(200)에는 크기가 작은 노즐(201)이 구비되어 있고, 고출력용 제 2 이젝터(210)에는 크기가 큰 노즐(211)이 구비되어 있다.
이젝터(200, 210)에 공급되는 순수 수소의 양은 노즐(201, 211) 크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노즐(201, 211) 크기가 클수록 동일 압력에서 많은 유체를 분사할 수 있는 반면에, 노즐(201, 211) 크기가 작을수록 분사되는 유체의 속도가 높아져 이젝터의 성능이 증가하게 된다.
저출력용 제 1 이젝터(200)는 연료 전지 차량의 저출력 영역에서 사용되는 수소의 유량에 맞추어 작은 크기의 노즐(201)을 사용하며, 적은 유량의 순수 수소가 공급되어도 높은 압력 상승 및 재순환 유량을 만들어 내도록 한다. 또한, 재순환 유량이 고출력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주로 압력 상승 성능에 중점을 두도록 한다.
한편, 고출력용 제 2 이젝터(210)는 차량의 최대출력에서까지 재순환 유량을 유지하는 것이 주 목적으로써, 스택에 필요한 최대 수소 공급 유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큰 크기의 노즐(211)을 사용한다. 상기 노즐(211)은 압력상승 대비 재순환 유량 성능이 높도록 설계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를 설명하였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 개의 서로 다른 노즐 크기를 갖는 이젝터가 각각 병렬 연결 또는 직렬 연결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다수개의 이젝터가 각각 병렬 연결 또는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이젝터는 서로 다른 크기의 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이젝터는 각각 별도의 컨트롤 밸브에 의하여 순수 수소의 유입 유량이 제어되며, 이에 따라 저출력 영역에서 고출력 영역까지 다양한 단계로 각 이젝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저출력 영역 또는 고출력 영역에서 변화하는 재순환 가스의 유량에 구애받지 않고 블로어 없이 이젝터 만으로 수소 가스의 재순환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블로어 구동을 위해 필요한 기생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시스템 전체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한 사람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 : 스택 2 : 연료 탱크
100, 200 : 제 1 이젝터 110, 210 : 제 2 이젝터
102, 202 : 제 1 컨트롤 밸브 112, 212 : 제 2 컨트롤 밸브
104, 114, 204, 214 : 체크 밸브
120 : 제어부 130 : 압력계

Claims (4)

  1.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에 있어서,
    스택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연료 탱크에서 유입되는 순수 수소와 혼합하여 상기 스택에 다시 주입하며, 서로 다른 크기의 노즐을 구비하고 스택의 후단에 병렬 연결되어 스택에서 배출된 배출 가스가 전단으로 흡입되도록 하고 스택의 전단에 병렬 또는 직렬 연결되어 수소가스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제 1 이젝터 및 제 2 이젝터;
    상기 제 1 이젝터 및 제 2 이젝터 각각의 노즐에 유입되는 상기 순수 수소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 1 컨트롤 밸브 및 제 2 컨트롤 밸브;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 및 제 2 컨트롤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이젝터들은 연료 탱크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수소가스가 노즐로 분사되어 통과하면서 제 1 및 제2 이젝터들 내부에서 발생된 저압에 의해 이젝터들 각각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펌핑 작용을 발생하여 스택 내의 미반응 수소 가스를 흡입하여 재순환시키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저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가 개방 작동하고 고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 2 컨트롤 밸브가 개방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의 출구와 이젝터 입구 사이에서 스택 배출 가스의 역류 방지를 위해 구비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의 출구와 스택 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계의 압력 측정치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 및 제 2 컨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출력 모드에서 상기 제 1 컨트롤 밸브와 상기 제 2 컨트롤 밸브를 함께 개방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
KR1020100111233A 2010-11-10 2010-11-10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 KR101610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33A KR101610407B1 (ko) 2010-11-10 2010-11-10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33A KR101610407B1 (ko) 2010-11-10 2010-11-10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69A KR20120049969A (ko) 2012-05-18
KR101610407B1 true KR101610407B1 (ko) 2016-04-07

Family

ID=4626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233A KR101610407B1 (ko) 2010-11-10 2010-11-10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0131A (zh) * 2020-06-24 2020-10-02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回氢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758B1 (ko) * 2015-04-07 2017-08-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941356B1 (ko) * 2016-06-22 2019-01-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E102021200008A1 (de) * 2021-01-04 2022-07-07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zirkulation von Anodengas in einem Anodenkreis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Brennstoffzellensystem
CN113067013B (zh) * 2021-03-23 2022-09-20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系统的供氢装置
DE102021210060A1 (de) * 2021-09-13 2023-03-1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zirkulation von Anodengas in einem Anodenkreis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Brennstoffzellensystem
CN116845277A (zh) * 2023-08-08 2023-10-03 山东凯格瑞森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燃料电池的串联双极引射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187A (ja) 2002-04-24 2003-11-05 Nissan Motor Co Ltd エゼクタ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燃料循環装置
JP2003338302A (ja) 2002-05-21 2003-11-28 Nippon Soken Inc 水素供給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187A (ja) 2002-04-24 2003-11-05 Nissan Motor Co Ltd エゼクタ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燃料循環装置
JP2003338302A (ja) 2002-05-21 2003-11-28 Nippon Soken Inc 水素供給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0131A (zh) * 2020-06-24 2020-10-02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回氢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69A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407B1 (ko) 다단 이젝터를 사용한 연료전지 수소 재순환 구조
CN101459248B (zh) 用于燃料电池系统的多级直列式燃料管喷射器
US9214684B2 (en) Fue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fuel cell system
CN112072145B (zh) 氢气减压调控系统、方法、设备、电池系统及设计方法
KR101610457B1 (ko) 이젝터 기능을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매니폴드
Jenssen et al. Improved PEM fuel cell system operation with cascaded stack and ejector-based recirculation
JP2018060757A (ja) エゼクタ、燃料供給装置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592656B1 (ko) 연료전지용 공기공급 장치 및 방법
JP2013235813A (ja) 統合型マニホールドブロックを有する燃料電池用水素供給システム
JP2005340047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10756363B2 (en) Hydrogen circulation system for fuel cell
JP7096689B2 (ja) 燃料ガス噴射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2012345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11362356B2 (en) Fuel cell system
JP3729150B2 (ja) エゼクタ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燃料循環装置
KR100968172B1 (ko) 수소 재순환장치용 이젝터
JP2010278130A (ja) パワーデバイスの冷却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10083413A (ko) 연료전지의 수소 재순환 시스템
CN103797629A (zh) 用于运行燃料电池系统的方法
JP200704850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730256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220748669U (zh) 一种多级并列式喷射器的氢燃料再循环系统
KR20110092468A (ko) 연료전지용 수소 재순환 이젝터
CN214170969U (zh) 一种适用于120kw燃料电池系统的引射器
KR101926915B1 (ko) 연료극 가스 재순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