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334B1 -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 Google Patents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334B1
KR101610334B1 KR1020150056923A KR20150056923A KR101610334B1 KR 101610334 B1 KR101610334 B1 KR 101610334B1 KR 1020150056923 A KR1020150056923 A KR 1020150056923A KR 20150056923 A KR20150056923 A KR 20150056923A KR 101610334 B1 KR101610334 B1 KR 101610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k
thread
fastening
circumferential surface
front fl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to KR102015005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334B1/ko
Priority to PCT/KR2015/004037 priority patent/WO20161712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0Locking exclusively by special shape of the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나사산부를 갖는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대상물에 체결되는 순서대로 도입나사산, 체결나사산 및 완료나사산으로 구획되며, 상기 도입나사산은 상기 체결나사산 및 상기 완료나사산보다,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작은 체적을 가지며 정점(頂點)에서의 각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나사산과 상기 완료나사산은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같을 시 상기 대상물에 체결되는 순서대로 체적이 커지는,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ANTI LOOSENING SCREW}
본 발명은 대상물에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자체 형상에 의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나사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 및 수요 증대에 힘입어 체결요소 부품도 전자제품의 트렌드를 따라 소형화·정밀화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는 슬림화, 경량화와 함께 생활방수 이상의 방수 기능을 요구함으로써, 기기가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안정성도 높여가고 있다.
이러한 전자제품의 고품질화는 기구적인 기능이나 디자인 뿐만 아니라, 체결요소 부품의 품질과 신뢰성의 향상도 수반되어야 한다.
체결요소 부품의 하나인 스크루(screw)는 환봉의 외주면 또는 둥근 구멍의 내주면을 따라서 나선 모양의 홈을 절삭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우수한 체결력과 강도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꾸준히 사용되어 오고 있다.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림화에 따라 스크루도 그 길이나 직경이 작아지므로, 요구되는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는 설계 또는 재질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스크루의 고품질화는 헤드 또는 나사산 등을 포함하는 나사의 설계, 풀림방지 등의 기능 확대, 단조 또는 전조 등이 포함된 제조방법의 개선 등의 세부요소기술을 예정할 수 있다.
방수 나사는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체결부위를 통하여 누수 또는 누출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링이나 가스켓 등이 포함된 형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사의 풀림이 발생하면 기본적인 체결력 뿐만 아니라, 방수 효과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방수 나사의 풀림방지 설계는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그에 반해, 방수 나사에 풀림방지를 위한 형상만을 두는 경우에는 토크가 증가하여 체결성을 떨어뜨리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임의의 체결 위치에서도 풀림방지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체결성을 증대시킨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나사산부를 갖는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대상물에 체결되는 순서대로 도입나사산, 체결나사산 및 완료나사산으로 구획되며, 상기 도입나사산은 상기 체결나사산 및 상기 완료나사산보다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높은 반면, 정점(頂點)에서의 각이 상기 체결나사산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나사산과 상기 완료나사산은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같을 시 상기 대상물에 체결되는 순서대로 체적이 커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도입나사산은 제1 산정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1 후측 플랭크면과 제1 전측 플랭크면을 갖고, 상기 제1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1 전측 플랭크면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측 플랭크면에는 상기 대상물과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제1 전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전이부는 상기 제1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1 전측 플랭크면보다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에 대한 기울기가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료나사산과 상기 체결나사산은 제2 산정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2 후측 플랭크면과 제2 전측 플랭크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2 전측 플랭크면은 측면에서 볼 때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측 플랭크면에는 상기 대상물과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제2 전이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이부는 상기 제2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2 전측 플랭크면과의 접점에서보다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에 대한 기울기가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료나사산과 상기 체결나사산은 제1 완료나사산과 상기 제1 완료나사산에 이웃하는 제1 체결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완료나사산은 제3 산정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3 후측 플랭크면과 제3 전측 플랭크면을 갖고, 상기 제1 체결나사산은 제4 산정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4 후측 플랭크면과 제4 전측 플랭크면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 및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전측 플랭크면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고, 상기 제3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전측 플랭크면은 서로 대향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은 상기 제3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전측 플랭크면보다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에 대한 기울기가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에는 상기 대상물과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제3 전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전이부는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3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경사면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경사면은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보다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에 대한 기울기가 작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에 의하면, 나사산부의 도입나사산이 완료나사산이나 체결나사산보다 높이가 높고 밑변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도입나사산과 대상물과의 마찰력이 증대됨으로써, 방수 나사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방수 나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산부에 전이부가 형성됨에 따라, 방수 나사가 대상물과의 체결 시 전이부가 가이드 역할을 함으로써 대상물과의 체결이 원만하게 이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10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20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30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400)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500)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10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100)는, 헤드부(110)와 몸통부(130)와, 나사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10)는 상면에 드라이버나 다른 도구가 끼워져 방수 나사(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홈이 형성된다. 공구홈은 십자형상 또는 일자형상일 수 있다.
몸통부(130)는 헤드부(110)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rode)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몸통부(130)는 방수 나사(100)가 체결 대상물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부(150)를 구비한다.
나사산부(150)는 몸통부(130)의 둘레면(131)으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서, 나사산부(150)는 둘레면(131)에 나사산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이다. 이 때 나사산부(150)는 대상물에 체결되는 순서대로 도입나사산(155), 체결나사산(153), 및 완료나사산(151)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입나사산(155), 체결나사산(153), 및 완료나사산(151)은 각각의 산정을 중심으로 양측에 산정과 둘레면(131)을 연결하는 플랭크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입나사산(155)은 몸통부(130)의 선단측에 형성된다. 도입나사산(155)은 체결나사산(153)보다 작은 체적을 가지고, 정점(頂點)에서의 각이 체결나사산(15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적은 제1 산정(155a)을 축으로 둘레면(131)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에 따른 제1 산정(155a)에서 둘레면(131)까지의 단면적들을 모두 합산한 값이다.
여기서, 도입나사산(155)은 체결나사산(153)과 완료나사산(151)보다 둘레면(131)으로부터 높이가 높은(H2〉H1), 즉 둘레면(131)으로부터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나, 동일한 높이로 돌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입나사산(155)은 제1 산정(155a)을 축으로 측면으로서 제1 전측 플랭크면(155c)과 제1 후측 플랭크면(155b)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측 플랭크면(155c)과 제1 후측 플랭크면(155b)은 각각 제1 산정(155a)과 둘레면(131)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1 후측 플랭크면(155b)과 제1 전측 플랭크면(155c)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이나, 곡선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도입나사산(155)은 다른 나사산과 체적에 차이를 줌으로써, 방수 나사의 대상물과의 체결력을 증대시킨다. 여기서, 도입나사산(155)과 다른 나사산과의 체적의 차이는 방수 나사의 대상물로의 처음 진입시의 체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나사산(153)과 완료나사산(151)은 측면에서 볼 때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나사산(153)과 완료나사산(151)은 측면으로서 제2 전측 플랭크면(151c)과 제2 후측 플랭크면(151b)을 가질 수 있다. 제2 전측 플랭크면(151c)과 제2 후측 플랭크면(151b)은 제2 산정(151a)과 바닥면(131)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2 전측 플랭크면(151c)과 제2 후측 플랭크면(151b)은 측면에서 볼 때 곡선 형태이나, 직선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체결나사산(153)과 완료나사산(151)은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면(131)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같을 시 대상물에 체결되는 순서대로 체적이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100)는 나사산부(150)에 있어서 도입나사산(155)이 체결나사산(153)이나 완료나사산(151) 보다 동일한 높이에서의 체적이 작도록 형성된다.
이에, 방수 나사(100)는 대상물과의 체결시 상대적으로 체적이 작은 도입나사산(155)이 먼저 진입한 후 상대적으로 체적이 큰 체결나사산(153)과 완료나사산(151)이 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방수 나사(100)는 상대적으로 체적인 작음으로 인해 대상물과의 저항이 적은 도입나사산(155)이 먼저 진입하여 대상물에 나사선을 형성시킨 후, 그 나사선을 따라 체결나사산(153)과 완료나사산(151)이 진입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방수 나사(10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대적으로 체적이 큰 체결나사산(153)과 완료나사산(151)의 진입이 이루어짐으로써, 대상물에 보다 큰 마찰력으로 나사선을 형성시킨다. 이 때, 체결나사산(153)과 완료나사산(151)이 체결되는 순서대로 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졌다면, 사용자는 한 번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부드럽게 방수 나사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100)의 체결성을 더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도입나사산(155)에 체결성을 증대시키는 전이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20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2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헤드부(210)와 몸통부(230)와, 나사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부(250)는 도입나사산(255), 체결나사산(253) 및 완료나사산(2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입나사산(255)은 체결나사산(253)보다 작은 체적을 가지고, 체결나사산(253)에 이르는 동안 높이가 점증하는 형태를 가지며, 정점에서의 각이 체결나사산(25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입나사산(255)은 제1 전측 플랭크면(255c)과 제1 후측 플랭크면(25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측 플랭크면(255c)과 제1 후측 플랭크면(255b)은 제1 산정(255a)과 둘레면(231)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1 전측 플랭크면(255c)과 제1 후측 플랭크면(255b)은 측면에서 볼 때 곡선 형태이나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200)는, 제1 전측 플랭크면(255c)에 대상물과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제1 전이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이부(270)는 제1 전측 플랭크면(255c)과 둘레면(231)을 연결하는 제1 경사면(27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경사면(271)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이나, 곡선 형태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제1 전이부(270)는 측면에서 볼 때 제1 전측 플랭크면(255c)과 둘레면(231) 및 제1 경사면(271)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때 그 단면은 삼각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1 경사면(271)은 제1 전측 플랭크면(255c)보다 둘레면(231)에 대한 기울기가 작을 수 있다. 즉, 제1 경사면(271)의 둘레면(231)에 대한 기울기 a는 제1 전측 플랭크면(255c)의 둘레면(231)에 대한 기울기 b보다 작다. 이에, 제1 전이부(270)는 도입나사산(255)보다 단면적이 작은 삼각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제1 전이부(270)는 도입나사산(255)의 제1 전측 플랭크면(255c)에 형성됨에 따라, 도입나사산(255)의 대상물에 대한 체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200)는 도입나사산(255)의 제1 전측 플랭크면(255c)에 제1 전이부(270)가 형성됨에 따라, 대상물과의 체결시 제1 전이부(270)가 먼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방수 나사(200)는 상대적으로 대상물과의 저항성이 적은 제1 전이부(270)가 먼저 대상물에 진입된 후 도입나사산(255)이 진입됨에 따라 대상물에 더욱 더 쉽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입나사산(255)의 제1 전측 플랭크면(255c)은 대상물과의 체결 시 방수 나사(200)의 진입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방수 나사(200)는 대상물과의 체결시 도입나사산(255)의 제1 전측 플랭크면(255c)에 사용자의 힘이 집중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200)는 제1 전측 플랭크면(255c)에 제1 전이부(27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입나사산(255)이 제1 전이부(270)에 의해 보강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 전이부(270)는 도입나사산(255)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300)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3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헤드부(310)와 몸통부(330)와, 나사산부(350)를 포함할 수 있고, 나사산부(350)는 도입나사산(255), 체결나사산(253) 및 완료나사산(35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300)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300)는 도입나사산(355)에 제1 전이부(370)가 형성된 것과 더불어, 완료나사산(351) 및 체결나사산(353)에 제2 전이부(39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300)는 체결나사산(353)과 완료나사산(351)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때 측면으로서 제2 전측 플랭크면(351c)과 제2 후측 플랭크면(351b)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완료나사산(351)과 체결나사산(353)의 제2 전측 플랭크면(351c)에는 대상물과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제2 전이부(39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이부(390)는 제2 전측 플랭크면(351c)과 둘레면(331)을 연결하는 제2 경사면(39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경사면(391)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이나 곡선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경사면(391)은 제2 전측 플랭크면(351c)과의 접점에서의 몸통부(330)의 둘레면(331)에 대한 기울기보다 작은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경사면(391)의 둘레면(331)에 대한 기울기 a는 제2 전측 플랭크면(351c)과의 접점에서의 둘레면(331)에 대한 기울기 c보다 작다. 여기서, 기울기 a는 제1 경사면(371)의 기울기와 동일하나, 다른 기울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제2 전이부(390)는 완료나사산(351)이나 체결나사산(353)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제2 전이부(390)는 제1 전이부(370)와 마찬가지로 완료나사산(351) 및 체결나사산(353)의 제2 전측 플랭크면(351c)에 형성됨에 따라, 방수 나사의 대상물과의 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방수 나사(300)는 대상물과의 체결 시 대상물과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적은 제2 전이부(390)가 대상물에 먼저 진입한 후 체결나사산 또는 완료나사산이 진입하게 됨으로써, 대상물에 쉽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300)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전이부(370)도 함께 구비함으로써 더욱더 체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2 전이부(390)는 제1 전이부(370)와 마찬가지로, 방수 나사의 체결 시 힘이 집중되는 체결나사산(353) 및 완료나사산(351)의 제2 전측 플랭크면(351c)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그들의 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400)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4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헤드부(410)와 몸통부(430)와, 나사산부(450)를 포함할 수 있고, 나사산부(450)는 도입나사산(455), 체결나사산(453) 및 완료나사산(45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4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4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와 달리 완료나사산(451) 및 체결나사산(453)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완료나사산(451)과 체결나사산(453)은 제1 완료나사산(451-1)과 제1 완료나사산(451-1)에 이웃하는 제1 체결나사산(45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료나사산(451-1)은 제3 산정(451-1a)과 몸통부(430)의 둘레면(431)을 연결하는 제3 전측 플랭크면(451-1c)과 제3 후측 플랭크면(451-1b)을 갖는다. 제1 체결나사산(453-1)은 제4 산정(453-1a)과 둘레면(431)을 연결하는 제4 전측 플랭크면(453-1c)과 제4 후측 플랭크면(453-1b)을 갖는다.
여기서, 제3 전측 플랭크면(451-1c)과 제3 후측 플랭크면(451-1b), 및 제4 전측 플랭크면(453-1c)과 제4 후측 플랭크면(453-1b)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이나 곡선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전측 플랭크면(451-1c)과 제4 후측 플랭크면(453-1b)은 서로 대향하고, 제3 후측 플랭크면(451-1b)과 제4 전측 플랭크면(453-1c)은 서로 대향하지 않는다.
또한, 대향하는 제3 전측 플랭크면(451-1c)과 제4 후측 플랭크면(453-1b)은 대향하지 않는 제3 후측 플랭크면(451-1b)과 제4 전측 플랭크면(453-1c)보다 몸통부(430)의 둘레면(431)에 대한 기울기가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울기 f가 기울기 d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400)는 제3 전측 플랭크면(451-1c)과 제4 후측 플랭크면(453-1b)에는 대상물과의 체결성을 증대시키는 제3 전이부(4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전이부(470)는 제3 전측 플랭크면(451-1c)과 몸통부(430)의 둘레면(431)을, 제4 후측 플랭크면(453-1b)과 둘레면(431)을 연결하는 제3 경사면(47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경사면(471)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일 수 있으나, 곡선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경사면(471)은 제3 전측 플랭크면(451-1c)과 제4 후측 플랭크면(453-1b)보다 둘레면(431)에 대한 기울기가 작을 수 있다. 즉, 기울기 e는 기울기 f보다 작다.
이에, 제3 전이부(470)는 완료나사산(451)이나 체결나사산(453)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방수 나사(400)는 풀림 방지 기능이 증대될 수 있다.
즉, 방수 나사(400)는 대상물과 체결시 체결이 완료되기 직전에는 제4 후측 플랭크면(453-1b)이 대상물에 진입한 후 제3 전측 플랭크면(451-1c)가 진입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방수 나사(400)를 체결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400)는 대향하는 제3 전측 플랭크면(451-1c)과 제4 후측 플랭크면(453-1b)이 대향하지 않는 제3 전측 플랭크면(451-1c)과 제4 후측 플랭크면(453-1b)보다 둘레면(431)에 대한 기울기가 큰 형상을 가짐으로써, 이들로 둘러싸인 대상물에 각 나사산의 외측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방수 나사(400)는 대상물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대상물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방수 나사(400)는 이후 대상물로부터 쉽게 풀려지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400)는 완료나사산부(451)의 제3 전측 플랭크면(451-1c)과 체결나사산부(453)의 제4 후측 플랭크면(453-1b)이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풀림 방지 기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500)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5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헤드부(510)와 몸통부(530)와, 나사산부(550)를 포함할 수 있고, 나사산부(550)는 도입나사산(555), 체결나사산(553) 및 완료나사산(55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5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5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와 달리 완료나사산(551)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완료나사산(551)은 제1 완료나사산(551-1)과 제1 완료나사산(551-1)에 이웃하는 제2 완료나사산(5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료나사산(551-1)은 제5 산정(551-1a)과 몸통부(530)의 둘레면(531)을 연결하는 제5 전측 플랭크면(551-1c)과 제5 후측 플랭크면(551-1b)을 갖고, 제2 완료나사산(551-2)은 제6 산정(551-2a)과 둘레면(531)을 연결하는 제6 전측 플랭크면(551-2c)과 제6 후측 플랭크면(551-2b)을 갖는다.
여기서, 제5 전측 플랭크면(551-1c)과 제5 후측 플랭크면(551-1b), 및 제6 전측 플랭크면(551-2c)과 제6 후측 플랭크면(551-2b)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이나 곡선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5 전측 플랭크면(551-1c)과 제6 후측 플랭크면(551-2b)은 서로 대향하고, 제5 후측 플랭크면(551-1b)과 제6 전측 플랭크면(551-2c)은 서로 대향하지 않는다.
또한, 대향하지 않는 제5 후측 플랭크면(551-1b)과 제6 전측 플랭크면(551-2c)은 대향하는 제5 전측 플랭크면(551-1c)과 제6 후측 플랭크면(551-2b)보다 둘레면(531)에 대한 기울기가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울기 g는 기울기 i보다 크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방수 나사(500)는 대향하지 않는 제5 후측 플랭크면(551-1b)과 제6 전측 플랭크면(551-2c)에 대상물과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제4 전이부(5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전이부(570)는 제5 후측 플랭크면(551-1b)과 둘레면(531)을, 제6 전측 플랭크면(551-2c)과 둘레면(531)을 연결하는 제4 경사면(57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경사면(571)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일 수 있으나, 곡선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4 경사면(571)은 제5 후측 플랭크면(551-1b)이나 제6 전측 플랭크면(551-2c)보다 둘레면(531)에 대한 기울기가 작을 수 있다. 즉, 기울기 h는 기울기 g보다 작다.
이에, 제4 전이부(570)는 완료나사산(551)이나 체결나사산(553)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50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방수 나사의 풀림 방지 기능이 향상된다.
즉, 방수 나사(500)는 대상물과 체결시 거의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제2 완료나사산(551-2)이 대상물에 진입한 후 제1 완료나사산(551-1)이 진입하는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가 방수 나사(400)를 체결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400)는 대향하지 않는 제5 후측 플랭크면(551-1b)과 제6 전측 플랭크면(551-2c)은 대향하는 제5 전측 플랭크면(551-1c)과 제6 후측 플랭크면(551-2b)보다 둘레면(531)에 대한 기울기가 크기 때문에, 제5 후측 플랭크면(551-1b)의 전방과 제6 전측 플랭크면(551-2c)의 전방에 위치하는 대상물에 각 나사산의 외측방향으로 응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방수 나사(500)는 대상물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대상물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방수 나사(500)는 이후 대상물로부터 쉽게 풀려지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나사(500)는 완료나사산부(551)의 제5 후측 플랭크면(551-1b)과 제6 전측 플랭크면(551-2c)이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풀림 방지 기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 방수 나사
110, 210, 310, 410, 510 : 헤드부
130, 230, 330, 430, 530 : 몸통부
131, 231, 331, 431, 531 : 둘레면
150, 250, 350, 450, 550 : 나사산부
151, 251, 351, 451, 551 : 완료나사산
151a : 제2 산정
151b, 351b : 제2 후측 플랭크면
151c, 351c : 제2 전측 플랭크면
153, 253, 353, 453, 553 : 체결나사산
155, 255, 355, 455, 555 : 도입나사산
155a, 255a : 제1 산정
155b, 255b : 제1 후측 플랭크면
155c, 255c : 제1 전측 플랭크면
270, 370 : 제1 전이부 271 : 제1 경사면
390 : 제2 전이부 391 : 제2 경사면
451-1 : 제1 완료나사산 451-1a : 제3 산정
451-1b : 제3 후측 플랭크면 451-1c : 제3 전측 플랭크면
453-1 : 제1 체결나사산 453-1a : 제4 산정
453-1b : 제4 후측 플랭크면 453-1c : 제4 전측 플랭크면
470 : 제3 전이부 471 : 제3 경사면
551-1 : 제1 완료나사산 551-1a : 제5 산정
551-1b : 제5 후측 플랭크면 551-1c : 제5 전측 플랭크면
551-2 : 제2 완료나사산 551-2a : 제6 산정
551-2b : 제6 후측 플랭크면 551-2c : 제6 전측 플랭크면
570 : 제4 전이부 571 : 제4 경사면

Claims (15)

  1.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나사산부를 갖는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대상물에 체결되는 순서대로 도입나사산, 체결나사산 및 완료나사산으로 구획되며,
    상기 도입나사산은 상기 체결나사산 및 상기 완료나사산보다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높은 반면, 정점(頂點)에서의 각이 상기 체결나사산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나사산과 상기 완료나사산은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같을 시 상기 대상물에 체결되는 순서대로 체적이 커지며,
    상기 완료나사산과 상기 체결나사산은 제2 산정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2 후측 플랭크면과 제2 전측 플랭크면을 갖고,
    상기 제2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2 전측 플랭크면은 측면에서 볼 때 곡선 형태이며,
    상기 제2 전측 플랭크면에는 상기 대상물과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제2 전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전이부는 상기 제2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완료나사산과 상기 체결나사산은 제1 완료나사산과 상기 제1 완료나사산에 이웃하는 제1 체결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완료나사산은 제3 산정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3 후측 플랭크면과 제3 전측 플랭크면을 갖고, 상기 제1 체결나사산은 제4 산정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4 후측 플랭크면과 제4 전측 플랭크면을 가지며,
    상기 제3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 및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전측 플랭크면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이고,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은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3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전측 플랭크면은 서로 대향하지 않으며,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은 상기 제3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전측 플랭크면보다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에 대한 기울기가 큰,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나사산은 제1 산정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1 후측 플랭크면과 제1 전측 플랭크면을 갖고,
    상기 제1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1 전측 플랭크면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측 플랭크면에는 상기 대상물과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제1 전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전이부는 상기 제1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1 전측 플랭크면보다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에 대한 기울기가 작은,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2 전측 플랭크면과의 접점에서보다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에 대한 기울기가 작은,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에는 상기 대상물과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제3 전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전이부는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과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제3 경사면을 포함하는,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경사면은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태인,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경사면은 상기 제3 전측 플랭크면과 상기 제4 후측 플랭크면보다 상기 몸통부의 둘레면에 대한 기울기가 작은,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KR1020150056923A 2015-04-23 2015-04-23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KR101610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923A KR101610334B1 (ko) 2015-04-23 2015-04-23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PCT/KR2015/004037 WO2016171293A1 (ko) 2015-04-23 2015-04-23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방수 나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923A KR101610334B1 (ko) 2015-04-23 2015-04-23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334B1 true KR101610334B1 (ko) 2016-04-08

Family

ID=5590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923A KR101610334B1 (ko) 2015-04-23 2015-04-23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0334B1 (ko)
WO (1) WO201617129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938A (ko) *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서울금속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KR102060581B1 (ko) 2017-03-30 2019-12-30 주식회사 서울금속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 스크류
KR20200018096A (ko) 2018-08-10 2020-02-19 이종환 풀림방지형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9413A1 (de) * 2016-10-17 2018-04-18 Bossard AG Befestigungsel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020A (ja) 1999-03-16 2000-09-26 Max Co Ltd ネジ及びネジの締結方法
JP2003517546A (ja) 1999-12-14 2003-05-27 エヨト フェルビンドゥングステヒニ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 カーゲー セルフタッピンね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19U (ja) * 1991-02-05 1994-01-21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溶接スタッドボルト
KR20050111744A (ko) * 2005-08-20 2005-11-28 콘티 패스너즈 아게 저유연성 재료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나사골 제작용 나사
KR20090006288A (ko) *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 서울금속 스크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020A (ja) 1999-03-16 2000-09-26 Max Co Ltd ネジ及びネジの締結方法
JP2003517546A (ja) 1999-12-14 2003-05-27 エヨト フェルビンドゥングステヒニ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 カーゲー セルフタッピンね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938A (ko) *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서울금속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KR102060581B1 (ko) 2017-03-30 2019-12-30 주식회사 서울금속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 스크류
KR102060574B1 (ko) 2017-03-30 2020-02-20 주식회사 서울금속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KR20200018096A (ko) 2018-08-10 2020-02-19 이종환 풀림방지형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1293A1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334B1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KR100872756B1 (ko) 차량 루프 안테나 장착용 조립체
US9790979B2 (en) Self-tapping screw
US9200661B2 (en) Flow drill screw
US20170108026A1 (en) Screw
US8475101B2 (en) Locking screw
TWI652411B (zh) 免工具拆裝的緊固件
CA2599006C (en) Aircraft structural element provided with a cavity and drainage element
US20160010675A1 (en) Connection device for tubes
JP2010155309A (ja) 埋込みピンの引抜き構造
US8702363B2 (en) Lock nut and a fastening unit comprising the same
US8556559B2 (en) Connection assembly
JP5627951B2 (ja) ねじ
US20140097614A1 (en) Joint fastening structure
KR20160049358A (ko) 풀림이 방지된 전자기기용 나사
KR200474546Y1 (ko) 멀티 스타트 나사를 구비하는 스크류형 퀵 클램프
KR102020267B1 (ko) 이중나사선 볼트 및 너트
US10465738B2 (en) Lock threaded assembly
US20220021146A1 (en) F-type female port with snap-in feature
JP4950911B2 (ja) 締結用部材
US11867221B2 (en) Stud
US20140286729A1 (en) Tapping screw
US9249822B2 (en) Screws
JP5458192B1 (ja) カバークランプ用連結金具
KR101508221B1 (ko) 볼트 풀림 방지용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