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574B1 -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 Google Patents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574B1
KR102060574B1 KR1020170040960A KR20170040960A KR102060574B1 KR 102060574 B1 KR102060574 B1 KR 102060574B1 KR 1020170040960 A KR1020170040960 A KR 1020170040960A KR 20170040960 A KR20170040960 A KR 20170040960A KR 102060574 B1 KR102060574 B1 KR 102060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k
screw
fastening
thread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938A (ko
Inventor
나승우
황우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to KR102017004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5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0036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001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body into which the screw is screwe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에는 상기 나사산과 상기 몸체부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의 나사산 각도보다 완만한 나사산 각도를 가지는 전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체결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나사산의 플랭크면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나사산의 플랭크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는 체결 대상물의 재질 및 체결 깊이에 따라 나사산의 형상 및 개수를 달리하여 사용해야 하는 종래 태핑스크류와는 다르게 나사산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전이부에 의해서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될 수 있기 때문에 체결 대상물의 재질 및 체결 깊이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체결시 체결 대상물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반복 재사용 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TAPPING SCREW TO IMPROVE FORCE FOR CONTRACTING AND PREVENTING LOOSENING}
본 발명은 태핑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물이나 연질금속 또는 경질금속 재질 등 체결 대상물의 재질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 할 수 있는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사 또는 스크류(screw, 이하 '스크류'라 함)는 기계부품이나 전자기기를 포함하여 복수의 부품을 결합시킬 경우에 사용하는 부품으로서, 통상 강한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을 갖는다. 이러한 스크류는 시공성이 용이하며, 체결 대상물(또는 모재)에 따라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스크류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단면 형상에 따라 삼각 스크류, 사각 스크류, 사다리꼴 스크류, 톱니 스크류, 둥근 스크류 및 볼스크류 등으로 나뉘며, 머리 형상에 따라 무두스크류, 접시머리 스크류, 둥근머리스크류 및 납작머리스크류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된다.
또한, 스크류의 형태에 따라 작은 스크류, 멈춤 스크류, 태핑스크류, 헬리 인서트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된다.
여기서, 태핑스크류(Tapping-screw)는 스크류 자체로 체결 대상물을 깎을 수 있는 스크류이다. 이러한 태핑스크류는 머리 모양에 따라서 냄비 태핑스크류, 접시 태핑스크류, 둥근 접시 태핑스크류, 6각 태핑스크류 등으로 분류되며, 합성수지 등과 같은 사출소재나 알루미늄 등의 연질의 소재 및 두께가 얇은 스틸(steel) 소재 등과 같이 체결 대상물(모재)의 재질이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스크류의 종류가 달라진다.
가령, 합성수지나 사출물 등과 같은 스틸 소재에 비해 무른 재질을 가지는 체결 대상물에 체결할 때에는 체결 대상물(모재) 또는 스크류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나사산 간격(pitch)이 넓고 나사부 몸체부가 하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원뿔형태의 태핑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태핑스크류가 체결 대상물에 체결될 때 나사산 들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나사산의 걸림 간격이 넓어져 체결 대상물의 변형이 최소화되고 스크류의 반복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뿔 형태의 태핑스크류는 나사산들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극히 짧은 체결 깊이를 갖는 구조 및 체결 대상물에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합성수지 등에 비해 재질이 강한 연경질 금속 소재의 체결 대상물에 체결할 때에는 체결 대상물과 동일 수준으로 태핑스크류를 가공한다. 이때, 태핑스크류의 나사산들의 간격을 좁게 하여 나사산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스크류에 의해 토크(torque) 값이 감소되어 진동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스크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나사산들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 나사산의 개수를 늘어난 태핑스크류는 초박형 구조 및 짧은 체결 깊이를 갖는 초정밀 전자제품 등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006619호 (발명의 명칭: 제1나사산과 제2나사산을 갖는 패스너, 공개일: 2001.01.26.)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핑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 대상물의 재질에 관계 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나 사출물, 알루미늄 등의 연질의 금속, 두께가 얇은 체결 대상물에 사용할 수 있는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에는 상기 나사산과 상기 몸체부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의 나사산 각도보다 완만한 나사산 각도를 가지는 전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체결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나사산의 플랭크면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나사산의 플랭크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상기 몸체부의 체결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플랭크면; 및 상기 제1 플랭크면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체결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플랭크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전이부는 상기 제1 플랭크면 또는 상기 제2 플랭크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이부는, 상기 제1 플랭크면 또는 상기 제2 플랭크면과 접촉되는 제1 전이면; 및 상기 제1 전이면과 대향되게 마련되며, 하단이 상기 몸체부와 접촉되는 제2 전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이면 및 상기 제2 전이면은 상기 제1 플랭크면 또는 상기 제2 플랭크면 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이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전이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이면의 경사는 상기 제2 전이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이면과 상기 제1 플랭크면 또는 상기 제2 플랭크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전이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이면과 상기 제1 플랭크면 또는 상기 제2 플랭크면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전이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전이 나사골에 의해서 체결 대상물이 상기 나사산에 가하는 추가 압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서부터 상기 전이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몸체부에서부터 상기 나사산까지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나사산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이부는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보다 작은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랭크면과 상기 전이부의 정상부 사이 또는 상기 제2 플랭크면과 상기 전이부의 정상부 사이에는 전이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태핑스크류의 태핑체결시 상기 제1 플랭크면 또는 상기 제2 플랭크면을 타고 유동되는 체결 대상물과 상기 전이 나사골 사이의 간섭에 의해 상기 체결 대상물이 상기 나사산에 가하는 추가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는 체결 대상물의 재질 및 체결 깊이에 따라 나사산의 형상 및 개수를 달리하여 사용해야 하는 종래 태핑스크류와는 다르게 나사산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전이부에 의해서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될 수 있기 때문에 체결 대상물의 재질 및 체결 깊이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체결시 체결 대상물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반복 재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는 전이부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나사산을 형성하는 전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의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의나사산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태핑스크류의 전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100, 이하 '태핑스크류'라 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핑스크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태핑스크류의 단면도 및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태핑스크류의 나사산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태핑스크류의 전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핑스크류(100)는, 머리부(110) 및 머리부(110)에서부터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130)이 형성되는 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머리부(110)는 몸체부(120)와 연결되거나 몸체부(120)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머리부(110)의 일단부에는 몸체부(120)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미도시)는 태핑스크류(100)를 체결 대상물(101)에 체결하기 위한 공구 등이 끼워질 수 있는 부분으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홈 또는 그루브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머리부(1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체결부(미도시)에 끼워지는 공구에 의해 몸체부(120)가 체결 대상물(101)의 내부에 삽입되면, 머리부(110)의 일단부가 체결 대상물(101)과 접촉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머리부(110)를 원기둥의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20)는 일단부가 머리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20)는 머리부(110)의 크기 또는 직경 방향 길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체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몸체부(12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나사산(130)이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머리부(110)와 마주보는 몸체부(120)의 타단부는 체결 대상물(101)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용하도록 원추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개의 나사산(130)이 마련되는 몸체부(120)는 태핑스크류(100)가 체결 대상물(101)에 대해 체결되는 방향(F)및 그 역할에 따라 도입부(122), 체결부(124) 및 완료부(126)로 구분되거나, 도입부(122), 체결부(124) 및 완료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20)의 도입부(122)는 몸체부(120)가 체결 대상물(101)에 대해 진입을 시작하는 부분으로서, 나사산(130)과 체결 대상물(101)이 최초로 나사 결합하는 부분이며, 체결 대상물(101)의 내부에 몸체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산(130)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20)의 체결부(124)는 도입부(122)에 의해 체결 대상물(101)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체결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체결부(124)는 몸체부(120)가 도입부(122)에 의해 체결 대상물(101)에 진입한 후에 도입부(122)에 이어서 나사산(130)이 체결 대상물(101)과 체결되는 부분이다.
또한, 몸체부(120)의 완료부(126)는 체결 대상물(101)의 내부에 마지막으로 삽입되어 몸체부(120)와 체결 대상물(101)의 체결이 완료되는 부분으로, 도입부(122) 및 체결부(124)가 삽입되어 위치되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체결 대상물(101)의 내부에 몸체부(120)의 도입부(122), 체결부(124) 및 완료부(126)가 삽입되어 위치되면, 몸체부(120)의 일단부와 연결된 머리부(110)의 일단부가 체결 대상물(101)과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20)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나사산(130)은 제1 플랭크면(132), 제1 플랭크면(132)과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플랭크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몸체부(120)가 체결 대상물(101)에 진입할 때, 동일한 나사산에 대해서 체결방향(F)의 앞쪽에 위치하는 플랭크면을 제1 플랭크면(132), 뒤쪽에 위치하는 플랭크면을 제2 플랭크면(134)으로 정의할 수 있다.
나사산(130)의 제1 플랭크면(132)과 제2 플랭크면(134)은 대략 삼각형으로 마련되며, 나사산(130)의 제1 플랭크면(132)과 제2 플랭크면(134)의 교점에 의해 정상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플랭크면(132)과 제2 플랭크면(134)의 경사가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제1 플랭크면(132) 및 제2 플랭크면(134)을 포함하는 나사산(130)은 대칭 나사산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요구되는 체결력 또는 풀림방지력에 따라 제1 플랭크면(132)과 제2 플랭크면(134)의 경사가 다르게 형성되거나 수직선에 대해서 나사산의 모양이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복수개의 나사산(130) 들의 정상부(131)의 높이(H)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플랭크면(132)과 제2 플랭크면(134)에 의해 형성되는 나사산각도(α) 즉, 제1 플랭크면(132)과 제2 플랭크면(134) 사이의 나사산 각도 또한 모든 나사산(130)에 대해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몸체부(120)에 복수개의 나사산(13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조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복수개의 나사산(130)이 전조 과정에서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나사산(130)에 형성된 전이부(140)에 의해서 전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나사산(130)의 파손 또는 나사산(130)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이부(140)는 몸체부(120)에 형성된 나사산(130)과 몸체부(120)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나사산(130)의 일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전이부(140)는 몸체부(120)의 체결방향(F) 전방에 위치하는 나사산(130)의 플랭크면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나사산(130)의 플랭크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이부(140)는 나사산(130)의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전이부(140)는 나사산(130)의 제2 플랭크면(13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태핑스크류(100)의 세부요건, 설계제원 또는 선택되는 구체적인 설계요구사항 등에 따라 나사산(130)의 제1 플랭크면(132)에 전이부(1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나사산(130)의 모양이 제1 플랭크면(132)의 나사산 각도가 제2 플랭크면(134)의 나사산 각도 보다 큰 비대칭인 경우에 전이부(140)는 제1 플랭크면(132)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이부(140)가 제2 플랭크면(134)에 형성된 태핑스크류(100)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이부(140)는 제2 플랭크면(134)에 형성되되 전이부(140)의 하단은 몸체부(120)의 외면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이부(140)가 제1 플랭크면(132)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전이부(140)의 하단은 몸체부(120)의 외면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130)은 제1 플랭크면(132) 및 제2 플랭크면(134)의 경사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태핑스크류(100)의 플랭크면 중에서 서로 마주 보는 제1 플랭크면(132)과 제2 플랭크면(134) 사이에는 체결을 위한 응력(σ)이 발생하게 되는데, 제1 플랭크면(132)에서 체결 대상물(101)을 향해 발생하는 응력(σ)과 제2 플랭크면(134)에서 체결 대상물(101)을 향해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서 태핑스크류(100)와 체결 대상물(101)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이부(140)가 복수개의 나사산(130)의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에 마련됨에 따라, 나사산(130)의 제2 플랭크면(134)과 서로 마주 보는 다른 나사산(130)의 제1 플랭크면(132) 사이로 응력(σ)이 집중되기 때문에, 태핑스크류(100)의 풀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합성수지 또는 연질의 금속재질인 체결 대상물(101)에 태핑스크류(100)를 체결할 때, 태핑스크류(100)의 나사산(130)에 의해서 절개된 체결 대상물(101)은 칩(chip)의 형태로 서로 마주보는 나사산(130) 사이를 유동하게 되는데, 이 때 유동되는 칩 형태의 체결 대상물(101)의 흐름과 전이부(140)가 상호 간섭을 일으켜서 추가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핑스크류(100)의 전이부(140)에는 전이 나사골(145)이 형성되어 있는데, 전이 나사골(145)에 의해 상기한 추가응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에 형성되는 전이부(140)의 일면 하단이 몸체부(120)에 맞닿게 형성됨으로써 나사산(130)의 뿌리쪽 두께 내지 크기를 크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나사산(130)이 전조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전이부(140)는 나사산(130)의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과 접촉되는 제1 전이면(142), 제1 전이면(142)과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20)와 접촉되는 제2 전이면(1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이면(142)과 제2 전이면(144)의 교점에 의해 전이 정상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이면(142)의 길이는 제2 전이면(144)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전이면(142)의 경사는 제2 전이면(144)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이면(142)과 제2 전이면(144) 사이의 폭은 전이부(14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전이면(144)은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전이 정상부(141)에서부터 몸체부(120) 쪽으로 갈수록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과 제2 전이면(144)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이면(142)은 전이 정상부(141)에서부터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전이면(144)은 전이 정상부(141)에서부터 몸체부(120)의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이부(140)의 제1 전이면(142) 및 제2 전이면(144)은 나사산(130)의 제1 플랭크면(132) 및 제2 플랭크면(134) 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플랭크면(132)과 제2 플랭크면(134)은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고, 제2 전이면(144)은 제1 플랭크면(132) 및 제2 플랭크면(134) 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며, 제1 전이면(142)은 제1 전이면(142)의 경사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이부(140)의 제1 전이면(142)과 제2 전이면(144) 사이의 나사산 각도는 나사산(130)의 제1 플랭크면(132)과 제2 플랭크면(134) 사이의 나사산 각도보다 큰 각도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산(130)의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에 전이부(140)가 형성되는 것 만으로도 체결 대상물(101)에 대해 체결되는 태핑스크류(100)의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이부(140)의 제1 전이면(142)과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이 만나는 지점 즉, 전이 나사골(145)에는 추가 압력(P)이 발생될 수 있다. 태핑스크류(100)가 체결 대상물(101)과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 대상물(101)이 나사산(130)의 제1 및 제2 플랭크면(132, 134)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에 의해서 태핑스크류(100)의 풀림방지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의 하단부에 전이부(140)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 전이면(142)과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이 만나서 형성되는 전이 나사골(145)에 의해서 체결 대상물(101)이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의 가하는 힘에 대한 반력이 생길 수 있고, 이 반력에 대한 추가 반력 또는 추가 압력(P)이 생길 수 있다. 결국, 전이 나사골(145)에 의해서 발생하는 추가 압력(P)에 의해서 체결 대상물(101)과의 풀림방지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과 함께 전이 정상부(141) 사이에 형성되는 전이 나사골(145)은 스크류(100)의 태핑체결시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을 타고 유동되는 체결 대상물(101)과 전이 나사골(145) 사이의 간섭을 통한 체결 대상물(101)이 나사산(130)에 가하는 추가 압력(P)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핑스크류(100)는 전이부(140)의 제1 전이면(142)과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이 만나는 전이 나사골(145)에 발생되는 추가 압력(P)으로 인하여 태핑스크류(100)의 체결 대상물(101)에 대한 강한 체결력과 풀림방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이 나사골(145)의 깊이로 인해서 전이 나사골(145)은 제2 플랭크면(134)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서 태핑스크류(100)의 체결시 칩의 형태로 서로 마주보는 나사산(130) 사이를 유동하는 절개된 체결 대상물(101)이 제2 플랭크면(134)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플랭크면(134)과 맞닿는 체결 대상물(101)의 면과 제2 플랭크면(134)이 더욱 밀착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전이부(140)의 높이(도 5의 a 참조), 전이부(140)의 하단 두께(도 5의 b 참조), 전이부(140)의 상단 두께(도 5의 c 참조), 전이 나사골(145)의 깊이(도 5의 d 참조) 등 전이부(140)을 구성하는 다양한 설계 요소를 조절하거나 변경하여 전이 나사골(145)의 경사 각도를 보다 크게 함으로써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전이면(144)의 경사가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합성수지 등과 같은 사출소재나 알루미늄 등의 경합금 소재 및 두께가 얇은 스틸 소재 등 다양한 재질 및 체결 깊이에 관계없이 체결력 또는 풀림방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사산(130)의 제1 플랭크면(132) 또는 제2 플랭크면(134)에 형성된 모든 전이부(140)의 높이(h) 즉, 몸체부(120)의 외면에서부터 전이 정상부(141)까지의 높이(h)는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전이부(140)의 높이(h)는 상술한 나사산(130)의 높이(H)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나사산(130)의 높이(H)가 1cm 라면 전이부(140)의 높이(h)는 0.5cm 이거나 그 보다 더 작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이부(140)의 높이(h)는 나사산(130)의 높이(H)의 절반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100)는 체결 대상물의 재질 및 체결 깊이에 따라 나사산의 형상 및 개수를 달리하여 사용해야 하는 종래 태핑스크류와는 다르게 나사산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전이부에 의해서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될 수 있기 때문에 체결 대상물의 재질 및 체결 깊이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체결시 체결 대상물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반복 재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100)는 전이부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나사산을 형성하는 전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태핑스크류
110: 머리부
120: 몸체부
130: 나사산
131: 정상부
132: 제1 플랭크면
134: 제2 플랭크면
140: 전이부
141: 전이 정상부
142: 제1 전이면
144: 제2 전이면
145: 전이 나사골

Claims (9)

  1. 체결 대상물의 재질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태핑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은, 상기 체결 대상물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체결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플랭크면; 및 상기 제1 플랭크면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체결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플랭크면; 을 포함하며,
    상기 나사산과 상기 몸체부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 각도보다 완만한 나사산 각도를 가지는 전이부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2 플랭크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이부는 상기 제2 플랭크면과 접촉되는 제1 전이면; 및 상기 제1 전이면과 대향되게 마련되며, 하단이 상기 몸체부와 접촉되는 제2 전이면;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이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전이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이면의 경사는 상기 제2 전이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2 전이면과 상기 제2 플랭크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전이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상기 제1 전이면과 상기 제2 전이면 사이의 나사산 각도가 상기 나사산의 제1 플랭크면과 상기 제2 플랭크면 사이의 나사산 각도보다 큰 각도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전이면과 상기 제2 플랭크면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 상기 제2 플랭크면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전이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태핑스크류가 상기 체결 대상물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이 나사골에 의해 상기 체결 대상물이 상기 제2 플랭크면에 가하는 힘에 대한 반력 및 상기 반력에 대한 추가 반력이 발생되며,
    상기 전이 나사골은 상기 전이 나사골의 깊이로 인해서 상기 제2 플랭크면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태핑스크류의 체결시 칩의 형태로 상기 나사산 사이를 유동하는 절개된 상기 체결대상물이 상기 제2 플랭크면 쪽으로 당겨져서 상기 제2 플랭크면과 맞닿는 상기 체결대상물의 면과 상기 제2 플랭크면이 밀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부터 상기 전이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몸체부에서부터 상기 나사산까지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8. 제1항에 있어서,
    나사산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나사산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전이부는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보다 작은 높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랭크면과 상기 전이부의 정상부 사이에는 전이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태핑스크류의 태핑체결시 상기 제2 플랭크면을 타고 유동되는 체결 대상물과 상기 전이 나사골 사이의 간섭에 의해 상기 체결 대상물이 상기 나사산에 가하는 추가압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KR1020170040960A 2017-03-30 2017-03-30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KR102060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60A KR102060574B1 (ko) 2017-03-30 2017-03-30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60A KR102060574B1 (ko) 2017-03-30 2017-03-30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38A KR20180110938A (ko) 2018-10-11
KR102060574B1 true KR102060574B1 (ko) 2020-02-20

Family

ID=6386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960A KR102060574B1 (ko) 2017-03-30 2017-03-30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5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7546A (ja) 1999-12-14 2003-05-27 エヨト フェルビンドゥングステヒニ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 カーゲー セルフタッピンねじ
JP2011038576A (ja) * 2009-08-10 2011-02-24 Kofu Seibyo Co Ltd 緩み止めねじ
KR101610334B1 (ko) 2015-04-23 2016-04-08 주식회사 서울금속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KR101680208B1 (ko) * 2016-03-28 2016-12-07 주식회사 서울금속 풀림방지가 용이한 태핑나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464B2 (ja) * 1992-11-26 2002-01-15 株式会社スズキ螺子製作所 弛み防止ねじ
JP3109980B2 (ja) * 1995-06-16 2000-11-20 日東精工株式会社 タッピンね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7546A (ja) 1999-12-14 2003-05-27 エヨト フェルビンドゥングステヒニ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 カーゲー セルフタッピンねじ
JP2011038576A (ja) * 2009-08-10 2011-02-24 Kofu Seibyo Co Ltd 緩み止めねじ
KR101610334B1 (ko) 2015-04-23 2016-04-08 주식회사 서울금속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나사
KR101680208B1 (ko) * 2016-03-28 2016-12-07 주식회사 서울금속 풀림방지가 용이한 태핑나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38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4300A (en) Self-locking fastener
EP1296070B1 (en) Bolt and nut
KR102238236B1 (ko) 나사
KR20180093137A (ko) 탭핑나사
KR20000068651A (ko) 나사홈 형성 나삿니를 갖춘 조임 나사
KR20110131210A (ko) 셀프 탭핑 스레드 형성 스크류 및 대응하는 스레드 롤 다이
KR102060574B1 (ko)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스크류
DE102015222889B4 (de) Gewindeformende oder gewindefurchende Schraub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Leichtmetall sowie Anordnung aus Schraube und Mutternbauteil
CN108779794B (zh) 一种紧固元件
KR102445528B1 (ko) 나사체 설계 방법
KR102060581B1 (ko) 체결력 및 풀림방지력이 개선된 태핑 스크류
KR20210037238A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볼트
US9926962B2 (en) Self-tapping screw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80208B1 (ko) 풀림방지가 용이한 태핑나사
JP4954248B2 (ja) セルフタッピングねじ
KR102185997B1 (ko) 태핑 스크류
KR20190041488A (ko) 고성능 나사 전조 및 나사 로킹 체결구
WO2013080327A1 (ja) タッピンねじ
US20080038089A1 (en) Screw with two threads having different orientations
EP3339665A1 (en) Male threaded fastener
US5868536A (en) Male scre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80335075A1 (en) Structure of screw
JP3199619U (ja) 緩み止めナット
TWM541530U (zh) 防鬆螺絲
CN207246202U (zh) 一种侧面带连续三角形槽的防松螺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