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284B1 -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절단설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절단설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284B1
KR101610284B1 KR1020140188359A KR20140188359A KR101610284B1 KR 101610284 B1 KR101610284 B1 KR 101610284B1 KR 1020140188359 A KR1020140188359 A KR 1020140188359A KR 20140188359 A KR20140188359 A KR 20140188359A KR 101610284 B1 KR101610284 B1 KR 10161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iston
rotating body
rotating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1/00Cutting-off surplus material, e.g. gates; Cleaning and working on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1/00Cutting-off surplus material, e.g. gates; Cleaning and working on castings
    • B22D31/002Cleaning, working on castings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으로서, 슬라브의 절단에 의하여 절단면에서 발생되는 절단설을 제거하는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부림 바가 마련된 회전체; 피처리물의 측면과 평행한 위치에 상기 회전체가 위치하도록 상승시키는 회전체 승하강 수단; 상기 피처리물의 절단면에서 구부려져 있는 절단설이 원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구부림 바가 상기 절단설을 타격하도록 하는 회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절단설 제거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burr}
본 발명은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으로서, 슬라브의 절단에 의하여 절단면에서 발생되는 절단설을 제거하는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관 제철소에서 연속으로 생산되어지는 슬라브는 연주기의 롤을 따라 인발되고, 소정의 온도로 냉각되며 수요가의 주문에 따라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다. 이와 같은 슬라브의 절단과정에서 생성되어 지는 절단설(burr)이란, 연주기에서 생산된 슬라브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토치 절단 머신(torch cutting machine)에 의하여 일정한 치수로 절단되는 경우, 용융 산화 반응에 의해서 녹아내린 슬라브의 용융물이 슬라브의 절단면 저부에서 냉각, 융착되어 슬라브의 헤드부와 테일부의 저면에 생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슬라브의 절단설(burr)은 후속 압연공정에서 슬라브와 함께 압연되면, 코일 파단등과 같은 치명적인 결함을 압연제품에 초래하므로 반드시 압연 작업전에는 제거되어야 하는 것이다. 절단설 제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S)가 롤러 테이블(20)에 의해서 구동되어 일정한 위치에 도착하면, 센서(미도시)가 슬라브(S)를 감지하고, 절단설 제거 장치(21)의 상단 위치에 정지한다.
그러면, 절단설 제거 장치(21)의 피스톤(미도시)이 하부로부터 상승하여 스틱 형상의 칼날(22)이 슬라브(S)의 밑면에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되어진다. 그리고, 슬라브(S)를 이동시키는 롤러 테이블(20)을 역구동하여 슬라브(S)를 후진(역 방향)시키면, 슬라브(S)의 헤드부(Sa)에 위치한 절단설(B)는 칼날(22)에 의해서 걸려서 제거된다. 그리고, 슬라브(S)의 테일부(Sb)는 다시 슬라브(S)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작업 방법은 슬라브 하부의 절단설(burr)을 제거하기 위해 절단설의 제거 횟수를 1~3회로 설정하여 제거하였으나 피스톤과 피스톤 사이에 잔류 절단설이 존재하여 피스톤이 동작이 불량하였다. 특히 슬라브 디버링 후 쉬어 빔 틸팅을 하였는데도 피스톤에 잔류 절단설이 올려져 있을 경우 다음 슬라브 제거(디버링)시에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고 한번 슬라브 끝부분 위로 올려진 잔류 절단설은 다시 제거를 하여도 제거가 안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토치 커팅 머신 절단시 천연액화가스(LNG)를 사용할 경우 프로판 가스를 사용할 때보다는 열량이 떨어져 절단설이 국물처럼 흘러 절단면이 깨끗하지 못하여 잔류 절단설이 진행 방향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결착(융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1098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피처리물의 절단면의 절단설의 제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피처리물의 절단설이 제거되지 않고 구부러진 경우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부림 바가 마련된 회전체; 피처리물의 측면과 평행한 위치에 상기 회전체가 위치하도록 상승시키는 회전체 승하강 수단; 상기 피처리물의 절단면에서 구부려져 있는 절단설이 원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구부림 바가 상기 절단설을 타격하도록 하는 회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구부림 바가 돌출된 통형 하우징을 회전시켜 회전에 의하여 상기 구부림 바가 상기 절단설을 타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피스톤 홀을 가진 통형 하우징; 각 피스톤 홀마다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 홀에서 돌출 및 복귀하는 복수의 피스톤; 상기 복수의 피스톤의 끝단에 연결된 구부림 바; 상기 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피스톤 홀에서 돌출 및 복귀시키는 피스톤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이동체는, 상기 통형 하우징의 중심축에 위치하는 링크축; 상기 링크축과 상기 피스톤을 연결한 링크 결합시킨 링크암; 상기 링크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링크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암은, 일단이 상기 링크축과 힌지 결합된 제1링크암; 일단이 상기 제1링크암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피스톤에 결합된 제2링크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 승하강 수단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회전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체 승하강 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중심축에 위치한 링크축의 끝단을 거치한 베어링 블럭; 상기 베어링 블럭을 경사지게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하우징; 상기 베어링 블럭을 상기 가이드 레일 하우징을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베어링 블럭에 마련되어, 상기 링크축의 끝단에 연결된 베어링; 상기 베어링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피처리물이 이동되는 롤러 테이블의 하부측에서 상하로 승하강하는 절단 칼날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 테이블을 따라 진행하는 피처리물의 절단면 하부측에 형성된 절단설을 상기 절단 칼날을 회전시켜서 제거시키는 절단설 제거부; 상기 절단설 제거부에서 절단되지 않고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이 원위치되도록 상기 절단설을 타격하는 절단설 타격부; 상기 절단설 제거부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설을 1차 제거하며, 1차 제거되지 않고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을 상기 절단설 타격부를 이용하여 원위치시킨 후, 상기 절단설 제거부를 이용하여 상기 잔류 절단설을 2차 제거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피처리물의 절단면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1차 제거 과정; 1차 제거되지 않고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을 원위치시키는 구부림 원위치 과정; 상기 원위치된 잔류 절단설을 제거하는 2차 제거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제거 과정은, 롤러 테이블 상에 위치된 피처리물의 하부면에 절단 칼날을 상승시켜 피처리물의 저면에 밀착시키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을 전진 이동시켜 피처리물의 절단면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고 상기 절단 칼날을 하강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위치 과정은, 상기 피처리물의 측면에 구부림 바가 위치하도록 구부림 바를 상승시키는 과정; 1차 제거되지 않고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을 상기 구부림 바를 회전시켜 상기 절단설을 타격하여 원위치시키는 과정; 상기 구부림 바를 롤러 테이블 하측으로 하강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제거 과정은, 상기 피처리물을 후진시킨 후에 피처리물의 하부면에 절단 칼날을 상승시켜 피처리물의 저면에 밀착시키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을 전진 이동시켜 상기 잔류 절단설을 제거하는 제거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처리물을 전달할 때 발생되는 절단설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1차 제거되지 않고 구부러진 절단설을 타격하여 원위치시킨 후 2차 제거함으로써, 절단설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설의 2차 제거를 위한 수작업이 필요없어 공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절단설을 깨끗하게 제거함으로써, 장비 오동작을 방지하며 작업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절단설 제거 장치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설 제거 장치를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설 타격부에서의 회전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형 하우징을 도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링크체가 확장되지 않은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링크체가 확장되어 통형 하우징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형 하우징을 도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링크체가 확장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형 하우징이 장착된 상태에서 링크체가 확장되어 절단설 타격부의 구부림 바가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절단설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9 내지 도 15는 절단설을 제거하는 각 단계별 상황도를 도시한 그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설 제거 장치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설 타격부에서의 회전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형 하우징을 도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링크체가 확장되지 않은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링크체가 확장되어 통형 하우징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형 하우징을 도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링크체가 확장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형 하우징이 장착된 상태에서 링크체가 확장되어 절단설 타격부의 구부림 바가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절단설을 제거하는 피처리물의 예시를 슬라브(slab)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슬라브이외에 절단에 의하여 절단면에 절단설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피처리물에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절단설 제거부(100)는, 복수의 롤러(310)의 상부에서 슬라브가 이동되는 롤러 테이블(300)의 하부측에서 상하로 승하강하는 절단 칼날(111)을 구비하고, 롤러 테이블(300)을 따라 진행하는 슬라브의 절단면 하부측에 형성된 절단설을 절단 칼날(111)을 회전시켜서 제거시킨다.
슬라브의 하면에 형성된 절단설을 1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절단설 제거부(100)를 구비한다. 절단설 제거부(100)는 원통의 외주면에 복수의 칼날 장착홈(미도시)을 가지는 본체(110)를 구비한다.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양방향에 다단의 턱을 가진 칼날인 복수의 절단 칼날(111)들이 칼날 장착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볼트(미도시)로 고정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양측 회전축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 하우징(120)을 장착한다. 원통형 본체(110)의 일측 단부에는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미도시)를 연결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가 감속기(미도시)의 저단 축과 연결된다.
그리고, 절단설 제거부(100)는 본체(110)와 모터(미도시)를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롤러 테이블(300)의 양측방에 수직한 가이드 베이스(130)가 대응되게 고정되고, 그 내측 하단에는 각각 수직 실린더(미도시)가 각각의 가이드 베이스(13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수직 실린더(미도시)의 작동은 베어링 하우징(120)들을 승하강시켜 본체(110)와 모터(미도시)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승하강 작동중에 본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는 가이드 베이스(130)의 외측부에 위치하며, 본체(110)와 같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본체(1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체의 회전력에 의하여 절단 칼날(111)이 절단설을 제거할 수 있다.
절단설 제거부(100)를 통과하여 진행된 슬라브에서의 절단설은 제거되지만, 제거되지 않고 슬라브의 진행 방향으로 구부러진 절단설이 잔류 절단설로서 남을 수 있다. 특히 잔류 절단설이 올려져 구부려져 있을 경우 다음 슬라브 제거시에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고 한번 슬라브 끝부분 위로 올려진 잔류 절단설은 다시 제거를 하여도 제거가 안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절단설 제거 후에도 구부려져서 절단면과 평평하게 되어 남게 된 잔류 절단설을 다시 원위치시켜 절단면과 평평하게 되지 않도록 하는 절단설 타격부(200)를 구비하여, 원위치된 절단설을 절단설 제거부(100)를 통하여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절단설 타격부(200)는, 절단설 제거부(100)의 전방에서 구부림 바(212)를 구비하고, 절단설 제거부(100)에서 절단되지 않고 남겨져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이 원위치되도록 구부림 바(212)를 회전시켜 절단설을 타격하도록 한다. 주편인 슬라브가 이동 진행하는 방향의 절단설 제거부(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절단설 제거부(100)에서 절단되지 않고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을 타격하여 원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이란, 슬라브의 절단면에서 슬라브의 저면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절단면과 예각을 이루며 구부러진, 즉 슬라브 진행 방향으로 수평하거나 상측 방향으로 경사져 구부러진 절단설을 말한다. 따라서 원위치란 슬라브의 절단면과 예각을 이루며 구부러진 절단설을 슬라브의 절단면에서 슬라브의 저면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하여 절단설 제거부(100)는, 회전체(210), 회전체 승하강 수단(220), 회전 수단(230)을 구비한다.
회전체(210)는, 기둥체로서 기둥체의 측벽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구부림 바(212)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체(210)는 구부림 바(212)가 돌출된 통형 하우징(211)을 회전시켜 회전에 의하여 구부림 바(212)가 절단설을 타격할 수 있다.
회전체(210)는 통형 하우징(211), 피스톤(213), 구부림 바(212), 피스톤 이동체(2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형 하우징(211)은 길이 방향을 가지는 통형의 하우징으로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부 통형 하우징(211a)과 하부 통형 하우징(211b)이 볼트에 의하여 결합된 분리 결합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형 하우징(211)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피스톤 홀(2111)을 구비한다. 이러한 피스톤 홀(2111)은 통형 하우징(211)의 길이 방향의 일끝단에서 타끝단을 잇는 가상의 선에 이격되어 복수개로 위치할 수 있다. 각 피스톤 홀(2111)에는 슬리브(sleeve)(2112)가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2112)는 피스톤(213)이 통과할 수 있는 튜브관으로서, 피스톤(213)이 피스톤 홀(2111)에서 돌출 및 복귀 시에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2112)가 마련된 피스톤 홀(2111)은 피스톤(213)의 돌출 및 복귀 시에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슬리브(2112)는 조립시에 일체형으로 피스톤 홀(2111)에 마련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분되어, 상부 통형 하우징(211a)에 일부의 슬리브가 위치하고 하부 통형 하우징(211b)에 나머지 슬리브가 위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피스톤(213)은 각 피스톤 홀(2111)마다 마련되어, 피스톤 홀(2111)을 따라서 일부가 통형 하우징(211)의 벽에서 돌출되거나 복귀될 수 있다. 피스톤(213)은 기둥체 형태를 가져, 피스톤 홀(2111)의 내주에 접하여 위치한다. 피스톤(213)이 통형 하우징(211)에서 돌출되더라도 완전히 돌출되지 않고 피스톤(213)의 일부가 피스톤 홀(2111)의 내주에 접하여 위치하도록 하여, 복귀시에 피스톤(213)이 피스톤 홀(2111)을 따라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구부림 바(212)는 복수의 피스톤(213)의 끝단에 연결된 강철 재질의 바(bar)이다. 구부림 바(212)가 슬라브의 절단면에서 꺽여져 수평하게 돌출된 잔류 절단설을 타격함으로써, 잔류 절단설이 절단면의 아래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피스톤 이동체(214)는, 통형 하우징(211)의 내부에 마련되어 피스톤(213)을 피스톤 홀(2111)에서 돌출 및 복귀시킨다. 예를 들어, 피스톤(213)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13)이 피스톤 홀(2111)에서 돌출되어 있지 않아 구부림 바(212)가 통형 하우징(211)의 벽체에 접해 있으며, 피스톤(213)이 돌출된 상태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13)이 피스톤 홀(2111)에서 돌출되어 구부림 바(212)가 통형 하우징(211)의 벽체에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피스톤(213)의 돌출 및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피스톤 이동체(214)는, 통형 하우징(211)의 중심축에 위치하는 링크축(2141)과, 링크축(2141)과 피스톤(213)을 연결한 링크 결합시킨 링크암(2142)과, 링크축(2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링크축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축 구동부(미도시)는, 링크축(2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링크암(2142)이 확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축(2141)이 전진 상태에서는 링크암(2142)이 펴지지 않고 축소되기 때문에 피스톤(213)이 피스톤 홀(2111)에서 돌출되어 있지 않아 구부림 바(212)가 통형 하우징(211)의 벽체에 접하게 된다. 반대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축(2141)이 후진 상태에서는 링크암(2142)이 펴져서 확장되기 때문에 피스톤(213)이 피스톤 홀(2111)에서 돌출되어 구부림 바(212)가 통형 하우징(211)의 벽체에서 돌출되게 된다. 다만, 링크축(2141)의 한측에는 단턱부를 두어서, 단턱부에 지지되는 완충 스프링(2143)을 두어서 링크축(2141)을 후진 상태에서 후진시키는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별도의 전진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완충 스프링(2143)의 탄성력에 의하여 링크축(2141)이 전진을 할 수 있다.
제1링크암(2142a)은 제1힌지축(H1)을 중심으로 링크축(2141)과 힌지 결합된 일단과, 제2힌지축(H2)을 중심으로 제2링크암(2142b)과 힌지 결합된 타단을 구비한다. 제2링크암(2142b)은 제2힌지축(H2)을 중심으로 제1링크암(2142a)과 힌지 결합된 일단과, 피스톤(213)에 결합된 타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링크축(2141)의 전진 상태에서는 제1링크암(2142a)이 수평하지 않고 기울게 되어 피스톤(213)이 돌출되지 않는다. 반대로 링크축(2141)의 후진 상태에서는 제1링크암(2142a)이 제1힌지축(H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힌지축(H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평 상태가 됨으로써, 피스톤(213)이 피스톤 홀(2111)에서 돌출되어 결국 피스톤(213)에 연결된 구부림 바(212)가 원형 기둥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회전체 승하강 수단(220)은, 회전체(210)를 슬라브의 측면에서 평행한 위치에 회전체(210)가 위치하도록 상승시키는 수단이다. 회전체 승하강 수단(220)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체(21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단설 제거부(100)를 거친 슬라브가 롤러 테이블(300) 상에 위치할 때, 절단설 제거부(100)를 통과한 슬라브의 측면에 회전체(210)를 위치시키도록 상승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체 승하강 수단(220)은, 회전체(210)의 중심축에 위치한 링크축(2141)의 끝단을 거치한 베어링 블럭(231)과, 베어링 블럭(231)을 경사지게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하우징(221)과, 베어링 블럭(231)을 가이드 레일 하우징(221)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실린더(222)를 포함한다. 이밖에 회전체 승하강 수단(220)은, 승하강 실린더(222)의 동작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 및 하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일측면의 가이드 레일 하우징(221)에 수평하게 결합시켜 승하강 실린더(222)에 의해서 상승되는 높이를 제어하게 된다.
회전 수단(230)은, 슬라브의 절단면에서 구부려져 있는 절단설이 원위치되도록, 회전체(210)를 회전시켜 구부림 바(212)가 절단설을 타격하도록 한다. 회전체(210)의 회전에 의하여 구부림 바(212)가 구부러져 있는 절단설과 부딪쳐 힘을 가하게 되고, 회전체(210)의 회전에 의하여 통형 하우징(211)에서 돌출된 구부림 바(212)의 회전 가압력에 의하여 구부러져 있는 절단설이 펴져서 슬라브의 저면의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회전 수단(230)은, 베어링 블럭(231)의 내부에 마련되어 링크축(2141)의 끝단에 연결된 베어링(232)과, 이러한 베어링(232)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링크축(2141) 양끝단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베어링이 구비된 베어링 블럭(231)이 장착되며, 회전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베어링(2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참고로 베어링(232)은,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軸)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계 부품이다.
제어부(미도시)는 절단설 제거부(100)를 이용하여 절단설을 1차 제거하며, 1차 제거되지 않고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을 절단설 타격부(200)를 이용하여 원위치시킨 후, 절단설 제거부(100)를 이용하여 잔류 절단설을 2차 제거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는 슬라브를 롤러 테이블(300) 상에서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하여 절단설 제거부(100)의 칼날을 슬라브의 저면에 밀착시킨 후 슬라브를 전진 이동시켜 절단면 상의 절단설을 1차 제거한다. 그 후, 절단설 타격부(200)를 슬라브의 측면에 이동시킨 후 절단설 타격부(200)로서 제거되지 않고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을 타격하여 잔류 절단설이 구부러지지 않고 슬라브의 저면을 향하도록 한다.
그 후 슬라브를 롤러 테이블(300) 상에서 후진 이동시켜 절단설 제거부(100)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절단설 제거부(100)를 상승시켜 칼날을 슬라브의 저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슬라브를 전진 이동시켜 절단면 상의 구부러짐이 복원된 절단설을 2차 제거한다. 이하 이러한 제어부의 구동 제어 방법을 도 8의 플로차트 및 도 9 내지 도 15의 상황도를 이용하여 상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절단설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9 내지 도 15은 절단설을 제거하는 각 단계별 상황도를 도시한 그림이다.
우선, 슬라브의 절단면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1차 제거 과정을 가진다(S810). 이러한 슬라브를 제거하는 1차 제거 과정(S81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테이블의 롤러(310) 상에 위치된 슬라브(S)의 하부면에 절단설 제거부의 본체(110)의 절단 칼날(111)을 상승시켜 밀착시키는 과정을 가진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를 전진 이동시켜 슬라브의 절단면에 형성된 절단설(B)을 제거하고 절단 칼날이 부착된 본체(110)을 하강시키는 과정을 가진다. 슬라브(S)의 전진 이동에 따라 슬라브(S)의 절단면에 형성된 절단설(B)이 슬라브(S)의 저면에 밀착된 절단설 제거부의 절단 칼날(110)에 의하여 대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다만, 슬라브의 특성에 따라서 일부의 잔류 절단설(B1)이 절단되지 않고 칼날에 의하여 꺽여져 구부러진 상태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면에서 슬라브(S)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거나 상측으로 구부러져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제거되지 않고 남겨져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B1)은, 절단설 타격부의 구부림 바에 의하여 원위치되는 구부림 원위치 과정을 가진다. 이러한 원위치 과정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부림 바(212)가 마련된 회전체(210)를 슬라브의 측면에 구부림 바(212)가 위치하도록 회전체 승하강 수단(222)을 이용하여 상승시킨다. 그 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제거되지 않고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B1)을 구부림 바(212)가 마련된 회전체(210)를 회전시켜 잔류 절단설(B1)을 타격하여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B1)이 슬라브(S)의 저면에서 아래로 향하도록 원위치시킨다. 그 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 승하강 수단(220)은 구부림 바(212)가 마련된 회전체(210)를 롤러 테이블의 하측으로 하강시킨다.
구부린 잔류 절단설을 다시 원위치시킨 후에는, 원위치된 잔류 절단설을 제거하는 2차 제거 과정을 가진다. 2차 제거 과정은, 우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S)를 후진시킨 후 슬라브(S)의 저면에 절단 칼날(111)을 상승시켜 슬라브(S)의 저면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가진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S)를 롤러 테이블의 롤러 상에서 전진 이동시켜, 슬라브(S)의 절단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잔류 절단설(B1)을 절단 칼날(111)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1차 제거 과정(S810)을 거친 후 롤러를 따라 슬리브(S)가 전진하여, 슬라브의 절단면이 구부림 바(212)가 마련된 회전체(210) 근처까지 이동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회전체(210)의 상측에 제1센서(S1)를 구비하여 슬라브(S)의 전진 멈춤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센서(S1)는 광센서로 구현되어 발광된 광이 수광되지 않은 경우, 슬라브(S)의 절단면이 회전체(210) 근처에 도달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절단설을 원위치로 복귀 시킨 후 절단설을 2차 제거하기 위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S)를 후진시킨 후 슬라브(S)의 저면에 절단 칼날(111)이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2센서(S2)를 구비하여 슬라브(S)의 후진 멈춤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센서(S2)는 광센서로 구현되어 발광된 광이 슬라브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되는 경우, 슬라브(S)의 절단면이 절단 칼날(111)의 상측에 도달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절단설 제거부 111:절단 칼날
120:절단설 타격부 210:회전체
212:구부림 바 220:회전체 승하강 수단
230:회전 수단

Claims (11)

  1. 길이 방향을 따라 구부림 바가 마련된 회전체;
    피처리물의 측면과 평행한 위치에 상기 회전체가 위치하도록 상승시키는 회전체 승하강 수단;
    상기 피처리물의 절단면에서 구부려져 있는 절단설이 원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구부림 바가 상기 절단설을 타격하도록 하는 회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피스톤 홀을 가진 통형 하우징;
    각 피스톤 홀마다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 홀에서 돌출 및 복귀하는 복수의 피스톤;
    상기 복수의 피스톤의 끝단에 연결된 구부림 바;
    상기 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피스톤 홀에서 돌출 및 복귀시키는 피스톤 이동체;를 포함하는 절단설 타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통형 하우징을 회전시켜 회전에 의하여 상기 구부림 바가 상기 절단설을 타격하는 절단설 타격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이동체는,
    상기 통형 하우징의 중심축에 위치하는 링크축;
    상기 링크축과 상기 피스톤을 연결한 링크 결합시킨 링크암;
    상기 링크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링크축 구동부;
    를 포함하는 절단설 타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링크암은,
    일단이 상기 링크축과 힌지 결합된 제1링크암;
    일단이 상기 제1링크암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피스톤에 결합된 제2링크암;
    을 포함하는 절단설 타격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승하강 수단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회전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절단설 타격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승하강 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중심축에 위치한 링크축의 끝단을 거치한 베어링 블럭;
    상기 베어링 블럭을 경사지게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하우징;
    상기 베어링 블럭을 상기 가이드 레일 하우징을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실린더;
    를 포함하는 절단설 타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베어링 블럭에 마련되어, 상기 링크축의 끝단에 연결된 베어링;
    상기 베어링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를 포함하는 절단설 타격 장치.
  9. 피처리물이 이동되는 롤러 테이블의 하부측에서 상하로 승하강하는 절단 칼날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 테이블을 따라 진행하는 피처리물의 절단면 하부측에 형성된 절단설을 상기 절단 칼날을 회전시켜서 제거시키는 절단설 제거부;
    상기 절단설 제거부에서 절단되지 않고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이 원위치되도록 상기 절단설을 타격하는 절단설 타격부;
    상기 절단설 제거부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설을 1차 제거하며, 1차 제거되지 않고 구부러진 잔류 절단설을 상기 절단설 타격부를 이용하여 원위치시킨 후, 상기 절단설 제거부를 이용하여 상기 잔류 절단설을 2차 제거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절단설 제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절단설 타격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부림 바가 마련된 회전체;
    피처리물의 측면에서 평행한 위치에 상기 회전체가 위치하도록 상승시키는 회전체 승하강 수단;
    상기 피처리물의 절단면에서 구부려져 있는 절단설이 원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구부림 바가 상기 절단설을 타격하도록 하는 회전 수단;
    을 포함하는 절단설 제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피스톤 홀을 가진 통형 하우징;
    각 피스톤 홀마다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 홀에서 돌출 및 복귀하는 복수의 피스톤;
    상기 복수의 피스톤의 끝단에 연결된 구부림 바;
    상기 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피스톤 홀에서 돌출 및 복귀시키는 피스톤 이동체;
    를 포함하는 절단설 제거 장치.
KR1020140188359A 2014-12-24 2014-12-24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절단설 제거 방법 KR101610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59A KR101610284B1 (ko) 2014-12-24 2014-12-24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절단설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59A KR101610284B1 (ko) 2014-12-24 2014-12-24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절단설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284B1 true KR101610284B1 (ko) 2016-04-07

Family

ID=5578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359A KR101610284B1 (ko) 2014-12-24 2014-12-24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절단설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1676A (zh) * 2016-06-07 2019-02-05 株式会社钟化 石墨片加工物及石墨片加工物的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1676A (zh) * 2016-06-07 2019-02-05 株式会社钟化 石墨片加工物及石墨片加工物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29008B (zh) 用于分离加工板状工件的机器
EP1693173B1 (de) Steuerverfahren einer steuerbaren Wandsäge
EP2983878B1 (en) Apparatus for cutting slab material
KR20150120760A (ko) 레이저 가공용 지지 레일의 슬래그 제거장치
JP2002045954A (ja) スラブ、ブルームおよびビレットのような鋼鉄製工作物を熱化学的に横方向切断または縦方向切断した後のガス切断ばりとガス切断スラグを除去するための機械的な剥ぎ取り式ばり取り機
KR101610284B1 (ko) 절단설 제거 장치 및 절단설 제거 방법
RU26188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работки откосов уступов
CN115121753A (zh) 一种基于锻造件加工用的镦粗装置
EP2353751B1 (de) Entbartungssystem zum mechanischen Entfernen eines Schneidbartes an einem stranggegossenen Werkstück
US20200206976A1 (en) Combined cutting and bevelling machine for slabs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JP5268712B2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管の接続部分の耐震化工法及び装置
JP4404522B2 (ja) タイヤの機械加工工具
CN209969749U (zh) 一种易于清理的切割装置
KR20130122074A (ko) 절단설 제거장치
KR200459775Y1 (ko) 잔류 버 제거장치
KR101623212B1 (ko) 빌렛용 버 제거장치
CN105382337A (zh) 切割装置
CN101502836A (zh) 压缩机壳体解体装置及解体方法
WO2016037902A1 (d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wandsägesystems beim erstellen eines trennschnittes
KR100825281B1 (ko) 슬라브의 모서리 덧살 제거장치
EP2977137B1 (en) Machine for cutting metal sections
CN209969750U (zh) 一种便于拆卸的铝模板切割装置
CN109514630A (zh) 切料装置
CN217475141U (zh) 一种新型激光切割机
CN117884800B (zh) 一种具有自动变位结构的锚链焊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