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232B1 - 지표투수 시험기 및 이의 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지표투수 시험기 및 이의 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232B1
KR101610232B1 KR1020150110077A KR20150110077A KR101610232B1 KR 101610232 B1 KR101610232 B1 KR 101610232B1 KR 1020150110077 A KR1020150110077 A KR 1020150110077A KR 20150110077 A KR20150110077 A KR 20150110077A KR 101610232 B1 KR101610232 B1 KR 10161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groove
silicon layer
cylinder
rock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천
이명재
천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그린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그린21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그린21
Priority to KR102015011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27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properties relating to fluids in the soil, e.g. pore-water pressure, permea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06Details, e.g. sample holders, mounting samples fo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2Investigating permeability by forcing a fluid through a sam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2Investigating permeability by forcing a fluid through a sample
    • G01N15/0826Investigating permeability by forcing a fluid through a sample and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permeation rate or pressur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불포화 암반의 지표투수 시험기 및 이의 배치 방법이 개시된다. 지표투수 시험기는 제1 실리콘층, 제2 실리콘층, 내부 실린더 및 외부 실린더를 포함하여, 내부 실린더에 채워진 물의 높이와 내부 실린더와 외부 실린더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물의 높이를 근거로 측정된 수위하강량을 이용하여 지표암반의 침투율을 평가한다. 제1 실리콘층은 제1 직경, 제1 폭 및 제1 깊이를 갖고서 지표암반에 형성된 내부 원통형 홈에 일정 높이만큼 충진된다. 제2 실리콘층은 내부 원통형 홈을 둘러싸면서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 제2 폭 및 제2 깊이를 갖고서 지표암반에 형성된 외부 원통형 홈에 일정 높이만큼 충진된다. 내부 실린더는 내부 원통형 홈에 삽입되고 제1 실리콘층 위에 배치된다. 외부 실린더는 외부 원통형 홈에 삽입되고 제2 실리콘층 위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지표투수 시험기 및 이의 배치 방법{INFILTROMETER FOR INFILTRATING RATE OF ROCK AND DISPO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표투수 시험기 및 이의 배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포화 암반에서 물의 침투율 및 투수계수를 평가할 수 있는 의 지표투수 시험기 및 이의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의 신축 또는 대규모의 토목공사에 있어서 공사장소의 지반에 대한 조사는 필수적인 의무사항이다. 종래에는 공사장소의 지반에 대한 조사를 위해 표준관입시험기에 의한 지반강도(N)를 구하는 방법 또는 지하 깊은 곳에 존재하는 토양의 투수계수를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재까지 알려진 토양의 투수계수를 구하는 방법으로는 지하 깊은 곳의 토양을 직접 채취하여 실험실내에서 투수 시험을 수행하는 실내투수 시험과, 현장에서 투수 시험을 수행하는 현장투수 시험이 있다. 최근에는 시료채취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현장투수 시험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투수 시험은 케이싱 내부 공간내의 수위에 대한 시간적인 변화로부터 투수계수를 구하는 변수위법(Falling head method)과 케이싱 내부 공간내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물을 흘려주는 정수위법(Constant head method)으로 분류된다. 정수위법(Constant head method)은 비교적 조립토(Medium to Coarse-Textured Soil)로 구성된 매질체에, 변수위법(Falling head method)은 세립토(Fine-Textured Soil)로 구성된 매질체에 실시한다.
한편, 지표투수 시험은 토양 표면에서 물의 침투율(infiltration rate) 및 투수계수(permeability, 또는 수리전도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다. 수행 방법은 일반적으로 실린더 형상의 링(ring)을 지표면에 배치하고 물을 넣은 후에 물이 빠져나가는 속도를 측정하고, 물이 빠져나가는 속도가 안정되면 토양의 수직적인 침투 능력을 산정하거나 투수계수를 평가한다.
일반적인 지표투수 시험 방법은 지표 불포화 토양층을 대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실린더 형상의 링을 포함하는 지표투수 시험기를 지표 토양에 박는 방식으로 이용하였다.
하지만, 암반층에서의 지표투수 시험은 기존이 지표투수 시험기로 적용이 불가능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64914호 (명칭: 현장투수측정장치)(2011. 06. 15. 자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523067호 (명칭: 투수계수 시험기 및 이를 이용한 투수시험 방법)(2015. 05. 19. 자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620362호 (명칭: 원통형 시험기를 이용한 현장투수시험방법)(2006. 08. 29. 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지표로 누출된 불포화 암반층을 대상으로 하여 물의 침투율 및 투수계수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투수 시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지표투수 시험기의 배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지표투수 시험기는 제1 실리콘층, 제2 실리콘층, 내부 실린더 및 외부 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 실린더에 채워진 물의 높이와 상기 내부 실린더와 상기 외부 실린더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물의 높이를 근거로 측정된 수위하강량을 이용하여 지표암반의 침투율을 평가한다. 상기 제1 실리콘층은 제1 직경, 제1 폭 및 제1 깊이를 갖고서 지표암반에 형성된 내부 원통형 홈에 일정 높이만큼 충진된다. 상기 제2 실리콘층은 상기 내부 원통형 홈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 제2 폭 및 제2 깊이를 갖고서 지표암반에 형성된 외부 원통형 홈에 일정 높이만큼 충진된다. 상기 내부 실린더는 상기 내부 원통형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실리콘층 위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 실린더는 상기 외부 원통형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실리콘층 위에 배치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실린더의 바닥부는 상기 제1 실리콘층에 매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실린더의 바닥부는 상기 제2 실리콘층에 매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원통형 홈의 중심축과 상기 외부 원통형 홈의 중심축은 동일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원통형 홈과 상기 외부 원통형 홈간의 간격은 상기 내부 원통형 홈의 반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지표암반은 파쇄암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제2 깊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지표투수 시험기의 배치 방법은, 전동 그라인더 드릴을 이용하여 제1 직경, 제1 폭 및 제1 깊이를 갖는 내부 원통형 홈을 지표암반에 형성한다. 이어, 전동 그라인더 드릴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원통형 홈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 제2 폭 및 제2 깊이를 갖는 외부 원통형 홈을 지표암반에 형성한다. 이어, 상기 내부 원통형 홈의 바닥과 상기 외부 원통형 홈의 바닥 각각에 일정 높이의 실리콘 층을 채운다. 이어, 상기 내부 원통형 홈에 내부 실린더를 배치하고, 상기 외부 원통형 홈에 외부 실린더를 배치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동 그라인더 드릴을 이용하여 지표암반에 형성된 내부 원형 홈과 외부 원형 홈에 각각 제1 실리콘층 및 제2 실리콘층을 충진하고 그 위에 각각 내부 실린더 및 외부 실린더를 배치하여 고정한 후 상기 내부 실린더에 채워진 물의 높이와 상기 내부 실린더와 상기 외부 실린더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물의 높이를 근거로 측정된 수위하강량을 이용하므로써, 지표암반의 침투율이나 투수계수를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표투수 시험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표투수 시험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표투수 시험기의 배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표투수 시험기를 이용한 불포화 암반의 투수계수 도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표투수 시험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표투수 시험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표투수 시험기는 제1 실리콘층(110), 제2 실리콘층(120), 내부 실린더(130) 및 외부 실린더(14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실린더(130)에 채워진 물의 높이와 상기 내부 실린더(130)와 상기 외부 실린더(14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물의 높이를 근거로 측정된 수위하강량을 이용하여 지표암반의 침투율을 평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지표암반은 파쇄암일 수 있다. 상기한 파쇄암은 기존 암석에 대한 변성작용 중에서 파쇄작용에 의해서 형성된 암석으로 변성암의 일종이다. 대체로 재결정작용이 진전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상기 제1 실리콘층(110)은 제1 직경, 제1 폭 및 제1 깊이를 갖고서 지표암반에 형성된 내부 원통형 홈(102)에 일정 높이만큼 충진된다. 상기 제1 실리콘층(110)은 상기 내부 원통형 홈(102)의 깊이만큼 충진될 수도 있고 약간 부족하게 충진될 수도 있다. 약간 부족하게 제1 실리콘층(110)이 충진되는 경우, 향후 내부 실린더(130)가 삽입됨에 따라 내부 실린더(130)의 두께만큼 제1 실리콘층(110)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실리콘층(110)의 반경은 5센티미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실리콘층(120)은 상기 내부 원통형 홈(102)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 제2 폭 및 제2 깊이를 갖고서 지표암반에 형성된 외부 원통형 홈(104)에 일정 높이만큼 충진된다. 상기 제2 실리콘층(120)은 상기 외부 원통형 홈(104)의 깊이만큼 충진될 수도 있고 약간 부족하게 충진될 수도 있다. 약간 부족하게 제2 실리콘층(120)이 충진되는 경우, 향후 외부 실린더(140)가 삽입됨에 따라 외부 실린더(140)의 두께만큼 제2 실리콘층(120)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실리콘층(120)의 반경은 10센티미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재되는 각종 수치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재하였을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거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기재된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제2 깊이와 동일할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상기 제1 깊이가 상기 제2 깊이와 동일하더라도 내부 원통형 홈(102)에 삽입된 상기 내부 실린더(130)에 채워진 물은 수직 방향으로 투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깊이가 상기 제2 깊이보다 작더라도 내부 원통형 홈(102)에 삽입된 상기 내부 실린더(130)에 채워진 물은 수직 방향으로 투수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깊이가 상기 제2 깊이보다 크다면, 내부 원통형 홈(102)에 삽입된 상기 내부 실린더(130)에 채워진 물은 수직 방향뿐 아니라 방사형으로 투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제2 깊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실린더(130)는 상기 내부 원통형 홈(102)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실리콘층(110) 위에 배치된다. 예를들어, 상기 내부 실린더(130)는 상기 제1 실리콘층(110)에 일정 깊이만큼 묻히는 타입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실린더(130)는 수직적 지표 투수율을 산정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외부 실린더(140)는 상기 외부 원통형 홈(104)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실리콘층(120) 위에 배치된다. 예를들어, 상기 외부 실린더(140)는 상기 제2 실리콘층(120)에 일정 깊이만큼 묻히는 타입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원통형 홈(102)의 중심축과 상기 외부 원통형 홈(104)의 중심축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 원통형 홈(102)에 배치되는 내부 실린더(130)의 중심축과 상기 외부 원통형 홈(104)에 배치되는 외부 실린더(140)의 중심축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실린더(130)의 중심축과 외부 실린더(140)의 중심축을 동일하게 하는 이유는 외부 실린더(140)에서 물이 방사상으로 빠져 나가더라도 내부 실린더(130)에서는 물이 수직적으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내부 실린더(130)에는 내부 수위측정기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위측정기는 향후 내부 실린더(130)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외부 실린더(140)의 상측부에는 외부 수위측정기(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수위측정기는 향후 외부 실린더(140)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표투수 시험기의 배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그라인더 드릴(미도시)을 이용하여 제1 직경, 제1 폭 및 제1 깊이를 갖는 내부 원통형 홈(102)을 지표암반에 형성한다. 예를들어, 제1 직경은 10센티미터일 수 있다. 제1 폭은 3밀리미터 내지 5밀리미터일 수 있다. 제1 깊이는 5센티미터일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그라인더 드릴(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원통형 홈(102)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 제2 폭 및 제2 깊이를 갖는 외부 원통형 홈(104)을 지표암반에 형성한다. 예를들어, 제2 직경은 20센티미터일 수 있다. 제2 폭은 3밀리미터 내지 5밀리미터일 수 있다. 제2 깊이는 5센티미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원통형 홈(102)을 먼저 형성한 후 외부 원통형 홈(104)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외부 원통형 홈(104)을 먼저 형성한 후 내부 원통형 홈(102)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동시에 외부 원통형 홈(104)과 내부 원통형 홈(10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원통형 홈(102)의 바닥과 상기 외부 원통형 홈(104)의 바닥 각각에 일정 높이의 실리콘 층을 채운다. 상기 내부 원통형 홈(102)에 채워지는 실리콘층은 제1 실리콘층(110)으로 칭하고, 상기 외부 원통형 홈(104)에 채워지는 실리콘층은 제2 실리콘층(120)으로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리콘층(110)은 후술되는 내부 실린더(130)를 내부 원통형 홈(102)에 고정시키는 역할과 내부 실린더(130) 안의 물이 내부 원통형 홈(102)을 통해서 밖으로 새지 않도록 방지하는 방수 처리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실리콘층(120)은 후술되는 외부 실린더(140)를 외부 원통형 홈(104)에 고정시키는 역할과 외부 실린더(140) 안의 물이 외부 원통형 홈(104)을 통해서 밖으로 새지 않도록 방지하는 방수 처리 역할을 수행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원통형 홈(102)에 내부 실린더(130)를 배치한다. 내부 실린더(130)가 내부 원통형 홈(102)에 배치됨에 따라 실리콘층은 내부 실린더(130)의 두께에 비례하여 일정 높이만큼 상승할 수 있다. 내부 실린더(130)는 철판으로 구성되고 철판의 두께는 1밀리미터 내외일 수 있다. 또한 내부 실린더(130)의 직경은 10센티미터이고, 높이는 30센티미터일 수 있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원통형 홈(104)에 외부 실린더(140)를 배치한다. 외부 실린더(140)가 외부 원통형 홈(104)에 배치됨에 따라 실리콘층은 외부 실린더(140)의 두께에 비례하여 일정 높이만큼 상승할 수 있다. 외부 실린더(140)는 철판으로 구성되고 철판의 두께는 1밀리미터 내외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실린더(140)의 직경은 20센티미터이고, 높이는 30센티미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실린더(130)를 먼저 배치한 후 외부 실린더(140)를 배치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외부 실린더(140)를 먼저 배치한 후 내부 실린더(130)를 배치할 수도 있고, 동시에 내부 실린더(130)와 외부 실린더(140)를 배치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지표투수 시험기를 이용한 불포화 암반의 투수계수 도출을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표투수 시험기를 이용한 불포화 암반의 투수계수 도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내부 실린더(130) 및 외부 실린더(140) 각각에 물을 채운다. 이때 내부 실린더(130)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와 외부 실린더(140)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는 동일하게 유지한다. 각각의 실린더에 채워진 물이 하부 방향을 따라 누설됨에 따라 각각의 실린더에 채워진 물의 수두는 하강한다. 내부 실린더(130)의 수두가 외부 실린더(140)의 수두에 비해 빠르게 하강할 수도 있고, 외부 실린더(140)의 수두가 내부 실린더(130)의 수두에 비해 빠르게 하강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내부 실린더(130) 및 외부 실린더(140) 각각에 채워진 물이 하부 방향(또는 수직 방향)을 따라 누설됨에 따라 물의 수위 하강량은 하강한다. 물의 수위가 너무 떨어지면 실린더에 물을 추가로 고급하여 수위를 올린다. 예를들어, 내부 실린더(130)에 채워진 물의 하강 속도가 외부 실린더(140)에 채워진 물의 하강 속도보다 빨라 내부 실린더(130)에 채워진 물의 수두가 낮아지면 내부 실린더(130)에 물을 더 채워줘 외부 실린더(140)에 채워진 물의 수두와 동일하게 유지한다.
상기한 내부 실린더(130)에 채워진 물의 하강속도와 외부 실린더(140)에 채워진 물의 하강속도가 동일해져 수위하강속도가 일정해지면 시험을 종료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시험결과 평가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내부 실린더(130)의 안정된 시기의 침투율(infiltration rate)(i)은 아래의 수식 1로 정의될 수 있다.
[수식 1]
i = dI/dt
여기서, dI는 단위 수위 하강량이고, dt는 단위시간이다.
상기한 침투율(i)은 유량의 개념으로 지하수 유동량(q)과 동일하다.
다르시의 법칙(Darcy? law)에 의하면 지하수 유동량(q)은 아래 수식 2와 같다.
[수식 2]
q = K*(dh/dL)
여기서, q는 유동량, K는 수리전도도, dh는 수두차이, dL은 거리차이이다.
지하수가 수직흐름인 경우 지하수 유동량(q)은 아래 수식 3과 같다.
[수식 3]
q = K*d(φ+z)/dz = K*(dφ/dz + 1)
여기서, φ는 압력수두, z는 높이(고도)이다.
불포화대에서 토양 압력수두 차이는 작으므로 z가 커지면 i = q ≒ K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침투시험결과를 이용하여 불포화 암반의 투수계수(또는 수리전도도)(K)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그라인더 드릴을 이용하여 지표암반에 형성된 내부 원형 홈과 외부 원형 홈에 각각 제1 실리콘층 및 제2 실리콘층을 충진하고 그 위에 각각 내부 실린더 및 외부 실린더를 배치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지표암반에 지표투수 시험기를 배치한다. 이어, 상기 내부 실린더에 채워진 물의 높이와 상기 내부 실린더와 상기 외부 실린더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물의 높이를 근거로 측정된 수위하강량을 이용하므로써, 지표암반의 침투율이나 투수계수를 평가할 수 있다.
102 : 내부 원통형 홈 104 : 외부 원통형 홈
110 : 제1 실리콘층 120 : 제2 실리콘층
130 : 내부 실린더 140 : 외부 실린더

Claims (8)

  1. 제1 직경, 제1 폭 및 제1 깊이를 갖고서 지표암반에 형성된 내부 원통형 홈에 일정 높이만큼 충진된 제1 실리콘층;
    상기 내부 원통형 홈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 제2 폭 및 제2 깊이를 갖고서 지표암반에 형성된 외부 원통형 홈에 일정 높이만큼 충진된 제2 실리콘층;
    상기 내부 원통형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실리콘층 위에 배치된 내부 실린더; 및
    상기 외부 원통형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실리콘층 위에 배치된 외부 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 실린더에 채워진 물의 높이와 상기 내부 실린더와 상기 외부 실린더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물의 높이를 근거로 측정된 수위하강량을 이용하여 지표암반의 침투율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투수 시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실린더의 바닥부는 상기 제1 실리콘층에 매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투수 시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실린더의 바닥부는 상기 제2 실리콘층에 매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투수 시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원통형 홈의 중심축과 상기 외부 원통형 홈의 중심축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투수 시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원통형 홈과 상기 외부 원통형 홈간의 간격은 상기 내부 원통형 홈의 반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투수 시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암반은 파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투수 시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제2 깊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투수 시험기.
  8. 전동 그라인더 드릴을 이용하여 제1 직경, 제1 폭 및 제1 깊이를 갖는 내부 원통형 홈을 지표암반에 형성하는 단계;
    전동 그라인더 드릴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원통형 홈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 제2 폭 및 제2 깊이를 갖는 외부 원통형 홈을 지표암반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부 원통형 홈의 바닥과 상기 외부 원통형 홈의 바닥 각각에 일정 높이의 실리콘 층을 채우는 단계; 및
    상기 내부 원통형 홈에 내부 실린더를 배치하고, 상기 외부 원통형 홈에 외부 실린더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표투수 시험기의 배치 방법.
KR1020150110077A 2015-08-04 2015-08-04 지표투수 시험기 및 이의 배치 방법 KR10161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077A KR101610232B1 (ko) 2015-08-04 2015-08-04 지표투수 시험기 및 이의 배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077A KR101610232B1 (ko) 2015-08-04 2015-08-04 지표투수 시험기 및 이의 배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232B1 true KR101610232B1 (ko) 2016-04-07

Family

ID=5578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077A KR101610232B1 (ko) 2015-08-04 2015-08-04 지표투수 시험기 및 이의 배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2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9590A (zh) * 2017-03-16 2017-07-11 湖南高速铁路职业技术学院 测定土层渗透系数的原位检测装置
CN107748127A (zh) * 2017-11-20 2018-03-02 中南大学 围岩破碎带渗流试验装置
CN108918391A (zh) * 2018-08-17 2018-11-30 北京建筑大学 一种铺装渗透性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8982322A (zh) * 2018-07-20 2018-12-11 天津绿茵景观生态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土壤入渗性能测定装置
WO2021120366A1 (zh) * 2019-12-19 2021-06-24 中南大学 一种室内模拟真空预压状态下测量水平渗透系数的装置
CN114216827A (zh) * 2021-11-22 2022-03-22 贵州公路集团第九工程有限公司 一种透水混凝土路面渗透系数的测试装置和方法
CN116519568A (zh) * 2023-06-26 2023-08-01 西南石油大学 一种超高温非常规储层裂缝系统损伤的评价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362B1 (ko) 2006-05-27 2006-09-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원통형 시험기를 이용한 현장투수시험방법
JP2010163801A (ja) 2009-01-16 2010-07-29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透水試験装置
JP2015045527A (ja) 2013-08-27 2015-03-12 株式会社四電技術コンサルタント 透水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362B1 (ko) 2006-05-27 2006-09-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원통형 시험기를 이용한 현장투수시험방법
JP2010163801A (ja) 2009-01-16 2010-07-29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透水試験装置
JP2015045527A (ja) 2013-08-27 2015-03-12 株式会社四電技術コンサルタント 透水試験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9590A (zh) * 2017-03-16 2017-07-11 湖南高速铁路职业技术学院 测定土层渗透系数的原位检测装置
CN107748127A (zh) * 2017-11-20 2018-03-02 中南大学 围岩破碎带渗流试验装置
CN108982322A (zh) * 2018-07-20 2018-12-11 天津绿茵景观生态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土壤入渗性能测定装置
CN108918391A (zh) * 2018-08-17 2018-11-30 北京建筑大学 一种铺装渗透性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8918391B (zh) * 2018-08-17 2021-05-28 北京建筑大学 一种铺装渗透性测量装置及测量方法
WO2021120366A1 (zh) * 2019-12-19 2021-06-24 中南大学 一种室内模拟真空预压状态下测量水平渗透系数的装置
CN114216827A (zh) * 2021-11-22 2022-03-22 贵州公路集团第九工程有限公司 一种透水混凝土路面渗透系数的测试装置和方法
CN116519568A (zh) * 2023-06-26 2023-08-01 西南石油大学 一种超高温非常规储层裂缝系统损伤的评价方法
CN116519568B (zh) * 2023-06-26 2023-09-19 西南石油大学 一种超高温非常规储层裂缝系统损伤的评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232B1 (ko) 지표투수 시험기 및 이의 배치 방법
Shen et al. Evalu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for both marine and deltaic deposits based on piezocone testing
JP4757092B2 (ja) 地下水流動評価方法
JP6244280B2 (ja) Vgモデルによる不飽和浸透特性解析方法
CN103499492B (zh) 桩端后注浆室内载荷试验装置
CN102912780A (zh) 黄土湿陷性变形的砂土浸水测试方法
RU2580316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незамерзшей воды в мерзлых грунтах
KR101466065B1 (ko) 모관 흡수력 측정을 통한 비탈면의 안전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Tang et al. Influences of suction on plate load tests on unsaturated silty sands
CN107102378B (zh) 利用孔压静力触探测定承压含水层水位与水头高度的方法
Malusis et al. Comparison of laboratory and field measurements of backfill hydraulic conductivity for a large-scale soil-bentonite cutoff wall
Pender et al. Rock compressibility at the Wairakei–Tauhara geothermal field, New Zealand
CN115627746B (zh) 一种基于原位测试的承压水地层基坑抗突涌安全评估方法
Quang et al. Improvement of soft clay at a site in the Mekong Delta by vacuum preloading
CN204371324U (zh) 地层孔隙压力的确定装置
KR101209911B1 (ko) 토양의 투수 및 강도 측정을 위한 복합 간이조사 장비
CN108425383A (zh) 试桩隔离侧摩阻力的施工方法
CN108343431A (zh) 一种基岩裂隙地下水系统流网探究方法
CN114139467A (zh) 一种承压含水松散层区域失水压缩量分布的计算方法
CN109183770B (zh) 软基地区孔隙水压计的安装方法
CN107964990B (zh) 下埋式混凝土板非开挖测厚装置及其测厚方法
KR101261819B1 (ko) 이중패커 구간에서 진공 채수기를 이용한 순간충격시험 장치 및 방법
KR200324464Y1 (ko) 성토공사 및 유지관리용 지반측정장치
Henke Full-scale site investigations on soil-plugging inside tubular piles
RU2272102C1 (ru) Способ полев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деформационны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гру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