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211B1 - 설비에 대한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설비에 대한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0211B1 KR101610211B1 KR1020140099140A KR20140099140A KR101610211B1 KR 101610211 B1 KR101610211 B1 KR 101610211B1 KR 1020140099140 A KR1020140099140 A KR 1020140099140A KR 20140099140 A KR20140099140 A KR 20140099140A KR 101610211 B1 KR101610211 B1 KR 101610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air conditioning
- occupants
- area
- amou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공조 대상 영역에 대한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공조기 및 상기 공조기에 대한 관제를 수행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공조 대상 영역에 대한 열평형 방정식을 근거로 공기 조화를 수행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평형 방정식은,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온도 변화율에 따른 제1 열량 및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출입하는 열량 변화량에 따른 제2 열량으로 성립하되, 상기 제2 열량은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재실자 수를 근거로 산출된 인체 발열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은, 상황 변화에 따라 산출된 공조 대상 영역의 재실자 수를 근거로 한 열평형 방정식을 이용함으로써, 공조 대상 영역의 에너지 사용량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공조를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2는 공조 대상 영역인 건물 내부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입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 감지기를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재 정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주부 및 내주부로 구분된 공조 대상 영역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방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입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 제어 방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 감지기를 이용한 설비 제어 방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재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 제어 방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조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설비 제어 방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110: 제어부 120: 인터페이스부
130: 통신부 200: 설비 제어 장치
300, 300': 설비 310: 공조기
350: 출입 관리 시스템 351: 리더기
352: 출입자 데이터베이스 360: IP 감지기
370: 부재 정보 관리 시스템 400, 400': 장비
R: 공조 대상 영역 W: 창
O: 외주부 I: 내주부
Claims (20)
- 공조 대상 영역에 대한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공조기; 및
상기 공조기에 대한 관제를 수행하는 중앙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공조 대상 영역에 대한 열평형 방정식을 근거로 공기 조화를 수행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열평형 방정식은,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온도 변화율에 따른 제1 열량 및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출입하는 열량 변화량에 따른 제2 열량으로 성립하되,
상기 제2 열량은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재실자 수를 근거로 산출된 인체 발열량을 포함하고,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은,
외피의 적어도 일 측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일정 영역인 외주부 및 상기 외주부 이외의 영역인 내주부로 구분하고,
상기 열평형 방정식은,
상기 외주부 및 상기 내주부 상호 간의 영향이 반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빌딩 내 출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의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읽어 들이는 리더기;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출입자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빌딩 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읽어드린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출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의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별로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대한 IP 주소 할당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IP 주소 할당 여부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의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IP 주소 할당 여부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별로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공조 대상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부재 정보를 관리하는 부재 정보 관리 시스템;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재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의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부재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별로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량은,
실외로부터 외피 및 창을 통해 전달되는 열량 변화량, 창을 통과한 직달 일사량에 따른 열량 변화량, 상기 공조기에 의해 공급 및 제거되는 열량 변화량, 외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침기에 따른 열량 변화량, 인접한 공조 대상 영역과의 공기 이동에 따른 열량 변화량 및 상기 인체 발열량을 포함하는 내부 발열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외주부 및 내주부 각각에 대한 열평형 방정식을 근거로 개별 공기 조화를 수행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에 구비된 컴퓨터의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계측기;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기에서 측정된 소비전력값을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의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 공조 대상 영역에 대한 열평형 방정식을 근거로 공기 조화를 수행하도록 공조기를 제어하되,
상기 열평형 방정식은,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온도 변화율에 따른 제1 열량 및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출입하는 열량 변화량에 따른 제2 열량으로 성립하고,
상기 제2 열량은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재실자 수를 근거로 산출된 인체 발열량을 포함하되,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은,
외피의 적어도 일 측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일정 영역인 외주부 및 상기 외주부 이외의 영역인 내주부로 구분하고,
상기 열평형 방정식은,
상기 외주부 및 상기 내주부 상호 간의 영향이 반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 공조 대상 영역 내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온도 변화율에 따른 제1 열량 및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출입하는 열량 변화량에 따른 제2 열량으로 성립되는 열평형 방정식을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에 대하여 공기 조화를 수행하도록 공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열량은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 재실자 수를 근거로 산출된 인체 발열량을 포함하고,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은,
외피의 적어도 일 측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일정 영역인 외주부 및 상기 외주부 이외의 영역인 내주부로 구분하고,
상기 열평형 방정식은,
상기 외주부 및 상기 내주부 상호 간의 영향이 반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의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읽어 들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의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별로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대상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대한 IP 주소 할당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IP 주소 할당 여부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의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IP 주소 할당 여부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별로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대상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부재 정보를 관리하는 부재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부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의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공조 대상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부재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조 대상 영역별로 재실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량은,
실외로부터 외피 및 창을 통해 전달되는 열량 변화량, 창을 통과한 직달 일사량에 따른 열량 변화량, 상기 공조기에 의해 공급 및 제거되는 열량 변화량, 외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침기에 따른 열량 변화량, 인접한 공조 대상 영역과의 공기 이동에 따른 열량 변화량 및 상기 인체 발열량을 포함하는 내부 발열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외주부 및 내주부 각각에 대한 열평형 방정식을 근거로 개별 공기 조화를 수행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9140A KR101610211B1 (ko) | 2014-08-01 | 2014-08-01 | 설비에 대한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9140A KR101610211B1 (ko) | 2014-08-01 | 2014-08-01 | 설비에 대한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6017A KR20160016017A (ko) | 2016-02-15 |
KR101610211B1 true KR101610211B1 (ko) | 2016-04-07 |
Family
ID=5535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91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0211B1 (ko) | 2014-08-01 | 2014-08-01 | 설비에 대한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021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74091A (zh) * | 2019-05-21 | 2020-03-10 | 马艺 | 自动化生产速率控制平台 |
KR102033622B1 (ko) * | 2019-08-08 | 2019-10-17 | 김희진 | 플랫폼 기반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
CN119045563B (zh) * | 2024-08-15 | 2025-05-06 | 佛山顺泓机电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散热阀散热流量控制的恒温调节方法及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71832B2 (ja) * | 1990-09-27 | 1999-03-17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空調装置 |
JP2010261710A (ja) * | 2010-07-12 | 2010-11-18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環境設備制御システム |
-
2014
- 2014-08-01 KR KR1020140099140A patent/KR10161021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71832B2 (ja) * | 1990-09-27 | 1999-03-17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空調装置 |
JP2010261710A (ja) * | 2010-07-12 | 2010-11-18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環境設備制御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6017A (ko) | 2016-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074621A1 (en) | Task ambient hvac system for distributed space conditioning | |
US11105885B2 (en) | System and methods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a device based on calibration information | |
US10794608B2 (en) | Air-conditioning control evaluation apparatus, air-conditioning control evalu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
O'Neill et al. | Model-based thermal load estimation in buildings | |
US10760810B2 (en) | Equipment management system | |
US20230288770A1 (en) | Atmospheric adjustment in an enclosure | |
US20180143601A1 (en) |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occupancy track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
US20080277486A1 (en) | HVAC control system and method | |
JP7008476B2 (ja) | 室内環境調整システム、サーバ、室内環境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4981667A (zh) | 指示装置和空气调节系统 | |
US2022037320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limate control | |
KR101610211B1 (ko) | 설비에 대한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 |
JP2019194508A (ja) | 快適性指標計算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快適性指標計算方法 | |
KR102283893B1 (ko) | 설비에 대한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 |
Lan et al. | Advanced building energy monitoring using wireless sensor integrated EnergyPlus platform for personal climate control | |
KR102283892B1 (ko) | 설비에 대한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한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 |
CN112240626B (zh) | 用于加热、通风、空调的系统、场所控制器、控制场所的方法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 |
US20170280210A1 (en) | Connected climatic system | |
JP3374754B2 (ja) | 空調システム制御装置 | |
KR102107376B1 (ko) | 공기 조화 장치의 원격 제어와 무선 휘발성 조성물 분배기의 온도 센서의 사용에 의한 온도 제어 | |
KR102519124B1 (ko) | 무선 메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무선 IoT 빌딩 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US11199338B2 (en) | Selecting a fallback temperature sensor for no occupancy | |
EP4356048A1 (en) | A method of commissioning physical hvac devices of an hvac system for an hvac application | |
Zhou et al. | Experimental study of energy saving potential in mixing and displacement ventilation with wireless sensor networks | |
ES2732945T3 (es) | Procedimiento para regular la temperatura de un espacio de múltiples habitaciones mediante un sistema climático y un sistema climático que implementa tal procedimient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