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171B1 -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복강경 - Google Patents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복강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171B1
KR101610171B1 KR1020150186854A KR20150186854A KR101610171B1 KR 101610171 B1 KR101610171 B1 KR 101610171B1 KR 1020150186854 A KR1020150186854 A KR 1020150186854A KR 20150186854 A KR20150186854 A KR 20150186854A KR 101610171 B1 KR101610171 B1 KR 10161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lens
lens assembly
half mirror
light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5018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171B1/ko
Priority to PCT/KR2016/008352 priority patent/WO20171112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61B1/313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for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8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 A61B1/0019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characterised by variable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93Optical arrangements adapted for stereoscopic vi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a proximal camera, e.g. a CCD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復腔) 내부에 삽입되어 인체 장기(臟器)의 입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안식 복강경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단안식 복강경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선 중의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하프 미러(H),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를 포함하는 제1 카메라(30) 및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를 포함하는 제2 카메라(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초근접 위치에 배치된 인체 장기의 입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복강경{Single lens Laparoscope for three dimensional image}
본 발명은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복강경에 관한 것으로서, 복강(復腔) 내부에 삽입되어 장기(臟器)의 입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안식 복강경에 관한 것이다.
복강경은 복강 내부에 위치한 비장, 결장, 위, 콩팥, 췌장, 난소 등과 같은 장기를 최소 침습(侵襲)으로 진단 또는 수술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내시경이다. 복부를 절개하는 전통적인 개복 수술과 비교할 때, 복강경 수술은 0.5 ~ 1.5cm 크기의 작은 구멍에 해당하는 상처만을 남기므로 창상으로 인한 통증과 후유증이 적을 뿐만 아니라 상처 부위가 작아 미용적으로도 선호되고 있다.
현재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복강경은 실시간으로 장기의 2D 이미지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보다 정밀한 수술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입체적인 장기의 위치뿐만 아니라 혈관 및 신경의 위치까지도 정확하게 확인하여야 안정성이 높은 수술을 시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입체 카메라를 복강경에 탑재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는데, 복강경의 특성상 물리적으로 렌즈와 근접하게 위치한 장기들의 입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에는 한계가 많다.
구체적으로, 입체 카메라는 두 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피사체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동시에 획득하는데, 통상적인 입체 카메라는 피사체의 좌안 영상을 획득하는 좌안 카메라, 피사체의 우안 영상을 획득하는 우안 카메라 및, 좌안 카메라와 우안 카메라를 거치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를 포함한다.
입체 카메라 리그는 크게 평행방식(수평 방식)과 직교방식으로 구분된다. 평행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는 좌안 카메라와 우안 카메라를 피사체를 향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일정한 거리를 이격시켜 거치하는데, 좌안 카메라와 우안 카메라가 각각 피사체의 광을 수광하여 이들 영상 간의 차이(이하 '양안 시차'라 함)를 통해 입체감을 표현하게 된다.
즉, 두 개의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입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카메라에 탑재된 렌즈와 피사체 사이에 최소 거리가 확보되어야만 한다. 두 개의 카메라에 탑재된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렌즈와 피사체 사이의 최소 거리는 두 카메라의 렌즈 중점 사이의 거리에 30배 이상으로 피사체가 렌즈와 떨어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복강경은 복강에 삽입되어 장기와의 최소 거리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주시각이 확보되지 않아 입체 이미지 획득이 불가능하거나 획득하더라도 입체감이 과도하게 표현되어 관찰자에게 극심한 피로감을 준다. 이러한 부정확한 입체 이미지는 장시간 복강경 수술을 진행하는 의사에게 악영향을 끼친다.
결국, 두 개의 렌즈를 사용하여 입체 이미지를 각각 개별적으로 획득하는 방식의 입체 카메라는 복강경으로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본 출원인은 두 개의 렌즈를 사용한 입체 카메라를 개선하여 하나의 메인 렌즈(단안식 렌즈)를 사용하더라도 선명한 입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단안식 입체 카메라를 이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5803호에서 제시한 바 있다.
도 1은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에서 제시한 종래 단안식 입체 카메라의 내부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단안식 입체 카메라는 하나의 제1 결상렌즈 조립체(40)를 통해 획득된 광을 반사경(46)을 통해 좌안 카메라(60)와 우안 카메라(62)로 각각 분리시킴으로써 입체 영상이 획득된다. 즉 메인 렌즈(제1 결상렌즈 조립체)가 하나인 단안식 입체 카메라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안식 입체 카메라를 복강경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1) 초근접 촬영이 확보되어야만 복강경으로 적용 가능하고, (2) 복강경을 통해 초근접 입체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확대·축소 배율에 따른 화각을 조정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며, (3) 복강 내부에 위치한 피사체의 위치와 특성에 따라 제1 결상렌즈 조립체의 교체나 변경이 용이하여야 하고, (4) 복강 내부에서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되 그림자를 방지하는 무영(無影) 조명을 구현하는 기술이 추가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5803호(단안식 입체 영상 카메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복강 내부에서 렌즈와 초근접한 위치의 장기들의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복강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사체의 확대·축소 배율에 따라 화각을 조정할 수 있고, 제1 결상렌즈 조립체를 쉽게 교체 및 변경 가능하며 복강 내부에 무영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단안식 복강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선 중의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하프 미러(H);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와 조합하여 제3 결상렌즈 조립체의 초점 위치를 앞으로 당기고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뒤쪽에 맺힌 가상의 상을 확대하고 색수차나 상면만곡 등을 줄이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21)(22);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를 포함하는 제1 카메라(30); 및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를 포함하는 제2 카메라(40);를 구비한다. 상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은 서로 90˚미만의 예각이나 90˚초과의 둔각을 이루도록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21)(22)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하프 미러(H) 사이에 설치되거나, 하프 미러(H)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가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마크로 렌즈인 경우에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가 제1 결상렌즈 조립체 후방의 가상의 상을 충분히 확대하여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네팅 현상이 없을 정도의 확대 기능을 가진 마크로 렌즈인 경우에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가 일반적인 망원 계열의 렌즈인 경우, 제1 결상렌즈 조립체를 통과한 상을 근접 확대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2 결상렌즈 조립체를 함께 조합하여 마크로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때의 확대 배율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뒤쪽에 맺힌 가상의 상의 크기와 카메라(30)(40)에 설치된 촬상면(36)(46)의 크기 및 시스템 전체의 길이(제1 결상렌즈 조립체로부터 촬상면에 이르는 광로의 총길이)에 따라 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선 중의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하프 미러(H);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사하는 반사부;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을 결상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 및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상을 확대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의 초점 위치를 앞당기는 역할을 함으로써 제1 결상렌즈(10)의 뒤쪽에 맺힌 상을 최종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결상렌즈 조립체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하프 미러(H) 사이에 설치되거나 하프 미러(H)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가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마크로 렌즈인 경우에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가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가 일반적인 망원 계열의 렌즈인 경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와 조합되어 마크로 렌즈 역할을 함으로써 제1 결상렌즈 조립체를 통과한 상을 최종 확대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는 동일한 카메라 본체(350)에 설치되거나 각각의 카메라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되고 적어도 일부가 복강의 내부로 삽입되는 어댑터부(510)(610); 하프 미러(H); 제1 카메라(30)와 제2 카메라(40)를 탑재하는 몸체부(52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몸체부(52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부(510)(610)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된 내측 경통(50) 및 상기 내측 경통(50)의 외면과 대응하는 링 형태를 가지며 피사체에 광을 전달하는 외측 경통(6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520, 620)는 외측 경통(60)에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경통(50)의 외면과 상기 외측 경통(60)의 내면에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제1 결상렌즈 조립체와 초근접 위치에 있는 피사체의 입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둘째, 초근접 위치에 있는 피사체의 확대·축소 배율에 따른 화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셋째, 제1 결상렌즈 조립체를 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1 결상렌즈 조립체의 변경 및 선택 사용이 쉽다.
넷째, 복강경에 필수적인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그림자를 방지하는 무영조명의 기능을 부여하여 선명한 입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단안식 입체 카메라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에 탑재되는 광학적 구성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에 탑재되는 광학적 구성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에 탑재되는 광학적 구성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에 탑재되는 광학적 구성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광학적 구성을 탑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광학적 구성을 탑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 내부에 삽입되어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안식 복강경은 초근접 입체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하프 미러(H), 제1 카메라(30), 및 제2 카메라(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안식 복강경의 내부에 탑재되는 광학적 구조를 먼저 설명한 후에 기구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결상렌즈 조립체'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렌즈가 조합된 집합체를 포함한다.
(1)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에 탑재되는 광학적 구성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안식 복강경(100)은 단안식 직교리그로서, 제1 카메라(30)와 제2 카메라(40)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제1 카메라(30)와 제2 카메라(40)는 서로 90˚미만의 예각이나 90˚초과의 둔각을 이루도록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체 카메라(100)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후방에 설치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와, 하프 미러(H)와,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축 상에 설치된 제1 카메라(30)와,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축 상에 설치된 제2 카메라(40)를 포함한다.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는 피사체(8)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렴한다.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는 교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촬영 목적, 피사체의 종류, 피사체까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렌즈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100)은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와 조합되어 초점 위치를 근접시키는 역할과, 색수차 및 상면만곡을 줄이는 기능을 위해 추가적으로 탑재될 수 있다. 또한, 하프미러(H)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잇는 광축 상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촬영시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초점범위를 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보조 초점 조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주 피사체의 위치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초점 조절범위를 넘어서 근접해 있는 경우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를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근접해 있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주 피사체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초점 조절범위를 넘어서 원거리에 있는 경우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를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초점범위를 벗어나 원거리에 있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는 본 발명의 단안식 복강경(100)이 복강 내부로 일부 침습되어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초근접 위치에 존재하는 장기, 혈관, 신경 등을 입체 이미지로 촬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초점 한계를 넘어 피사체를 확대·축소함으로써 배율에 따른 화각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초근접 위치라 함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피사체의 이격 거리가 10cm 미만인 것을 가리키며, 본 발명의 단안식 복강경(100)은 초근접 위치가 1cm 미만인 환경에서도 입체 이미지 획득이 가능하다.
제1 카메라(30)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와 카메라 본체(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카메라(40)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와 카메라 본체(45)를 포함한다. 카메라 본체(35)(45)의 내부에는 촬상면(36)(46)이 각각 구비된다.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는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을 결상시키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는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을 결상시킨다.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는 베이스 렌즈로서,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마크로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에 마크로 렌즈를 사용하여 확대 배율이 충분할 경우에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를 제외시킬 수 있다.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를 마크로 렌즈로 사용할 경우, 제1 결상렌즈(10)와 초근접 위치에 존재하는 장기 등의 입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초점 한계를 넘어 위치한 피사체를 확대·축소함으로써 배율에 따른 화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에 망원 계열의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와 조합되어 마크로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단안식 복강경은 미세한 혈관, 근육, 신경 등의 입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로서 다양한 렌즈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후방에 생긴 가상의 상을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를 이용하여 확대촬영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촬상면(36)과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 사이의 거리와 촬상면(46)과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경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로서 망원 계열의 렌즈를 사용하고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근접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상을 확대 촬영하거나,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로서 마크로 계열(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렌즈)의 렌즈를 사용하고 추가로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를 이용하여 초점 위치를 더욱 근접하도록 하며 아울러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가 색수차 및 상면만곡을 보정하는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후방에 만들어진 가상의 상을 최종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촬상면(36)(46)의 크기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만든 가상의 제1 초점면의 상(9) 크기보다 클 경우에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로서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마크로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카메라 렌즈 주변부의 광량 저하로 화상의 주변부가 검게 흐려지는 이른바 비네팅(Vignetting)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로서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마크로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망원계열의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로부터 카메라 촬상면(36)(46)까지 단안식 복강경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에 배율을 더 높은 렌즈(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의 배율을 높이는 방법보다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에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더 왜곡이 적고 높은 화질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추가적으로 조리개(3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32)(42)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에 각각 설치되고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에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조리개가 설치된 렌즈를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로 사용하더라도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에 설치된 조리개는 개방된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의 조리개(32)(42)는 비네팅(Vignetting)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에 마크로 렌즈를 사용하여 확대 배율이 충분할 경우에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를 제외시킬 수 있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에 망원 계열의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와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가 조합되어 마크로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의 기능을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하프 미러(H)와 제1 카메라(30)가 없는 경우를 예로 들어,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가 설치되었을 때와 설치되지 않았을 때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2a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가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고, 도 2b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보여준다.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의 초점 위치를 앞으로 당기는 역할 즉,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의 초점 위치를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전체 시스템의 길이(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로부터 촬상면(46)까지의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제1 결상렌즈 조립체의 위치를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
다시 말하면,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의 초점위치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가상의 상(9)의 위치가 되어야 하므로 근접 확대촬영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렌즈(예를 들어, 마크로 렌즈)를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로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망원 계열의 렌즈(일반적인 초점 조절 위치 값을 갖는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를 함께 사용하여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의 초점위치를 앞당기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2a의 경우 정상적인 상이 나온다면, 도 2b의 경우에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의 초점위치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가상의 상(9)의 위치가 맞지 않으므로 정상적인 상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위치를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에서 더 멀리 위치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 카메라 렌즈 주변부의 광량 저하로 화상의 주변부가 검게 흐려지는 이른바 비네팅 현상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2)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에 탑재되는 광학적 구성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안식 복강경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 명칭을 사용하므로, 배치 관계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안식 복강경(200)은 단안식 직교리그로서, 제1 카메라(30)와 제2 카메라(40)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제1 카메라(30)와 제2 카메라(40)는 서로 90˚미만의 예각이나 90˚초과의 둔각을 이루도록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체 카메라(200)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후방에 설치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22)와, 하프 미러(H)와,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축 상에 설치된 제1 카메라(30)와,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축 상에 설치된 제2 카메라(40)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200)과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100)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22)가 하프 미러(H)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200)에서는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은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를 경유한 후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로 입사하고,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은 제2 결상렌즈 조립체(22)를 경유한 후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로 입사한다.
한편, 제2 실시예에서,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에 마크로 렌즈 또는 망원 계열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에 마크로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22)를 제외시킬 수 있다는 점,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에 망원 계열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와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22)가 조합되어 초점 위치를 근접시킬 수 있다는 점 등은 제1 실시예의 단안식 복강경(10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예의 단안식 복강경(200)은 제1 실시예의 단안식 복강경(100)과는 달리,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22)를 수시로 광축을 따라 앞뒤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22)를 수시로 이동함으로써 얻게 될 초점 범위 확장으로 인한 이득보다 좌우 양안의 초점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데 필요한 시간적 손해가 더 크기 때문이다.
(3) 제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에 탑재되는 광학적 구성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안식 복강경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 명칭을 사용하므로, 배치 관계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300)은 단안식 수평 리그로서,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후방에 설치된 하프 미러(H), 반사부(361, 363, 365) 및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22)를 포함한다.
반사부(361, 363, 365)는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사한다.
도 4는 상기 반사부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는데, 반사부(361, 363, 365)는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을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쪽으로 반사하는 반사부(363)(365)와,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쪽으로 반사하는 반사부(36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361, 363, 365)는 광을 반사하여 광축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300)은 단안식 수평리그로서,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이 서로 평행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상기 하프 미러(H)와 반사부의 각도를 조정하여 광축을 평행하지 않도록 변경함으로써 그에 따른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22) 및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341)가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 중의 일부는 하프 미러(H)를 통과한 후 반사부(363)(365)에 의해 반사되어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로 입사되고,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 중의 나머지는 하프 미러(H)와 반사부(361)에 의해 순차적으로 반사된 후 제2 결상렌즈 조립체(22)로 입사된다.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를 경유한 광은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에 입사되고, 제2 결상렌즈 조립체(22)를 경유한 광은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에 입사된다.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341)에 마크로 렌즈 또는 망원 계열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341)에 마크로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22)를 제외시킬 수 있다는 점,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341)에 망원 계열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341)와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22)가 조합되어 초점 위치를 근접시킬 수 있다는 점 등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단안식 복강경(100)과 동일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일체형 2안식이지만, 두 대의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점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4) 제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에 탑재되는 광학적 구성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안식 복강경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 명칭을 사용하므로, 배치 관계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400)은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가 하프 미러(H)의 앞쪽에 설치된 점을 제외하면 제3 실시예의 단안식 복강경(3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 중에서 일부는 하프 미러(H)와 거울(361)에 의해 반사된 후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에 입사되고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 중에서 나머지는 하프 미러(H)를 통과한 후 반사부(363)(365)에 의해 반사되어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에 입사된다.
도 5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400)은 단안식 수평리그로서,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이 서로 평행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상기 하프 미러(H)와 반사부의 각도를 조정하여 광축을 평행하지 않도록 변경함으로써 그에 따른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341)가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341)에 마크로 렌즈 또는 망원 계열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341)에 마크로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를 제외시킬 수 있다는 점,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341)에 망원 계열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341)와 제2 결상렌즈 조립체(20)가 조합되어 초점 위치를 근접시킬 수 있다는 점 등은 제1 실시예의 단안식 복강경(10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단안식 복강경(400)은 2안식 입체 카메라(즉, 일체형 2안식 입체 카메라 또는 두 대의 카메라)이거나 수평식 리그일 수 있다.
(5) 제5 실시예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광학적 구조를 탑재한 단안식 복강경의 기구적인 구성을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광학적 구성을 탑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500)은 어댑터부(510) 및 몸체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부(510)는 적어도 일부가 복강의 내부로 삽입되어 광을 수광한다. 어댑터부(510)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하는 내측 경통(50) 및 광을 전달하는 외측 경통(60)을 포함한다.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는 피사체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렴한다.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는 피사체의 광을 수렴할 수 있도록 내측 경통(50)의 일 단부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내측 경통(50)의 지름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나, 복강경 수술 후 최소한의 상처를 남기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20mm 미만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길이는 상기 내측 경통(50)의 전체 길이의 1/2 미만을 갖는다. 또한, 일반적인 결상렌즈의 경우, 후면에 결상된 상을 전달하기 위해 다수 개의 릴레이 렌즈가 필요한 반면에 본 발명의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경우에는 후면에 결상된 상을 전달하는 릴레이 렌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외측 경통(60)은 내측 경통(50)의 외면과 대응하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외측 경통(60)은 내측 경통(50)과 이격 되어 있고, 외측 경통(60)과 내측 경통(50) 사이에는 광을 전달되어 복강경 수술 시 필요한 조명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외측 경통(60)의 내면과 상기 내측 경통(50)의 외면에는 광을 반사하는 공지된 금속 물질, 합금, 플라스틱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520)는 하프 미러(H), 제1 카메라(30) 및 제2 카메라(40)를 포함할 수 있고, 몸체부(520)의 일 측면에는 어댑터부(510)가 탈부착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댑터부(510)를 구성하는 외측 경통(60)의 외면에는 돌출부(M)가 형성되고, 몸체부(520)에는 돌출부(M)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홈(N)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M)와 홈(N)을 사용하여 어댑터부(510)가 몸체부(520)에 탈부착될 수 있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공지된 탈부착 구성을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몸체부(520)는 외측 경통(60)과 내측 경통(50)의 사이에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 공급장치(70)는 발광다이오드(LED) 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공급장치(70)는 외측 경통(60)과 내측 경통(50) 사이에 광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댑터부(510)를 좌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 형태의 광이 피사체로 조사될 수 있다. 원형 조명으로 광이 조사될 경우, 복강으로 침습된 수술 도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그림자를 최소화하여 무영 입체 이미지 획득을 용이하게 한다.
도 6에서는 광 공급장치(70)가 몸체부(520)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광 공급장치가 단안식 복강경(500)의 외부에 배치되어 광 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외측 경통(60)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 전달경로는 유리 섬유가 채워진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공급장치(70)가 단안식 복강경(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광이 조사되는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광 공급장치(70)가 몸체부(520)에 배치됨으로써 광 공급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측 경통(60)으로 전달되어 복강 내 장기나 피부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내측 경통(50)의 일 단부에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되어, 내측 경통(50)과 외측 경통(60)이 일 단부에서 서로 분리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내측 경통(50)의 길이를 외측 경통(60)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하여 외측 경통(60)의 일 단부에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탑재할 수 있다. 즉,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구경이 외측 경통(60) 전체 구경의 1% ~ 100%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500)의 광학적 구조는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6) 제6 실시예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광학적 구성을 탑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60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500)의 제2 결상렌즈 조립체(21)(22)가 하프 미러(H)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안식 복강경은 (1) 제1 결상렌즈 조립체와 초근접 위치에 있는 피사체의 입체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고, (2) 초근접 위치에 있는 피사체의 확대·축소 배율에 따른 화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3) 제1 결상렌즈 조립체가 탑재된 어댑터부가 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1 결상렌즈 조립체의 변경 및 선택 사용의 폭을 넓혔고, (4) 복강경의 조명에 있어서 그림자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영조명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서 입체 이미지 획득이 용이하다.
10 : 제1 결상렌즈 조립체 20, 21, 22 : 제2 결상렌즈 조립체
30 : 제1 카메라 40 : 제2 카메라
31, 41 : 제3 결상렌즈 조립체 35, 45 : 카메라 본체
50: 내측 경통 60: 외측 경통
70: 광 공급장치
100, 200, 300, 400, 500, 600 : 단안식 복강경
510, 610: 어댑터부 520, 620: 몸체부
H : 하프 미러
M : 돌출부
N : 홈

Claims (11)

  1.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선 중의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하프 미러(H);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를 포함하는 제1 카메라(30); 및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를 포함하는 제2 카메라(40);를 포함하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는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에 있어서,
    상기 복강경은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되고 적어도 일부가 복강의 내부로 삽입되는 어댑터부(510, 610); 및
    상기 하프 미러(H), 상기 제1 카메라(30) 및 상기 제2 카메라(40)를 탑재하는 몸체부(520)(620)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510)(610)는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된 내측 경통(50); 및 상기 내측 경통(50)과 이격 배치되어 내측 경통(50)의 외면과 대응하는 링 형태를 가지고 피사체에 광을 전달하는 외측 경통(6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520)(620)는 상기 외측 경통(60)에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장치(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
  2.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선 중의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하프 미러(H);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를 포함하는 제1 카메라(30);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를 포함하는 제2 카메라(40); 및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와 조합되어 제3 결상렌즈 조립체의 초점 위치를 근접하도록 변화시키고 최종 상의 색수차와 상면만곡을 줄이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는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렌즈이고,
    제2 결상렌즈 조립체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하프 미러(H) 사이에 설치되거나 하프 미러(H)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에 있어서,
    상기 복강경은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되고 적어도 일부가 복강의 내부로 삽입되는 어댑터부(510, 610); 및
    상기 하프 미러(H), 상기 제1 카메라(30) 및 상기 제2 카메라(40)를 탑재하는 몸체부(520)(620)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510)(610)는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된 내측 경통(50); 및 상기 내측 경통(50)과 이격 배치되어 내측 경통(50)의 외면과 대응하는 링 형태를 가지고 피사체에 광을 전달하는 외측 경통(6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520)(620)는 상기 외측 경통(60)에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장치(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
  3.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선 중의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하프 미러(H);
    제2 결상렌즈 조립체;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를 포함하는 제1 카메라(30); 및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41)를 포함하는 제2 카메라(40);를 포함하고,
    제2 결상렌즈 조립체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하프 미러(H) 사이에 설치되거나 하프 미러(H)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 사이에 설치되며,
    제2 결상렌즈 조립체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와 조합되어 제3 결상렌즈 조립체의 초점 위치를 근접하도록 변화시키고 최종 상의 색수차와 상면만곡을 줄이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는 망원 계열의 렌즈이고 제2 결상렌즈 조립체와 조합되어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마크로 렌즈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에 있어서,
    상기 복강경은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되고 적어도 일부가 복강의 내부로 삽입되는 어댑터부(510, 610); 및
    상기 하프 미러(H), 상기 제1 카메라(30) 및 상기 제2 카메라(40)를 탑재하는 몸체부(520)(620)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510)(610)는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된 내측 경통(50); 및 상기 내측 경통(50)과 이격 배치되어 내측 경통(50)의 외면과 대응하는 링 형태를 가지고 피사체에 광을 전달하는 외측 경통(6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520)(620)는 상기 외측 경통(60)에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장치(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
  4.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선 중의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하프 미러(H);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사하는 반사부;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 및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을 결상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를 포함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는 동일한 카메라 본체(350)에 설치되거나 각각의 카메라 본체에 설치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는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마크로 렌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에 있어서,
    상기 복강경은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되고 적어도 일부가 복강의 내부로 삽입되는 어댑터부(510, 610); 및
    상기 하프 미러(H), 상기 카메라 본체(350)를 탑재하는 몸체부(520)(620)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510)(610)는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된 내측 경통(50); 및 상기 내측 경통(50)과 이격 배치되어 내측 경통(50)의 외면과 대응하는 링 형태를 가지고 피사체에 광을 전달하는 외측 경통(6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520)(620)는 상기 외측 경통(60)에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장치(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
  5.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선 중의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하프 미러(H);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사하는 반사부;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을 결상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 및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341)와 조합되어 제3 결상렌즈 조립체의 초점위치를 근접하도록 변화시키고 최종 상의 색수차와 상면만곡을 줄이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는 동일한 카메라 본체(350)에 설치되거나 각각의 카메라 본체에 설치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는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마크로 렌즈이며,
    제2 결상렌즈 조립체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하프 미러(H) 사이에 설치되거나 하프 미러(H)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에 있어서,
    상기 복강경은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되고 적어도 일부가 복강의 내부로 삽입되는 어댑터부(510, 610); 및
    상기 하프 미러(H), 상기 카메라 본체(350)를 탑재하는 몸체부(520)(620)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510)(610)는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된 내측 경통(50); 및 상기 내측 경통(50)과 이격 배치되어 내측 경통(50)의 외면과 대응하는 링 형태를 가지고 피사체에 광을 전달하는 외측 경통(6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520)(620)는 상기 외측 경통(60)에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장치(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
  6.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선 중의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하프 미러(H);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사하는 반사부;
    제2 결상렌즈 조립체;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 및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을 결상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3 결상렌즈 조립체(331);를 포함하고,
    제2 결상렌즈 조립체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하프 미러(H) 사이에 설치되거나 하프 미러(H)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 사이에 설치되며,
    제2 결상렌즈 조립체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와 조합되어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의 초점 위치를 근접하도록 변화시키고 최종 상의 색수차와 상면만곡을 줄이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는 동일한 카메라 본체(350)에 설치되거나 각각의 카메라 본체에 설치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341)(331)는 망원 계열의 렌즈이고 제2 결상렌즈 조립체와 조합되어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마크로 렌즈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에 있어서,
    상기 복강경은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되고 적어도 일부가 복강의 내부로 삽입되는 어댑터부(510, 610); 및
    상기 하프 미러(H), 상기 카메라 본체(350)를 탑재하는 몸체부(520)(620)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510)(610)는 상기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가 탑재된 내측 경통(50); 및 상기 내측 경통(50)과 이격 배치되어 내측 경통(50)의 외면과 대응하는 링 형태를 가지고 피사체에 광을 전달하는 외측 경통(6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520)(620)는 상기 외측 경통(60)에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장치(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상렌즈 조립체(31)(41)(341)(331)의 초점거리가 2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510)(610)는 상기 몸체부(520)(620)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
  10. 삭제
  11.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경통(50)의 외면과 상기 외측 경통(60)의 내면에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물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이미지 촬영용 단안식 복강경.
KR1020150186854A 2015-12-24 2015-12-24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복강경 KR101610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854A KR101610171B1 (ko) 2015-12-24 2015-12-24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복강경
PCT/KR2016/008352 WO2017111246A1 (ko) 2015-12-24 2016-07-29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복강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854A KR101610171B1 (ko) 2015-12-24 2015-12-24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복강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171B1 true KR101610171B1 (ko) 2016-04-07

Family

ID=5578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854A KR101610171B1 (ko) 2015-12-24 2015-12-24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복강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0171B1 (ko)
WO (1) WO20171112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419A1 (ko) * 2022-08-23 2024-02-29 주식회사 팀누비즈 단일 카메라로 스테레오 광학계를 구성한 3차원 이미지 구강 스캐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286B1 (ko) * 2010-04-12 2010-10-07 이용범 사람 눈처럼 주시각 제어가 가능한 직교식 양안 입체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790A (ja) * 1995-05-16 1996-11-26 Shinko Koki Seisakusho:Kk 立体内視鏡装置
KR100252014B1 (ko) * 1998-05-21 2000-04-15 윤종용 2차원 영상의 3차원 변환 광학 어댑터를채용한 입체 영상 복강경 시스템
KR20060090650A (ko) * 2006-07-28 2006-08-14 홍경희 입체영상 촬영장치
KR101255803B1 (ko) * 2011-07-25 2013-04-17 표도연 단안식 입체 영상 카메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286B1 (ko) * 2010-04-12 2010-10-07 이용범 사람 눈처럼 주시각 제어가 가능한 직교식 양안 입체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419A1 (ko) * 2022-08-23 2024-02-29 주식회사 팀누비즈 단일 카메라로 스테레오 광학계를 구성한 3차원 이미지 구강 스캐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246A1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9353T3 (es) Sistema digital para captura y visualización de video quirúrgico
US10310283B2 (en) Stereoscopic optics
US10314486B2 (en) Head-mounted indirect opthalmoscope camera
US201301763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tereoscopic 3d visualization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2d endoscopes
US8934169B2 (en) Dual objective 3-D stereomicroscope
EP3466067B1 (en) System for stereoscopic visualization enabling depth perception of a surgical field
JPH0882766A (ja) 立体視内視鏡
JP2004109554A (ja) 実体顕微鏡用撮影装置
JP2015135511A (ja) 医療用の光学観察装置のカメラアダプタおよびカメラ/アダプタ複合体
TW201222139A (en)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CN111045202A (zh) 一种手术显微镜
JP5484453B2 (ja) 複数の動作モードの光学機器
JPH0856891A (ja) 立体視硬性内視鏡
JP5946777B2 (ja) 立体撮像装置
KR101610171B1 (ko)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복강경
KR101874778B1 (ko) 3차원 입체 영상 기반의 연속 줌 및 연속 배율 전환을 지원하는 의료용 현미경 시스템
CN203885474U (zh) 有闪光功能的裂隙灯照相机
KR101654589B1 (ko) 초점 및 물체 거리 자동 변환 기능을 구비한 3차원 입체 영상 기반의 의료 현미경 시스템
JPH11109254A (ja) 実体顕微鏡
KR101608404B1 (ko) 입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단안식 현미경
JP3540351B2 (ja) 立体視硬性内視鏡
KR20080027187A (ko)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내시경
KR101545163B1 (ko) 의료용 현미경의 광학계
JP2023542384A (ja) 顕微手術補助装置
WO2019198293A1 (ja) 顕微鏡システム及び医療用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