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111B1 -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111B1
KR101610111B1 KR1020140101806A KR20140101806A KR101610111B1 KR 101610111 B1 KR101610111 B1 KR 101610111B1 KR 1020140101806 A KR1020140101806 A KR 1020140101806A KR 20140101806 A KR20140101806 A KR 20140101806A KR 101610111 B1 KR101610111 B1 KR 10161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haust gas
exhaust
valve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987A (ko
Inventor
안태근
김동희
김성환
김자림
Original Assignee
(주)가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온테크 filed Critical (주)가온테크
Priority to KR102014010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1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배기가스 규제에 따라 선박의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선박용 SCR시스템의 질소산화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는 연료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측정한 후 측정된 농도에 따라 SCR시스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배기관의 일부에 개폐밸브와 질소산화물 감지센서가 설치된 유도관을 구비하고, 개폐밸브의 개폐에 따라 배기가스의 일부가 유도관으로 유입되어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Nitrogen oxide measurement device of the Ship for SCR system}
본 발명은 선박의 배기가스 규제에 따라 선박의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선박용 SCR시스템의 질소산화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는 연료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측정한 후 측정된 농도에 따라 SCR시스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배기관의 일부에 개폐밸브와 질소산화물 감지센서가 설치된 유도관을 구비하고, 개폐밸브의 개폐에 따라 배기가스의 일부가 유도관으로 유입되어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는 분진, 미세 먼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물질들은 UN(United Nation)의 산하기관인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로부터 배출규제를 받고 있는 대표적인 대기 오염물질들이다.
특히, 선박은 연료의 비용 절감을 위해서 점도성이 높고, 휘발성이 낮으며, 가연성이 낮은 저급 원료인 MDO(Marine Disesel Oil) 이나 HFO(Heavy Fuel Oil)를 사용하기 때문에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배기가스가 많이 발생하는데, 오염물질 중에 하나인 질소산화물은 대기를 오염시켜 생물에 해를 주게 되므로 대기로 배출하기 전에 제거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배기가스는 선박이 대륙 근해상에 도달하면 LSD(Low Surfer Disesel Oil)로 연료를 전환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제어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배출규제가 점차적으로 강화되면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 종래의 화석연료의 연소반응으로 생성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이 대표적이다. SCR은 선택적 촉매 환원법을 이용한 질소산화물 저감 시스템으로서, 요소수인 암모니아(NH3) 또는 우레아(Urea)를 주입하여 질소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변환하여 제거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이때 엔진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농도에 따라 요소수의 분사량 등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배기가스 분석계(NOx Analyzer)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배기가스 분석계는 가격이 매우 고가이며 유지보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운용관리비가 추가로 지출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소형선박의 경우 고가의 배기가스 분석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고가의 배기가스 분석계를 대체할 수 있는 차량용 질소산화물 측정센서(NOx Sensor)를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에 설치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에 의해 SCR 시스템을 작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차량용 질소산화물 측정센서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Surfer)에 노출 될 경우 황 피독(Poisoning)에 의해 센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저유황 경유를 사용할 때에만 센서가 배기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가변 샘플링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8813호 '선박에 있어서의 엔진의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공개일자 2011.06.01)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2193호 '내연기관의 배기 가스내 질소 산화화물의 촉매 환원 장치 및 방법 (공개일자 1999.1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배기관에 질소산화물 측정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유도관을 마련하고, 유도관에 개폐밸브를 추가로 설치하여 개폐밸브의 개폐에 의해 선택적으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차량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은 엔진(100); 상기 엔진(100)이 구동되면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일측이 상기 엔진(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와 접해있는 배기관(200); 상기 배기관(200)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요소수가 분사되는 환원 촉매기(300); 상기 엔진(100)과 상기 환원 촉매기(3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배기가스가 일정량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단과 타측단이 상기 배기관(200)과 연통되는 유도관(400); 상기 유도관(4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400)으로 이동하는 상기 배기가스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1 개폐밸브(510); 상기 유도관(40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400)으로 이동된 상기 배기가스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2 개폐밸브(520); 상기 유도관(400)에 설치되되, 상기 제1 개폐밸브(510)와 상기 제2 개폐밸브(5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환원 촉매기(300)에서 분사되는 요소수의 분사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배기가스가 포함하는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 센서(600); 상기 제1 개폐밸브(510)와 상기 제2 개폐밸브(52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400)은 상기 제1 개폐밸브(510)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200)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유입되도록 일측이 상기 배기관(200)과 연통되는 유입관(410); 상기 유입관(410)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유입관(410)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측정 센서(600)가 설치되는 이동관(420); 상기 제2 개폐밸브(52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관(420)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관(200)으로 배출되도록 일측이 상기 이동관(42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기관(200)과 연통되는 유출관(430);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410)은 상기 제1 개폐밸브(510)의 개방 시 배출가스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 개폐밸브(510)가 개방되면 상기 유입관(410)으로 상기 배기가스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유입관(410)과 상기 배기관(200)이 접하는 부분에 상기 배기가스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는 부분 차단벽(800)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개폐밸브(510)가 개방되면 상기 배기가스 중 일부는 상기 부분차단벽(800)을 통과하고, 일부는 상기 유입관(410)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부분 차단벽(800)에는 다수개의 관통홀(8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입관(410)에는 상기 유입관(41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는 내부관(910); 상기 내부관(9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측면에 다수의 기어 치(齒)가 형성되는 제1 기어(920); 및 일측에 형성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내부관(910)의 일측이 상기 배기관(2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상기 유입관(4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상기 제1 기어(920)와 맞물리며 회전하며 상기 내부관(910)을 이동시키는 제2 기어(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가의 질소산화물 분석계에 비해 저렴한 질소산화물 측정센서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농도를 측정함에 따라 추가적인 유지보수가 불필요해 인건비 및 시스템 운용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어밸브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연료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도관에 배기가스를 유입시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질소산화물 측정센서가 황 산화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밸브가 개방되는 경우 유도관의 일측에 배기가스를 유도관으로 유도하는 부분 차단벽이 구비되고, 부분 차단벽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됨으로 인해 제어밸브가 닫히는 경우 배출가스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배기가스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유도관 및 배기관의 내부의 주요 구성 및 배기가스의 배출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유도관 및 배기관의 내부에 형성된 부분 차단벽 및 배기가스의 흐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부분 차단벽을 관통한 다수개의 관통홀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유도관 및 배기관의 내부의 주요 구성 및 배기가스의 배출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유도관 및 배기관의 내부에 형성된 부분 차단벽 및 배기가스의 흐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부분 차단벽을 관통한 다수개의 관통홀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은 선박의 후단에 형성된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100)이 형성된다. 엔진(100)은 MOD(Marine Diese Oil), HFO(Feavy Fuel Oil) 및 LSD(Low surfer Diesel Oil) 등의 중 연로를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시킨다. 이때 엔진(100)이 구동됨에 따라 연료가 연소되면서 유해가스가 다량 포함된 배기가스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배기가스는 엔진(100)과 연결된 배기관(200)을 통해 선박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관(200)은 일측이 엔진(100)과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와 접해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을 참조하면 배기관(200)에는 환원 촉매기(300)가 설치된다. 환원 촉매기(300)는 배기가스가 포함하고 있는 유해가스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특히 유해가스 중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그 효과가 매우 탁월하며,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키도록 우레아(Urea) 요소수가 일정량 분사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엔진(100)과 환원 촉매기(300) 사이에 위치하는 유도관(400)이 형성된다. 유도관(400)은 배기관(200)을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일정량 유입된 후 다시 배기관(20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단과 타측단이 배기관(200)의 측면에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즉 유도관(400)을 통해 배기관(200)의 배기가스의 일부가 유도관(400)을 통해 우회하여 다시 배기관(200)으로 재공급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유도관(400)은 배기관(2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유도관(400)의 일측, 즉 유도관(400)으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에 제1 개폐밸브(510)가 형성된다. 제1 개폐밸브(510)는 유도관(400)으로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유입을 제어한다. 제1 개폐밸브(510)는 유도관(400)의 일측을 밀폐시키며 개폐할 수 있는 밸브라면 그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일측에 구동용 모터가 구비된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유도관(400)의 타측, 즉 유도관(400)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다시 배기관(200)으로 배출되는 부분에 제2 개폐밸브(520)가 형성된다. 제2 개폐밸브(520) 또한 제1 개폐밸브(510)와 동일한 목적을 가지며, 상기 제1 개폐밸브(510)와 동일한 버터플라이 밸브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유도관(400)에는 차량에 사용되는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센서(600)가 설치된다. 측정 센서(600)는 제1 개폐밸브(510)와 제2 개폐밸브(520) 사이에 위치하며, 유도관(400)으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감지하여 환원 촉매기(300)에서 분사되는 요소수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측정 센서(600)는 황산화물에 의해 쉽게 오작동을 일으키지만, 황산화물이 다량 배출되는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 의 (b)와 같이 제1 개폐밸브(510) 및 제2 개폐밸브(520)를 밀폐하여 유도관(400)으로 배기가스의 유입을 차단하고, 저유황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 의 (a) 같이 제1 개폐밸브(510) 및 제2 개폐밸브(520)를 개방한 후 유도관(400)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제1 개폐밸브(510)와 제2 개폐밸브(52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700)가 구비된다. 또한 제어부(700)는 측정 센서(600)에서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농도 값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환원 촉매기(300)에서 분사되는 요소수의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환원 촉매기(300) 및 측정 센서(600)와 연결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유도관(400)은 유입관(410), 이동관(420) 및 유출관(430)을 포함한다. 유입관(410)은 배기관(200)과 연통되어 배기관(200)으로부터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제1 개폐밸브(510)가 구비된다.
이동관(420)은 일측이 유입관(410)의 타측 끝단과 연결되고, 일측에 측정 센서(600)가 설치되어 유입관(410)으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유출관(430)은 일측이 이동관(420)과 연결되며 타측이 배기관(200)과 연통되고, 유출관(430)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520)가 구비된다. 유출관(430)은 이동관(420)으로부터 이동된 배기가스를 배기관(200)으로 배출시키되, 유출관(430)의 끝단, 즉 배기관(200)과 인접한 부분에는 음압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개폐밸브(510,520)가 개방되어 있으면 유입관(410)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원활하게 유출관(430)을 통과하여 배기관(200)으로 재 유입된다.
한편, 유입관(410)은 제1 개폐밸브(510)의 개방 시 배출가스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배출가스의 이동방향과 예각을 이루며 일정각도(θ)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을 참조하면 유입관(410)과 배기관(200)이 접하는 부분에는 부분 차단벽(800)이 형성된다. 부분 차단벽(8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배기관(20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또한 부분 차단벽(800)은 배기가스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1 개폐밸브(510)가 개방되면 배기가스는 부분 차단벽(800)에 안내되어 일정량이 유도관(4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개폐밸브(510)가 배기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면 부분 차단벽(800)은 돌출되는 거리가 낮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이동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부분 차단벽(800)에는 다수개의 관통홀(810)이 부분 차단벽(800)을 관통하며 형성된다. 이는 제1 개폐밸브(510)가 개방되면 배기가스 중 일부는 부분 차단벽(800)을 통과하고, 일부는 유입관(410)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개폐밸브(510)가 배기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면 관통홀(810)을 배기가스가 통과하게 되므로 배기가스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관통홀(810)로 인해 배기관(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와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유입관(410)에는 유입관(410)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내부가 중공된 내부관(910)이 형성된다. 내부관(910)은 유입관(410)의 내측면을 따라 유입관(410)의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즉 내부관(910)의 일측이 배기관(20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유입관(4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내부관(910)의 외측면에는 측면에 다수의 기어 치(齒)가 형성되는 제1 기어(920)가 돌출 형성되고, 유입관(410)에는 제1 기어(92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제1 기어(920)를 가이드하여 제1 기어(9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하우징(411)이 형성된다.
안내 하우징(411) 내부에는 제1 기어(920)와 맞물리는 제2 기어(930)가 구비된다. 제2 기어(930)는 일측에 형성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기어(9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개폐밸브(510,520)가 개방되면, 구동모터(M)가 일측으로 회전하여 내부관(910)의 일측이 배기관(2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배기가스의 유입을 내부관(910)이 안내한다. 이와 반대로 제1 및 제2 개폐밸브(510,520)가 밀폐되면 구동모터(M)가 타측으로 회전하여 내부관(910)의 일측이 유입관(410)의 내부로 인입되고 배기가스는 배기관(200)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구동모터(M)는 상기된 제어부(700)에 의해 구동방향이 제어될 수 있으며, 양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한 스텝모터 또는 서보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고가의 질소산화물 분석계에 비해 저렴한 차량용 질소산화물 측정 센서(6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유도관(4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 및 제2 개폐밸브(510,520)가 설치되어 사용하는 연료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도관(400)에 배기가스를 유입시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센서(700)가 황 산화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유도관(400)의 일측에 배기가스를 유도관(400)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부분 차단벽(800)을 구비하였으며, 부분 차단벽(800)에 다수개의 관통홀(810)이 형성됨으로 인해 제어밸브가 닫히는 경우 배출가스가 관통홀(810)을 통과하여 배기가스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발생한다.
100 : 엔진 200 : 배기관
300 : 환원 촉매기 400 : 유도관
410 : 유입관 420 : 이동관
430 : 유출관 510 : 제1 개폐밸브
520 : 제2 개폐밸브 600 : 측정 센서
700 : 제어부 800 : 부분 차단벽
810 : 관통홀 910 : 내부관
920 : 제1 기어 930 : 제2 기어

Claims (5)

  1. 엔진(100);
    상기 엔진(100)이 구동되면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일측이 상기 엔진(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와 접해있는 배기관(200);
    상기 배기관(200)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요소수가 분사되는 환원 촉매기(300);
    상기 엔진(100)과 상기 환원 촉매기(3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배기가스가 일정량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단과 타측단이 상기 배기관(200)과 연통되는 유도관(400);
    상기 유도관(4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400)으로 이동하는 상기 배기가스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1 개폐밸브(510);
    상기 유도관(40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400)으로 이동된 상기 배기가스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2 개폐밸브(520);
    상기 유도관(400)에 설치되되, 상기 제1 개폐밸브(510)와 상기 제2 개폐밸브(5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환원 촉매기(300)에서 분사되는 요소수의 분사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배기가스가 포함하는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 센서(600);
    상기 제1 개폐밸브(510)와 상기 제2 개폐밸브(52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관(400)은 상기 제1 개폐밸브(510)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200)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유입되도록 일측이 상기 배기관(200)과 연통되는 유입관(410);
    상기 유입관(410)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유입관(410)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측정 센서(600)가 설치되는 이동관(420);
    상기 제2 개폐밸브(52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관(420)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관(200)으로 배출되도록 일측이 상기 이동관(42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기관(200)과 연통되는 유출관(430);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410)은 상기 제1 개폐밸브(510)의 개방 시 배출가스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개폐밸브(510)가 개방되면 상기 유입관(410)으로 상기 배기가스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유입관(410)과 상기 배기관(200)이 접하는 부분에 상기 배기가스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는 부분 차단벽(8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밸브(510)가 개방되면 상기 배기가스 중 일부는 상기 부분차단벽(800)을 통과하고, 일부는 상기 유입관(410)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부분 차단벽(800)에는 다수개의 관통홀(8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410)에는
    상기 유입관(41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는 내부관(910);
    상기 내부관(9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측면에 다수의 기어 치(齒)가 형성되는 제1 기어(920); 및
    일측에 형성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내부관(910)의 일측이 상기 배기관(2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상기 유입관(4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상기 제1 기어(920)와 맞물리며 회전하며 상기 내부관(910)을 이동시키는 제2 기어(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
KR1020140101806A 2014-08-07 2014-08-07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 KR10161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06A KR101610111B1 (ko) 2014-08-07 2014-08-07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06A KR101610111B1 (ko) 2014-08-07 2014-08-07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987A KR20160017987A (ko) 2016-02-17
KR101610111B1 true KR101610111B1 (ko) 2016-04-08

Family

ID=5545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806A KR101610111B1 (ko) 2014-08-07 2014-08-07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1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1702A (zh) * 2016-05-17 2016-09-28 广州市威格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尾气处理的整体式催化剂评价装置
KR20180120523A (ko) 2017-04-27 2018-11-06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공기흐름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0769A (zh) * 2021-07-21 2021-11-1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含有排气碳含量测量设备的船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737A (ja) * 2002-09-30 2004-04-2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1258071B1 (ko) 2012-08-24 2013-04-30 주식회사 지스코 배기가스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454A (ko) 2001-07-12 2003-01-23 김명기 휴대 이동용 태양전지 앰프
DK2813424T3 (en) 2008-09-17 2018-06-14 Yanmar Co Ltd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for marine vessel eng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737A (ja) * 2002-09-30 2004-04-2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1258071B1 (ko) 2012-08-24 2013-04-30 주식회사 지스코 배기가스 배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1702A (zh) * 2016-05-17 2016-09-28 广州市威格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尾气处理的整体式催化剂评价装置
CN105971702B (zh) * 2016-05-17 2018-05-18 广州市威格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尾气处理的整体式催化剂评价装置
KR20180120523A (ko) 2017-04-27 2018-11-06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공기흐름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987A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915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시스템
US9874127B2 (en) Urea injection device for selective catalyst reduction device
KR101610111B1 (ko)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한 센서가 구비된 가변 샘플링 시스템
JP2017198097A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5536180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EP3061935B1 (en) Engine with supercharger
KR20160065197A (ko) 배기 정화 장치
Sagin et al. APPLICATION OF THE SYSTEM OF RECirculation OF EXHAUST GASES FOR THE REDUCTION OF THE CONCENTRATION OF NITRIC OXIDES IN THE EXHAUST GASES OF SHIP DIESELS
EP3431731B1 (en) Nox sensor protecti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2711437C2 (ru) Система нейтрализации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работающего от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вод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2787885A (zh) 用于车辆的微粒过滤器和使用该微粒过滤器的排气系统
KR102303706B1 (ko) 디젤산화촉매장치 및 디젤미립자 필터의 일체형 구조
KR102359737B1 (ko) 통합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KR20150001459A (ko) 스크러버부 및 세라믹필터가 구비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시스템
KR101610113B1 (ko)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선박용 질소산화물 측정 시스템
JP2018021514A (ja) ミキサユニットおよび排気系
KR102275437B1 (ko) 스크러버 세정액 역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542321B1 (ko)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시스템
KR200480137Y1 (ko) 선박 또는 육상 플랜트용 슬라이딩 타입의 scr 시스템
KR100588678B1 (ko) 디젤 차량의 질소 산화물 제거 장치용 유리아 공급 장치
KR101303008B1 (ko) 엔진 배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갖춘 선박
KR102071005B1 (ko) 배기가스 스크러버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US11098631B2 (en) NOx sensor protection system
KR20230063024A (ko) 교번식 메탄산화촉매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101563664B1 (ko) 메탄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