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862B1 - 신규한 메이크업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메이크업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862B1
KR101609862B1 KR1020140149194A KR20140149194A KR101609862B1 KR 101609862 B1 KR101609862 B1 KR 101609862B1 KR 1020140149194 A KR1020140149194 A KR 1020140149194A KR 20140149194 A KR20140149194 A KR 20140149194A KR 101609862 B1 KR101609862 B1 KR 101609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oil
microemulsion
cosmetic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남
김은종
장하나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합성 피혁에 화장품을 도포하고, 색차계(colorimeter)를 사용하여 도포한 표면의 색을 측정하는 제 1단계; 상기 화장품이 도포된 표면을 클렌저로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제 2단계; 색차계를 사용하여 제 2단계를 거친 표면의 색을 측정하는 제 3단계; 및 제 1단계와 제 3단계의 색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클렌징 효능을 평가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클렌징 효능을 정량적인 수치를 통해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바 유성 메이크업 화장품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한 클렌징 제품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신규한 메이크업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및 그 조성물{NOVEL EVALUATION METHOD OF MAKE-UP CLEANSING EFFECT AND COMPOSITION THEREFOR}
본 발명은 신규한 유성 메이크업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화장품을 깨끗하게 제거하는 클렌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화장품 중에서도 특히 유성(oily)화장품은 물과 잘 유화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완벽하게 제거하기가 어렵고 기름 성분이 피부에 잔류할 경우 모낭염 등과 같은 피부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클렌저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클렌저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개발된 클렌저의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기존의 핸드 워싱 테스트 또는 육안 테스트 방법이 있지만 이는 시험자의 감각에 의존한 것으로 정확성이 떨어지고,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 10-2006-0130037는 클렌징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촉각 특성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공지하고 있으나 이는 평가 단계가 복잡하여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 10-2006-0130037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우레탄 합성 피혁 및 색차계를 이용하여 유성(oily) 메이크업 화장품의 클렌징 효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치로 제공함과 동시에 편리하고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는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의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합성 피혁에 화장품을 도포하고, 색차계(colorimeter)를 사용하여 도포한 표면의 색을 측정하는 제 1단계; 상기 화장품이 도포된 표면을 클렌저로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제 2단계; 색차계를 사용하여 제 2단계를 거친 표면의 색을 측정하는 제 3단계; 및 제 1단계와 제 3단계의 색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클렌징 효능을 평가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유성(oily) 메이크업 화장품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성 메이크업 화장품은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티타늄 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시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실리카(silica), 페닐 트리메티콘(phenyl trimethicone), 디메티콘(dimethicone),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세틸 PEG/PPG-10/1 디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phate),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PEG-9 폴리 디메틸 실록시 에틸 디메티콘(PEG-9 poly dimethyl siloxy ethyl dimethicone), 운모(mica), 디스테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dimonium hectorite),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aluminum hydroxid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트리메틸 실록시 실리케이트(trimethyl siloxy silicate), 카프릴릴 디메티콘 에톡시 글루코사이드(caprylyl dimethycone ethoxy glucoside),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4 isostearate), 쿼르테늄-18 벤토나이트(quartenium-18 bentonit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적색 산화철(red iron oxide), 디소듐 EDTA(disodium EDTA), 황색 산화철(yellow iron oxide) 및 흑색 산화철(black iron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세척은 클렌저 도포 후 물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세척은 마이크로-스프레이어로 물을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의 클렌징 효능은 하기 식 3(L2, a2, b2는 세척 전 폴리우레탄 표면의 색깔, L1, a1, b1은 세척 후 폴리우레탄 표면의 색깔)에 의해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식 3]
Figure 112014104620710-pat00001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클렌저는 w/o(유중수형) 마이크로에멀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합성 피혁, 색차계(colorimeter), 및 클렌저를 포함하는 클렌징 효능 평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IOB 값과 HLB 에 기초한 습윤성 평가
제조된 마이크로에멀전에 대한 습윤성 자료는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접촉각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오일의 IOB 값이 0.09부터 0.17까지 증가함에 따라, 마이크로에멀전의 접촉각은 감소하였고(코사인θ값은 증가), 그 이후에는 A5를 제외하고는 오일의 IOB 값이 0.42까지 상승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였다(코사인θ값은 감소). 이로부터 IOB 값이 0.17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습윤성이 증가하고 그 후에 눈에 띄게 습윤성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헥실 라우레이트의 점도가 사용된 오일 중에 가장 낮은데, 이것의 IOB 값은 0.17이다. 헥실 라우레이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에멀전(HLB8.0, HLB 9.5, HLB 11.0)은 다른 오일을 함유한 다른 마이크로에멀전보다 더 나은 습윤성을 보인다. 더욱이, 습윤성은 A5를 제외하고는 HLB가 감소할수록 감소한다(코사인θ값도 감소).
전반적으로, 유화 시스템의 HLB가 8.0이고 오일의 IOB 값이 0.17일 때 접촉각은 최소값(코사인θ값은 최대값)을 보인다. 그래서, 오일의 IOB가 낮고 유화 시스템의 HLB가 낮을수록, 마이크로에멀전의 습윤성은 증가한다.
점도에 기초한 습윤성
고체에 대한 액체의 습윤 패턴은 물리적 특성 뿐 아니라 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마이크로에멀전과 접촉각으로부터 얻어진 cosθ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오일의 IOB가 0.09부터 0.17까지 증가하고 연속적으로 0.42까지 증가함에 따라 마이크로에멀전의 점도는 감소하였다. 오일의 점도는 또한 마이크로에멀전의 점도와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반면에 유화 시스템의 점도는 HLB가 상승함에 따라(HLB 8.0, 9.5, 11.0) 상승하였지만 이것이 마이크로에멀전의 점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 2) 도 2는 IOB에 기초한 오일의 점도 변화가 상응하는 오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전의 점도 변화 경향과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마이크로에멀전같은 콜로이드의 물리적 성질은 연속상에 대한 분산상의 비율, 연속상의 점도 및 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에멀전의 분산상은 오직 물이며, 분산상의 조성 비율은 매우 낮다(1%). 따라서 마이크로에멀전의 점도는 연속적인 오일 상의 점도에 의해 영향받는다고 추정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점도와 습윤성의 상관관계 플롯에 대한 결정 상관계수(R2)는 0.8567이고 회귀 상관계수는 -0.0012이다. 그래서, 마이크로에멀전의 점도와 cos θ 사이의 관계는 음성 상관관계이다. 오일의 IOB가 0.09부터 0.17까지 상승하면서 마이크로에멀전의 점도는 감소하였고 습윤성은 증가하였으며, 오일의 IOB가 0.42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습윤성은 감소하였다. 시료의 습윤 속도와 점도는 고체/액체의 동력학적 습윤 평가에 기초한 상관관계에 의해 지배된다.
IOB 값과 HLB 에 기초한 유화 활성
습윤성에 더하여, 유화 활성 또한 유성 메이크업 화장품을 제거하는 데 있어서 마이크로에멀전의 중요한 파라미터가 된다. 유화 활성 지수(EAI)는 유화 활성에 의해 정량화되는데, 지수가 높을수록 유화 활성 또한 크다. 도 4는 오일의 IOB값이 0.09부터 0.36까지 상승할수록 유화 활성 지수도 상승하고, 오일의 IOB값이 0.42 이상까지 증가하면 유화활성지수는 감소함을 보여준다. 그래서 최대 유화 활성은 오일의 IOB값이 0.36일 때, 즉 트리에틸 헥사노에이트 및 유화 시스템의 HLB가 8.0일 때 달성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는 습윤성의 증가 경향은 오일의 IOB값이 0.09부터 0.17 범위에 있을 때 유화 활성의 경향과 일치함을 보여준다. 그 결과, IOB 값이 0.17인 헥실 라우레이트와 유화 시스템의 HLB가 9.5인 것을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세정력을 얻을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인 세정력을 얻기 위해서 유성 메이크업 화장품의 제거에 있어서 어떤 것이 더 중요한 파라미터인지 결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오일의 적절한 IOB값과 HLB가 비슷한 경향 또는 반대 경향을 보일 수 있다. 습윤성, 유화 활성 및 세정력의 연관 관계는 Minitab 회귀 분석 프로그램에 실험적으로 정해진 값을 넣음으로써 얻을 수 있다.
세정력, 습윤성, 및 유화 활성의 관계는 아래 식과 같다.
[식 1]
세정력(ΔE) = (98.1 x 습윤성(cosθ)) + (120.5 x 유화활성(EAI ,emulsifying activity index)) -77.1
상기 식 1에서 세정력은 응답 변수(response variable)이고, 반면에 습윤성과 유화 활성(EAI)는 각각 독립 변수 1, 2이고 상수는 -77.1이며, 비-표준화된 회귀 상관계수는 98.1, 120.5이다. 이러한 비표준 회귀 상관계수는 표준 회귀 상관계수로 변환될 수 있으며 그 값은 각각 0.90, 0.22이다. 일반적으로 다항 회귀 분석에서, 독립 변수의 단위가 같지 않기 때문에 표준화된 회귀 상관관계가 각 변수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높게 표준화된 회귀 상관계수를 가질수록 독립 변수가 큰 영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상관계수가 0.89인 경우에 습윤성과 유화 활성 둘 다 세정력에 대해 양성 상관관계를 가진다. 다항 회귀분석으로부터 얻어진 표준화된 회귀 상관계수는 유화 활성에 비해 습윤성이 세정력에 더 중요함을 보여준다. 도 6과 7에서 보듯이, 습윤성인 세정력에 비례한다. 그래서 세정제 조성물은 습윤성에 대한 점도의 영향 또는 조성물의 극성을 고려해야 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자들은 w/o 마이크로에멀전을 제조한 후에 이들의 유성 메이크업 화장품의 제거에 대한 세정 특성을 평가하였다. w/o 마이크로에멀전은 7개의 오일과 3개의 유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세정력은 습윤성과 유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써 비교하였다.
마이크로에멀전의 습윤성은 접촉각에 기초하여 평가했으며, 오일 조성물의 IOB값이 0.09부터 0.17까지 상승할수록 접촉각θ도 상승했다. 그리고 마이크로에멀전의 HLB가 8.0, 9.5, 11.0으로 상승함에 따라 습윤성은 감소하였다. 습윤성과 점도를 연관시키는 회귀 방정식은 결정 상관계수(R2)가 0.8567이었고, 회귀 상관계수는 -0.0012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래서, 마이크로에멀전의 점도는 cos θ로 나타나는 습윤성과 음성 상관관계에 있다.
마이크로에멀전의 유화 활성은 오일의 IOB값이 0.09부터 0.36까지 상승하면서 증가하였고, 동시에 오일의 IOB값이 0.42까지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러나 유화 시스템의 HLB는 유화 활성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못한다. 이러한 경향은 올레산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오일의 극성이 증가함에 따라 유화 활성이 증가함을 나타낸다.
마이크로에멀전의 세정력은 오일의 IOB값이 0.09에서 0.17까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고, IOB값이 0.42까지 올라갈수록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세정력은 또한 HLB가 8.0에서 9.5까지 상승할수록 증가하며 연속적으로 HLB 11.0에서는 오일의 IOB 값이 0.09-0.17일 때 감소하였다.
방정식은 상기에 나타낸 식 1과 같으며, 상관 계수는 0.89인데, 이는 어떠한 파라미터가 유성 메이크업 화장품 제거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항 회귀 분석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얻었다.
결론적으로 마이크로에멀전의 세정력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유화 활성보다는 습윤성의 영향이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상기 식에서 구한 습윤성 및 EAI에 대한 표준 회귀 상관계수가 각각 0.99와 0.22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은 폴리우레탄 합성 피혁과 색차계를 사용하여 클렌징 효능을 정량적인 수치를 통해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하여 유성 메이크업 화장품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한 클렌징 제품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마이크로에멀전에 함유된 오일의 IOB 값과 유화 시스템의 HLB의 습윤성(cos θ)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림.
도 2. 마이크로에멀전에 함유된 오일의 IOB값과 유화 시스템의 HLB의 점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림. 유화 시스템의 점도는 각각 HLB 8 = 232.8 mPa·s, HLB = 272.3 mPa·s, 및 HLB = 280.7 mPa·s임.
도 3. 습윤성(cos θ)과 점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림.
도 4. 마이크로에멀전에 함유된 오일의 IOB값과 유화 시스템의 HLB의 EAI(유화 활성 지수)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그림.
도 5. 20개의 마이크로에멀전의 IOB 및 HLB에 따른 세정력(ΔE)을 나타낸 그림.
도 6. 습윤성(cosθ)및 세정력 (ΔE)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
도 7. EAI, 습윤성 및 세정력의 3차원적 회귀 분석 그래프를 나타낸 그림.
도 8. 사용된 오일의 분자 구조를 나타낸 그림. a) 2-옥틸 도데실 미리스테이트(2-Octyl dodecyl myristate), b) 세틸 에틸 헥사노에이트(Cetyl ethyl hexanoate), c)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 d)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e) 옥틸 도데카놀(Octyl dodecanol), f) 트리에틸 헥사노에이트(Triethyl hexanoate), g) 올레산(Oleic acid)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w/o 마이크로에멀전의 제조
세정 시스템을 위한 w/o 마이크로에멀전의 제조에 있어서, 오일은 극성의 증가에 따라 1번에서 7번까지 번호를 매겼고, 유화 시스템은 HLB 8.0, HLB 9.5, HLB 11.0과 각각 상응하여 A, B, C로 표시하였다. 총 20개의 마이크로에멀전이 제조되었고, A1~A7, B1~B7, C2~C7로 표시하였다(표 1). 각 시료는 유화 시스템/오일/에탄올/물의 조성이 19:79:1:1이 되도록 제조되었다. 마이크로에멀전은 오일, 유화시스템, 보조 계면활성제를 같은 시료 튜브에 혼합한 후에 투명해질 때까지 물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열성 시험
마이크로에멀전의 내열성은 20개의 시료를 4주 동안 4℃, 25℃, 45℃에서 배양시킴으로써 평가하였다. 각 시료는 명백한 분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육안으로 확인하기 전까지 실온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3. 마이크로에멀전 유형의 분석
전기 전도도를 측정함으로써 마이크로에멀전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20개의 시료의 제조에 있어서, 1μM NaCl 용액이 사용되었고, 마이크로에멀전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HM 디지털 인코포레이션 전기 전도도 미터(COM-100)을 사용하여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Krauel et al;에 기초하여 전기 전도도가 낮으면(<1μS/cm) 마이크로에멀전의 유형은 w/o 유형이며, 그렇지 않으면 마이크로에멀전은 이중연속상(bicontinuous) 이거나 o/w 유형이라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4. 오일의 IOB (유기/무기 밸런스)의 계산
계면활성제의 친수성은 일반적으로 HLB(친수성/친유성 밸런스)로 나타낸다. 그러나 세정 시스템의 세정력에 관하여 계면활성제 뿐 아니라 오일의 친수성도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성(oily) 유기 용액의 극성을 반영하는 유기 관념적 지표를 사용하여 본 발명자들은 세정력과 두 특정한 요소 간의 관계, 즉 요구되는 HLB에 대한 IOB 값에 기초하여 습윤성 및 유화 능력을 확인하였다. 높은 IOB 값은 높은 극성과 상응하며, 반면에 낮은 IOB 값은 낮은 극성을 나타낸다. IOB 값은 유기값(OV, Organic value)에 대한 무기값(IV, Inorganic value)의 비율로써 나타낸다.
실시예 5. 폴리우레탄 인공 가죽에 대한 w/o 마이크로에멀전의 습윤성
w/o 마이크로에멀전의 습윤성은 정적 접촉각 측정 방법(static contact angle measurement method)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에서, 적어도 세 번의 반복 시험을 하여 그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습윤성은 폴리우레탄 인공 가죽 표면에 부착된 마이크로에멀전 방울과 그 방울 사이의 접촉각(θ)의 코사인 값으로 나타내었다. 접촉각(θ)은 폴리우레탄 표면에 대해 마이크로에멀전을 떨어뜨린 후 0.4초 후에 측정하였다.
실시예 6. 점도 측정
시료의 점도는 23℃에서 Brookfield US/LVDV-Ⅱ+Pro instrumen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낮은 점도의 시료, 즉 CEH, ITIN, HL로 구성된 9가지 시료는 스핀들, S61을 사용하여 100rpm에서 측정하였다. 상대적으로 높은 점도를 갖는 11개의 시료는 2-옥틸 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카놀, 트리에틸 헥사노에이트 및 올레산으로 구성되었으며, 스핀들, S61을 사용하여 50rpm에서 측정하였다. 적어도 세 번 반복하여 측정했으며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o/w 에멀전의 제조
오일-인-워터 에멀전은 탈이온수(10.0g)을 w/o 마이크로에멀전(0.3g)에 첨가하고 IKA-WERKE 인코포레이션 균질화기(DE/T-25)를 사용하여 12,000rpm에서 1분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UIL-DHP40040(유일 초음파 청소기)를 용액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1분 정도 38.3 KHz에서 작동시켰다.
실시예 8. 유화 활성의 측정
에멀전 시료의 유화 활성 지표(EAI, Emulsifying Activity Index)는 Pearce and Kinsella의 탁도계 방법(1978)에 조작을 가하여 측정하였다. 이 에멀전은 연속적으로 500nm에서 0.01~0.80의 흡광도를 내도록 희석시켰다. 마지막에는 제조된 에멀전(50 μL)은 약 0.1 wt%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 5mL로 희석시켰고 희석된 용액(500μL)는 0.1 wt%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 용액(4.5mL)으로 한번 더 희석시켰다. 흡광도는 Varian UV-Vis 분광광도계(호주)를 사용하여 500nm에서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로부터 얻은 EAI는 아래와 같이 계산되었다.
[식 2]
EAI = 4.606 x A500 / C x (1-Φ)
상기 식 2에서 A500은 500nm의 흡광도를 나타내고, C는 에멀전 형성 전 비수용성 상(유화제+오일+에탄올)의 단위 질량 당 유화제의 질량(mg/g)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C는 192이고, Φ는 에멀전의 오일 부피 퍼센트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 Φ=0.18이다.
코드 유화 시스템 오일 HLB
A1




PEG2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GT)
1. 2-옥틸 도데실 미리스테이트
(2-Octyl dodecyl myristate)






8.0
A2 2. 세틸 에틸 헥사노에이트
(Cetyl ethyl hexanoate)
A3 3.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Isotridecyl isononanoate)
A4 4. 헥실 라우레이트
(Hexyl laurate)
A5 5. 옥틸 도데카놀
(Octyl dodecanol)
A6 6. 트리에틸 헥사노에이트
(Triethyl hexanoate)
A7 7. 올레산
(Oleic acid)
B1





PGT : PS85 = 1:1


1. 2-옥틸 도데실 미리스테이트
(2-Octyl dodecyl myristate)






9.5
B2 2. 세틸 에틸 헥사노에이트
(Cetyl ethyl hexanoate)
B3 3.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Isotridecyl isononanoate)
B4 4. 헥실 라우레이트
(Hexyl laurate)
B5 5. 옥틸 도데카놀
(Octyl dodecanol)
B6 6. 트리에틸 헥사노에이트
(Triethyl hexanoate)
B7 7. 올레산
(Oleic acid)
C2





폴리소르베이트 85(PS85)


2. 세틸 에틸 헥사노에이트
(Cetyl ethyl hexanoate)






11.0
C3 3.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Isotridecyl isononanoate)
C4 4. 헥실 라우레이트
(Hexyl laurate)
C5 5. 옥틸 도데카놀
(Octyl dodecanol)
C6 6. 트리에틸 헥사노에이트
(Triethyl hexanoate)
C7 7. 올레산
(Oleic acid)
표 1은 조성에 따른 마이크로에멀전의 형성에 사용된 물질을 나타낸 표임. 오일의 친수성은 1 < 2 < 3 < 4 < 5 < 6 < 7 의 순서로 증가하고, 유화제의 친수성은 A < B < C 순서로 증가하며, 조성 (w/w %)는 오일 : 유화제 : 에탄올 : 물 = 79 : 19 : 1: 1이다.
오일 IV OV IOB
1. 2-옥틸 도데실 미리스테이트
(2-Octyl dodecyl myristate)
60 670 0.09
2. 세틸 에틸 헥사노에이트
(Cetyl ethyl hexanoate)
60 470 0.13
3.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Isotridecyl isononanoate)
60 420 0.14
4. 헥실 라우레이트
(Hexyl laurate)
60 360 0.17
5. 옥틸 도데카놀
(Octyl dodecanol)
100 400 0.25
6. 트리에틸 헥사노에이트
(Triethyl hexanoate)
180 500 0.36
7. 올레산
(Oleic acid)
152 360 0.42
표 2는 7가지 종류의 오일의 분자 구조와 IOB값을 나타낸 표임.
실시예 9. 세정 능력 시험
세정력은 피부의 각질층 또는 인공 피부에 대한 대체품으로, 작은 불규칙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합성 피혁(PU 합성 피혁 패브릭 보보 플레인 패브릭-아이보리, 길성&엠스토리 Co., Ltd, 대한민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정력은 색차계(colorimeter, Color Reader, CR-10, 미놀타 Co., Ltd., 일본)를 사용하여 1기압, 25℃에서 측정하였다. 폴리우레탄 합성 피혁은 3cm의 지름을 가진 원 모양으로, 이것을 0.05g의 w/o 파운데이션을 함유하는 유사한 표면으로 문질렀다. 마이크로에멀전 0.30g은 표면에 떨어뜨렸으며 힘을 주지 않고 롤러로 50회 문질렀다. 롤러의 무게는 ca.53.00g이었다. 연속적으로 1.00g의 정제수를 표면에 떨어뜨리고 즉시 롤러로 10회 문질렀다.
이 과정을 한 번 더 반복하였다. 오염물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 마이크로-스프레이어로 20회 물을 분사하였고 각 분사 당 평균 0.14g의 물이 분사되었다. 실험군은 세척 이후 72시간 동안 건조시켰으며 대조군은 w/o 파운데이션을 적용한 시점으로부터 72시간동안 건조시켰다. w/o 파운데이션은 실리콘, 에스터 오일, 수용성 조성물, 계면활성제, 색소 등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시장에서 파는 실제 물질을 가상실험하였다(표 3). 폴리우레탄의 표면은 9부분으로 나눴는데, 이는 세정력 테스트에 사용되는 표면이 색차계의 렌즈 사이즈보다 훨씬 컸기 때문이다. 색의 차이를 평균내었고, 각 시료는 적어도 세 번 분석하였다. 다시 말해서, 측정된 ΔE는 lightness(L), redness(a), yellowness(b)로 나타내는 hunter color value를 적용한 이후에 깨끗해진 폴레우레탄과 깨끗해지기 전 폴리우레탄 사이의 색차이를 나타낸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식 3]
Figure 112014104620710-pat00002
L2, a2, b2는 파운데이션만 도포된 세척 전의 오염된 폴리우레탄 고체 표면의 색깔을 나타내고, L1, a1, b1은 세척 후 깨끗해진 폴리우레탄 고체 표면의 색깔을 나타낸다.
물(water),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티타늄 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시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실리카(silica), 페닐 트리메티콘(phenyl trimethicone), 디메티콘(dimethicone),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세틸 PEG/PPG-10/1 디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phate),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PEG-9 폴리 디메틸 실록시 에틸 디메티콘(PEG-9 poly dimethyl siloxy ethyl dimethicone), 운모(mica), 디스테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dimonium hectorite),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aluminum hydroxid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트리메틸 실록시 실리케이트(trimethyl siloxy silicate), 카프릴릴 디메티콘 에톡시 글루코사이드(caprylyl dimethycone ethoxy glucoside),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4 isostearate), 쿼르테늄-18 벤토나이트(quartenium-18 bentonit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적색 산화철(red iron oxide), 디소듐 EDTA(disodium EDTA), 황색 산화철(yellow iron oxide), 흑색 산화철(black iron oxide)
표 3은 실험에 사용한 w/o 파운데이션의 성분을 나타냄.

Claims (8)

  1. 폴리우레탄 합성 피혁에 마이크로에멀전 형태의 화장품을 상기 폴리우레탄 합성 피혁 표면에 떨어뜨려 롤러로 문질러 화장품을 도포하고,
    색차계(colorimeter)를 사용하여 도포한 표면의 색을 측정하는 제 1단계;
    상기 화장품이 도포된 표면을 클렌저로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제 2단계;
    색차계를 사용하여 제 2단계를 거친 표면의 색을 측정하는 제 3단계; 및
    제 1단계와 제 3단계의 색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클렌징 효능을 평가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단계의 클렌징 효능은 하기 식 3(L2, a2, b2는 세척 전 폴리우레탄 표면의 색깔, L1, a1, b1은 세척 후 폴리우레탄 표면의 색깔)에 의해 평가하고, 여기서 L은 명도(lightness), a는 적색도(redness), b는 황색도(yellown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식 3]
    Figure 112015111184613-pat00018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유성(oily) 메이크업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메이크업 화장품은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티타늄 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시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실리카(silica), 페닐 트리메티콘(phenyl trimethicone), 디메티콘(dimethicone),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세틸 PEG/PPG-10/1 디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phate),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PEG-9 폴리 디메틸 실록시 에틸 디메티콘(PEG-9 poly dimethyl siloxy ethyl dimethicone), 운모(mica), 디스테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dimonium hectorite),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aluminum hydroxid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트리메틸 실록시 실리케이트(trimethyl siloxy silicate), 카프릴릴 디메티콘 에톡시 글루코사이드(caprylyl dimethycone ethoxy glucoside),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4 isostearate), 쿼르테늄-18 벤토나이트(quartenium-18 bentonit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적색 산화철(red iron oxide), 디소듐 EDTA(disodium EDTA), 황색 산화철(yellow iron oxide) 및 흑색 산화철(black iron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세척은 클렌저 도포 후 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은 마이크로-스프레이어로 물을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피혁은 9부분으로 나누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저는 유중수형(water in oil) 마이크로에멀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8. 삭제
KR1020140149194A 2014-10-30 2014-10-30 신규한 메이크업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609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194A KR101609862B1 (ko) 2014-10-30 2014-10-30 신규한 메이크업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및 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194A KR101609862B1 (ko) 2014-10-30 2014-10-30 신규한 메이크업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및 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862B1 true KR101609862B1 (ko) 2016-04-07

Family

ID=5578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194A KR101609862B1 (ko) 2014-10-30 2014-10-30 신규한 메이크업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4401A (zh) * 2017-12-05 2018-04-10 瓮福达州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包裹油的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868A (ja) * 2005-04-25 2006-11-02 Pola Chem Ind Inc クレンジング用の化粧料に好適な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868A (ja) * 2005-04-25 2006-11-02 Pola Chem Ind Inc クレンジング用の化粧料に好適な皮膚外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4401A (zh) * 2017-12-05 2018-04-10 瓮福达州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包裹油的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4131B (zh) 化妆品用原料
JP6889998B2 (ja) 組成物
TWI539966B (zh) Oil in the water emulsion sunscreen cosmetics
CA2671245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ovel fractal particle-based gels
EP2819639B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 for application on wet skin
WO2015099198A1 (en) Transparent composition containing oil and microcapsules
JP7489919B2 (ja) 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43027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6307499B2 (ja) 皮膚及び/又は唇を明るくする化粧方法
CN109715133A (zh) 使用了核-壳型微粒的化妆品原料和水包油型乳化化妆品
McMullen et al. Emulsions and their characterization by texture profile analysis
Kim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O microemulsion for removal of oily make‐up cosmetics
JP5121598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16522258A (ja) 修飾ガラクトマンナンを基とするコロイドとして安定な分散物
KR20210137124A (ko) 다공성 금속 산화물 구체를 함유하는 선스크린 조성물
US9107841B2 (en) Fixing of perfume on wet skin
KR101609862B1 (ko) 신규한 메이크업 클렌징 효능 평가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655956B1 (ko) 유성 화장품의 제거를 위한 w/o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JP2011001295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10504291A (ja) エマルション
KR20170088172A (ko) 불투명 유액 방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1689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06028182A (ja) オイルリッチo/w型エマルションと化粧品分野でのその使用
JP2014193825A (ja) 油性毛髪化粧料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