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852B1 -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852B1
KR101609852B1 KR1020140182038A KR20140182038A KR101609852B1 KR 101609852 B1 KR101609852 B1 KR 101609852B1 KR 1020140182038 A KR1020140182038 A KR 1020140182038A KR 20140182038 A KR20140182038 A KR 20140182038A KR 101609852 B1 KR101609852 B1 KR 101609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us bar
cable
contac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진
김상길
박효상
강인철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엘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엘스콤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8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2Thei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콘택트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용 후크에 걸려 고정되는 동시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아울러 하우징의 각 케이블접속부 사이에 별도의 격벽을 구성시킴으로서 복수 개의 콘텍트에 각 케이블을 결선시켜 각 상에 맞춰 하우징 내부로 간편하게 조립함으로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설치된 격벽으로 인해 일정한 공간거리를 형성시켜 인접된 각 케이블간의 꼬임현상방지 및 전류의 안정적 공급을 가져오게 하는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부스바가 접속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되 일정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부스바접속함과, 상기 부스바접속함의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각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복수의 케이블접속함과, 각 케이블접속함 사이에 형성되되 각 케이블접속함의 일면과 서로 대향되는 면을 가진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부스바접속함과 케이블접속함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며, 중앙부에 후크결합공이 관통형성된 후크결합부의 양단부에는 후단부 상면에 가이드결합홈이 구비된 한 쌍의 부스바접속부가 서로 대향되게 상향 절곡형성되며, 후크결합부의 후단부에는 'ㄴ'자형상으로 절곡된 케이블접속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콘택트본체와, 전단부는 상기 콘택트본체의 부스바접속부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후단부는 콘택트본체의 가이드결합홈에 삽입되는 'U'자형상의 삽입가이드로 구성된 복수 개의 콘택트;를 포함하는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Busbar connector for bucket of 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콘택트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용 후크에 걸려 고정되는 동시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아울러 하우징의 각 케이블접속부 사이에 별도의 격벽을 구성시킴으로서 복수 개의 콘텍트에 각 케이블을 결선시켜 각 상에 맞춰 하우징 내부로 간편하게 조립함으로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설치된 격벽으로 인해 일정한 공간거리를 형성시켜 인접된 각 케이블간의 꼬임현상방지 및 전류의 안정적 공급을 가져오게 하는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고압의 전기를 수전하여 각 사용처의 부하에 적합하게감압한 후 배전할 수 있도록 전기기기나 회로 감시 및 제어용 계기류, 계전기류,변성기류, 차단기(CB), 단로기(DS) 등과 같은 개폐기류, 부스바 등을 한 곳에 집중해서 설치한 것으로, 각 단위 회로마다 격리하여 수납되도록 접지된 금속 또는 절연 격벽에 의해 분할하거나 별도의 공간을 갖는 여러 개의 격실 구조로 구성한 것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전반 중에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버킷(21)이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캐비넷 형태의 배전반(20)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배전반(20)은 서랍형태로 된 각각의 버킷(21)을 배전반(20)의 내부로 밀어넣으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버킷(21)의 후단부에 구비된 부스바 커넥터(22)가 배전반(20)의 내부격벽에 설치된 셔터 배리어(30)를 통해 배전반(20)의 내부에 설치된 부스바(40)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배전반 버킷(21)에 구비되는 종래의 부스바 커넥터(22)는 대부분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스바접속부(23a)와 케이블접속부(23b)로 분할형성되며 케이블접속부의 상부에는 보호용 덮개(미도시됨)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23)과, 상기 하우징(23)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용 스크류(25)에 의해 고정되는 평판형태의 콘택트(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부스바 커넥터(22)는 하우징(23)의 내
부에 삽입된 콘택트(24)를 고정용 스크류(25)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각 상별로 케이블(27)을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제품 설치시 케이블(27)의 결선이 용이하지 못하고 오결선이 발생할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오결선시에는 케이블(27)을 고정하는 고정볼트(26)를 일일이 풀어서 옮긴 후 다시 체결해야 하므로 결선작업에 많은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부스바 커넥터(22)는 평판형상으로 된 콘택트(24)가 고정용 스크류(2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하우징(23)의 내부에서 전혀 움직이지 않으므로, 부스바(40)와의 결합시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을 경우 삽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과도한 힘을 가해 삽입할 경우 충격에 의해 콘택트(24)의 접속부가 상하로 변형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콘택트(24)가 변형된 상태로 부스바(40)와 결합될 경우에는 결합상태가 불안정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접촉불량으로 인한 과열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각 케이블(27)이 인접한 상태에서 케이블의 꼬임현상이 발생하거나 케이블 간의 이격된 거리가 유동적인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경우에 안정적인 전류의 공급이 어려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232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콘택트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용 후크에 걸려 고정되는 동시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아울러 하우징의 각 케이블접속부 사이에 별도의 격벽을 구성시킴으로서 복수 개의 콘텍트에 각 케이블을 결선시켜 각 상에 맞춰 하우징 내부로 간편하게 조립함으로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설치된 격벽으로 인해 일정한 공간거리를 형성시켜 인접된 각 케이블간의 꼬임현상방지 및 전류의 안정적 공급을 가져오게 하는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부스바가 접속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되 일정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부스바접속함과, 상기 부스바접속함의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각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복수의 케이블접속함과, 각 케이블접속함 사이에 형성되되 각 케이블접속함의 일면과 서로 대향되는 면을 가진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부스바접속함과 케이블접속함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며, 중앙부에 후크결합공이 관통형성된 후크결합부의 양단부에는 후단부 상면에 가이드결합홈이 구비된 한 쌍의 부스바접속부가 서로 대향되게 상향 절곡형성되며, 후크결합부의 후단부에는 'ㄴ'자형상으로 절곡된 케이블접속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콘택트본체와, 전단부는 상기 콘택트본체의 부스바접속부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후단부는 콘택트본체의 가이드결합홈에 삽입되는 'U'자형상의 삽입가이드로 구성된 복수 개의 콘택트;를 포함하는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부스바접속함의 내부 양측면 상하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부스바접속함의 내부 양측면 중앙부에는 상하측에 걸림용 후크가 구비된 후크지지대가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격벽은 각 케이블접속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바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되 각 케이블접속함의 일면과 서로 대향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콘택트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용 후크에 걸려 고정되는 동시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아울러 하우징의 각 케이블커버 사이에 별도의 격벽을 구성시킴으로서 복수 개의 콘텍트에 각 케이블을 결선시켜 각 상에 맞춰 하우징 내부로 간편하게 조립함으로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설치된 격벽으로 인해 일정한 공간거리를 형성시켜 인접된 각 케이블간의 꼬임현상방지 및 전류의 안정적 공급을 가져오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의 버킷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전반의 버킷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의 콘택트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의 콘택트 분리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의 콘택트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의 콘택트 분리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10)는 하우징(100) 및 콘택트(2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부스바(도면 미도시)와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콘택트(200)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부스바가 접속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되 일정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부스바접속함(110)과, 상기 부스바접속함(110)의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각 케이블(300)이 접속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복수의 케이블접속함(120)과, 각 케이블접속함(120) 사이에 형성되되 각 케이블접속함(120)의 일면과 서로 대향되는 면을 가진 복수의 격벽(130)을 포함한다. 상기 부스바접속함(110)의 전단부 중앙부에는 부스바삽입홈(1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부스바가 상기 부스바삽입홈(111)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하우징(100)의 부스바접속함(110)의 내부 양측면 상하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112a, 112b)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부스바접속함(110)의 내부 양측면 중앙부에는 상하측에 걸림용 후크(114a, 114b)가 구비된 후크지지대(113)가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된 부스바접속함(110)과 케이블접속함(120)의 개수는 본 발명에서처럼, 3상 3선식으로 제조될 경우 3개로 구성될 것이며, 3상 4선식으로 제조될 경우에는 4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된 부스바접속함(110)과 케이블접속함(120)의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1개의 콘택트(200)가 삽입되는데, 전류용량을 2배로 증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2개의 콘택트(200)가 중첩되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격벽(130)은 각 케이블접속함(1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바(140)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되 각 케이블접속함(120)의 일면과 서로 대향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격벽(130)으로 인해 일정한 공간거리(각 연결바 사이의 거리 즉, 케이블접속함의 폭 이상인 거리)를 형성시켜 인접된 각 케이블(300)간의 꼬임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류의 안정적 공급을 가져오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된 부스바접속함(110)의 내부 양측면 사이의 폭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부스바접속함(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콘택트(200)의 삽입가이드(220)와 부스바접속함(11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소정간격(d)만큼 이격되도록 삽입가이드(2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부스바접속함(110)의 내부 양측면 사이의 폭을 콘택트(200)의 삽입가이드(220)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게 되면, 부스바와의 결합시 콘택트(200)가 부스바접속함(110)의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하면서 부스바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되므로 콘택트(200)의 변형이 방지되어 더욱더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콘택트(200)는 부스바와 케이블(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로 하우징(100)의 부스바접속함(110)과 케이블접속함(120)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택트본체(210)와, 삽입가이드(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택트본체(210)는 중앙부에 후크결합공(211a)이 관통형성된 후크결합부(211)가 구비되며, 후크결합부(211)의 양단부에는 후단부 상면에 가이드결합홈(213)이 구비된 한 쌍의 부스바접속부(212a, 212b)가 서로 대향되게 상향 절곡형성되며, 후크결합부(211)의 후단부에는 'ㄴ'자형상으로 절곡된 케이블접속부(2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콘택트본체(210)는 한 쌍의 부스바접속부(212a, 212b)가 후크결합부(211)의 양단부에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므로, 평판형상으로 프레스가공된 종래의 콘택트의 접속부보다 탄성구간이 유연해짐에 따라 부스바의 삽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삽입시의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됨에 따라 더욱더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가이드(220)는 'U'자형으로 이루어져 전단부는 콘택트본체(210)의 부스바접속부(212a, 212b)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후단부는 콘택트본체(210)의 가이드결합홈(213)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가이드(220)는 콘택트(200)를 하우징(100)에 구비된 각 부스바접속함(110)과 케이블접속함(120)의 내부에 삽입할 때, 각 부스바접속함(110)과 케이블접속함(120)의 내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112a, 112b)에 삽입되면서 콘택트(200)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부스바와의 결합시 충격에 의해 콘택트본체(210)의 부스바접속부(212a, 212b)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부스바접속부(212a, 212b)가 적정한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부스바접속부(212a, 212b)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의 조립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1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구비된 각 부스바접속함(110)과 케이블접속함(120)의 후방으로부터 1개 또는 2개의 콘택트(200)를 삽입하여 각 부스바접속함(110)의 후크지지대(113)에 구비된 걸림용 후크(114a, 114b)에 콘택트(200)의 후크결합공(211a)이 걸리도록 고정함으로써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10)에 케이블(300)을 각 상별로 결선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각 부스바접속함(110)과 케이블접속함(120)에 조립된 콘택트(200)를분리해낸 후, 각 콘택트(200)의 케이블접속부(214)에 케이블(300)을 연결한 다음,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300)이 연결된 콘택트(200)를 각 상에 맞춰 하우징(100)에 구비된 각 부스바접속함(110)과 케이블접속함(120)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콘택트(200)를 유지보수하거나 오결선시 각 콘택트(20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구비된 각 부스바접속함(110)의 전방으로부터 일자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콘택트(200)의 후크결합공(211a)에 걸려 있는 걸림용 후크(114a,114b)를 아래 또는 위로 젖힌 후 케이블(300)이 결선된 콘택트(200)를 케이블접속함(120)의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간편하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10)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콘택트(2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용 후크(114a,114b)에 걸려 고정되는 동시에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좌우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케이블(300)의 결선 작업시 먼저 케이블(300)을 복수개의 콘택트(200)에 각각 연결한 후 각 케이블(300)이 결선된 콘택트(200)를 각 상에 맞춰 하우징(100)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결선 작업의 오류 발생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또 부스바와의 결합시 콘택트(200)가 좌우로 유동하면서 부스바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되므로 콘택트(200)의 변형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격벽(130)은 각 케이블접속함(1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바(140)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되 각 케이블접속함(120)의 일면과 서로 대향되는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격벽(130)으로 인해 일정한 공간거리(각 연결바 사이의 거리 즉, 케이블접속함의 폭 이상인 거리)를 형성시켜 인접된 각 케이블(300)간의 꼬임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류의 안정적 공급을 가져오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100: 하우징
110: 부스바접속함
111: 부스바삽입홈
112a, 112b: 가이드홈
113: 후크지지대
114a, 114b: 걸림용 후크
120: 케이블접속함
130: 격벽
140: 연결바
200: 콘택트
210: 콘택트본체
211: 후크결합부
211a: 후크결합공
212a, 212b: 부스바접속부
213: 가이드결합홈
214: 케이블접속부
220: 삽입가이드
300: 케이블
20: 일자 드라이버

Claims (2)

  1. 각 부스바가 접속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되 일정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부스바접속함과, 상기 부스바접속함의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각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복수의 케이블접속함과, 각 케이블접속함 사이에 형성되되 각 케이블접속함의 일면과 서로 대향되는 면을 가진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부스바접속함과 케이블접속함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며, 중앙부에 후크결합공이 관통형성된 후크결합부의 양단부에는 후단부 상면에 가이드결합홈이 구비된 한 쌍의 부스바접속부가 서로 대향되게 상향 절곡형성되며, 후크결합부의 후단부에는 'ㄴ'자형상으로 절곡된 케이블접속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콘택트본체와, 전단부는 상기 콘택트본체의 부스바접속부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후단부는 콘택트본체의 가이드결합홈에 삽입되는 'U'자형상의 삽입가이드로 구성된 복수 개의 콘택트;를 포함하는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부스바접속함의 내부 양측면 상하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부스바접속함의 내부 양측면 중앙부에는 상하측에 걸림용 후크가 구비된 후크지지대가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격벽은 각 케이블접속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바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되 각 케이블접속함의 일면과 서로 대향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KR1020140182038A 2014-12-17 2014-12-17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KR101609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038A KR101609852B1 (ko) 2014-12-17 2014-12-17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038A KR101609852B1 (ko) 2014-12-17 2014-12-17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852B1 true KR101609852B1 (ko) 2016-04-07

Family

ID=5578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038A KR101609852B1 (ko) 2014-12-17 2014-12-17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8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574B1 (ko) 2018-10-31 2019-10-25 김진복 전원분배기용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41Y1 (ko) 2001-05-04 2001-10-29 조명운 저압배전반의 부스바 커넥터
KR101338129B1 (ko) 2012-09-11 2013-12-06 윤여관 전력분배용 단자대 접속클립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41Y1 (ko) 2001-05-04 2001-10-29 조명운 저압배전반의 부스바 커넥터
KR101338129B1 (ko) 2012-09-11 2013-12-06 윤여관 전력분배용 단자대 접속클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574B1 (ko) 2018-10-31 2019-10-25 김진복 전원분배기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4533B1 (en) Base terminal block and auxiliary terminal block for switchboards and two-tier terminal block assembly comprising base terminal block and auxiliary terminal block
US8305739B2 (en) High density power/lighting panelboard
CA2737815C (en)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JP6209277B2 (ja) バスバーキット
KR20080003842U (ko) 배전반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RU113080U1 (ru) Монтажные рейки и электр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содержащий упомянутые рейки
KR101609852B1 (ko)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KR101615602B1 (ko)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
KR101406934B1 (ko)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을 위한 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
US9954345B2 (en) Panelboard, and switchgear assembly and stab assembly therefor
KR101551908B1 (ko) 배전반 버킷의 부스바 커넥터용 콘택트
KR101551907B1 (ko)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KR200395590Y1 (ko)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KR200395579Y1 (ko)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JP2006230152A (ja) 分電盤の幹線バー接続構造
EP3375059B1 (en) Modular distribution back support for circuit breakers
JP6433336B2 (ja) 分電盤
MXPA01011738A (es) Soporte de interruptor de circuito y ensamble de interruptor de circuito.
KR10182560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102580337B1 (ko) 부스바 분기 장치의 부스바 접속용 어댑터, 이를 갖는 부스바 분기 장치, 및 부스바 분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KR102020680B1 (ko) 전원분배장치
CN111602305B (zh) 用于电气柜的导电母线
KR101582610B1 (ko)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용 메일 커넥터
KR200442888Y1 (ko) 분전반용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