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636B1 - 해충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636B1
KR101609636B1 KR1020140081034A KR20140081034A KR101609636B1 KR 101609636 B1 KR101609636 B1 KR 101609636B1 KR 1020140081034 A KR1020140081034 A KR 1020140081034A KR 20140081034 A KR20140081034 A KR 20140081034A KR 101609636 B1 KR101609636 B1 KR 101609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ttracting
capturing
housing
p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140A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140081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6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가 개시되고, 더 구체적으로는 탄성력을 이용해 유인 유닛을 쉽게 개방할 수 있고, 가열될 수 있는 유인 유닛을 직접 잡지 않고 개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해충이 포획되는 끈끈이와 같은 포획 유닛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해충 포획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는 전면에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된 해충을 포획할 수 있는 포획 유닛,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등을 포함하는 유인 유닛, 상기 유인 유닛과 상기 하우징을 힌지식으로 결합하는 결합 유닛 및 상기 유인 유닛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결합 유닛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충 포획 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VERMIN}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가 개시되고, 더 구체적으로는 탄성력을 이용해 유인 유닛을 쉽게 개방할 수 있고, 가열될 수 있는 유인 유닛을 직접 잡지 않고 개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해충이 포획되는 끈끈이와 같은 포획 유닛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해충 포획 장치가 개시된다.
해충은 인간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해를 줄 수 있다. 대표적인 해충인 바퀴벌레, 먼지 다듬이, 개미, 진드기, 지네, 모기 등은 집, 사무실 등과 같은 공간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러한 해충들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 먹어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고, 배설물을 통하여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
포충기 또는 포충등은 파리, 모기 또는 나방과 같은 날아다니는 비래 해충을 제거하기 위하여, 빛으로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을 전기적으로 감전시키거나 끈끈이를 이용하여 포획한다.
예를 들어, 공개 특허 제 10-2009-0009595호에서 해충을 유인하여 흡입 방식으로 포획할 수 있는 해충 포획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공개 특허는 유인 유닛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흡입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해충 포획 장치는 전구와 같은 유인 유닛이 고정되기 때문에 내부를 수리 또는 청소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유인 유닛을 쉽고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어 내부 수리, 교체 또는 청소가 용이한 해충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하기와 같은 해충 포획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는 전면에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 및 본체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된 해충을 포획할 수 있는 포획 유닛,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등을 포함하는 유인 유닛, 상기 유인 유닛과 상기 하우징을 힌지식으로 결합하는 결합 유닛 및 상기 유인 유닛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결합 유닛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유인 유닛의 일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유인 유닛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는 체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덮개 또는 상기 본체 중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덮개 또는 상기 본체 중 다른 하나에 고정하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유인 유닛은 상기 유인등의 후면에 배치되어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지지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유인 유닛은 상기 유인등이 삽입되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유인등이 상기 삽입 유닛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에만 상기 유인등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유인 유닛은 개방 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면으로부터 상기 유인 유닛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개방 홀에 삽입되어 상기 유인 유닛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유인 유닛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인 유닛이 회동되면서 상기 하우징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포획 유닛은,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덮개와 마주하는 제1포획면, 상기 제1포획면의 일단부에서 절곡되는 제2포획면 및 상기 제2포획면의 일단부에서 재차 절곡되는 제3포획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1포획면의 일측의 일부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포획면의 타측의 일부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포획된 해충이 수집될 수 있는 수집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통은 상기 포획 유닛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포획 유닛이 상기 수집통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포획 유닛은 상기 포획 유닛에 포획된 해충의 양을 감지하는 포획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포획센서에서 측정된 해충의 양을 표시하여 상기 포획 유닛의 교체시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를 사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해 유인 유닛을 쉽게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를 사용하여 가열될 수 있는 유인 유닛을 직접 잡지 않고 개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를 사용하여 해충 포획 장치의 소모품의 교체 또는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의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연결 유닛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의 지지 돌기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의 유인 유닛의 회동을 도시하는 작동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의 고정 요소의 형태를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의 쿠션 부재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의 가이드 돌기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의 포획 유닛이 해충 포획 장치에 결합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획 유닛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획 유닛이 수집통과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여러 태양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1)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연결 유닛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1)는 하우징(110), 포획 유닛(120), 유인 유닛(130), 결합 유닛(미도시) 및 탄성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덮개(111)와 본체(112)를 포함할 수 있고, 덮개(111)는 본체(112)와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덮개(111)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지면에 놓여지거나, 벽면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본체(112)의 후면에는 해충 포획 장치를 벽면 등에 쉽게 걸 수 있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111)는 위, 아래로 개폐될 수 있다. 버튼(160)을 누르면 잠금 장치가 해제되어 덮개가 위에서 아래로 개방될 수 있다. 도 1의 버튼(160) 및 잠금 장치 구조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연결 유닛(170)은 해충 포획 장치(1)의 덮개(111) 및 본체(11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유닛(170)은 덮개(111)가 위, 아래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유닛(170)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연결 부재(174)를 구비하여 그 형상을 유연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덮개(111)의 개폐를 반복하면서 연결 부재(174)에 힘이 가해지면 연결 부재(174)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재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손상을 감소시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연결 유닛(170)은, 제 1 연결부(172)와, 제 2 연결부(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172)는 덮개(111)의 일측에 형성되며, 연결 부재(174)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 1 연결부(172)를 착탈 시킴으로써, 덮개(111)를 본체(112)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시킬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장치(1)의 수리 또는 청소를 위하여 덮개(111)를 완전히 분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173)는 본체(112)의 일측에 형성되며, 연결 부재(174)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가령, 제 1 연결부(172)는 연결 부재(174)와 덮개(111)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제 1 연결부(172)는 돌출부(E)를 포함하고, 연결 부재(174)는 상기 돌출부(E)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E)는 'T'자로 구성되어 사용하는 동안 연결 부재(174)가 덮개(11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고, 연결 부재(174)는 신축성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 1 연결부(172)로부터 연결 부재(174)를 분리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173)는 연결 부재(174)와 본체(112)를 결합할 수 있다.
덮개(111)와 본체(112)를 상기와 같이 연결하면, 하우징(110)을 개방하기 위하여 덮개(111)를 완전히 본체(112)와 분리하는 경우와 달리, 분리된 덮개(111)를 별도의 공간에 놓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별도로 위치된 분리된 덮개(111)가 파손될 수 우려가 감소되고, 분리된 덮개(111)를 두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덮개(111)와 본체(112)가 위, 아래로 개폐될 수 있으므로, 덮개(111)가 좌 또는 우로 개폐되는 경우와 달리, 예를 들어, 장치(1)가 구석에 설치되는 경우 덮개(111)의 개방이 제한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해충 포획 장치(1)는 덮개(111)가 위, 아래로 개방되어 장치(1)를 청소하거나 정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덮개(111)를 본체(112)와 완전히 분리할 수 있어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연결 유닛(170)의 형태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연결부(172)가 본체(112)에 결합되고, 제 2 연결부(173)가 덮개(1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본체(112) 및 덮개(111) 모두가 제 1 연결부(172)와 같은 연결 부재(174)가 착탈 가능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E)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체(112) 또는 덮개(111)가 연결 부재(174)와 착탈이 가능하다면 다른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덮개(111)에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포획하고자 하는 해충이 개구부(113)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개구부(113)의 형상 및 배치는 하기에 설명되는 유인 유닛(130)의 형상 및 배치에 상응하게 배치되어 해충이 쉽게 하우징(110) 내부로 유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획 유닛(120)은 본체(112) 내에 배치되어 유인된 해충을 포획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획 유닛(120)은 접착제가 도포된 끈끈이이지만, 포집 케이스, 익사모듈, 살충모듈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포획 유닛(120)은 본체(112) 내부에서 유인 유닛(130)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인 유닛(130)과 하우징(110) 내부 후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유인 유닛(130)이 빛을 조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해충이 포획 유닛(120)에 쉽게 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유인 유닛(130)은 본체(112) 내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등(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인 유닛(130)이 마련될 수 있고, 일 실시 예는 2개의 유인 유닛(130)이 마련되는 형태를 도시하지만 유인 유닛(1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10)의 크기 또는 전력 소비량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수의 유인 유닛(130)이 마련될 수 있다.
유인등(131)로서 해충 유인에 효과적인 자와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다른 램프에 비하여 효율이 좋아 소모전력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형광램프보다 환경적 측면 및 안정성의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다만 유인등(131)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유닛(미도시)는 유인 유닛(130)과 본체(112)를 힌지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결합 유닛(미도시)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3과 함께 설명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1)의 지지 돌기(134)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유인 유닛(130)은 반사판(133) 및 지지돌기(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133)은 유인등(131)로부터 후방으로 조사되는 빛을 다시 개구부(113) 방향으로 반사시켜 유인 유닛(13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인등(131)를 고정시키는 고정판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반사판(133)이 너무 넓으면 해충이 포획 유닛(120)에 포획되는데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반사판(133)의 형상은 빛의 반사와 포획 성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 예의 반사판(133)은 'H'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반사판(133)은 유인등(131)의 크기와 비슷하게 유인등(1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연장된 양 단부의 높이는 본체(112) 등과의 결합을 위하여 다소 높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판(133) 가운데 부분이 긴 'H'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한가지 예시적인 형태로서 반사판(133)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돌기(134)는 유인 유닛(130)과 본체(112) 내부 후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확보하고, 포획 유닛(120)을 상기 본체(112)부의 내측 후면에 고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 돌기(134)는 포획 유닛(120)의 중앙부를 눌러주어 포획 유닛(120)을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지지 돌기(134)의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1)는 기존의 해충 포획 장치와 마찬가지로, 본체(112) 내부 후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포획 유닛(120)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는 후크(hook) 형상의 고리부일 수 있다. 고정부는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거나, 포획 유닛(120)의 테두리부를 따라서 길게 연장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유인 유닛(130)이 빛을 조사하면서 열을 발생시키는 경우, 높은 열기로 인하여 포획 유닛(12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으로 인하여 포획 유닛(120)이 본체(112)의 내측 후면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 돌기(134)는 유인 유닛(130)의 변형을 제한하여, 그 형태 및 배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지지 돌기(134)는 반사판(133)의 후면으로부터, 포획 유닛(120)의 방향으로, 본체(112) 내부 후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포획 유닛(120)을 고정할 수 있다. 지지 돌기(134)의 길이는 포획 유닛(120)의 배치를 고려하여 반사판(133)과 본체(112)의 내측 후면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1)의 유인 유닛(130)이 회동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4(a)는 체결 유닛(150)이 유인 유닛(130)을 고정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도 4(b)는 체결 유닛(150)이 유인 유닛(130)을 고정하지 않아 탄성 부재(141)에 의하여 유인 유닛(130)이 회동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결합 유닛(140)은 유인 유닛(130)과 본체(112)를 힌지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유인 유닛(130)의 일 단부가 본체(112)와 힌지로 연결되어, 유인 유닛(130)은 결합 유닛(140)을 중심으로, 본체(112)의 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었다가, 하우징(110)의 후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회동될 수 있다. 유인 유닛(130)을 하우징(110)의 후면과 수직하게 세우면 포획 유닛(120)이 드러날 수 있고 사용자는 포획 유닛(120)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유인 유닛(130)의 회동 각도가 반드시 위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b)를 참조하여, 결합 유닛(140)은 유인 유닛(130)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41)는 유인 유닛(130)을 자동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세우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유인등(131)는 빛을 조사하면서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 열기는 반사판(133)의 온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이 유인등(131) 또는 반사판(133)을 잡고 유인 유닛(130)을 회동시키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가령, 포획 유닛(120)를 교체하는 경우 가열된 유인등(131) 또는 반사판(133)으로 안전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있지만, 탄성 부재(141)를 사용하면 유인등(131) 또는 반사판(133)을 직접 잡을 필요가 없기에, 이러한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여, 체결 유닛(150)은 반사판(133)의 일 단부와 결합하여 유인 유닛(130)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체결 유닛(150)의 한가지 예시적인 형태로서, 사용자가 체결 유닛(150)을 누르면 유인 유닛(130)과 이격되어 유인 유닛(130)이 탄성력을 받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회동 각도는 유인 유닛(130)이 하우징(110)의 측면과 충돌하지 않고, 포획 유닛(120)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90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인 유닛(130)으로 체결 유닛(150)을 누르면 다시 체결 유닛(150)과 유인 유닛(130)이 결합되어 도 4(a)의 형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유닛(140)은 유인 유닛(130)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인 유닛(130)이 지면 방향으로, 즉 상, 하로 회동되면 중력에 의해 유인 유닛(130)이 하우징(110)에 충돌하거나, 결합 유닛(140)에 큰 힘이 작용해 유인 유닛(130) 또는 결합 유닛(140) 등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유인 유닛(130)은 LED 전구와 같은 유인등(131)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전구는 충격에 약하기에, 결합 유닛(140)은 유인 유닛(130)을 지면과 평행하게, 즉 좌, 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의 고정 요소(135)의 형태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유인 유닛(130)은 삽입 유닛(132) 및 고정 요소(135)을 더포함할 수 있다. 삽입 유닛(132)은 유인등(131)가 삽입되는 소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요소(135)는 유인등(131)이 삽입 유닛(13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인등(131)이 삽입 유닛(132)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 경우, 고정 요소(135)는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인등(131)은 삽입 유닛(132)에 삽입되는 커넥터와, 커넥터에 연결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요소(135)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커넥터가 삽입 유닛(13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요소(135)는 완전히 결합되고 돌출부는 커넥터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돌출부는 커넥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둘째, 커넥터가 삽입 유닛(132)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고정 요소(135)의 돌출부가 커넥터에 간섭되므로, 고정 요소(135)가 체결될 수 없다. 즉, 유인등(131)이 삽입 유닛(13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만 고정 요소(135)가 잠길 수 있으므로, 고정 요소(135)는 유인등(132)이 제대로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보증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1)의 쿠션 부재(114)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유인 유닛(130)이 회동될 때 하우징(110)과 충돌하여 유인 유닛(130) 및 하우징(110) 양쪽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기에, 유인 유닛(130) 및 하우징(110) 사이에 쿠션 부재(114)가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쿠션 부재(114)로 스폰지와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인 유닛(130)과 하우징(110) 사이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체(112)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E)의 단부에 쿠션 부재(114)가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1)의 가이드 돌기(115)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유인 유닛(130), 특히 반사판(133)은 개방 홀(136)을 구비하고,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으로부터, 특히 본체(112)의 내부 후면으로부터 유인 유닛(130)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115)를 구비하고, 가이드 돌기(115)가 개방 홀(136)에 삽입되어 유인 유닛(130)을 일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유인 유닛(130)을 회동시킬 때, 가이드 돌기(115)가 개방 홀(136)에 제대로 삽입된 경우에만 유인 유닛(130)을 하우징(110)의 후면에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체결 유닛(150)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돌기(115) 및 개방 홀(136)은 유인 유닛(130)을 일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회동이 반복되면 가령 결합 유닛(140)이 느슨해 질 수 있으므로 유인 유닛(130)의 위치가 다소 변할 수 있고, 이 경우 가이드 돌기(115) 및 개방 홀(136)이 유인 유닛(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1)의 포획 유닛(120)이 해충 포획장치에 결합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획 유닛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획 유닛이 수집통과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포획 유닛(120)은 유인 유닛(130)의 후측에 배치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끈끈이 일 수 있다. 다수의 해충이 끈끈이에 부착되면 접착력이 떨어져 해충의 포획 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포획 유닛(120)은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포획 유닛(120)은 제1포획면(121), 제2포획면(122), 제3포획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포획면(122)는 제1포획면(121)의 일단부에서 절걱되고 제3포획면(123)은 제2포획면(122)의 일단부에서 재차 절곡될 수 있다.
제1포획면(121)은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덮개와 마주할 수 있다. 유인 유닛(130)에 의하여 유인된 상당수의 해충은 제1포획면(121)에 포획될 수 있다. 제1포획면(121)의 일부 모서리 부분은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아, 사용자가 포획 유닛(120)의 모서리를 잡고 교체하여 접착제가 손에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포획면(121)의 일측의 일부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제1포획면(122)의 타측의 일부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포획면(121)은 전체적으로 'ㄹ'자 형태로 구성되어, 결합 유닛(140) 및 쿠선 부재(114)와 중첩되지 않고 넓은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해충 포획 장치는 포획된 해충이 수집될 수 있는 수집통(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획 유닛(120)은 수집통(18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획된 해충의 양이 증가하여 포획 유닛(120)의 접착력이 감소하면, 제1포획면(121)에 포획된 해충이 수집통(180)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2포획면(122)는 제1포획면(121)의 일단부에서 절곡될 수 있다. 제2포획면(122)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제1포획면(121)은 수집통(180)의 일측면과 접하고, 제2포획면(122)은 수집통(180)의 내부 바닥면과 접할 수 있다. 제1포획면(121)에 포획된 해충이 수집통 내부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해충은 제2포획면(122)에 접착될 수 있다.
제3포획면(123)은 제2포획면(122)의 일단부에서 재차 절곡될 수 있다. 제3포획면(123)은 수집통(180)의 일측면과 접하고 제1포획면(121)과 마주할 수 있다. 제3포획면(123)에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아 포획 유닛(120)을 교체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여 사용자의 손에 접착제가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포획면(123)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포획 유닛(120)은 수집통(180)의 측면, 내부 바닥면과 접하므로, 포획 유닛(120)만 제거하면 포획된 해충이 수집통(180)에 남아있지 않을 수 있다. 수집통(180)을 청소할 필요 없이 포획 유닛(120)의 교체만으로 포획된 해충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수집통(180)에는 포획 유닛(12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결합부(181)가 포함될 수 있다. 포획 유닛(120)을 고정하지 않으면 자세가 유지되지 않아, 해충 포획력이 감소될 수 있다. 결합부(181)가 포획 유닛(120)의 결합된 자세를 유지시켜 해충이 쉽게 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181)는 수집통(180)의 일측에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ㄷ' 형태로 구성되고, 결합부(181)의 내부 공간으로 포획 유닛(12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포획면(121)이 실질적으로 가장 넓으므로 제1포획면(121)과 결합부(181)가 결합하여 포획 유닛(120)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포획 유닛(120)을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른 형태, 다른 배치의 결합부(181)도 가능할 수 있다.
해충 포획 장치(1)는 포획 센서(미도시) 또는 표시 유닛(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획 센서(미도시)가 포획 유닛(120)에 포획된 해충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포획 유닛(120)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기 위하여 포획 센서가 포획 유닛(12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포획 센서에서 포획 유닛(120)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면, 하우징(110) 외부에 구비된 표시 유닛(미도시)에 교체 요부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포획 유닛(120)의 교체시기를 파악하여 포획 유닛(120)을 교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포획 유닛(120)이 끈끈이로 구성되지만,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포획 유닛(120)은 전기 충격 장치, 익사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포획 센서(미도시)는 이러한 포획 유닛(120)에 상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1)를 사용하면, 덮개(111)를 위에서 아래로 개방하고, 유인 유닛(130)을 좌, 우로 회동하여 포획 유닛(120)과 같은 소모품의 교체 또는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다.
즉, 탄성력을 이용해 유인 유닛을 쉽게 개방할 수 있고, 가열될 수 있는 유인 유닛을 직접 잡지 않고 개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해충 포획 장치의 소모품의 교체 또는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 되었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을 변형 또는 응용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변형 또는 응용도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서 묘사된 특정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1 해충 포획 장치
110 하우징
111 덮개
112 본체
113 개구부
114 쿠션 부재
120 포획 유닛
130 유인 유닛
131 유인등
132 삽입 유닛
133 반사판
140 결합 유닛
150 체결 유닛
160 버튼
170 연결 유닛

Claims (13)

  1. 전면에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 및 본체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된 해충을 포획할 수 있는 포획 유닛;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등을 포함하는 유인 유닛;
    상기 유인 유닛과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는 결합 유닛;
    상기 유인 유닛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결합 유닛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유인 유닛의 일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유인 유닛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해충 포획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덮개 또는 상기 본체 중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덮개 또는 상기 본체 중 다른 하나에 고정하는 제 2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해충 포획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유닛은,
    상기 유인등의 후면에 배치되어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지지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지지돌기;
    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유닛은,
    상기 유인등이 삽입되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유인등이 상기 삽입 유닛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에만 상기 유인등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유닛은 개방 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면으로부터 상기 유인 유닛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개방 홀에 삽입되어 상기 유인 유닛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 해충 포획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유닛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인 유닛이 회동되면서 상기 하우징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해충 포획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유닛은,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덮개와 마주하는 제1포획면;
    상기 제1포획면의 일단부에서 절곡되는 제2포획면; 및
    상기 제2포획면의 일단부에서 재차 절곡되는 제3포획면;
    을 포함하는 해충 포획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획면의 일측의 일부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포획면의 타측의 일부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해충 포획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포획된 해충이 수집될 수 있는 수집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통은 상기 포획 유닛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포획 유닛이 상기 수집통에 고정될 수 있는 해충 포획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유닛은 상기 포획 유닛에 포획된 해충의 양을 감지하는 포획 센서를 더 포함하는 해충 포획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센서에서 측정된 해충의 양을 표시하여 상기 포획 유닛의 교체시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해충 포획 장치.
KR1020140081034A 2014-06-30 2014-06-30 해충 포획 장치 KR10160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034A KR101609636B1 (ko) 2014-06-30 2014-06-30 해충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034A KR101609636B1 (ko) 2014-06-30 2014-06-30 해충 포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40A KR20160002140A (ko) 2016-01-07
KR101609636B1 true KR101609636B1 (ko) 2016-04-06

Family

ID=5516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034A KR101609636B1 (ko) 2014-06-30 2014-06-30 해충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057B1 (ko) * 2022-03-25 2023-06-30 주식회사 블루몬케어 비래해충 포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7700B (en) * 2017-10-23 2021-03-10 Bradenburg Uk Ltd An insect trap
KR102267962B1 (ko) * 2019-06-12 2021-06-22 주식회사 에코원 해충 포획 장치
KR102284410B1 (ko) * 2019-08-23 2021-08-02 (주)월드그린 쥐 포획 장치
KR102377483B1 (ko) * 2020-04-17 2022-03-22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벽걸이형 포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1742A (ja) * 2007-06-06 2008-12-18 Lintec Corp 捕虫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1742A (ja) * 2007-06-06 2008-12-18 Lintec Corp 捕虫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057B1 (ko) * 2022-03-25 2023-06-30 주식회사 블루몬케어 비래해충 포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40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636B1 (ko) 해충 포획 장치
US20230124005A1 (en)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KR102482311B1 (ko) 점착형 포충기
US20240057579A1 (en)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ES2886032T3 (es) Dispositivo de trampa para insectos
KR20220079861A (ko) 곤충 트랩 장치
KR20150056538A (ko) 라쿤 포획용 모듈 및 라쿤 포획 장치
KR100538043B1 (ko) 전자 포충기
KR20100033336A (ko) 해충 포집기
KR20080006034U (ko) 유인포충기
JP2018143126A (ja) 捕虫器
KR101076259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1151824B1 (ko) 살충기
KR101608345B1 (ko) 해충 포획 장치
JP2009005616A (ja) 捕虫器
KR200390820Y1 (ko) 조명기구겸 포충기
JP7254335B2 (ja) 捕虫器
WO2024053482A1 (ja) 捕虫器
KR101681694B1 (ko) 해충 포획 장치
KR101681699B1 (ko) 해충 포획 장치
CN216079601U (zh) 一种可用于应急照明的粘捕式灭蝇灯
CN216627225U (zh) 一种森林害虫捕捉装置
JPH09205962A (ja) 捕虫器及び粘着物質保持枠及び粘着物質支持体
KR20090061454A (ko) 해충 포획장치
KR20160027829A (ko) 해충 포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